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3422B1 - 자동차의 후드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후드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3422B1
KR100323422B1 KR1019990028510A KR19990028510A KR100323422B1 KR 100323422 B1 KR100323422 B1 KR 100323422B1 KR 1019990028510 A KR1019990028510 A KR 1019990028510A KR 19990028510 A KR19990028510 A KR 19990028510A KR 100323422 B1 KR100323422 B1 KR 1003234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d
hook
plate
latch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8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9901A (ko
Inventor
장원석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1019990028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3422B1/ko
Publication of KR20010009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99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34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34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16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 E05B83/24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for car bon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6Hood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후드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후드의 잠금 구조를 단순화하고 소형가 가능하게 한 자동차의 후드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차체에 고정되고 후드의 고리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가운데 부분에 길게 가이드 홈이 형성된 본체 플레이트와, 상기 본체 플레이트의 뒷면에 힌지 고정되고 선단부가 상기 후드의 고리에 밀려 일시 후퇴한 후 다시 전진되어 상기 후드의 고리에 삽입되어 후드를 고정하는 후드 후크와, 상기 본체 플레이트의 앞면 일측에 힌지 고정되고 후드의 고리를 잠그거나 헤제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된 래치 플레이트와, 상기 가이드 홈을 중심으로 래치 플레이트와 대향된 위치에 힌지 고정되고 하단부가 차실내의 후드 개방 레버와 케이블로 연결된 스토퍼 플레이트와, 상기 래치 플레이트에 중심부가 힌지 고정되고 양단이 상기 래치 플레이트 및 스토퍼 플레이트에 각각 결착되어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래치 스프링과, 상기 후드 후크의 일측에 중앙부가 힌지 고정되며 양단이 상기 래치 플레이트 및 상기 후드 후크의 일단에 각각 고정되어 후드 잠금 방향으로 상기 후드 후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후드 잠금장치{Hood lock apparatus of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후드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후드의 잠금 구조를 단순화함과 동시에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후드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자동차에는 엔진 및 엔진의 부대 장치가 구비되는 엔진룸이 존재하게 되고, 이 엔진룸의 상부에는 내부의 엔진 및 기타 부대 장치를 점검하거나 수리할 수 있도록 상측으로 개방되는 후드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후드는 차체측에 설치된 잠금장치에 의해 닫혀있는 상태가 유지되게 되어 있는 바, 도 1 및 도 2는 종래 기술의 후드 잠금장치가 도시된 도면으로서, 도 1은 앞쪽 사시도이고, 도 2는 뒤쪽 사시도이다.
종래 기술의 후드 잠금장치는 차체측에 양측이 고정되어 있도록 홀(1a)이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 홈(1b)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 플레이트(1)와, 상기 본체 플레이트(1)의 뒤쪽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1h) 고정되어 상단부에 후드(10)의 제1 고리(11)가 걸리도록 걸림부(2a)가 형성된 후드 후크(2)와, 상기 본체 플레이트(1)의 일측에서 상기 후드 후크(2)에 연결되어 당김 탄성력을 제공하는 후크 스프링(3)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 플레이트(1)의 앞쪽에 힌지(4h) 고정되어 후드(10)의 제2 고리(12)가 본체 플레이트(1)의 긴홀(1b)로 삽입될 때 잠금 상태를 유지시키거나 해제하는 래치 플레이트(4)와, 상기 래치 플레이트(4)의 대항되는 쪽에 위치되고차실내의 후드 개방 레버(미도시 됨)와 케이블(15)로 연결되어 힌지(5h)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래치 플레이트(4)가 제2 고리(12)의 잠금 상태를 유지시키거나 해제하는 스토퍼 플레이트(5)와, 상기 본체 플레이트(1)에서 래치 플레이트(4)에 연결되어 래치 플레이트(4)가 제2 고리(12)를 해제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래치 스프링(6)과, 상기 본체 플레이트(1)에서 스토퍼 플레이트(5)에 연결되어 케이블(15) 작동과 대향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케이블 스프링(7)이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의 후드 잠금 장치는 후드(10)를 닫을 경우 제1 고리(11)가 먼저 후드 후크(2)에 걸리게 되고, 제2 고리(12)는 본체 플레이트(1)의 가이드 홈(1b)로 삽입되어 래치 플레이트(4)의 홈(4a)까지 들어간 상태로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후드(10)를 완전히 하측으로 누르게 되면 제2 고리(12)의 하측 이동으로 래치 플레이트(4)가 래치 스프링(6)의 탄성력을 이기고 힌지(4h)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이때 래치 플레이트(4)가 스토퍼 플레이트(5)에 걸리게 되면서 후드(10)의 잠금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후드(10)의 제2 고리(12)가 래치 플레이트(4)에 의해 걸려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후드(10)를 개방하고자 할 경우에는 차실내의 후드 개방 레버를 당기게 되면 케이블(15)이 스토퍼 플레이트(5)가 케이블 스프링(7)의 탄성력을 이기고 힌지점(5h)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래치 플레이트(4)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이때, 상기 래치 플레이트(4)는 래치 스프링(6)의 탄성력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후드(10)의 제2 고리(12) 잠금 상태를 해제하게 되고, 후드(10)는 제1 고리(11)만 후드 후크(2)에 걸려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후드 후크(2) 하단에 있는 돌출 레버(2b)를 밀어 회전시키게 되면 후드(10)의 제1 고리(11)도 해제되어 후드(10)를 상측으로 개방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후드 잠금 장치는 두 단계를 거치면서 잠그거나 해제할 수 있도록 후드(10)에 두 개의 고리(11)(12)가 각각 설치되고, 후드(10)의 잠금 상태와 해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3개의 스프링(3)(6)(7)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장치의 구성이 복잡해짐은 물론 장치의 부피가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후드에 한 개의 고리만을 설치하여 2단계로 개방할 수 있도록 구성함과 아울러 스프링의 개수를 줄여 장치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부피를 작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의 후드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동차의 후드 잠금장치는, 차체에 고정되고 후드의 고리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가운데 부분에 길게 가이드 홈이 형성된 본체 플레이트와, 상기 본체 플레이트의 뒷면에 힌지 고정되고 선단부가 상기 후드의 고리에 밀려 일시 후퇴한 후 다시 전진되어 상기 후드의 고리에 삽입되어 상기 후드를 고정하는 후드 후크와, 상기 본체 플레이트의 앞면 일측에 힌지 고정되고 상기 후드의 고리를 잠그거나 헤제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된 래치 플레이트와, 상기 가이드 홈을 중심으로 상기 래치 플레이트와 대향된 위치에 힌지 고정되고 하단부가 차실내의 후드 개방 레버와 케이블로 연결된 스토퍼 플레이트와, 상기 래치 플레이트에 중심부가 힌지 고정되고 양단이 상기 래치 플레이트 및 스토퍼 플레이트에 각각 결착되어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래치 스프링과, 상기 후드 후크의 일측에 중앙부가 힌지 고정되며 양단이 상기 래치 플레이트 및 상기 후드 후크의 일단에 각각 고정되어 후드 잠금 방향으로 상기 후드 후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자동차의 후드 잠금장치가 도시된 앞쪽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자동차의 후드 잠금장치가 도시된 뒤쪽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후드 잠금장치가 도시된 앞쪽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뒤쪽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1 : 본체 플레이트 51a : 가이드 홈
52 : 후드 후크 52a : 걸림부
52b : 작동부 52c : 후크 홈
53 : 후크 스프링 54 : 래치 플레이트
54a : 홈 55 : 스토퍼 플레이트
56 : 래치 스프링 57 : 제한 플레이트
60 : 후드 61 : 고리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후드 잠금장치의 앞쪽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뒤쪽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후드 잠금 장치는 가운데 부분에 상하 방향으로 후드(60)의 고리(61)가 삽입되도록 길게 가이드 홈(51b)이 형성되는 동시에 차체에 고정될 수 있도록 양측에 홀(51a)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 플레이트(51)와, 상기 본체 플레이트(51)의 뒷면에 힌지(52h) 고정되어 상기 본체 플레이트(51)의 가이드 홈(51b) 상측에서 상기 후드(60)의 고리(61)가 걸릴 수 있도록 형성된 후드 후크(52)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 플레이트(51)의 가이드 홈(51b)을 중심으로 일측에 힌지(54h) 고정되어 후드(60)의 고리(61)를 잠그거나 해제할 수 있도록 홈(54a)이 형성되어 있는 래치 플레이트(54)와, 상기 가이드 홈(51b)을 중심으로 래치 플레이트(54)의 반대쪽에 힌지(55h) 고정되고 하단부가 차실내의 후드 개방 레버와 케이블(65)로 연결되어 있는 스토퍼 플레이트(55)와, 상기 래치 플레이트(54)의 힌지(54a)를 중심으로 양단부(56a)(56b)가 상기 래치 플레이트(54)와 스토퍼 플레이트(55)에 각각 설치되어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래치 스프링(56)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후드 후크(52)와 본체 플레이트(51) 사이에는 도 4에서와 같이 후드 후크(52)의 힌지(52h)를 중심으로 잠김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후크 스프링(53)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 플레이트(51)의 뒷면에는 상기 후드 후크(52)가 후크 스프링(53)에 의한 일정 이상 회전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도록 스토퍼(51c)가 돌출되어 있다.
다음, 상기 후드 후크(52)는 'V'자형으로 형성되어 일측 상단에 걸림부(52a)가 형성되고, 타측 상단에 판형으로 절곡된 작동부(52b)가 형성되며, 가운데 부분에 상기 본체 플레이트(51)의 가이드 홈(51b)과 동일 방향으로 개방된 후크 홈(52c)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 상기 스토퍼 플레이트(55)는 상단부에 상기 래치 스프링(56)이 걸릴 수 있도록 턱(55b)이 돌출되어 있고, 하단에는 케이블(65)이 연결되게 연결부(55a)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스토퍼 플레이트(55)는 도 3에서 상기 래치 스프링(56)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력이 발생하는 바, 이 회전을 제한토록 두 개의힌지점(54h)(55h) 사이에 제한 플레이트(57)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후드 잠금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드(60)가 개방된 상태에서 후드(60)를 닫을 경우 고리(61)가 후드 후크(52)의 상면을 접촉하면서 뒤쪽으로 밀게 되고, 이때, 후드 후크(52)는 후크 스프링(53)의 탄성력을 이기면서 후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후드(60)의 고리(61)는 본체 플레이트(51)의 가이드 홈(51b)과 후드 후크(52)의 후크 홈(52c) 사이로 진입하여 상기 후드 후크(52)의 걸림부(52a)에 1차적으로 걸리는 동시에 래치 플레이트(54)의 홈(54a)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후드(60)를 완전히 하측으로 누르게 되면 고리(61)가 하측 이동하고, 이 힘에 의해 상기 래치 플레이트(54)가 래치 스프링(56)의 탄성력을 이기고 힌지(54h)를 중심으로 도 3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이때 래치 플레이트(54)가 스토퍼 플레이트(55)에 걸리게 되면서 후드(60)의 잠금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후드(60)의 고리(61)가 래치 플레이트(54)에 의해 걸려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후드(60)를 개방하고자 할 경우에는 차실내의 후드 개방 레버를 당기게 되면 케이블(65)이 스토퍼 플레이트(55)가 상기 래치 스프링(56)의 탄성력을 이기고 힌지점(55h)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래치 플레이트(54)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이때, 상기 래치 플레이트(54)는 래치 스프링(56)의 탄성력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후드(60) 고리(61)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게 되고, 이때, 후드의 고리(61)는 후드 후크(52)의 걸림부(52a)에 걸려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후드 후크(52)의 일측에서 절곡된 작동부(52b)를 밀어 회전시키게 되면 후드 후크(52)의 걸림부(52a)로부터 후드(60)의 고리(61)가 완전히 해제되어 후드(60)를 상측으로 개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의 자동차의 후드 잠금장치는 후드측에 설치된 하나의 고리만을 이용하여 2단계로 잠금 해제할 수 있는 동시에 하나의 스프링으로 래치 플레이트와 스토퍼 플레이트에 동시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구조를 단순화하고 부품수를 절감함과 아울러 장치의 부피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하게 된다.

Claims (3)

  1. 차체에 고정되고 후드의 고리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가운데 부분에 길게 가이드 홈이 형성된 본체 플레이트와, 상기 본체 플레이트의 뒷면에 힌지 고정되고 선단부가 상기 후드의 고리에 밀려 일시 후퇴한 후 다시 전진되어 상기 후드의 고리에 삽입되어 상기 후드를 고정하는 후드 후크와, 상기 본체 플레이트의 앞면 일측에 힌지 고정되고 상기 후드의 고리를 잠그거나 헤제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된 래치 플레이트와, 상기 가이드 홈을 중심으로 상기 래치 플레이트와 대향된 위치에 힌지 고정되고 하단부가 차실내의 후드 개방 레버와 케이블로 연결된 스토퍼 플레이트와, 상기 래치 플레이트에 중심부가 힌지 고정되고 양단이 상기 래치 플레이트 및 스토퍼 플레이트에 각각 결착되어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래치 스프링과, 상기 후드 후크의 일측에 중앙부가 힌지 고정되며 양단이 상기 래치 플레이트 및 상기 후드 후크의 일단에 각각 고정되어 후드 잠금 방향으로 상기 후드 후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후드 잠금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드 후크는 'V'자형으로 형성되어, 일측 상단에 걸림부가 형성되고, 타측 상단에 판형으로 절곡된 작동부가 형성되며, 가운데 부분에 상기 본체 플레이트의 가이드 홈과 동일 방향으로 개방된 후크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후드 잠금장치.
KR1019990028510A 1999-07-14 1999-07-14 자동차의 후드 잠금장치 KR1003234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8510A KR100323422B1 (ko) 1999-07-14 1999-07-14 자동차의 후드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8510A KR100323422B1 (ko) 1999-07-14 1999-07-14 자동차의 후드 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9901A KR20010009901A (ko) 2001-02-05
KR100323422B1 true KR100323422B1 (ko) 2002-02-06

Family

ID=19601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8510A KR100323422B1 (ko) 1999-07-14 1999-07-14 자동차의 후드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342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6497A (ko) * 2002-06-12 2003-12-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후드래치
CN102828663A (zh) * 2012-09-15 2012-12-19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用发盖锁锁体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3422A (ko) * 2002-12-14 2004-06-24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도어록
CN104594740A (zh) * 2014-11-24 2015-05-06 北京长安汽车工程技术研究有限责任公司 汽车前罩锁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32487A (ja) * 1989-03-03 1990-09-14 Yuhshin Co Ltd ボンネットロック装置
KR19990002641U (ko) * 1997-06-28 1999-01-25 홍종만 차량용 후드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32487A (ja) * 1989-03-03 1990-09-14 Yuhshin Co Ltd ボンネットロック装置
KR19990002641U (ko) * 1997-06-28 1999-01-25 홍종만 차량용 후드 개폐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6497A (ko) * 2002-06-12 2003-12-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후드래치
CN102828663A (zh) * 2012-09-15 2012-12-19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用发盖锁锁体
CN102828663B (zh) * 2012-09-15 2016-12-21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用发盖锁锁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9901A (ko) 2001-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893298A (ja) 家具等における扉のラッチ装置
KR20070046565A (ko) 자동차 트렁크의 록킹 장치
JP3220671B2 (ja) 収納部開閉蓋のロック装置
KR100323422B1 (ko) 자동차의 후드 잠금장치
KR100316952B1 (ko) 차량의 환기 및 비상탈출용 해치의 결합장치
JPH04224431A (ja) 車両用収納ボックスのリッド開閉装置
JP3573302B2 (ja) キャビネット
JPH0717552Y2 (ja) 車両ドアの係止装置
KR0132246Y1 (ko) 자동차용 글러브박스의 개폐장치
KR0115801Y1 (ko) 차량트렁크 잠금장치의 도난방지구조
KR20030024504A (ko) 자동차용 트렁크 리드 잠금 장치
KR0143700B1 (ko) 차량의 후드 고정장치
KR100380174B1 (ko) 승합차용 사이드 글래스 새시구조
KR200216211Y1 (ko) 자동차용 후드 개폐장치
JPH08230571A (ja) 車輌用収納装置
KR970006970Y1 (ko) 자동차의 후드 록킹장치
KR0125696Y1 (ko) 차량본네트 개폐장치
KR19980055430A (ko) 자동차의 본네트 록킹 장치
KR100245507B1 (ko) 자동차의 트렁크리드록어셈블리
KR200160033Y1 (ko) 자동 후드 스테이장치
KR100191036B1 (ko) 자동차의 트렁크리드록
JPH11293988A (ja) キャブフロント窓のロック装置
KR0174376B1 (ko) 길이 조정이 가능한 자동차 트렁크 리드
EP0412632A1 (en) Latch holding apparatus of handle for opening and closing door
KR100683226B1 (ko) 돌출형 글로브 박스의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