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4860Y1 - 자동차의 도어 록킹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도어 록킹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4860Y1
KR0114860Y1 KR92002781U KR920002781U KR0114860Y1 KR 0114860 Y1 KR0114860 Y1 KR 0114860Y1 KR 92002781 U KR92002781 U KR 92002781U KR 920002781 U KR920002781 U KR 920002781U KR 0114860 Y1 KR0114860 Y1 KR 01148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ing device
handle
stopper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027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9938U (ko
Inventor
하창기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920027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4860Y1/ko
Publication of KR9300199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993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48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486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05B79/12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using connecting rods
    • E05B79/16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using connecting rod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linking the rods to other lock parts, e.g. to le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도어 록킹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도어의 일측에 장착되는 핸들 하우징에 있어서, 핸들 하우징의 중간부에 상하 길이 방향으로 회동간을 힌지 고정하고, 이의 회동간 상단에는 핸들 아암과 그 주위의 둘레턱에 동일선상으로 뚫어지는 고정공에 출입되는 스톱퍼를 연결하며, 회동간이 하단에는 키이부재의 회동에 따라 각 운동을 하는 레버와 연결되어 이에 연동되는 연결부재를 연결한 도어 록킹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록킹 장치를 설치하지 않고도 아웃 사이드 핸들내의 간단한 구조로 도어의 록킹 상태를 확실히 할 수 있는 바, 비정상적인 수단으로 도어를 열 수 없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도어 록킹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적용부위를 나타내기 위한 록킹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제2도는 본 고안이 적용되는 아웃 사이드 핸들의 내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아웃 사이드 핸들 11 : 핸들 하우징
13 : 핸들 아암 14 : 키이부재
15 : 회동간 18,18' : 고정공
19 : 스톱퍼 20 : 레버
21 : 연결부재
본 고안은 자동차의 도어 록킹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의 록킹시 핸들아암도 함께 고정되도록 하여 이의로 도어를 열지 못하도록 한 자동차의 도어록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 있어서의 도어에는 주차시 도난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도어에 록킹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도어 록킹장치는 자동차의 외부에서는 키이를 이용하여 도어를 록킹 또는 해지토록 되어 있으며, 차내에서는 하단부가 도어 래치에 연결되고 그의 상단부가 도어 트림의 상측으로 돌출된 안전 노브를 승강시킴으로써, 록킹 또는 록킹을 해지토록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도어 록킹장치에 있어서는 도어가 록킹되어 있는 상태에서 도어 글래스와 웨더 스트립 사이로 철사류나 형상 기억합금 등의 도구를 삽입시켜 도어록 노브를 해지시켜 도어의 록킹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바, 자동차내에 장치되는 카 스테레오나 내장품의 도난은 물론 차량의 도난사고가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의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고안의 목적은 도어의 록킹시 핸들아암도 함께 고정되도록 하여 임의로 도어를 열지 못하도록 한 자동차의 도어 록킹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도어의 일측에 장착되는 핸들 하우징에 있어서, 핸들 하우징의 중간부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회동간을 힌지 고정하고, 이의 회동간 상단에는 핸들 아암과 그 주위의 둘레턱에 동일선상으로 뚫어지는 고정공에 출입되는 스톱퍼를 연결하며, 회동간의 하단에는 키이부재의 회동에 따라 각 운동을 하는 레버와 연결되어 이에 연동되는 연결부재를 연결한 도어록킹장치를 제공함에 특징이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는 본 고안의 적용부위를 나타내기 위한 도어 록킹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로서, 도어 록킹장치는 미도시된 도어 스트라이커와 결합되어 도어의 닫힘 상태를 유지시켜 주는 도어 래치(1)와; 아웃 사이드 핸들(2)과 인너 핸들(3)을 도어 래치(1)와 연결하여 주는 로드(4)(5)와; 하단이 상기 도어 래치(1)의 상측으로 연결되고 상단이 도어 트림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안전노브(6)로 구성된다.
이와같은 도어 록킹장치에 있어서, 아웃 사이드 핸들(10)은 핸들 하우징(11)의 상측의 스프링(12)에 의해 핸들아암(13)이 탄발 설치되어 있으며, 하측에는 키이 부재(14)가 삽입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핸들 하우징(11)의 중간부에는 제2도에서와 같이 핸들 하우징(11)으로 부터 돌출 형성되는 보스부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회동간(15)이 힌지 고정된다.
상기 고정수단은 고정 수크류(16)를 이용한다.
그러고 상기 회동간(15)의 상측에는 핸들 아암(13)과 그 주위의 둘레턱(17)에 제3도에서와 같이 동일선상으로 뚫어진 고정공(18)(18')으로 회동간(15)의 동작에 따라 출입하는 스톱퍼(19)가 연결되어 이의 스톱퍼(19)선단이 록킹 해지시 둘레턱(7)의 고정공(18')에 위치하고, 록킹시에는 핸들아암(14)의 고정공(18)으로 삽입되어 핸들 아암(13)의 동작을 제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간(15)의 하단에는 핸들 하우징(11)의 일측으로 설치된 키이부재(14)의 회동에 따라 각 운동을 하는 레버(20)에 연결되어 회동간(15)을 좌우로 동작시키는 연결부재(21)가 연결된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하면 키이부재(14)를 록킹상태로 작동시키게 되면, 이에 레버(20)가 제2도의 가상선과 같은 상태에서 실선과 같이 회동하게 된다.
그러면 연결부재(21)가 이에 연동되어 실선과 같이 회동하게 되는 바, 회동간(15)이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면서 그의 상단으로 연결된 스톱펴(19)가 좌측으로 이동되어 핸들 아암(13)의 고정공(18)으로 삽입되어진다.
이와같이 스톱퍼(19)가 핸들 아암(13)의 고정공(18)으로 삽입된 후에는 키이를 이용하여 키이부재(14)의 록킹 상태를 해지하지 않는 한 아웃 사이드 핸들(10)을 이용하여 도어를 열 수가 없으며, 특히 비정상적인 방법으로 웨더 스트립과 도어 글래스 사이에 철사 등의 도구로 도어 안전레버(6)를 상승시켜도 도어는 핸들 아암(13)이 스톱퍼(19)에 의해 동작이 제한되고 있는바, 도어를 열 수 없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어를 정상적인 수단, 즉 고유의 키이를 이용하여 록킹을 해지 할 때에는 키이부재(14)의 동작에 의하여 레버(20)가 시계 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연결 부태(21)와 회동간(15)을 동작시켜 핸들 아암(13)의 고정공(18)내로 삽입되어 있던 스톱퍼(19)를 빼내게 되므로 핸들 아암(13)의 동작이 자유롭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아웃 사이드 핸들(10)을 동작시켜 도어를 열면 도어는 열리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변도의 록킹 장치를 설치하지 않고도 아웃 사이드 핸들내의 간단한 구조로 도어의 록킹 상태를 확실히 할 수 있는바, 비정상적인 수단으로 도어를 열 수 없도록 한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자동차 도어의 일측에 장착되는 핸들 하우징에 있어서, 핸들 아암(13)과 그 둘레턱(17)에 동일선상으로 뚫어진 고정공(18,18')과, 상기 고정공(18,18')에 출입되는 스톱퍼(19)와, 상기 스톱퍼(19)의 일단과 연결부재(21)의 일단에 연결되며 상기 핸들 하우징(11)의 중간부에 상하 길이 방향으로 힌지 고정되는 회동간(15)과, 상기 회동간(15)의 하단과 키이부재(14)의 레버(20)의 일단에 연결되는 연결부재(21)로 이루어져, 키이를 회전하게 되면 상기 키이부재(14)의 레버(20)가 회동하게 되고 이와 연동된 상기 연결부재(21), 회동간(15) 그리고 스톱퍼(19)의 이동에 의해 상기 핸들 아암(13)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 록킹장치.
KR92002781U 1992-02-24 1992-02-24 자동차의 도어 록킹장치 KR01148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2781U KR0114860Y1 (ko) 1992-02-24 1992-02-24 자동차의 도어 록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2781U KR0114860Y1 (ko) 1992-02-24 1992-02-24 자동차의 도어 록킹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9938U KR930019938U (ko) 1993-09-24
KR0114860Y1 true KR0114860Y1 (ko) 1998-10-01

Family

ID=19329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02781U KR0114860Y1 (ko) 1992-02-24 1992-02-24 자동차의 도어 록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486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9938U (ko) 1993-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84719B1 (en) Lock device particularly for a two-part door of the luggage compartment of a wagon type vehicle
RU2469875C2 (ru) Узел откидной крышки резервуара
US6730867B2 (en) Electrically operated ratcheting pawl latch
KR100204959B1 (ko) 자동차용 도어 개폐 장치
KR19990054536A (ko) 자동차용 도어의 아웃사이드핸들 조립체
US5154457A (en) Vehicular door lock device
US4358943A (en) Vehicle door lock
KR0114860Y1 (ko) 자동차의 도어 록킹장치
US6431618B1 (en) Locking device of tailgate for vehicle
JP3295524B2 (ja) 作動力伝達装置
KR19990078921A (ko) 자동차용 도어래치 어셈블리
KR100444089B1 (ko) 차량의 슬라이딩 사이드도어 잠금장치
JPS61186680A (ja) キ−シリンダのリンク機構
KR0114859Y1 (ko) 자동차의 도어 록킹장치
KR100439967B1 (ko) 자동차용 테일게이트의 록킹장치
KR100318069B1 (ko) 자동차용 도어 래치의 오작동 방지장치
KR0138751Y1 (ko) 차량의 도난방지용 도어잠금장치
KR100380499B1 (ko) 도난 방지용 도어로크 장치
KR100530399B1 (ko) 자동차용 도어 내부핸들 및 락킹노브 일체형 레버
KR100431985B1 (ko) 차량의 운전석 도어잠금장치
KR0118543Y1 (ko) 자동차용 뒷문의 잠금장치
KR100418631B1 (ko) 자동차용 도어의 록킹장치
KR970005083Y1 (ko) 자동차의 도난방지용 도어록 장치
KR0112928Y1 (ko) 차량의 도어인핸들
KR19990052437A (ko) 자동차 도어의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2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