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9361B1 - 푸쉬 풀 케이블 연결 조인트 - Google Patents

푸쉬 풀 케이블 연결 조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9361B1
KR100969361B1 KR1020040097097A KR20040097097A KR100969361B1 KR 100969361 B1 KR100969361 B1 KR 100969361B1 KR 1020040097097 A KR1020040097097 A KR 1020040097097A KR 20040097097 A KR20040097097 A KR 20040097097A KR 100969361 B1 KR100969361 B1 KR 1009693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circular socket
push
spherical end
insertio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7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7904A (ko
Inventor
서창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70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9361B1/ko
Publication of KR20060057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79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93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93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0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 E05C17/3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consisting of two or more pivoted rods
    • E05C17/3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consisting of two or more pivoted rods with means for holding in more than one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 E05F5/02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e.g. for hoods or tru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Joints Allowing Movement (AREA)

Abstract

연결 조인트의 원형 소켓과 구형 엔드 사이에 걸림부를 형성하여 조립방향의 역순으로 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형 엔드가 삽입되는 원형 소켓은 양측이 개구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케이블 연결방향에 대하여 그 측단부에서 그 길이방향을 따라 그 중앙부까지 케이블 삽입홈을 형성하고, 상기 케이블 삽입홈으로부터 연장되어 그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구간 케이블 체결홈을 형성하고, 그 내주면에는 그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케이블 삽입홈에 대응하는 일정구간에 걸림턱을 형성하며, 상기 구형 엔드에는 상기 원형 소켓에 삽입 후, 상기 걸림턱에 걸리도록 연결된 케이블의 반대측에 걸림돌기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 풀 케이블 연결 조인트를 제공한다.
푸쉬 풀 케이블, 연결 조인트, 걸림턱, 걸림돌기

Description

푸쉬 풀 케이블 연결 조인트{A CONNECTING JOINT FOR A PUSH AND PULL CABLE}
도 1은 일반적인 푸쉬 풀 케이블과 연결 조인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푸쉬 풀 케이블 연결 조인트의 조립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쉬 풀 케이블 연결 조인트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쉬 풀 케이블 연결 조인트의 소켓의 사시도,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쉬 풀 케이블 연결 조인트의 조립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푸쉬 풀 케이블 연결 조인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결 조인트의 원형 소켓과 구형 엔드 사이에 걸림부를 형성하여 조립방향의 역순으로 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푸쉬 풀 케이블 연결 조인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론트 엔드 모듈을 적용하는 차량에서 후드 릴리즈 케이블이 그 조립 구조상 2분할되어 연결부가 발생하게 되며, 상기 연결부의 연결을 위하여 보통 푸쉬 풀 케이블 연결 조인트를 사용하여 차체 조립라인에서 작업자가 직접 조립하게 된다.
상기 푸쉬 풀 케이블 연결 조인트(101)는, 도 1에서와 같이, 일측의 인너 케이블(103)에 연결되는 원형 소켓(105)과 타측의 아웃터 케이블(107)에 연결되는 구형 엔드(109)로 형성되는데, 상기 원형 소켓(105)은 양측이 개구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양측 케이블 연결방향(C)에 대하여 그 측단부에서 그 길이방향(S; 즉, 직각방향)을 따라 그 중앙부까지 케이블 삽입홈(111)이 형성되며, 이 케이블 삽입홈(111)이 연장되어 그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구간 케이블 체결홈(113)이 형성된다.
즉,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푸쉬 풀 케이블 연결 조인트(101)을 통하여 각각 피복(115)으로 감싸진 인너 케이블(103)과 아웃터 케이블(107)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그 각각의 인너 케이블 엔드(117)과 아웃터 케이블 엔드(119)를 차체측 고정단(미도시)에 끼워서 고정시키고, 인너 케이블(103)의 단부에는 원형 소켓(105)을 연결하고, 아웃터 케이블(107)의 단부에는 구형 엔드(109)를 연결한 상태로,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상기 아웃터 케이블(107)을 케이블 연결방향(C)에 대하여 수평 직각방향(S)으로 배치하여 원형 소켓(105)에 그 구형 엔드(109)를 삽입시킨다.
이 때, 상기 아웃터 케이블(107)은 그 일측이 상기 원형 소켓(105)의 케이블 삽입홈(111)을 통하여 삽입되며, 이러한 상태로, 상기 아웃터 케이블(107)을 상기 원형 소켓(105)의 케이블 체결홈(113)을 따라 회전시켜 상기 케이블 연결방향(C)으로 위치시키면, 상기 인너 케이블(103)과 아웃터 케이블(107)은 그 케이블 연결방향(C)에 대하여 연결상태가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푸쉬 풀 케이블 연결 조인트(101)는 케이블의 장시간 사용으로 인하여 느슨하게 되는 경우, 그 조립의 역방향으로 쉽게 분리되어 상호간의 연결상태가 풀어지는 단점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연결 조인트의 원형 소켓과 구형 엔드 사이에 걸림부를 형성하여 조립방향의 역순으로 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푸쉬 풀 케이블 연결 조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푸쉬 풀 케이블 연결 조인트는 구형 엔드가 삽입되는 원형 소켓은 양측이 개구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케이블 연결방향에 대하여 그 측단부에서 그 길이방향을 따라 그 중앙부까지 케이블 삽입홈을 형성하고, 상기 케이블 삽입홈으로부터 연장되어 그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구간 케이블 체결홈을 형성하고, 그 내주면에는 그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케이블 삽입홈에 대응하는 일정구간에 걸림턱을 형성하며, 상기 구형 엔드에는 상기 원형 소켓에 삽입 후, 상기 걸림턱에 걸리도록 연결된 케이블의 반대측에 걸림돌기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쉬 풀 케이블 연결 조인트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쉬 풀 케이블 연결 조인트의 소켓의 사시도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쉬 풀 케이블 연결 조인트(1)는 일측의 인너 케이블(3)에 연결되는 원형 소켓(5)과, 타측의 아웃터 케이블(7)에 연결되는 구형 엔드(9)로 이루어져, 케이블 상호 간의 단부를 그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하게 된다.
즉, 상기 푸쉬 풀 케이블 연결 조인트(1)의 구체적인 구성은, 도 3에서와 같이, 인너 케이블(3)의 단부에 상기 원형 소켓(5)이 연결되고. 상기 아웃터 케이블(7)의 단부에는 구형 엔드(9)가 연결된다.
상기 원형 소켓(5)은 양측이 개구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 연결방향(C)에 대하여 그 측단부에서 그 길이방향(S; 즉, 직각방향)을 따라 그 중앙부까지 케이블 삽입홈(11)이 형성되며, 이 케이블 삽입홈(11)이 연장되어 그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구간 케이블 체결홈(1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원형 소켓(5)은, 도 4에서와 같이, 내주면에 그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케이블 삽입홈(11)에 대응하는 일정구간에 걸림턱(21)을 형성한다.
상기 걸림턱(21)은 적어도 상기 케이블 체결홈(13)에 대응하는 내주면의 원주방향을 따라 케이블 체결홈(13)보다 긴 구간에 걸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구형 엔드(9)에는 상기 원형 소켓(5)에 삽입 후, 상기 걸림턱(21)에 걸리도록 연결된 케이블의 반대측에 걸림돌기(23)를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푸쉬 풀 케이블 연결 조인트의 연결하기 위해서는,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인너 케이블(3)의 단부에는 원형 소켓(5)이, 상기 아웃터 케이블(7)의 단부에는 구형 엔드(9)가 연결된 상태로, 원형 소켓(5)에 구형 엔드(9)를 삽입하는 삽입방향(T)으로 상기 아웃터 케이블(7)을 세워서 배치하여 원형 소켓(5)에 구형 엔드(9)를 삽입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원형 소켓(5)에 구형 엔드(9)를 삽입시킨 상태로, 상기 아웃터 케이블(7)을 회전시켜 케이블 삽입홈(11)에 끼워 상기 케이블 연결방향(C)에 대하여 수평 직각방향(C)으로 배치되도록 한다.
즉, 상기 아웃터 케이블(7)은 그 일측이 상기 원형 소켓(5)의 케이블 삽입홈(11)을 통하여 삽입되며, 이러한 상태로, 상기 아웃터 케이블(7)을 상기 원형 소켓(5)의 케이블 체결홈(13)을 따라 회전시켜 상기 케이블 연결방향(C)으로 위치시키면, 상기 인너 케이블(3)과 아웃터 케이블(7)은 그 케이블 연결방향(C)에 대하여 연결상태가 된다.
이 때, 상기 원형 소켓(5) 내부의 구형 엔드(9)는 그 걸림돌기(23)가 걸림턱(21)의 아래 부분에서 지지되는데, 장시간 케이블 사용으로 인하여 케이블이 느슨하게 늘어나는 경우, 아웃터 케이블이 원형 소켓의 케이블 체결홈을 벗어날 수는 있어도, 상기 원형 소켓(5)에 구형 엔드(9)를 삽입하는 삽입방향(T)으로는 상기 아웃터 케이블(7)이 그 삽입방향(T)으로 세워지기 전까지는 상기 걸림턱(21)과 걸림돌기(23)에 의해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보다 견고하게 케이블의 연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푸쉬 풀 케이블 연결 조인트 구조에 의하면, 연결 조인트의 원형 소켓 내부에 형성되는 걸림턱과 구형 엔드에 형성되는 걸림돌기로 구성되는 걸림부를 이용하여 그 조립방향의 역순으로 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안전하고 견고한 케이블 연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일측 케이블에 연결되는 원형 소켓과, 타측 케이블에 연결되는 구형 엔드로 이루어지는 푸쉬 풀 케이블 연결 조인트에 있어서,
    상기 구형 엔드가 삽입되는 원형 소켓은 양측이 개구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케이블 연결방향에 대하여 그 측단부에서 그 길이방향을 따라 그 중앙부까지 케이블 삽입홈을 형성하고, 상기 케이블 삽입홈으로부터 연장되어 그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구간 케이블 체결홈을 형성하고, 그 내주면에는 그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케이블 삽입홈에 대응하는 일정구간에 걸림턱을 형성하며,
    상기 구형 엔드에는 상기 원형 소켓에 삽입 후, 상기 걸림턱에 걸리도록 연결된 케이블의 반대측에 걸림돌기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 풀 케이블 연결 조인트.
  2. 일측 케이블에 연결되는 원형 소켓과, 타측 케이블에 연결되는 구형 엔드로 이루어지는 푸쉬 풀 케이블 연결 조인트에 있어서,
    상기 구형 엔드가 삽입되는 원형 소켓은 양측이 개구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케이블 연결방향에 대하여 그 측단부에서 그 길이방향을 따라 그 중앙부까지 케이블 삽입홈을 형성하고, 상기 케이블 삽입홈으로부터 연장되어 그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구간 케이블 체결홈을 형성하되,
    상기 원형 소켓과 구형 엔드 사이에는 그 삽입방향에 대하여 걸림부를 더 형 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 풀 케이블 연결 조인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원형 소켓의 내주면에 그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케이블 삽입홈에 대응하는 일정구간에 걸림턱을 형성하고, 상기 구형 엔드에는 이에 연결된 케이블의 반대측에 걸림돌기를 더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 풀 케이블 연결 조인트.
KR1020040097097A 2004-11-24 2004-11-24 푸쉬 풀 케이블 연결 조인트 KR1009693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7097A KR100969361B1 (ko) 2004-11-24 2004-11-24 푸쉬 풀 케이블 연결 조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7097A KR100969361B1 (ko) 2004-11-24 2004-11-24 푸쉬 풀 케이블 연결 조인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7904A KR20060057904A (ko) 2006-05-29
KR100969361B1 true KR100969361B1 (ko) 2010-07-09

Family

ID=37153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7097A KR100969361B1 (ko) 2004-11-24 2004-11-24 푸쉬 풀 케이블 연결 조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93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7975B1 (ko) * 2014-01-07 2015-07-20 주식회사 에이 씨 에스 차량 시트 고정장치용 릴리즈 케이블 결속구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6914U (ko) * 1996-12-16 1998-09-15 박병재 도난방지 기능이 구비된 후드래치 어셈블리
KR19980068160U (ko) * 1997-05-30 1998-12-05 양재신 자동차의 후드레버 장착구조
KR20010040656A (ko) * 1998-12-05 2001-05-15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압전 작동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6914U (ko) * 1996-12-16 1998-09-15 박병재 도난방지 기능이 구비된 후드래치 어셈블리
KR19980068160U (ko) * 1997-05-30 1998-12-05 양재신 자동차의 후드레버 장착구조
KR20010040656A (ko) * 1998-12-05 2001-05-15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압전 작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7904A (ko) 2006-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57870B2 (ja) ホース留め具
KR100969361B1 (ko) 푸쉬 풀 케이블 연결 조인트
CN114439823A (zh) 保持装置连接结构
JP5189904B2 (ja) ワイヤハーネス用プロテクタ
JP3179014U (ja) 足場用抜け止め具
JP5067640B2 (ja) 結束バンド用支持部材
KR200401180Y1 (ko)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 분리구조
JP4862174B2 (ja) 光ドロップ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2009011119A (ja) 吊りボルト用ケーブル支持具
JP3712166B2 (ja) ボルトクランプ
JP2003176895A (ja) ヘッダー及びその固定構造
JP3828841B2 (ja) テンションメンバのクランプ構造
JP2584524Y2 (ja) コルゲートチューブ用接続具
KR101806881B1 (ko) 텐트 폴 고정용 고정 커넥터
KR200372112Y1 (ko) 간판용 전기기구의 고정클립
JP4496887B2 (ja) クランプ
JP2013031280A (ja) パッキン組付構造
KR200366482Y1 (ko) 산업용 케이블 접속구
JP4420411B2 (ja) 釣糸のワンタッチ式連結具
KR20050113029A (ko) 차량의 콤비네이션 램프 결합용 그로멧
JP4728969B2 (ja) コネクタ付光ファイバコード牽引治具及び方法
JP2004147462A (ja) ケーブル保護カバー間連結装置
KR200445551Y1 (ko) 직부 등
KR200338936Y1 (ko) 통신시스템의 컨넥터뱅크 지지장치
KR100710784B1 (ko) 철근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