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8673Y1 - 자동차 도어록 버튼의 프레임 취부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 도어록 버튼의 프레임 취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8673Y1
KR0138673Y1 KR2019960043488U KR19960043488U KR0138673Y1 KR 0138673 Y1 KR0138673 Y1 KR 0138673Y1 KR 2019960043488 U KR2019960043488 U KR 2019960043488U KR 19960043488 U KR19960043488 U KR 19960043488U KR 0138673 Y1 KR0138673 Y1 KR 01386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door
lock button
door lock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34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0392U (ko
Inventor
김철
Original Assignee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600434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8673Y1/ko
Publication of KR1998003039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039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86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867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2Side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6Assembly panels to be installed in doors as a module with components, e.g. lock or window lifter, attached theret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8Water or sound barrier, e.g. watershields or seals between dry/wet compartment, sound or vibration dam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68Fixation or mounting means specific for door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93Appurten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도어록 버튼의 프레임 취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종래에는 도어록 버튼이 삽설되는 프레임이 스크루에 의해 도어 인너 패널에 체결되기 때문에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도어록 버튼(1)이 삽설되는 프레임(10)에 걸림턱(11a)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된 한쌍의 스냅피트(11)를 형성하여 상기 스냅피트(11)에 의해 프레임(10)을 도어 인너 패널(3)에 취부토록 구성한 것으로서,이와같은 본 고안의 기술구성에 따라 종래와 같이 프레임을 스크루를 사용하여 취부하지 않고 프레임에 일체로 형성한 스냅피트에 의해 취부됨으로써 프레임의 취부작업이 종래보다 훨씬 간편해져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 도어록 버튼의 프레임 취부구조
일반적으로 도어에는 도어의 개폐장치로서 래치와 스트라이커로 이루어진 록장치가 설치되어 있고, 또한,록장치에 의해서 도어의 개폐를 운전자가 주행중 확인할 수 있도록 도어가 열렸을때 온되고,도어가 닫혔을때 오프되는 컨텍스위치가 차체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컨텍스위치는 도어의 개폐를 운전자에게 알려주는 것으로,통상 돌출된 접점돌기가 도어의 클로즈에 의해 눌려져 오프되고,눌려져 있던 접점돌기가 도어의 오픈에 의해 돌출되어 온되는 구조로 되어있다.
그리고,외부에서 도어를 열지못하도록 탑승자가 실내에서 누르거나 실외에서 키로 잠그면 록(rock)되는 도어록 버튼이 도어에 설치되어 있다.
이렇게 도어에 설치된 장치중에서 도어록 버튼은 운전자나 승객,특히 어린이를 동승하여 탑승했을때 주행중 안전을 위하여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운전자나 승객이 수동으로 도어록 버튼을 눌러 도어를 잠그는 구조와 주행시 일정속도 이상이 되었을때,속도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그 신호를 전자제어장치에 보내면 전자제어장치는 제어신호를 액츄에이터에 보내 액츄에이터에 의해 도어록 버튼이 아래로 자동으로 당겨지도록 하여 도어를 잠구는 구조가 있다.
도어패널에 설치된 상기한 도어록 버튼을 누르면 레버가 작동하여 로드에 의해 래치가 작동하여 도어가 잠김게 되고,자동으로 액츄에이터가 작동하여 레버가 작동하여 로드에 의해 래치가 작동하여 도어가 잠기게 된다.
그리고 인사이드 핸들에 의해 로드가 움직여 래치가 작동하여 도어가 개폐된다.
도1은 상기 도어록 버튼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것으로,도어록 버튼은 도어 인너 패널에 설치되는 프레임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구조로 되어있다.
상세하게 기술하면 도시한 바와같이 프레임(2)이 도어 인너 패널(3)에 스크루(4)에 의해서 체결되고,도어록 버튼(1)은 상기 프레임(2)내로 삽입설치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도어록 버튼(1)이 삽설되는 프레임(2)이 종래 상기처럼 스크루(4)에 의해 도어 인너 패널(3)에 체결되기 때문에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도어록 버튼이 삽설되는 프레임을 별도의 스크루와 같은 체결구를 사용하지 않고 간단하게 프레임에 일체로 형성한 스냅피트와 같은 체결구로 프레임을 취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 도어록 버튼의 프레임 취부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도어록 버튼이 삽설되는 프레임에 스냅피트를 형성하여 상기 스냅피트에 의해 프레임을 도어 인너 패널에 취부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이다.
도1은 종래의 도어록 버튼의 프레임 취부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2는 본 고안에 의한 도어록 버튼의 프레임 취부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도어록 버튼 2,10 : 프레임
3 : 도어 인너 패널 4 : 스크루
11 : 스냅피트 11a : 걸림턱
이하 본 고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 기술 구성 및 작용을 첨부한 별첨의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고안에 의한 도어록 버튼이 삽설되는 프레임의 취부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로서,이에 나타낸 바와같이 본 고안은 도어록 버튼(1)이 삽설되는 프레임(10)에 걸림턱(11a)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된 한쌍의 스냅피트(11)를 형성하여 상기 스냅피트(11)에 의해 프레임(10)을 도어 인너 패널(3)에 취부토록 구성한 것이다.
즉,본 고안은 종래 별도로 프레임(10)의 취부를 위해 사용하는 스크루(4)를 사용하지 않고 그 대신에 프레임(4)에 스냅피트(11)를 일체로 사출성형하여 스냅피트(11)가 달린 프레임(10)을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고안은 도2에 나타낸 바와같이 도어 인너 패널(3)에 형성된 구멍에 프레임(10)의 스냅피트(11)를 끼우면 스냅피트가 내측으로 휘어지면서 들어가 완전히 끼워지면 다시 복원되어 걸림턱(11a)이 상기 구멍의 테두리에 걸리게 되어 프레임(10)이 도어 인너 패널(3)에 취부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종래와 같이 프레임을 스크루를 사용하여 취부하지 않고 프레임에 일체로 형성한 스냅피트를 이용하여 취부토록 한 것으로,프레임의 취부작업이 종래보다 훨씬 간편해져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자동차 실내에서 도어를 잠그는 도어록 버튼이 삽설되는 프레임 취부구조에 관한 것으로,더욱 상세히는 상기 프레임을 별도의 스크루와 같은 체결구를 사용하지 않고 프레임에 일체로 체결구를 형성하여 이 체결구로 손쉽게 프레임을 도어 인너 패널에 체결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 도어록 버튼의 프레임 취부구조에 관한 것이다.

Claims (1)

  1. 자동차의 도어록 버튼을 도어에 설치함에 있어서,도어록 버튼(1)이 삽설되는 프레임(10)에 걸림턱(11a)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된 한쌍의 스냅피트(11)를 형성하여 상기 스냅피트(11)에 의해 프레임(10)을 도어 인너 패널(3)에 취부토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록 버튼의 프레임 취부구조.
KR2019960043488U 1996-11-29 1996-11-29 자동차 도어록 버튼의 프레임 취부구조 KR01386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3488U KR0138673Y1 (ko) 1996-11-29 1996-11-29 자동차 도어록 버튼의 프레임 취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3488U KR0138673Y1 (ko) 1996-11-29 1996-11-29 자동차 도어록 버튼의 프레임 취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0392U KR19980030392U (ko) 1998-08-17
KR0138673Y1 true KR0138673Y1 (ko) 1999-04-01

Family

ID=19475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3488U KR0138673Y1 (ko) 1996-11-29 1996-11-29 자동차 도어록 버튼의 프레임 취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867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0392U (ko) 1998-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35609A (en) Anti-theft apparatus for vehicle door locks
KR0138673Y1 (ko) 자동차 도어록 버튼의 프레임 취부구조
JPH076422Y2 (ja) 車両のドアロツク装置
JP4578403B2 (ja) ドアハンドル構造
KR100410772B1 (ko) 차량도어 열림 장치
KR0119998Y1 (ko) 자동차용 내부핸들
JPH0140925Y2 (ko)
JPH0364673B2 (ko)
KR0163083B1 (ko) 자동차 도어의 인사이드 핸들 하우징 설치구조
JPH0744692Y2 (ja) 自動車用インサイドドアハンドルのロックノブ規制装置
KR100803425B1 (ko) 자동차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구조
KR200175572Y1 (ko) 궤적형 도어아웃사이드핸들
GB2291461A (en) Cupboard door latch
KR0125689Y1 (ko) 차량용 도난방지를 겸한 도어핸들구조
KR200196642Y1 (ko) 승용차의 도어 손잡이 장치
KR100435889B1 (ko) 테일게이트도어 로킹장치
JPH068228Y2 (ja) ウインドウ開閉装置
JPS6222412Y2 (ko)
KR0114862Y1 (ko) 자동차의 도어 록장치
KR100812459B1 (ko) 자동차 도어의 잠금 및 잠금 해제구조
JPS597131Y2 (ja) 自動車のバツクドア−構造
KR20210051160A (ko) 차량용 도어의 인사이드 핸들장치
KR100458197B1 (ko) 자동차의도난방지용도어벨크랭크구조
JPH0357269B2 (ko)
KR0121663Y1 (ko) 도난 방지용 자동차 도어 핸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