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7156Y1 - 자동차의 휴즈박스용 커버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휴즈박스용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7156Y1
KR0137156Y1 KR2019960008256U KR19960008256U KR0137156Y1 KR 0137156 Y1 KR0137156 Y1 KR 0137156Y1 KR 2019960008256 U KR2019960008256 U KR 2019960008256U KR 19960008256 U KR19960008256 U KR 19960008256U KR 0137156 Y1 KR0137156 Y1 KR 01371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plate body
fuse box
hook
instrument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082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7854U (ko
Inventor
성문철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082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7156Y1/ko
Publication of KR9700578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785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71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715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설치되는 자동차의 휴즈박스용 커버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는 개폐가 용이하도록 록킹부의 구조를 개선한 자동차의 휴즈박스용 커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판체(10)의 전면에 손잡이(20)를 일체로 형성하고, 인스트루먼트 패널(P)의 개구부(P1)를 개폐할 수 있도록 판체(10)의 후면 상단에 후크(30)를 마련하고 판체(10)의 하단을 힌지(40)로 고정시킨 자동차의 휴즈박스용 커버에 있어서, 상기 후크(30)를 일정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상기 판체(10)에 힌지(31)로 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후크(30)의 하단부를 탄지하도록 일단이 상기 판체(10)에 고정되는 스프링(50)을 더 구비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휴즈박스용 커버
제1도는 일반적인 자동차의 휴즈박스용 커버 설치상태 사시도.
제2도는 종래의 자동차의 휴즈박스용 커버 설치상태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휴즈박스용 커버 분해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휴즈박스용 커버 설치상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판체 20 : 손잡이
30 : 후크 31,40 : 힌지
P : 인스투르먼트 패널 P1 : 개구부
본 고안은 인스투르먼트 패널에 설치되는 자동차의 휴즈박스용 커버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개폐가 용이하도록 록킹부의 구조를 개선한 자동차의 휴즈박스용 커버에 관한 것이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운전석 쪽의 인스투르먼트 패널(P) 내부에 일련의 휴즈가 배치된 휴즈박스(도시하지 않음)를 장착시켜 놓고 있으며, 이 휴즈박스를 가리기 위한 커버를 인스트루먼트 패널(P)에 개폐가능하게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커버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판체(1)의 전면에 손잡이(2)를 일체로 형성하고, 인스트루먼트 패널(P)의 개구부(P1)를 개폐할 수 있도록 판체(1)의 후면 상단에는 후크(3)를 일체로 형성하고 판체(1)의 하단을 힌지(4)로 고정시켰다.
이 커버는 인스트루먼트 패널(P)과 같이 합성수지재를 사용하여 휘는 성질을 갖도록 하고 있으며 인스트루먼트 패널(P)과 조화되는 형태와 색상으로 제작한다.
이러한 종래의 커버는, 인스트루먼트 패널(P)에 장착된 상태에서 손잡이(2)를 잡고 당기면 휘는 성질에 의하여 후크(3)가 인스트루먼트 패널(P)로 부터 벗어나고 힌지(4)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열리게 되다. 이와 마찬가지로 커버를 닫을 때에도 손잡이(2)를 잡고 밀면 커버의 휘는 성질에 의하여 후크(3)가 인스트루먼트 패널(P)에 걸려 닫히게 된다.
그러나, 종래와 같은 자동차의 휴즈박스용 커버는 자체의 휘는 성질에 의하여 개폐될 수 있도록 하였기 때문에 개폐시 힘이 많이 들고 개폐작용에 의하여 변형 및 파손의 우려도 있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한 본 고안의 목적은 개폐가 용이하고 개폐작용에 의하여 변형 및 파손의 우려가 없도록 록킹부의 구조를 개선한 자동차의 휴즈박스용 커버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판체(10)의 전면에 손잡이(20)를 일체로 형성하고, 인스트루먼트 패널(P)의 개구부(P1)를 개폐할 수 있도록 판체(10)의 후면 상단에 후크(30)를 마련하고 판체(10)의 하단을 힌지(40)로 고정시킨 자동차의 휴즈박스용 커버에 있어서, 상기 후크(30)를 일정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상기 판체(10)에 힌지(31)로 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후크(30)의 하단부를 탄지하도록 일단이 상기 판체(10)에 고정되는 스프링(50)을 더 구비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이고, 제4도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 단면도이다.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커버는 종래와 같이 판체(10)의 전면에 손잡이(20)를 일체로 형성하고 판체(10)의 하단을 인스트루먼트 패널(P)의 개구부(P1)에 힌지(40)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되, 본 고안에서는 후크(30)를 판체(10)와 조립될 수 있도록 별도로 마련하고 원통형으로 된 스프링(50)을 더 구비하였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된 본 고안은 마련된 후크(30)를 판체(10)에 힌지(31)로 고정하고 스프링(50)로 후크(30)의 하단부를 탄지하도록 조립하고, 판체(10)의 하단을 인스트루먼트 패널(P)의 개구부(P1)에 힌지(40)로 고정하는 방법으로 설치한다. 이때 후크(30)는 인스트루먼트 패널(P)에 걸리거나 해제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이와같이 설치된 본 고안의 사용시에는, 커버가 인스트루먼트 패널(P)에 장착된 상태에서 손잡이(20)를 잡고 당기면 스프링(50)이 압축됨과 동시에 후크(30)가 회전함에 따라 인스트루먼트 패널(P)로 부터 벗어나므로 열리게 되다. 그리고 커버의 손잡이(20)를 잡고 밀면 스프링(50)이 약간 인장됨과 동시에 후크(30)가 회전함에 따라 인스트루먼트 패널(P)에 걸려 닫히게 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커버의 개폐시 스프링(50)이 일정 한도까지 압축되거나 인장될 수 있는 정도의 힘을 가하면 되므로 커버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으며, 휘어지는 성질을 이용하여 커버를 개폐하지 않으므로 개폐작용으로 인한 커버의 변형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

  1. 판체(10)의 전면에 손잡이(20)를 일체로 형성하고, 인스트루먼트 패널(P)의 개구부(P1)를 개폐할 수 있도록 판체(10)의 후면 상단에 후크(30)를 마련하고 판체(10)의 하단을 힌지(40)로 고정시킨 자동차의 휴즈박스용 커버에 있어서, 상기 후크(30)를 일정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상기 판체(10)에 힌지(31)로 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후크(30)의 하단부를 탄지하도록 일단이 상기 판체(10)에 고정되는 스프링(50)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휴즈박스용 커버.
KR2019960008256U 1996-04-17 1996-04-17 자동차의 휴즈박스용 커버 KR01371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8256U KR0137156Y1 (ko) 1996-04-17 1996-04-17 자동차의 휴즈박스용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8256U KR0137156Y1 (ko) 1996-04-17 1996-04-17 자동차의 휴즈박스용 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7854U KR970057854U (ko) 1997-11-10
KR0137156Y1 true KR0137156Y1 (ko) 1999-04-01

Family

ID=19453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08256U KR0137156Y1 (ko) 1996-04-17 1996-04-17 자동차의 휴즈박스용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715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7854U (ko) 1997-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7156Y1 (ko) 자동차의 휴즈박스용 커버
US4988141A (en) Frame for vehicular hood
KR100197274B1 (ko) 자동 옷걸이
KR0122940Y1 (ko) 승합자동차의 백도어 개폐용 손잡이
KR0112631Y1 (ko) 자동차용 콘솔박스의 덮개 개폐장치
KR0135273Y1 (ko) 차량의 퓨즈박스 및 콤비램프 커버
KR0159472B1 (ko) 차량의 트렁크리드 스톱퍼장치
KR100196186B1 (ko) 트렁크 리드 힌지 조립체
KR200159429Y1 (ko) 자동차퓨즈상자덮개
FR2735433A1 (fr) Dispositif de support mobile pour un radiotelephone d'automobile
KR0137525Y1 (ko) 자동차의 필러 리드 로킹장치
KR19980053352U (ko) 자동차의 연료주입구 도어 개폐장치
KR0125833Y1 (ko) 승용차의 본 네트용 힌지구조
KR0121668Y1 (ko) 센터 페이시아 덮개장치
KR0113824Y1 (ko) 스페어 휠 커버의 열림고정장치
KR0128836Y1 (ko) 자동차의 트렁크 오픈용 레버와 손잡이의 체결구조
KR0107723Y1 (ko) 자동차 트렁크리드의 코일스프링 장력 조정장치
KR0158147B1 (ko) 자동차용 도어의 인사이드 핸들
KR200184775Y1 (ko) 자동차 퓨즈상자 덮개 결속장치
KR0114218Y1 (ko) 자동차 루프의 화물 적재용 고정장치와 그 장착구조
KR200146728Y1 (ko) 자동차의 글로브박스 힌지구조
KR100201462B1 (ko) 자동차용 퓨얼필러도어릴리즈구조
KR19980035797U (ko) 자동차의 도어 포켓
KR980007311U (ko) 연료탱크 취부용 스트랩 이탈방지장치
KR100245506B1 (ko) 자동차의 트렁크리드록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