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3425B1 - 자동차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3425B1
KR100803425B1 KR1020060075008A KR20060075008A KR100803425B1 KR 100803425 B1 KR100803425 B1 KR 100803425B1 KR 1020060075008 A KR1020060075008 A KR 1020060075008A KR 20060075008 A KR20060075008 A KR 20060075008A KR 100803425 B1 KR100803425 B1 KR 1008034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andle
outside
outer panel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5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동욱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75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34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3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34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20Bolts or det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7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24Arms
    • E05Y2201/626Le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76Transmission of human force
    • E05Y2201/68Handles, cr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쿠페등과 같이 외관이 독특한 차량에 적용하여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이 도어 끝단부에 위치되도록 구성하고 수평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한 자동차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쿠페등과 같이 외관이 독특한 차량에 어울리면서 차량 외관을 해치지 않도록 하는 자동차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어의 아우터 판넬(O) 외부에 일정 깊이로 형성되고 도어 핸들(1)과 동일 형상으로 구성되며 일정 크기의 작동공(2)이 형성된 수평 상태의 도어홈(3)과, 상기한 아우터 판넬(O)의 내측면에 위치되어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됨과 아울러 상기한 작동공(2)을 통해 도어 핸들(1)과 연결되어 도어 핸들(1)의 작동에 의해 도어 래치(L)를 작동시키도록 하는 베이스부(4)와, 상기한 도어홈(3)의 외부에 밀착되어 있고 브라켓(5)을 통해 베이스부(4)와 연결되어 이를 작동시키는 도어 핸들(1)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자동차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구조

Description

자동차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구조{OUTSIDE HANDLE STRUCTURE OF DOOR FOR AUTOMOBILE}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구조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2는 도1의 분해 사시도,
도3은 도2에서 베이스부를 아우터 판넬에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4는 도2에서 그로멧을 아웃사이드 핸들에 부착시킨 상태를 도시한 아웃사이드핸들의 배면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도어핸들 2: 작동공
3: 도어홈 4: 베이스부
5: 브라켓 6: 프레임
7: 수직힌지 8: 관통공
9: 연결부 10: 핸들레버
11: 작동아암 12: 수평힌지
13: 작동레버 14: 스프링
O: 아우터판넬
본 발명은 자동차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쿠페등과 같이 외관이 독특한 차량에 적용하여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이 도어 끝단부에 위치되도록 구성하고 수평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한 자동차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도어를 개폐시키기 위해서는 도어의 외부에 장착된 아웃사이드 핸들 및 도어 실내에 장착된 인사이드 핸들이 연동하도록 구성되는 바, 상기한 아웃사이드 핸들 및 인사이드 핸들에 의해 래치 어셈블리가 도어를 개폐시키게 된다.
상기한 아웃사이드 핸들은 여러종류가 사용되는 바, 예들 들어 핸들을 당겨 개폐시키는 풀(PULL)타입의 핸들은 도어의 아우터 판넬에 형성되어 손을 넣을 수 있게 형성된 곡면홈에 장착됨과 아울러 잡아 당기면 핸들의 종단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래치 어셈블리를 작동시키는 구성되어 있다.
물론, 아웃사이드 핸들을 아래 방향에서 윗방향으로 들어 올리면서 사용하도로 구성된 아웃 사이드 핸들도 많이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풀 타입의 핸들 또는 아래 방향에서 들어 올리면서 사용하는 아웃사이드 핸들의 경우에는 이를 쿠페등의 차량에 적용하기가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쿠페등과 같이 독특한 형상의 외관을 갖는 차량의 경우에 일반적인 형태의 아웃사이드 핸들을 적용하게 되면 차량 외관이 어울리지 않게 됨으로써, 이를 적용하기가 매우 힘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쿠페등과 같이 외관이 독특한 차량에 어울리면서 차량 외관을 해치지 않도록 하는 자동차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어의 아우터 판넬 외부에 일정 깊이로 형성되고 도어 핸들과 동일 형상으로 구성되며 일정 크기의 작동공이 형성된 수평 상태의 도어홈과, 상기한 아우터 판넬의 내측면에 위치되어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됨과 아울러 상기한 작동공을 통해 도어 핸들과 연결되어 도어 핸들의 작동에 의해 도어 래치를 작동시키도록 하는 베이스부와, 상기한 도어홈의 외부에 밀착되어 있고 브라켓을 통해 베이스부와 연결되어 이를 작동시키는 도어 핸들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1과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구조를 도시한 평단면도와 분해 사시도로서, 도어의 아우터 판넬(O) 외부에 일정 깊이로 형성되고 도어 핸들(1)과 동일 형상으로 구성되며 일정 크기의 작동공(2)이 형성된 수평 상태의 도어홈(3)과, 상기한 아우터 판넬(O)의 내측면에 위치되어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됨과 아울러 상기한 작동공(2)을 통해 도어 핸들(1)과 연결되어 도어 핸들(1) 의 작동에 의해 도어 래치(L)를 작동시키도록 하는 베이스부(4)와, 상기한 도어홈(3)의 외부에 밀착되어 있고 브라켓(5)을 통해 베이스부(4)와 연결되어 이를 작동시키는 도어 핸들(1)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베이스부(4)는 아우터 판넬(O)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프레임(6)과, 상기한 프레임(6)의 일측에 수직 힌지(7)로 결합되어 회전 자재함과 아울러 프레임(6)의 관통공(8)을 통해 도어 핸들(1)의 브라켓(5)과 결합되도록 타단에 연결부(9)가 형성된 핸들레버(10)와, 상기한 핸들레버(10)의 작동아암(11)에 의해 회전되면서 도어 래칫(L)을 작동시키도록 프레임(6)에 수평 힌지(12)로 설치된 작동레버(13)와, 상기한 수평 힌지(12)에 설치되어 작동레버(13)에 탄성을 인가하는 스프링(14)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고정 수단은 아우터 판넬(O)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그로멧(15)과, 상기한 프레임(6)의 일측 볼트공(B)을 통해 그로멧(15)에 결합되는 고정 볼트(16)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차량의 도어에 도어 핸들(1)을 설치하기 위하여,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우터 판넬(O)의 내측면에 베이스부(6)를 고정 볼트(16)로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한 핸들레버(10)를 도어홈(1)에 위치시킨 후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우터 판넬(O)의 작동공(2)으로 핸들레버(10)의 연결부(9)가 돌출되도록 함과 아울러 이 상태에서 도어 핸들(1)의 브라켓(5)을 연결부(9)에 연결하게 된다.
도어 핸들(1)의 설치가 완료되면, 상기한 도어 핸들(1)이 도어의 끝단부에 일치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상태가 된다.
탑승자가 차량에 탑승하기 위하여 외부에서 도어 핸들(1)의 우측면을 잡고 당기게 되면 핸들(1)이 들어 올려지면서 핸들레버(10)를 회전시키게 된다.
핸들레버(10)가 수직 힌지(7)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면 핸들레버(10)의 작동아암(11)이 회전하면서 작동레버(13)를 작동시키게 되고, 상기한 작동레버(13)가 수평힌지(12)를 통해 회전하면서 도어 래치(L)를 개폐시키게 된다.
즉, 상기한 도어 핸들(1)을 측면에서 들어올리게 되면 이와 연결된 핸들레버(10) 및 작동레버(13)에 의해 도어 래치(L)가 작동하면서 자동차의 도어가 개폐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물론, 상기한 작동레버(13)는 스프링(14)의 탄성에 의해 작동 후 원위치됨과 아울러 도어 핸들(1) 작동 시 스프링(14)의 탄성에 의해 적절한 반반력을 받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차량 도어에서 돌출되지 않도록 도어 핸들을 장착함과 아울러 단순한 구성으로 도어 핸들의 개폐 구조를 구성함으로써, 쿠페등과 같은 차량의 외관을 해치지 않으면서 도어 핸들을 설치할 수 있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3)

  1. 도어의 아우터 판넬 외부에 일정 깊이로 형성되고 도어 핸들과 동일 형상으로 구성되며 일정 크기의 작동공이 형성된 수평 상태의 도어홈과, 상기한 아우터 판넬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프레임의 작동공을 통해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됨과 아울러 상기한 작동공을 통해 도어 핸들과 연결되어 도어 핸들의 작동에 의해 도어 래치를 작동시키도록 하는 베이스부와, 상기한 도어홈의 외부에 밀착되어 있고 브라켓을 통해 베이스부와 연결되어 이를 작동시키는 도어 핸들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베이스부는 아우터 판넬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프레임과, 상기한 프레임의 일측에 수직 힌지로 결합되어 회전 자재함과 아울러 프레임의 관통공을 통해 도어 핸들의 브라켓과 결합되도록 타단에 연결부가 형성된 핸들레버와, 상기한 핸들레버의 작동아암에 의해 회전되면서 도어 래칫을 작동시키도록 프레임에 수평 힌지로 설치된 작동레버와, 상기한 수평 힌지에 설치되어 작동레버에 탄성을 인가하는 스프링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고정 수단은 아우터 판넬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그로멧과, 상기한 프 레임의 일측 볼트공을 통해 그로멧에 결합되는 고정 볼트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구조.
KR1020060075008A 2006-08-09 2006-08-09 자동차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구조 KR1008034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5008A KR100803425B1 (ko) 2006-08-09 2006-08-09 자동차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5008A KR100803425B1 (ko) 2006-08-09 2006-08-09 자동차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3425B1 true KR100803425B1 (ko) 2008-02-14

Family

ID=39343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5008A KR100803425B1 (ko) 2006-08-09 2006-08-09 자동차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34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05313A (zh) * 2019-11-08 2020-03-24 无锡博金汽车部件有限公司 一种机械式隐藏汽车外门开门方法及外门把手结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9240A (ko) * 2002-05-17 2003-11-2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사이드도어 핸들 조립체
KR200337407Y1 (ko) 2003-10-11 2004-01-03 주식회사 우진알파 충격 흡수부재가 구비된 차량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9240A (ko) * 2002-05-17 2003-11-2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사이드도어 핸들 조립체
KR200337407Y1 (ko) 2003-10-11 2004-01-03 주식회사 우진알파 충격 흡수부재가 구비된 차량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05313A (zh) * 2019-11-08 2020-03-24 无锡博金汽车部件有限公司 一种机械式隐藏汽车外门开门方法及外门把手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84696A (zh) 门把手和锁组件
EP1803595B1 (en) Door structure of vehicle
KR100803425B1 (ko) 자동차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구조
KR100959311B1 (ko) 가니쉬 일체형 테일게이트 핸들 구조
JP2001336330A (ja) 車両用ドアモジュール
JP5427230B2 (ja) ドアロック機構取付用治具
KR101724509B1 (ko) 후드 세이프티 후크 유닛
JP4800810B2 (ja) エマージェンシー機構
KR100527138B1 (ko) 자동차 트렁크용 트랜스버스 트림 커버장치
KR100253512B1 (ko) 자동차 도어용 아웃사이드 핸들
KR101743004B1 (ko) 전동차량의 윈도우 개폐 장치
KR20080042974A (ko) 자동차용 도어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캐리어 구동수단결합구조
JP4705800B2 (ja) 車両用ドア
KR100568751B1 (ko) 자동차의 도어 글라스 마운팅 브라켓트 구조
KR100407263B1 (ko) 차량용 도어트림의 스트라이커 장착구조
KR100475940B1 (ko) 연료필러도어의 유동 방지를 위한 개선된 캐처 어셈블리구조
KR101240766B1 (ko) 자동차용 후드 래치 핸들의 결합구조
KR100598691B1 (ko) 자동차 도어의 개폐구조
KR200216210Y1 (ko) 자동차용 트렁크 스트라이커 가림막장치
JP3776253B2 (ja) 自動車用ドア構造
JP2001018650A (ja) 自動車用ドアの連結装置
KR200142560Y1 (ko) 자동차용 후드 힌지 어셈블리
KR100456947B1 (ko) 테일 게이트 팝업 기능 대체장치
KR0138673Y1 (ko) 자동차 도어록 버튼의 프레임 취부구조
KR100231584B1 (ko) 자동차용 필러리드의 개폐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