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8269Y1 - 자동차 도어의 어시스트 그립 취부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 도어의 어시스트 그립 취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8269Y1
KR200148269Y1 KR2019970012951U KR19970012951U KR200148269Y1 KR 200148269 Y1 KR200148269 Y1 KR 200148269Y1 KR 2019970012951 U KR2019970012951 U KR 2019970012951U KR 19970012951 U KR19970012951 U KR 19970012951U KR 200148269 Y1 KR200148269 Y1 KR 2001482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im
assist grip
hole
inner panel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29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8318U (ko
Inventor
남건태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700129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8269Y1/ko
Publication of KR199800683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831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82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826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hand grips or straps
    • B60N3/02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hand grips or straps characterised by the fix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3Inner panel, e.g. characterised by carrying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68Fixation or mounting means specific for door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도어의 어시스트 그립 취부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부트림(122), 센터트림(124), 하부트림(126)으로 된 도어트림(120)을 제1 좌공(112)과 제1 우공(114)이 형성된 인너패널(110)에 부착 설치하되, 상부트림(122)에는 어시스트 그립(130)의 상단부가 고정되게 제3 좌공(122b)이 형성된 요입부(122a)를 포밍 형성하면서, 인사이드 핸들(160)의 사각공(122c)을 관통하여 된 자동차 도어의 어시스트 그립 취부구조에 있어서, 상기 인너패널(110)과 상부트림(122) 사이에는 제2 좌공(152)과 제2 우공(154)이 형성된 ㄱ 자형의 고정 브라켓(150)을 강철 재질로 하여 구비한 후, 제1,2,3 좌공(112)(152)(122b)으로 스크류(140)가 끼워져 체결되도록 어시스트 그립(130)의 선단에는 체결홈(132)을 형성하여 된 것으로, 어시스트 그립을 취부할 때 인너패널 방향에서 스크류를 체결토록 하여 어시스트 그립의 표면에 별도의 홈을 형성할 필요가 없음에 따라 외관 향상을 얻게 된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자동차 도어의 어시스트 그립 취부구조
본 고안은 자동차 도어의 어시스트 그립 취부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너패널과 상부트림 사이에는 제2 좌공과 제2 우공이 관통된 스틸 재질의 ㄱ 자형 고정 브라켓을 설치함으로써, 어시스트 그립 취부시 인너패널의 방향에서 스크류를 끼워 체결함에 따라 어시스트 그립의 표면에 홈을 형성하지 않아도 되어 외관 향상을 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어시스트 그립과 인사이드 핸들을 동시에 스틸 재질의 고정 브라켓에 고정할 수 있게 되어 그 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 도어의 어시스트 그립 취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도어는 차체의 양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것으로, 이는 운전자 및 다른 탑승자들이 승하차시 개폐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도어는 바깥 패널과 안 패널이 주요 부분으로, 안 패널과 바깥 패널은 어느 것이나 모두 강판제이며, 안 패널이 도어의 골조로 작용하여 강도를 유지하고 있다. 안 패널에는 도어 레귤레이터, 도어록 기구 등을 장치하기 위한 단(턱)이나 구멍이 설치되며, 하중이 걸리는 부분에는 보강판이 장치되어 있다. 또 안쪽에는 구멍을 덮기 위한 커버 및 내장인 도어 트림 보드가 장치되어 있다. 여기에 덧붙여 도어의 상부에는 도어유리가 설치되어 승하강 작동으로 개폐될 수 있게 하고 있다. 아울러, 차 내부 방향의 도어면에는 승객들이 도어를 개폐할 때 파지하도록 된 어시스트 그립이 볼팅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도어의 내측 표면에 설치되는 어시스트 그립의 취부구조에 있어, 첨부된 도면 도 1(a),(b)에 도시된 바와같이 도어 인너패널(10)에는 상부트림(22), 센터트림(24), 하부트림(26)으로 된 도어트림(20)이 설치되어 있으며, 그 도어트림(20)의 상부트림(22)에는 어시스트 그립(30)의 상단부가 끼워지도록 요입부(22a)를 형성하고, 어시스트 그립(30)의 상부 표면에는 스크류(40)가 끼워져 인너패널(10)에 체결되게 삽지홈(32)을 형성한 다음, 그 삽지홈(32)에는 밀봉캡(34)을 끼우게 되어 있었다.
이처럼 된 종래에는 상기 어시스트 그립(30)을 취부할 경우 상기 상부트림(22)에 형성된 요입부(22a)로는 어시스트 그립(30)을 끼운 다음, 그 어시스트 그립(30)에 형성된 삽지홈(32)으로 스크류(40)를 끼워 인너패널(10)에 체결 고정한다. 이후 상기 삽지홈(32)에는 밀봉캡(34)을 끼워 스크류(40)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했었다. 하지만, 이는 외관상 별도 미관이 좋지 않은 등의 문제점이 발생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어시스트 그립 취부시 별도로 구비된 고정 브라켓을 인너패널과 상부트림 사이에 부착 설치함으로써, 어시스트 그립을 취부할 때 인너패널 방향으로 스크류를 끼워 체결함에 따라 어시스트 그립의 표면에 별도의 홈을 형성하지 않게 되어 외관이 향상되고, 아울러 어시스트 그립과 인사이드 핸들을 스틸 재질로 된 고정 브라켓에 설치하게 되어 그 체결력을 향상시키게 된 자동차 도어의 어시스트 그립 취부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상부트림, 센터트림, 하부트림으로 된 도어트림을 제1 좌공과 제1 우공이 형성된 인너패널에 부착 설치하되, 상부트림에는 어시스트 그립의 상단부가 고정되게 제3 좌공이 형성된 요입부를 포밍 형성하면서, 인사이드 핸들의 사각공을 관통하여 된 자동차 도어의 어시스트 그립 취부구조에 있어서, 상기 인너패널과 상부트림 사이에는 제2 좌공과 제2 우공이 형성된 ㄱ 자형의 고정 브라켓을 강철 재질로 하여 구비한 후, 제1,2,3 좌공으로 스크류가 끼워져 체결되도록 어시스트 그립의 선단에는 체결홈을 형성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도어의 어시스트 그립 취부구조를 보인 것으로, (a)는 도어트림의 정면도이고, (b)는 A의 부분확대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어시스트 그립의 취부 구조를 보인 분리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 도어의 어시스트 그립 취부구조를 보인 것으로, (a)는 도어트림의 정면도이고, (b)는 B의 부분확대 측단면도이며, (c)는 C의 부분확대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인너패널 112,152,122b : 제1,2,3 좌공
114,154 : 제1,2 우공 120 : 도어트림
122 : 상부트림 122a : 요입부
122c : 사각공 124 : 센터트림
126 : 하부트림 130 : 어시스트 그립
132 : 체결홈 140 : 스크류
150 : 고정 브라켓 160 : 인사이드 핸들
첨부된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어시스트 그립의 취부 구조를 보인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 도어의 어시스트 그립 취부구조를 보인 것으로, (a)는 도어트림의 정면도이고, (b)는 B의 부분확대 측단면도이며, (c)는 C의 부분확대 측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상부트림(122), 센터트림(124), 하부트림(126)으로 된 도어트림(120)을 제1 좌공(112)과 제1 우공(114)이 형성된 인너패널(110)에 부착 설치한다.
상부트림(122)에는 어시스트 그립(130)의 상단부가 고정되게 제3 좌공(122b)이 형성된 요입부(122a)를 포밍 형성하면서, 인사이드 핸들(160)의 사각공(122c)을 관통한다.
상기 인너패널(110)과 상부트림(122) 사이에는 제2 좌공(152)과 제2 우공(154)이 형성된 ㄱ 자형의 고정 브라켓(150)을 강철 재질로 하여 구비한다.
제1,2,3 좌공(112)(152)(122b)으로 스크류(140)가 끼워져 체결되도록 어시스트 그립(130)의 선단에는 체결홈(132)을 형성하여 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상부트림(122)과 센터트림(124) 그리고 하부트림(126)으로 된 도어트림(120)을 인너패널(110)의 표면에 부착 설치하되, 그 인너패널과(110) 상부트림(122)사이에는 고정 브라켓(150)을 삽지한 다음, 상기 상부트림(122)에 형성된 요입부(122a)에 어시스트 그립(130)을 끼우고 나서, 그 어시스트 그립(130)을 인너패널(110) 방향에서 스크류(140)로 체결 고정토록 하고, 그 취부 구조를 견고히 할 뿐만아니라 종래와 같이 별도의 밀봉캡과 같은 부품이 필요없게 되어 외관 향상의 효과를 얻게 된 고안이다.
이러한 어시스트 그립(130)의 체결 상태를 도면 도 3 (a),(b),(c)를 참조하여 자세히 기술하면, 우선 제1 좌공(112)과 제1 우공(114)이 관통 형성된 인너패널(110)의 표면에 제2 좌공(152)과 제2 우공(154)이 관통 형성된 고정 브라켓(150)을 위치해 놓은 후, 제3 좌공(122b)과 사각공(122c)이 형성된 상부트림(122)을 위치하게 된다. 이어, 그 상부트림(122)에 포밍 형성된 요입부(122a)에는 어시스트 그립(130)의 선단부를 끼우는 한편, 사각공(122c)에는 인사이드 핸들(160)을 끼우게 된다.
이 상태가 되면, 인너패널(110)의 제1 좌공(112), 고정 브라켓(150)의 제2 좌공(152), 상부트림(122)의 제3 좌공(122b)이 서로 동일 위치에 있게 된다. 그러면, 작업자는 상기 인너패널(110) 방향으로부터 제1,2,3 좌공(112)(152)(122b)으로 스크류(140)를 끼워 상부트림(122)의 요입부(122a)에 끼워진 어시스트 그립(130)의 체결홈(132)에 체결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종래와 같이 어시스트 그립(130) 표면에 홈을 형성한다든지 캡을 구비해야 하는 등의 작업을 할 필요가 없게 되므로 외관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게 된다.
한편, 상기 인사이드 핸들(160)을 취부하기 위해서는 상기 인너패널(110)의 제1 우공(114)과 고정 브라켓(150)의 제2 우공(154)을 위치시킨 다음, 그 제2 우공(154)위치와 상부트림(122)의 사각공(122c)에 끼워진 인사이드 핸들(160)의 삽입공(162)이 서로 일치되게 한다. 즉, 삽입공(162)과 제2 우공(154) 그리고 제1 우공(114)의 위치가 일치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나서, 인사이드 핸들(160)의 삽지공(162)으로 스크류(140)를 끼워 고정 브라켓(150)의 제2 우공(154)을 통해 인너패널(110)의 제1 우공(114)에 체결되게 한다.
이와같은 과정으로 된 본 고안에서는 별도로 구비된 스틸 재질의 고정 브라켓(150)으로써 어시스트 그립(130)은 물론 인사이드 핸들(160)을 체결 고정하게 되므로, 그 체결력이 향상될뿐더러 어시스트 그립(130)에 별도의 홈을 형성하지 않아도 됨에 따라 외관 향상을 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 자동차 도어의 어시스트 그립 취부구조에 따르면, 상부트림과 센터트림 그리고 하부트림으로 된 도어트림을 인너패널의 표면에 설치하되, 상기 상부트림과 인너패널 사이에는 ㄱ 자 형으로 된 고정브라켓을 설치함으로써, 어시스트 그립 취부시 고정브라켓에 어시스트 그립은 물론 인사이드 핸들을 함께 취부할 수 있어 그 체결력을 보다 견고히 할 수 있게 되고, 어시스트 그립을 취부할 때 인너패널 방향에서 스크류를 체결토록 하여 어시스트 그립의 표면에 별도의 홈을 형성할 필요가 없음에 따라 외관 향상을 얻게 된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상부트림(122), 센터트림(124), 하부트림(126)으로 된 도어트림(120)을 제1 좌공(112)과 제1 우공(114)이 형성된 인너패널(110)에 부착 설치하되, 상부트림(122)에는 어시스트 그립(130)의 상단부가 고정되게 제3 좌공(122b)이 형성된 요입부(122a)를 포밍 형성하면서, 인사이드 핸들(160)의 사각공(122c)을 관통하여 된 자동차 도어의 어시스트 그립 취부구조에 있어서,
    상기 인너패널(110)과 상부트림(122) 사이에는 제2 좌공(152)과 제2 우공(154)이 형성된 ㄱ 자형의 고정 브라켓(150)을 강철 재질로 하여 구비한 후, 제1,2,3 좌공(112)(152)(122b)으로 스크류(140)가 끼워져 체결되도록 어시스트 그립(130)의 선단에는 체결홈(132)을 형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의 어시스트 그립 취부구조.
KR2019970012951U 1997-05-31 1997-05-31 자동차 도어의 어시스트 그립 취부구조 KR2001482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2951U KR200148269Y1 (ko) 1997-05-31 1997-05-31 자동차 도어의 어시스트 그립 취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2951U KR200148269Y1 (ko) 1997-05-31 1997-05-31 자동차 도어의 어시스트 그립 취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8318U KR19980068318U (ko) 1998-12-05
KR200148269Y1 true KR200148269Y1 (ko) 1999-06-15

Family

ID=19502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2951U KR200148269Y1 (ko) 1997-05-31 1997-05-31 자동차 도어의 어시스트 그립 취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826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8318U (ko) 1998-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78251B2 (en) Door locking assembly for a vehicle and a door assembly having the same
US8443552B2 (en) Mounting structure of door guard bar
KR200148269Y1 (ko) 자동차 도어의 어시스트 그립 취부구조
KR20100027348A (ko) 가니쉬 일체형 테일게이트 핸들 구조
KR0163083B1 (ko) 자동차 도어의 인사이드 핸들 하우징 설치구조
JPH067198Y2 (ja) ドアグリツプ取付構造
JPH05409Y2 (ko)
JP2621515B2 (ja) 自動車用内装装置
JP2579592Y2 (ja) 自動車のドア
JP2797730B2 (ja) 自動車ドア用プルポケツト取付構造
JPH0625573Y2 (ja) ドアグリップの取付構造
JPH0423747Y2 (ko)
KR100435892B1 (ko) 차량 테일게이트의 글래스힌지
JPH0647893B2 (ja) バツクドアヒンジ取付部構造
JP2008505803A (ja) 自動車のドア
JPH08142676A (ja) 車両用ドア構造
JPH0638737Y2 (ja) 自動車用ドアトリムにおけるユニットパネル構造
KR100448339B1 (ko) 자동차의 풀 핸들 장착구조
KR0115104Y1 (ko) 자동차의 도어트림 설치구조
KR0181868B1 (ko) 자동차 도어의 인사이드 핸들 로드 고정구조
JP2571599Y2 (ja) アシストグリップの取付構造
KR19980048478U (ko) 자동차 도어 트림의 구조
KR0115379Y1 (ko) 자동차 도어의 트림 고정구조
JPH0710317U (ja) 自動車ドアのドアラッチ固定構造
JP2553070Y2 (ja)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