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5892B1 - 차량 테일게이트의 글래스힌지 - Google Patents

차량 테일게이트의 글래스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5892B1
KR100435892B1 KR10-2001-0080213A KR20010080213A KR100435892B1 KR 100435892 B1 KR100435892 B1 KR 100435892B1 KR 20010080213 A KR20010080213 A KR 20010080213A KR 100435892 B1 KR100435892 B1 KR 1004358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olt
support panel
glass hinge
fast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0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9881A (ko
Inventor
전제형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80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5892B1/ko
Publication of KR20030049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98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5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58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207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for attachment to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1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B60J1/183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movable for non-convertible vehicles, including vehicles with versatile load area
    • B60J1/1876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movable for non-convertible vehicles, including vehicles with versatile load area where the window is pivotable relative to a stationary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B60J5/101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for non-load transporting vehicles, i.e. family cars including vans
    • B60J5/107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for non-load transporting vehicles, i.e. family cars including vans constructional details, e.g. about door frame, panels, materials used, reinforc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46Tailboards, tailgates or sideboards opening upw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테일게이트의 글래스힌지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글래스힌지는 차체와 체결됨에 있어서, 보울트 체결위치의 확인이 어려워 조립이 불편하고 단순한 2점지지에 의해 견고히 고정되지 못하였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차체에 결합되는 글래스힌지의 지지몸체(10)가 지지패널(12)과 커버(14)로 분리되고 지지패널(12)에는 테일게이트(1) 외부로부터 보울트(7)가 삽입되어 테일게이트(1)와 지지패널(12)의 장착위치가 고정되게 안착홀(16)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지지패널(12)의 저부에는 상기 보울트(7)와 너트(18)가 체결되어 제공하는 2점지지에 부가되어 지지몸체(10)가 3점지지되게 나머지 1점지지를 제공하는 체결대(20)가 형성되며, 이 체결대(20)는 지지패널(12)의 저면에 일체로 성형된 스터드보울트로 너트(18)로 체결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 테일게이트의 글래스힌지{A Glass-Hinge for Tail-Gate}
본 발명은 차량 테일게이트의 글래스힌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립이 간편하고 견고하게 차체에 체결가능한 차량 테일게이트의 글래스힌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전 작업을 하는 기능적인 면과 쾌적하고 정숙함과 동시에 차실내 공간활용의 극대화를 위해 개발된 것이 레저용 차량이다.
이를 위해 차체는 승용차의 것보다 크게되며, 사람이나 화물의 출입을 위한 도어역시 승용차와는 차이가 난다.
특히, 사이드 도어는 슬라이딩식 대형도어를 채택한 것이 주류를 이루고 있어 승하차와 도어개폐의 편의성을 제공하며, 화물적하를 위해 후방에 테일게이트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테일게이트의 글래스에는 개폐장치가 설치되며 용도상 사이드 도어의 것과는 다르며, 글래스 개폐를 위해 글래스힌지가 장착되어 진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면 도 1 은 글래스힌지의 평면설명도와 단면설명도로서, 글래스힌지는 테일게이트(1)에 장착되는 지지몸체(2)와 글래스(3)에 장착되는 회전몸체(4)로 구분되며 지지몸체(2)와 회전몸체(4)는 핀(5)으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지지몸체(2)를 테이게이트(1)에 장착하기 위해 지지몸체(2)에는 체결대(6)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여기서 체결대(6)는 내주가 나사홈으로 되어 있어 보울트(7)와의 체결시 보울트(7)의 나사홈과 맞물리는 체결수단이다.
따라서, 조립자는 테일게이트 인너패널에 형성된 공구홀(8)에 보울트(7)를삽입하면서 테일게이트 아웃패널에 형성된 관통홀(미도시)을 통해 체결대(6)와 지지몸체(2)를 공구(9)로 체결시키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글래스힌지는 조립성이 나쁘고, 견고한 체결이 수행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지지몸체(2)의 체결대(6)를 공구홀(8)과 관통홀에 정확히 위치시킨 다음에 보울트(7)로 체결시키는데, 체결대(6)를 작업자가 볼 수 없는 상태에서, 즉 지지몸체(2)의 위치가 고정되지 않은 상태서 보울트(7)의 체결이 까다로운 것이다.
특히, 회전몸체(4)에 글래스(3)를 체결시킨 상태에서 지지몸체(2)를 테일게이트(1)와 체결시키는 경우 더욱 그 조립이 어렵다.
또한, 지지몸체(2)가 보울트(7)에 의한 2점지지방식에 의해 체결되는데, 이에 의해 보울트(7)의 지점간의 가상선을 기준으로 상하측이 덜컥거리는 문제점이 발생되었으며, 이는 웨더스트립등의 주변부재와의 간섭으로 3점지지의 조립이 곤란하였기 때문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조립이 간편하고 견고하게 차체에 체결가능한 차량 테일게이트의 글래스힌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차체 외부에서 보울트에 의해 지지몸체의 장착위치가 고정되도록 하고, 지지패널 저부의 체결대의 부가에 의해 지지몸체의 3점지지가 수행되도록 한 것이다.
도 1a 는 종래 글래스힌지의 측단면설명도,
도 1b 는 종래 글래스힌지의 평면설명도,
도 2a 는 본 발명에 따른 글래스힌지의 평면측 사시설명도,
도 2b 는 본 발명에 따른 글래스힌지의 배면측 사시설명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글래스힌지의 측단면설명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몸체의 지지패널과 커버와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도 2b 의 A-A선 단면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테일게이트, 8 - 공구홀,
9 - 공구, 10 - 지지몸체,
12 - 지지패널, 14 - 커버,
16 - 안착홀, 18 - 너트,
20 -체결대, 22 - 걸림턱,
이하,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발명의 목적, 작용효과를 포함하여 기타 다른 목적들, 특징점들, 그리고 동작상의 이점들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참고로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함을 밝혀 둔다.
예시도면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글래스힌지의 사시설명도이고, 예시도면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글래스힌지의 단면설명도로서, 차체에 결합되는 글래스힌지의 지지몸체(10)가 지지패널(12)과 커버(14)로 분리되고 지지패널(12)에는 테일게이트(1) 외부로부터 보울트(7)가 삽입되어 테일게이트(1)와 지지패널(12)의 장착위치가 고정되게 안착홀(16)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지지패널(12)의 저부에는 상기 보울트(7)와 너트(18)가 체결되어 제공하는 2점지지에 부가되어 지지몸체(10)가 3점지지되게 나머지 1점지지를 제공하는 체결대(20)가 형성되며, 이 체결대(20)는 지지패널(12)의 저면에 일체로 성형된 스터드보울트로 너트(18)로 체결되는 차량테일게이트의 글래스힌지이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글래스힌지의 조립성과 상품성을 향상시킨 글래스힌지를 제공한다.
즉, 글래스힌지의 체결시 테일게이트(1)로의 정확한 체결위치가 제공되게 글래스힌지가 가고정되도록 하였으며, 3점지지를 통해 입체형상의 지지몸체(10)가 견고히 체결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먼저 지지몸체(10)의 위치고정수단으로 보울트(7)가 지지몸체(10)와 테일게이트(1)에 관통되어 그 장착위치가 고정되도록 하였다.
즉, 차체외부로부터 보울트(7)를 통해 지지몸체(10)가 체결되도록 한 것으로, 지지몸체(10)가 지지패널(12)과 커버(14)로 분리되고 지지패널(12)에 보울트(7) 헤드가 안착되는 안착홀(1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착홀(16)을 통해 보울트(7)가 테일게이트 아웃패널에 삽입되어지면 지지패널(12)의 장착위치는 고정되어진 상태이므로, 작업자는 공구홀(8)을 통해 너트(18)로 용이하게 지지패널(12)을 체결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커버를 지지패널에 장착하게 되면 지지몸체의 조립이 완료되며, 상기 커버(14)는 도 4 에서와 같이 지지패널(12)과 걸림턱(22)간의 맞물림으로 체결되도록 하였다.
한편, 입체형상의 지지몸체(10)가 견고하게 장착되기 위해서는 최소한 3점지지는 이루어져야 하므로, 본 발명의 지지패널(12)에는 체결대(20)가 일체로 성형되어 3점지지의 나머지 1점을 제공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보울트(7)가 차체 외부로부터의 결합이므로, 상기 체결대(20)는 커버(14) 분리 후 보울트(7) 체결해체에 의한 도난을 방지하는 차원에서 최소한 차실내 측으로부터의 체결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체결대(20)는 스터드보울트로 너트(18)의 나사선과 맞물리는 나사선이 외주에 형성된 것이며, 체결대(20)와 너트(18)의 결합(미도시)역시 공구홀(8)을 통해 이루어진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차체 외부에서 보울트에 의해 지지몸체의 장착위치가 고정되도록 하고, 지지패널 저부의 체결대의 부가에 의해 지지몸체의 3점지지가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글래스힌지의 조립이 간편해지고 그 체결이 견고해지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차체에 결합되는 글래스힌지의 지지몸체(10)가 지지패널(12)과 커버(14)로 분리되고 지지패널(12)에는 테일게이트(1) 외부로부터 보울트(7)가 삽입되어 테일게이트(1)와 지지패널(12)의 장착위치가 고정되게 안착홀(16)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지지패널(12)의 저부에는 상기 보울트(7)와 너트(18)가 체결되어 제공하는 2점지지에 부가되어 지지몸체(10)가 3점지지되게 나머지 1점지지를 제공하는 체결대(20)가 형성되며, 이 체결대(20)는 지지패널(12)의 저면에 일체로 성형된 스터드보울트로 너트(18)로 체결되는 차량 테일게이트의 글래스힌지.
KR10-2001-0080213A 2001-12-17 2001-12-17 차량 테일게이트의 글래스힌지 KR1004358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0213A KR100435892B1 (ko) 2001-12-17 2001-12-17 차량 테일게이트의 글래스힌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0213A KR100435892B1 (ko) 2001-12-17 2001-12-17 차량 테일게이트의 글래스힌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9881A KR20030049881A (ko) 2003-06-25
KR100435892B1 true KR100435892B1 (ko) 2004-06-12

Family

ID=29575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0213A KR100435892B1 (ko) 2001-12-17 2001-12-17 차량 테일게이트의 글래스힌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589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9881A (ko) 2003-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43552B2 (en) Mounting structure of door guard bar
KR100435892B1 (ko) 차량 테일게이트의 글래스힌지
JPH06278468A (ja) トランクリッド構造
JP3564986B2 (ja) 自動車のベルトリトラクタ取付構造
JP2009096290A (ja) 自動車の後部構造
KR100461955B1 (ko) 자동차용 테일 게이트의 힌지 브라켓의 구조
KR0125162Y1 (ko) 자동차용 트림 고정구
KR0163083B1 (ko) 자동차 도어의 인사이드 핸들 하우징 설치구조
JPH0423747Y2 (ko)
JP2584943B2 (ja) 自動車用ドアヒンジの取付構造
JPH11208345A (ja) 車両用アシストグリップの取付構造
JP2559021Y2 (ja) クランプの取付構造
JP2004196048A (ja) シートベルトラップアウタアンカ取付構造
JP2560345Y2 (ja) ライセンスプレートブラケットの取付構造
JP3933906B2 (ja) 自動車用ドア構造
KR0128841Y1 (ko) 자동차 트렁크 리드 힌지의 체결구조
JPS5921244Y2 (ja) 自動車用インナ−ハンドルカバ−の取付け構造
JPH0638764Y2 (ja) 自動車のルーフキャリア取付装置
KR200148269Y1 (ko) 자동차 도어의 어시스트 그립 취부구조
JPH0541079Y2 (ko)
KR0123441Y1 (ko) 자동차용 도어 핸들 브래킷의 고정구조
JPH0544640U (ja) ドアミラーの取付構造
JPH0632148A (ja) 自動車のバックドア構造
JP2582076Y2 (ja) 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ドアの取り付け構造
KR100401591B1 (ko) 후크 고정용 브라켓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