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1761B1 - 후드사이렌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후드사이렌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1761B1
KR100351761B1 KR1019990067828A KR19990067828A KR100351761B1 KR 100351761 B1 KR100351761 B1 KR 100351761B1 KR 1019990067828 A KR1019990067828 A KR 1019990067828A KR 19990067828 A KR19990067828 A KR 19990067828A KR 100351761 B1 KR100351761 B1 KR 1003517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d
hinge
switch
hinge arm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7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6233A (ko
Inventor
음경훈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678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1761B1/ko
Publication of KR20010066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62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1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17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2/00Responses or measures related to driver conditions
    • B60Y2302/03Actuating a signal or alarm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3Reducing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후드에 관한 것으로, 후드의 열림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하기 위하여 펜더의 일측에 힌지암과 힌지브라켓으로 구성된 후드 힌지가 설치되고, 상기 힌지암에는 후크가 형성되며, 상기 힌지 브라켓의 일측에는 후드가 일정각도 이상 열리면 걸릴 수 있도록 스토퍼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브라켓의 측면에는 사각홀을 형성하여 후드 스위치가 장착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사각홀의 상하로 구멍을 형성하여 후드 스위치를 장착시키서 후드를 닫을 시 힌지암의 후크가 후드 스위치와 릴리스 되어 있어 후드가 열릴 경우 힌지암이 회전하면서 힌지암의 후크가 후드 스위치와 접촉되면서 후드의 개방상태를 계기판에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 사이렌 장착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후드사이렌 장착구조{Hood siren mounting structur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앞부분 또는 트렁크 룸을 덮는 후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후드의 개폐를 확인할 수 있는 후드 사이렌의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후드 사이렌의 장착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드사이렌(1)을 장착브라켓(2)에 체결하고, 상기한 후드사이렌(1)이 장착된 장착브라켓(2)을 펜더 에이프런 내측패널(3)에 볼팅한다.
후드사이렌(1)의 상단에는 후드사이렌 스위치(4)가 설치되고, 후드 사이렌 스위치(4)에는 코일스프링이 설치되어 있어, 후드(5)를 닫을때에 코일 스프링에 의해 후드사이렌 스위치(4)가 눌려 오프시키고, 후드 개방시 후드 사이렌 스위치(4)가 코일 스프링의 힘에 의헤 올라오면서 온되어 후드의 개방상태를 전기적인 방법에 의하여 계기판 또는 사이렌으로 나타낸다. 참조번호 6은 펜더이다
상기와 같은 장착구조는 펜더 패널에 후드 사이렌을 장착할 수 있는 브라켓을 별도로 장착하여야 하므로 그 구조가 복잡하고, 공정수가 추가되어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후드사이렌의 장착구조에서 브라켓을 삭제하고 후드 힌지를 적용하여 후드사이렌의 장착구조을 단순화 시키고 장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펜더의 일측에 힌지암과 힌지브라켓으로 구성된 후드 힌지가 설치되고, 상기 힌지암에는 후크가 형성되며, 상기 힌지 브라켓의 일측에는 후드가 일정각도 이상 열리면 걸릴 수 있도록 스토퍼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브라켓의 측면에는 사각홀을 형성하여 후드 스위치가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사각홀의 상하에 형성된 구멍에 후드 스위치를 장착시키서 후드를 닫을 시 힌지암의 후크가 후드 스위치와 릴리스 되어 있어 후드가 열릴 경우 힌지암이 회전하면서 힌지암의 후크가 후드 스위치와 접촉되면서 후드의 개방상태를 계기판에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 사이렌 장착구조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후드 사이렌의 결합구조
도 2는 본 발명의 후드 힌지의 구조
도 3은 본 발명의 힌지 암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힌지 브라켓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후드 힌지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후드 사이렌 스위치의 구조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2 : 후드 힌지 14 : 힌지암
16 : 힌지브라켓 18 : 후크
20 : 스토퍼 22 : 사각홀
24 : 후드 스위치 26 : 구멍
28 : 계기판 30 : 눌림부31 : 체결구멍 32 : 돌출부33 : 체결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후드 힌지의 구조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힌지 암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힌지 브라켓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후드 힌지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후드 사이렌 스위치의 구조이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펜더(미도시) 상부의 일측에 후드 힌지 (12)를 설치한다.
후드 힌지(12)는 힌지암(14)과 힌지브라켓(16)으로 구성되어 힌지브라켓 (16)에 힌지암(14)을 결합시켜 이루어 진다.
힌지암(14)에는 후크(18)를 형성하여 후드(미도시)가 일정각도 이상 열리게 되면 힌지브라켓(16)의 스토퍼(20)에 걸려 더이상 열리지 않게 한다. 힌지암(14)과 힌지브라켓(16)의 결합부에는 스프링(미도시)을 설치하여 힌지암(14)이 항상 일측으로 회전력이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힌지브라켓(16)의 측면에는 사각홀(22)을 형성하여 후드스위치(24)의 돌출부(32)가 관통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사각홀(22)의 상하로 구멍(26)을 내어 후드스위치(24) 체결부(33)에 형성된 체결구멍(31)과 일치시켜 나사로 고정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상기 후드 스위치(24)는 힌지브라켓(16)에 고정되는 체결부(33)와 상기 체결부(33)의 상면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32)와 상기 돌출부(32)의 내부로 탄성을 가지고 삽입되는 눌림부(30)로 이루어져있다. 상기 눌림부(30)의 상면은 사면으로 형성되어 힌지암의 후크가 이동하면 상기 눌림부(30)의 사면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후크(18)가 상기 스토퍼(20)에 걸릴때까지 이동하면 상기 눌림부(30)는 돌출부(32)의 내부로 완전히 삽입된다. 다시 후크(18)가 뒤로 이동하면 탄성을 가진 눌림부(30)가 다시 돌출부(32)의 외부로 노출된다.상기 힌지브라켓(16)의 사각홀(22)에 후드스위치(24)의 돌출부(32)가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돌출부(32)에 형성되어 있는 눌림부(30)가 전술한 바와 같이 작동을 하여 후드의 열림상태를 표시한다.
후드스위치(24)는 운전석의 장치패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후드의 열림상태를 표시한다.
상기한 구성의 작용은 후드를 닫을시 힌지암(14)의 후크가 후드 스위치(24)와 릴리스 되어 있어 후드 스위치(24)는 오프 상태로 유지되고, 후드가 열릴 경우 힌지암(14)이 회전하면서 힌지암(14)의 후크(18)가 후드 스위치(24)와 접촉되면서 후드 스위치(24)가 온 상태가 되어 운전석 전면의 계기판(28)에 열림 상태를 나타낸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펜더 에이프런 내측에 별도의 마운팅 장착홀이 필요없어 부식, 내구 성능이 향상되고, 인-라인에서 후드 힌지 장착하고, 또 후드 스위치를 장착할 필요 없이 후드 스위치를 힌지에 장착하므로 라인 공정이 단순해지며, 펜더 에이프런에 별도의 너트가 필요치 않으므로 후드 스위치 장착 브라켓의 삭제가 가능하고, 이러한 후드 스위치 장착 브라켓 및 너트 삭제가 가능하여 중량이 감소된다.

Claims (1)

  1. 펜더의 일측에 힌지암(14)과 힌지브라켓(16)으로 구성된 후드 힌지(12)가 설치되고, 상기 힌지암(14)에는 후크(18)가 형성되며, 상기 힌지 브라켓(16)의 일측에는 후드가 일정각도 이상 열리면 걸릴 수 있도록 스토퍼(20)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브라켓(16)의 측면에는 사각홀(22)을 형성하여 후드 스위치(24)가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사각홀(22)의 상하에 형성된 구멍(26)에 후드 스위치(24)를 장착시키서 후드를 닫을 시 힌지암(14)의 후크(18)가 후드 스위치(24)와 릴리스 되어 있어 후드가 열릴 경우 힌지암(14)이 회전하면서 힌지암의 후크(18)가 후드 스위치(24)와 접촉되면서 후드의 개방상태를 계기판에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 사이렌 장착구조.
KR1019990067828A 1999-12-31 1999-12-31 후드사이렌 장착구조 KR1003517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7828A KR100351761B1 (ko) 1999-12-31 1999-12-31 후드사이렌 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7828A KR100351761B1 (ko) 1999-12-31 1999-12-31 후드사이렌 장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6233A KR20010066233A (ko) 2001-07-11
KR100351761B1 true KR100351761B1 (ko) 2002-09-05

Family

ID=19634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7828A KR100351761B1 (ko) 1999-12-31 1999-12-31 후드사이렌 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176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6233A (ko) 2001-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51761B1 (ko) 후드사이렌 장착구조
JP2000110425A (ja) オープナー装置
KR100383944B1 (ko) 자동차의 도어스위치 장착구조
JPH0633155Y2 (ja) 自動車用ドアハンドル
KR100941103B1 (ko) 차량용 후드 스위치
KR100803425B1 (ko) 자동차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구조
KR0124904Y1 (ko) 스위치일체형 테일게이트 래치장치
KR100372454B1 (ko) 트렁크 룸 램프 스위치의 구조
JPH06191439A (ja) 自動車の後部構造
KR0130586B1 (ko) 차량용 콘솔 박스의 리드 개폐장치
KR100534331B1 (ko) 차량용 후드힌지의 각도조절구조
KR200256662Y1 (ko) 자동차 트렁크리드의 개폐스위치 구조
JPH08151846A (ja) ヒンジ装置
KR20020046789A (ko) 토글 스위치의 안전 커버
JPH11192900A (ja) 自動車のライセンスプレート取付構造
KR0137156Y1 (ko) 자동차의 휴즈박스용 커버
KR0128111Y1 (ko) 사이드 도어힌지구조
KR19980021477U (ko) 자동차용 트렁크 리드의 고정 구조
KR19980038469A (ko) 자동차 본네트스테이의 차체 취부구조
KR19980068161U (ko) 자동차 후드힌지의 취부구조
KR19980062888A (ko) 자동차 글로브 박스의 리드 록킹장치
KR19980078697A (ko) 차량의 백도어 개폐장치
KR19980051278U (ko) 도어 글레스의 개방 경고장치를 한 레귤레이터
KR19980029573A (ko) 커버가 구비된 차량용 시계
KR19990016552U (ko) 자동차 액셀레이터조작패달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