KR19980068161U - 자동차 후드힌지의 취부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 후드힌지의 취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8161U
KR19980068161U KR2019970012785U KR19970012785U KR19980068161U KR 19980068161 U KR19980068161 U KR 19980068161U KR 2019970012785 U KR2019970012785 U KR 2019970012785U KR 19970012785 U KR19970012785 U KR 19970012785U KR 19980068161 U KR19980068161 U KR 1998006816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d
arm
hood panel
protruding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27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춘하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700127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8161U/ko
Publication of KR199800681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8161U/ko

Links

Landscapes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후드힌지의 취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자동차 후드패널(3)의 일끝단에 스크류로 체결되어 고정된 암(14)과, 상기 암(14)이 그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힌지된 고정브라켓(1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브라켓(14)이 차체 바디의 내부 일측에 용접되어 고정되는 후드힌지(10)에 있어서, 상기 차체 바디(1)의 일측에 용접고정되는 판형상의 고정브라켓(40)에 돌출된 고정편(42)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편(42)의 일측에는 단차진 반원형상의 안착부(48)가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48)의 일단에는 돌출된 단턱부(44)가 형성되고, 상기 단턱부(44)의 일측에는 관통된 삽입공(46)이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48)에 대응하여 상기 암(12)이 회동가능하도록 그 일단에 원기둥형상의 돌출된 립(32)을 형성하고, 상기 립(32)의 일측면에는 그 일단에 관통된 체결공(36)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공(46)에 삽입되도록 돌출된 삽입편(34)을 형성하며, 상기 삽입편(34)의 체결공(36)에는 분할핀(38)을 구비하여 상기 암(12)을 고정편(42)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여 차체 바디(1)에 후드패널(3)이 용이하게 장,탈착되도록 함으로써 후드힌지의 취부시에 그 작업을 용이하게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후드패널의 정비시에 암을 분리시키지 않고, 후드패널을 차체 바디로부터 분리시켜 정비하게 되므로 후드패널의 부식을 방지하고, 정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후드힌지의 취부구조
본 고안은 자동차 후드힌지의 취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 전방에 구비되어 엔진룸을 덮어 주는 후드패널의 후드힌지를 차체 바디의 일측에 용이하게 장,탈착되게 하므로써 상기 후드힌지의 취부시에 그 작업을 용이하게 하여 작업성이 향상되고, 후드패널의 정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 후드힌지의 취부구조에 관한 것이다.
잘 아는 바와 같이, 차량의 주행중에 엔진에 이상이 생기게 되면 차량을 정지시켜 후드를 열고 엔진을 점검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차량의 후드는 2차 록킹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후드를 열 때 먼저,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운전석 좌측 하단부에 장착되어 있는 후드레버를 당겨 후드의 1차 록킹을 푼 후에 사용자가 직접 어퍼 프론트 패널과 후드의 사이로 손을 넣어 후드의 내측 전방부에 구비된 록킹장치의 걸편을 위로 밀어 후드의 2차록킹을 풀게 된다.
이후, 상기 후드를 완전히 들어 올려 지지대를 후드의 앞가장자리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후드 구멍에 확실하게 끼우도록 한다.
그리고, 후드를 닫을 때에는 상기 지지대를 후드 구멍에서 해제시켜 차체의 일측에 고정시킨 후, 상기 후드를 일정 높이에서 놓으면 상기 후드의 자중에 의해 록킹되어 후드가 완전하게 닫히게 된다.
이러한 차량의 후드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의 후드패널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후드패널(3)은 후단 양측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후드힌지(10)에 의해 상하 회동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후드패널(3)의 선단 일측에는 소정의 록킹장치(6)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록킹장치(6)의 일측은 케이블(7)에 연결되어 있으며, 타단은 차실내에 구비되어 있는 후드레버(5)와 연결되어 있다. 한편 상기 록킹장치(6)가 걸림되도록 한 걸림수단(도시생략)이 어퍼 프론트판넬(도시생략)에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후드패널(3)을 개방할 시, 먼저 운전자는 운전석 좌측 아래쪽에 장착되어 있는 후드레버(5)를 당겨 상기 후드 록킹장치(6)의 1차 록킹을 푼 후에 손으로 직접 후드패널(3) 아래의 걸편(도시생략)을 위로 밀어 후드패널(3)의 2차 록킹을 푼다.
이후, 상기 후드패널(3)을 완전히 들어 올려 지지대(도시생략)를 후드패널(3) 앞가장자리의 끝에 형성되어 있는 지지대 구멍(도시생략)에 확실하게 끼우도록 한다.
또한, 상기 후드패널(3)을 닫을 때에는 지지대 구멍에서 빼서 차체에 고정시킨 후, 상기 후드패널(3)을 일정 높이에서 놓아 닫히도록 한다.
첨부도면 도 2는 종래의 후드힌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드패널(3)의 내측 후단 양측에는 후드힌지(10)가 구비되어 상기 후드패널(3)을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형성한다.
상기 후드힌지(10)는 차체 바디(미도시)의 일측에 고정브라켓(14)을 통해 회동가능하게 힌지되며, 상기 고정브라켓(14)은 차체 바디의 일측에 용접고정된다.
상기 고정브라켓(14)은 그 중앙부 양측에 돌출형성된 가이드판(16)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판(16)의 상단 일측에는 이 가이드판(16)을 연결시켜 주며, 회동된 암(12)이 걸림되어 정지되도록 하는 걸림판(18)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브라켓(14)의 가이드판(16) 일측에는 암(Arm)(12)의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힌지되고, 타단은 후드패널(3)의 내부 일측에 스크류(도시생략)로 체결되어 고정된다.
이러한 후드패널(3)은 차체 바디에 고정된 고정브라켓(14)에 암(12)이 회동가능하게 힌지되고, 이 암(12)의 상면에 후드패널(3)이 고정되어 있어, 상기 암(12)이 고정브라켓(14)으로부터 회동되면 상기 후드패널(3)이 암(12)에 의해 회동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이루어진 종래의 후드힌지는 후드패널의 정비시 상기 후드패널의 내부 일측에 스크류로 체결되어 고정된 암으로부터 상기 후드패널을 분리시켜 정비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후드패널과 암 사이에는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부식방지용의 실링제가 도포되어 있어 상기 후드패널을 암으로부터 분리할 시 이 실링제가 벗겨지게 되어 후드패널이 부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후드힌지의 취부시 상기 암을 고정브라켓의 가이드판에 리벳팅하여 회동가능하게 힌지시키고, 상기 고정브라켓을 차체 바디의 내부 일측에 용접하여 고정하며, 상기 암의 일단에 후드패널을 스크류로 고정시켜야 하므로 그 작업이 복잡하고, 번거로워 작업성 및 정비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자동차의 후드패널을 차체 바디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힌지시켜 주는 후드힌지의 고정구조를 개선하여 용이하게 고정시켜 주므로써 후드패널의 정비시에 암을 분리시키지 않고, 후드패널을 차체 바디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켜 주므로 후드패널의 부식을 방지하고, 정비성이 향상되며, 후드패널의 취부시에도 그 작업을 간편할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되는 자동차 후드힌지의 취부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은 자동차 후드패널의 일끝단에 스크류로 체결되어 고정된 암과, 상기 암이 그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힌지된 고정브라켓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브라켓이 차체 바디의 내부 일측에 용접되어 고정되는 후드힌지에 있어서, 상기 차체 바디의 일측에 용접고정되는 판형상의 고정브라켓에 돌출된 고정편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편의 일측에는 단차진 반원형상의 안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의 일단에는 돌출된 단턱부가 형성되고, 상기 단턱부의 일측에는 관통된 삽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에 대응하여 상기 암이 회동가능하도록 그 일단에 원기둥형상의 돌출된 립을 형성하고, 상기 립의 일측면에는 그 일단에 관통된 체결공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도록 돌출된 삽입편을 형성하며, 상기 삽입편의 체결공에는 분할핀을 구비하여 상기 암을 고정편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의 후드패널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의 후드힌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후드힌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후드힌지를 도시한 결합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차체 바디 3: 후드패널
5: 후드레버 7: 케이블
10,30: 후드힌지 12: 암
14,40: 고정브라켓 16: 가이드판
18: 걸림판 32: 립
34: 삽입편 36: 체결공
38: 분할핀 42: 고정편
44: 단턱부 46: 삽입공
48: 안착부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후드힌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후드힌지를 도시한 결합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 바디(1)의 일측에 후드패널(3)을 회동가능하게 힌지시켜 주는 후드힌지(30)는 상기 차체 바디(1)의 일측에 용접되어 고정되는 판형상의 고정브라켓(40) 중앙부에 소정길이로 돌출된 고정편(42)을 형성한다.
상기 고정편(42)의 일측에는 단차진 반원형상의 안착부(48)가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48)의 일단에는 그 하단의 고정브라켓(40)으로부터 연장된 단턱부(44)가 형성된다.
상기 단턱부(44)의 일측에는 관통된 삽입공(46)을 형성한다.
상기 고정편(42)의 안착부(48)에 대응하여 상기 암(12)의 일단에는 원기둥형상의 돌출된 립(32)을 형성하여 상기 암(12)을 고정편(42)으로부터 회동가능하게 구비한다.
상기 립(32)의 일측면에는 그 일단에 관통된 체결공(36)이 형성되어 상기 단턱부(44)의 삽입공(46)에 삽입되도록 돌출된 삽입편(34)을 형성한다.
상기 삽입편(34)의 체결공(36)에는 분할핀(38)을 삽입하여 상기 암(12)을 상기 고정편(42)에 회동가능하게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후드힌지의 취부구조는 자동차 후드패널(3)의 내부 일측에 암(12)을 스크류로 체결하여 상기 암(12)을 후드패널(3)에 고정시킨다. 그리고 차체 바디(1)의 일측에 돌출된 고정편(42)이 형성된 고정브라켓(40)을 용접하여 고정시킨 후, 상기 후드패널(3)에 고정된 암(12)의 삽입편(34)을 고정편(42)의 삽입공(46)에 삽입시킨다.
상기 암(12)의 삽입편(34)이 고정편(42)의 삽입공(46)에 완전하게 삽입된 후, 상기 삽입편(34)의 일단에 관통형성된 체결공(36)에 분할핀(38)을 삽입하여 체결하고, 이 분할핀(38)의 양끝단을 절곡시켜 삽입편(34)이 고정편(42)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암(12)의 일단에 형성된 립(32)이 고정편(42)의 안착부(48)에 안착되어 상기 후드패널(3)의 개폐시 상기 고정편(42)으로부터 상기 암(12)이 회동되게 된다.
그리하여 상기 후드패널(3)의 정비시는 후드패널(3)을 열고, 이 후드패널(3)의 일끝단에 구비된 후드힌지(30)의 암(12)을 차체 바디(1)에 용접고정된 고정브라켓(40)의 고정편(42)에 회동가능하게 고정시켜 주는 분할핀(38)을 제거하여 상기 암(12)의 삽입편(34)을 고정편(42)의 삽입공(46)으로부터 분리해내면 된다.
그러므로 상기 후드패널(3)을 차체 바디(1)로부터 용이하게 장,탈착할 수 있게 되어 그 작업성이 좋게 되고, 정비성이 향상되며, 정비시에 후드패널(3)에 체결된 암(12)을 분리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인해 후드패널(3)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자동차 후드힌지의 취부구조는 차체 바디로부터 후드패널을 용이하게 장,탈착할 수 있게 하여 후드힌지의 취부시에 그 작업을 용이하게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후드패널의 정비시에 암을 분리시키지 않고, 후드패널을 차체 바디로부터 분리시켜 정비하게 되므로 후드패널의 부식을 방지하며, 정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자동차 후드패널(3)의 일끝단에 스크류로 체결되어 고정된 암(14)과, 상기 암(14)이 그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힌지된 고정브라켓(1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브라켓(14)이 차체 바디의 내부 일측에 용접되어 고정되는 후드힌지(10)에 있어서,
    상기 차체 바디(1)의 일측에 용접고정되는 판형상의 고정브라켓(40)에 돌출된 고정편(42)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편(42)의 일측에는 단차진 반원형상의 안착부(48)가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48)의 일단에는 돌출된 단턱부(44)가 형성되고, 상기 단턱부(44)의 일측에는 관통된 삽입공(46)이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48)에 대응하여 상기 암(12)이 회동가능하도록 그 일단에 원기둥형상의 돌출된 립(32)을 형성하고, 상기 립(32)의 일측면에는 그 일단에 관통된 체결공(36)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공(46)에 삽입되도록 돌출된 삽입편(34)을 형성하며, 상기 삽입편(34)의 체결공(36)에는 분할핀(38)을 구비하여 상기 암(12)을 고정편(42)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후드힌지의 취부구조.
KR2019970012785U 1997-05-30 1997-05-30 자동차 후드힌지의 취부구조 KR1998006816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2785U KR19980068161U (ko) 1997-05-30 1997-05-30 자동차 후드힌지의 취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2785U KR19980068161U (ko) 1997-05-30 1997-05-30 자동차 후드힌지의 취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8161U true KR19980068161U (ko) 1998-12-05

Family

ID=69685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2785U KR19980068161U (ko) 1997-05-30 1997-05-30 자동차 후드힌지의 취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8161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66883A (en) Vehicle door separable for access to door hardware
US8443552B2 (en) Mounting structure of door guard bar
JP3882571B2 (ja) バックドアの手掛け部構造
JPS5832048B2 (ja) 車両用開閉式屋根のヒンジ取付部構造
JP2004306889A (ja) 車両用リヤゲート
KR19980068161U (ko) 자동차 후드힌지의 취부구조
KR19980068171U (ko) 판스프링이 구비된 자동차의 후드힌지
KR200155988Y1 (ko) 자동차의 후드 릴리즈 레버몸체의 레버 체결구조
JP4090818B2 (ja) 車両における内装部品のポケット構造
JP3929821B2 (ja) クーラ配管の接続部のカバー構造
KR19980068160U (ko) 자동차의 후드레버 장착구조
KR19980068170U (ko) 자동차의 후드레버 취부구조
KR100277175B1 (ko) 차량의 후드레버
KR19980068159U (ko) 자동차의 후드레버 고정구조
KR0138850Y1 (ko) 버스 플랩도어의 록킹장치
JP2594988Y2 (ja) 自動車用フューエルリッド開閉装置
KR100351761B1 (ko) 후드사이렌 장착구조
KR100354093B1 (ko) 본네트의 잠금 장치
KR0183356B1 (ko) 자동차의 후드 록킹장치
KR0124621Y1 (ko) 자동차의 후드 릴리이스레버 취부구조
KR19980042004U (ko) 자동차의 후드 개폐장치
KR100803827B1 (ko) 차량용 도어의 아웃사이드핸들 어셈블리
JP3264181B2 (ja) リッド付きボックス構造
JPH107048A (ja) 自動二輪車の後部開閉蓋とシートの錠止め装置
KR19980035274U (ko) 강성이 보강된 자동차의 후드 릴리즈 레버 체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C193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