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7879U - 트렁크 리드 핸들 어셈블리의 로킹 장치 - Google Patents

트렁크 리드 핸들 어셈블리의 로킹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7879U
KR19990017879U KR2019970031013U KR19970031013U KR19990017879U KR 19990017879 U KR19990017879 U KR 19990017879U KR 2019970031013 U KR2019970031013 U KR 2019970031013U KR 19970031013 U KR19970031013 U KR 19970031013U KR 19990017879 U KR19990017879 U KR 1999001787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assembly
trunk lid
lid handle
bracket
lock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10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영표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700310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7879U/ko
Publication of KR199900178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7879U/ko

Link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트렁크 리드 핸들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차량 실내에서 트렁크 리드 핸들 어셈블리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트렁크 리드 핸들 어셈블리의 로킹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차량 운전석 측면에 설치되어 연료 필러와 트렁크 리드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 핸들 어셈블리(10)에 있어서, 상기 핸들 어셈블리(10)의 선단과 인접하도록 차량 실내 바닥면(F)에 고정되며, 그 양측 단부에 걸림고리(21)가 형성되는 브래킷(20)과; 상기 브래킷(20)에 힌지결합 되어 회동가능하게 트렁크 리드 핸들 어셈블리(11)를 로킹시키는 잠금 로드(2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해 트렁크 리드 핸들 어셈블리가 로킹되므로, 차량 외부에서 트렁크 리드 핸들 어셈블리를 조작하여 트렁크 리드를 개폐시키는 것이 방지되어 차량 도난 등의 사고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트렁크 리드 핸들 어셈블리의 로킹 장치
본 고안은 트렁크 리드 핸들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차량 실내에서 트렁크 리드 핸들 어셈블리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트렁크 리드 핸들 어셈블리의 로킹 장치(Device for locking of the trunk lid handle assembly)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연료 필러 및 트렁크 리드 핸들 어셈블리(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석 측면부에 동일 선상으로 설치되어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차량의 연료 필러 및 트렁크 리드 핸들 어셈블리에는 트렁크 리드 핸들 어셈블리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으므로, 차량 외부에서 사이드 도어 패널과 글래스 사이의 미세한 틈새로 가느다란 공구(S)를 밀어 넣어 상기 트렁크 리드 핸들 어셈블리를 조작할 경우 트렁크 리드가 개방되게 되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차량 내부에서 탑승자가 트렁크 리드 핸들 어셈블리를 로킹시킬 수 있도록 잠금장치를 구성 함으로서, 차량 외부에서 상기 핸들 구조물을 조작하는 것을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연료 필러 및 트렁크 리드 핸들 어셈블리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트렁크 리드 핸들 어셈블리 로킹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트렁크 리드 핸들 어셈블리 로킹 장치의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연료 필러 및 트렁크 리드 핸들 어셈블리, 11: 트렁트 리드 핸들 어셈블리, 12: 연료 필러 핸들 어셈블리, 13: 손잡이부, 20: 브래킷, 21: 걸림고리, 22: 잠금로드, 23: 결합핀, 24: 볼트홀, 25: 볼트, 26: 힌지홀, 27: 결합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차량 운전석 측면에 설치되어 연료 필러와 트렁크 리드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 핸들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핸들 어셈블리의 선단과 인접하도록 차량 실내 바닥면에 고정되며, 그 양측 단부에 걸림고리가 형성되는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에 힌지결합 되어 회동가능하게 트렁크 리드 핸들 어셈블리를 로킹시키는 잠금 로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도어 개폐용 핸들의 로킹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트렁크 리드 핸들 어셈블리 로킹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트렁크 리드 핸들 어셈블리 로킹 장치의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본 고안 트렁크 리드 핸들 어셈블리의 로킹 장치는, 연료 필러 및 트렁크 리드 핸들 어셈블리(10)의 전방부 선단에 설치되어 하단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으로, 브래킷(20), 잠금로드(22), 결합핀(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브래킷(20)은 상기 핸들 어셈블리(10) 전방부 선단의 차량실내 바닥면(F)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브래킷(20)의 양측면에는 걸림고리(21)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걸림고리(21)에는 힌지점을 제공하기 위한 힌지홀(26)이 형성되고, 상기 브래킷(20) 상단 양측에는 볼트홀(24)이 형성되어 볼트(25)로서 차량 바닥(F)에 고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잠금로드(22)는 ∩형상으로 성형되어 상기 브래킷(20)에 결합되는 것으로, 그 양측 하단부에는 상기 걸림고리(21)에 형성되어 있는 힌지홀(26)을 통해 브래킷(20)과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결합홀(27)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핀(23)은 상기 잠금로드(22)를 상기 브래킷(20)에 힌지결합 시키는 것으로, 상기 결합핀(23)은 상기 걸림고리(21)의 힌지홀(26)을 통과해 상기 잠금로드(22)의 결합홀(27)에 삽입되어 상기 잠금로드(22)가 상기 결합핀(23)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힌지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탑승자가 잠금로드(22)를 잡은 상태에서 트렁크 리드 핸들 어셈블리(11) 쪽으로 당겨주게 되면 브래킷(20)의 걸림고리(21)에 힌지결합 되어 있는 상기 잠금로드(22)는 결합핀(23)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방향으로 세워지게 된다. 상기 잠금로드(22)는 상기와 같은 동작으로 트렁크 리드 핸들 어셈블리(10)의 손잡이부(13) 외주면을 감싸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트렁크 리드 핸들 어셈블리(11)는 상기 잠금로드(22)에 걸려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해 트렁크 리드 핸들 어셈블리가 로킹되므로, 차량 외부에서 트렁크 리드 핸들 어셈블리를 조작하여 트렁크 리드를 개폐시키는 것이 방지되어 차량 도난 등의 사고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차량 운전석 측면에 설치되어 연료 필러와 트렁크 리드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 핸들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핸들 어셈블리의 선단과 인접하도록 차량 실내 바닥면에 고정되며, 그 양측 단부에 걸림고리가 형성되는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에 힌지결합 되어 회동가능하게 트렁크 리드 핸들 어셈블리를 로킹시키는 잠금 로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 리드 핸드 어셈블리의 로킹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로드는, ∩형상으로 절곡된 로드의 양단이 브래킷의 걸림돌기에 각기 결합핀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 리드 핸들 어셈블리의 로킹 장치.
KR2019970031013U 1997-11-04 1997-11-04 트렁크 리드 핸들 어셈블리의 로킹 장치 KR1999001787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1013U KR19990017879U (ko) 1997-11-04 1997-11-04 트렁크 리드 핸들 어셈블리의 로킹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1013U KR19990017879U (ko) 1997-11-04 1997-11-04 트렁크 리드 핸들 어셈블리의 로킹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7879U true KR19990017879U (ko) 1999-06-05

Family

ID=69691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1013U KR19990017879U (ko) 1997-11-04 1997-11-04 트렁크 리드 핸들 어셈블리의 로킹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7879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04959B1 (ko) 자동차용 도어 개폐 장치
US6454325B1 (en) Closure hand lever that can be used in confined environments
KR19990017879U (ko) 트렁크 리드 핸들 어셈블리의 로킹 장치
JPH10176451A (ja) 鎖錠装置
KR100444089B1 (ko) 차량의 슬라이딩 사이드도어 잠금장치
KR0158147B1 (ko) 자동차용 도어의 인사이드 핸들
KR100253512B1 (ko) 자동차 도어용 아웃사이드 핸들
KR200197374Y1 (ko) 자동차의 도어록 장치
KR100530399B1 (ko) 자동차용 도어 내부핸들 및 락킹노브 일체형 레버
KR0114860Y1 (ko) 자동차의 도어 록킹장치
KR200163082Y1 (ko) 아웃핸들과도어래치레버의체결구조
KR200154466Y1 (ko) 자동차의 후드 개폐장치
KR100419115B1 (ko) 차량의 테일게이트에 구비된 리어윈도우글라스 체결구조
KR0174376B1 (ko) 길이 조정이 가능한 자동차 트렁크 리드
JP3726178B2 (ja) 自動車用ドア内の連結装置
KR100380499B1 (ko) 도난 방지용 도어로크 장치
KR200214917Y1 (ko) 차량용 플랩도어 잠금장치
KR100471483B1 (ko) 자동차용 도난방지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KR200216210Y1 (ko) 자동차용 트렁크 스트라이커 가림막장치
KR200156991Y1 (ko) 왜건 차량의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 닫힘 방지장치
KR0134453Y1 (ko) 자동차의 후드록크래치의 와이어 고정구조
JP4261004B2 (ja) テールゲートリフターのロック装置
KR100323437B1 (ko) 차량용 세프티 노브 어셈블리
KR19990052270A (ko) 자동차 엔진의 플랩도어 잠금장치
JPH04983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