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5889B1 - 테일게이트도어 로킹장치 - Google Patents

테일게이트도어 로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5889B1
KR100435889B1 KR10-2001-0072079A KR20010072079A KR100435889B1 KR 100435889 B1 KR100435889 B1 KR 100435889B1 KR 20010072079 A KR20010072079 A KR 20010072079A KR 100435889 B1 KR100435889 B1 KR 1004358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 lever
hook
opened
tailg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2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1326A (ko
Inventor
이해준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72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5889B1/ko
Publication of KR20030041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13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58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58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546Tailgates

Abstract

본 발명은 트렁크 사이드 트림에 로크레바를 부착하여 코일스프링에 의해 항상 도어가 열리는 방향으로 움직이려는 힘을 갖고 있다가 도어가 열리면 도어측의 후크에 자동으로 끼워지게 되며 도어가 일정 각도로 열리면 더 이상 열리지 않도록 도어의 움직임을 제한함으로서 조작에 대한 불편함을 줄일 수 있는 테일게이트도어 로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테일게이트도어 로킹장치{The apparatus of locking for tail gate door of vehicles}
본 발명은 테일게이트도어 로킹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자세하게는 트렁크 사이드 트림에 로크레바를 부착하여 코일스프링에 의해 항상 도어가 열리는 방향으로 움직이려는 힘을 갖고 있다가 도어가 열리면 도어측의 후크에 자동으로 끼워지게 되고 도어가 일정 각도로 열리면 더 이상 열리지 않도록 도어의 움직임을 제한 함으로서 조작에 대한 불편함을 줄일 수 있는 테일게이트도어 로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로크의 어셈블리는 로킹 레버가 회전하여 로크 또는 언로크의 상태를 얻을 수 있다. 포지션 스위치는 이 로킹 레버가 로크 위치 또는 언로크 위치에 있는가를 검출하고, 도어 로크 스위치는 로크 기구가 작동하여 로크 상태에 있는가 또는 언로크 상태에 있는가를 검출한다.
이와 같이 도어는 전자식 또는 기계식으로 로킹 또는 언로킹 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특히 차량의 테일 케이트 오픈 도어방식으로는 사이드 스윙방식을 채택하고 있는 경우 차량마다 테일게이트 오픈시 하프로크기구를 다르게 채용하고 있다.
일예로 도면을 첨부하여 종래의 테일게이트 도어오픈 조립체를 살펴보면, 도 1은 종래의 차량 후방측 사이드트림(1) 내측에 차량 후방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테일게이트도어(5)의 내측 일정 부위에 상기 테일게이트도어(5)가 일정 각도에서 완전 개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사이드트림(1)의 일정부위에 고정연결되는 고정부재(2)와, 상기 고정부재(2)에 대응하여 연결되며 테일게이트도어(5)의 열리는 정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일측에 케이블(3)이 연결되어 케이블(3)을 당기고 풀어줄 수 있도록 하는 개폐조절기(4)가 연결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케이블(3)은 일측에는 고정부재(2)에 연결되고 타측에는 개폐조절기(4)가 연결되는 구성을 갖는다.
이러한 종래의 테일게이트 도어오픈 조립체는 테일게이트도어(5)가 오픈시 90°정도에서 열리게 되면 더 이상 열리지 않도록 로크할 수 있어야 하고, 필요에 따라 완전히 열어야 할 경우에는 별도의 레버를 조작하여 로크 상태를 풀고 도어를 열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의 테일게이트 도어오픈 조립체는 구조가 복잡하고 일일이 조작해야하는 불편이 있으며, 각 사마다 고유의 구조를 보유하고 있어 차종개발시 신규구조의 선정 및 적용에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트렁크 사이드 트림에 로크레바를 부착하여 코일스프링에 의해 항상 도어가 열리는 방향으로 움직이려는 힘을 갖고 있다가 도어가 열리면 도어측의 후크에 자동으로 끼워지게 되며 도어가 일정 각도로 열리면 더 이상 열리지 않도록 도어의 움직임을 제한함으로서 조작에 대한 불편함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테일게이트도어의 개략적인 연결구성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일게이트의 로킹장치의 연결상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테일게이트도어의 연결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10;사이드트림 2;고정부재
3;케이블 4;개폐조절기
5,30;테일게이트도어 20;로크레버
21;코일스프링 40;후크
이하,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발명의 목적, 작용효과를 포함하여 기타 다른 목적들, 특징점들, 그리고 동작상의 이점들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참고로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함을 밝혀 둔다.
본 발명은 테일게이트도어의 개폐가 원할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도 2a, 도 2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차량의 측부에 설치되는 사이드 트림(10)의 내측 일정위치에 일측이 고정연결되고 타측으로 길게 연결되어 있는 로크레버(20)와, 상기 로크레버(20)의 타측을 지지하는 후크(40)와, 상기 후크(40)가 고정연결되어 작동될 수 있도록 하는 테일게이트도어(30)가 연결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로크레버(20)는 사이드트림(10)에 연결되어 타측이 전후 회전되면서 일정 위치에서 탄성복원력으로 더이상 진행되지 않도록 일측 끝단에 코일스프링(21)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후크(40)는 하향방향으로 조작가능하며 로크 상태가 해제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테일게이트도어의 개폐가 원할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도 2a와 도 2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차량 후방의 테일게이트도어(30)를 열고 내부에 적재된 물건을 끄집어 내거나 아니면 물건을 집어 넣고자 할 경우, 도어의 열림각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거나 도어를 닫을 수 있게하여 작업자의 작업효율을 높이고, 인도측의 보행자나 다른 차선의 차량 주행에 불편을 주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먼저 사용자가 테일게이트도어(30)를 열게 되면 로크레버(20)의 타측 끝단부가 후크(40)를 따라 테일게이트도어(30)가 열려지도록 한 후 일정 위치에 도달하게 되고, 로크레버(20)의 끝단부가 a 상태로 위치시키면 후크(40)에 걸려 더 이상 테일게이트도어(30)가 열리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로크레버(20)는 일측 끝단에 연결된 코일스프링(21)에 의해 테일게이트도어(30)가 열릴 때, 테일게이트도어(30)가 열리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한편, 작업자가 로크레버(20)의 로킹 상태를 해제시키고자 할 경우, 후크(40)를 아래 방향으로 회전시켜 b 상태로 위치시키면 로크레버(20)가 결합되는 것을 해제시키게 되므로 로크레버(20)는 더이상 후크(40)로부터 로킹상태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므로 테일게이트도어(30)는 90 °이상 회전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작용하는 본 발명은 트렁크 사이드 트림에 로크레바를 부착하여 코일스프링에 의해 항상 도어가 열리는 방향으로 움직이려는 힘을 갖고 있다가 도어가 열리면 도어측의 후크에 자동으로 끼워지게 되며 도어가 일정 각도로 열리면 더 이상 열리지 않도록 도어의 움직임을 제한함으로서 조작에 대한 불편함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

  1. 차량의 측부에 설치되는 사이드 트림(10)의 내측 일정위치에 일측이 고정연결되고 타측으로 길게 연결되어있는 로크레버(20)와, 상기 로크레버(20)의 타측을 지지하는 후크(40)와, 상기 후크(40)가 고정연결되어 작동될 수 있도록 하는 테일게이트도어(30)와, 상기 로크레버(20)는 사이드트림(10)에 연결되어 타측이 전후 회전되면서 일정 위치에서 탄성복원력으로 더이상 진행되지 않도록 일측 끝단에 코일스프링(21)이 연결되어 이루어진 테일게이트도어 로킹장치.
KR10-2001-0072079A 2001-11-19 2001-11-19 테일게이트도어 로킹장치 KR1004358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2079A KR100435889B1 (ko) 2001-11-19 2001-11-19 테일게이트도어 로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2079A KR100435889B1 (ko) 2001-11-19 2001-11-19 테일게이트도어 로킹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1326A KR20030041326A (ko) 2003-05-27
KR100435889B1 true KR100435889B1 (ko) 2004-06-12

Family

ID=29570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2079A KR100435889B1 (ko) 2001-11-19 2001-11-19 테일게이트도어 로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588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1326A (ko) 2003-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91709B1 (en) Device for holding a vehicle sliding door at full-open position
KR101795252B1 (ko) 차량용 트렁크 래치 모듈
KR100373242B1 (ko) 슬라이딩 도어의 록킹콘트롤러
JPH0516364Y2 (ko)
US20080296914A1 (en) Door opening device for heavy construction equipment
KR100435889B1 (ko) 테일게이트도어 로킹장치
JP4042954B2 (ja) 車両における開閉リッドロック装置
US6454325B1 (en) Closure hand lever that can be used in confined environments
KR20170102766A (ko) 테일게이트의 팝업구조
US11746571B2 (en) Ratchet unit for motor vehicle flaps or motor vehicle doors
US20020195828A1 (en) Closure device
KR102634391B1 (ko) 슬라이딩 도어의 일체형 도어 래치 어셈블리
JP3112427U (ja) 固定具及び該固定具を用いたゲート
JP3723437B2 (ja) 自動車用バックドアの自動開閉装置
JP4267280B2 (ja) キャビネットにおける開閉扉の施解錠装置
KR100428392B1 (ko)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유동 방지구조
KR100320870B1 (ko) 자동차용 트렁크 리드 래칫 어셈블리
JPH0810142Y2 (ja) 自動車ドア開閉装置
KR0138673Y1 (ko) 자동차 도어록 버튼의 프레임 취부구조
KR20000002612U (ko) 차량용 후드 개폐장치
JPH0357269B2 (ko)
JPH068228Y2 (ja) ウインドウ開閉装置
KR100456947B1 (ko) 테일 게이트 팝업 기능 대체장치
KR200251799Y1 (ko) 차량의 트렁크 닫힘장치
JPH053591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