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9967B1 - 자동차용 테일게이트의 록킹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테일게이트의 록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9967B1
KR100439967B1 KR10-2002-0065209A KR20020065209A KR100439967B1 KR 100439967 B1 KR100439967 B1 KR 100439967B1 KR 20020065209 A KR20020065209 A KR 20020065209A KR 100439967 B1 KR100439967 B1 KR 1004399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arm
tailgate
latch means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5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6251A (ko
Inventor
배영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652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9967B1/ko
Publication of KR20040036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62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9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99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16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 E05B83/18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for car boot lids or rear luggage compart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20Bolts or detents
    • E05B85/24Bolts rotating about an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546Tailgates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테일게이트의 록킹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테일게이트 내에 설치되는 록킹장치의 구조 및 구성을 간단하게 함과 동시에 키실린더와 액츄에이터를 일직선으로 배치하여 테일게이트 내에서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시킨 자동차용 테일게이트이 록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래치수단(10)과, 상기 래치수단에 외력을 가하여 래치수단을 작동시키는 아웃사이드핸들(5)과, 상기 아웃사이드핸들이 래치수단에 외력을 가하지 못하도록 하는 키실린더(3)와 액츄에이터(4)가 구비된 자동차용 테일게이트의 록킹장치에 있어서, 상기 래치수단이 스트라이커로부터 해제되도록 상기 폴(10b)에 외력을 가하는 가압편(11a)이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는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으로 절곡된 슬롯공(11b)이 형성되어 힌지 회전되는 핸들암(11); 상기 핸들암의 슬롯공(11b)에 끼워 설치되고 상기 슬롯공의 수평방향 측에 탄력적으로 위치되는 상기 아웃사이드핸들(5)과 연결된 제1로드(R1); 상기 제1로드(R1)를 상기 슬롯공의 수직방향 측으로 밀도록 힌지 설치된 푸시암(12); 상기 푸시암(12)과 제2로드(R2)를 통해 일측단이 연결되고 상기 액츄에이터(4)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암(4a); 상기 회전암(4a)의 타측단과 상기 키실린더(3)를 연결하는 제3로드(R3);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테일게이트의 록킹장치.

Description

자동차용 테일게이트의 록킹장치{Automobile tail gate locking apparatus}
본 발명은 자동차용 테일게이트의 록킹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테일게이트 내에 설치되는 록킹장치의 구조 및 구성을 간단하게 함과 동시에 키실린더와 액츄에이터를 일직선으로 배치하여 테일게이트 내에서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시킨 자동차용 테일게이트이 록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테일게이트란 자동차의 최후방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도어의 일종으로서, 통상적으로 별도의 트렁크룸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다목적 차량에서 많이 볼 수 있지만 승용형 자동차에서는 해치백(hatch back)이나 해치백 쿠페(hatch back coupe)와 같은 타입에서 트렁크리드의 대용으로 적용하고 있다.
도1a는 테일게이트가 구비된 차량을 보인 사시도로서, 이러한 테일게이트(1)에는 도1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록킹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록킹장치는 비단 테일게이트뿐만 아니라 자동차용 도어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는데, 여기서는 테일게이트를 일예로 들어 그 록킹장치를 설명하고자 한다.
테일게이트(1)의 내부 일측에는 차체에 설치된 스트라이커(s)와 맞물려 테일게이트를 차체에 고정시키는 래치수단(2)이 설치되고, 그 래치수단(2)을 록킹시키거나 록킹해제시키기 위한 키실린더(3)와 액츄에이터(4)가 로드(r1,r2)를 매개로 래치수단(2)과 연결되며, 상기 래치수단(2)이 록킹해제되었을 때 래치수단(2)이 스트라이커(s)로부터 해제되어 테일게이트(1)가 개방될 수 있도록 하는 아웃사이드핸들(5) 또한 상기 래치수단(2)과 로드(r3)를 매개로 연결되어 있다.
도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래치수단(2)이 스트라이커(s)와 맞물리게 되면 테일게이트(1)는 차체에 고정되어 테일게이트(1)를 개방할 수 없게 된다. 이때, 테일게이트(1)의 일측에 마련된 아웃사이드핸들(5)을 잡아당기면 상기 래치수단(2)이 스트라이커(s)로부터 해제되어 테일게이트(1)를 개방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도어나 테일게이트에는 외부인이 임의로 개방할 수 없게 하거나 안전상의 목적으로 아웃사이드핸들(5)을 작동시켜도 래치수단(2)이 스트라이커(s)로부터 해제되지 않도록 하는 별도의 안전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의 안전수단은 통상 2개로 대별되며 그 두 개의 안전수단이 테일게이트에 함께 구비되는데, 그 중 하나는 자동차키로 래치수단(2)을 록킹시키거나 언록킹시킬 수 있도록 된 키실린더(3)이고, 다른 하나는 리모콘이나 차실내에 설치된 스위치를 통해 래치수단(2)을 록킹 또는 언록킹시킬 수 있는 액츄에이터(4)이다.
상기 키실린더(3)와 액츄에이터(4)는 테일게이트(1)의 서로 다른 방향에서 로드(r)를 통해 래치수단(2)을 록킹/언록킹시키고, 상기 아웃사이드핸들(5)은 래치수단(2)의 상방에서 로드(r3)를 매개로 상기 래치수단(2)이 차체의 스트라이커(s)로부터 해제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키실린더(3)와 액츄에이터(4) 및 아웃사이드핸들(5)이 래치수단(2)을 작동시키는 구조는 도2a 및 도2b에 잘 나타나 있다.
여기서, 상기 래치수단(2)은 스트라이커(s)가 걸리는 래치(2a)와, 상기 래치를 구속하는 폴(2b)로 구성되는데, 상기 래치수단(2)은 통상적으로 널리 알려진 공지수단이므로 여기에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2a를 참조하여 종래의 테일게이트 록킹장치의 구조를 설명하면, 상기 키실린더(3)와 연결된 제1로드(r1) 및 액츄에이터(4)와 연결된 제2로드(r2)는 힌지축(6a)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설치된 록커암(6)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연결된다.
또한, 상기 록커암(6)에는 상기 폴(2b)에 외력을 가하기 위한 가압편(7a)이 형성된 작동암(7)이 연결되고, 그 작동암(7)에는 길이방향으로 긴 슬롯(7b)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아웃사이드핸들(5)과 연결된 제3로드(r3)는 힌지 회전되는 핸들암(8)과 연결되고, 상기 핸들암(8)에는 상기 작동암(7)의 슬롯(7b)에 끼워지는 슬롯편(8a)이 형성되어 핸들암(8)이 제3로드(r3)에 의해 오픈방향(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슬롯(7b)에 끼워진 슬롯편(8a)이 작동암(7)에 외력을 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작동암(7)이 폴(2b)을 회전시켜 상기 래치(2a)는 폴(2b)로부터 구속해제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키실린더(3)나 액츄에이터(4)를 록킹상태로 하면 상기 제1로드(r1)나 제2로드(r2)에 의해 상기 록커암(6)이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게 되고, 상기 록커암(6)과 연결된 작동암(7)도 상방으로 움직이게 되므로 상기 폴(2b)에 작동암(7)의 가압편(7a)이 걸리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아웃사이드핸들(5)을 작동시키면 상기 핸들암(8)이 작동암(7)을 회전은 시키되 가압편(7a)이 폴(2b)에 걸리지 않으므로 래치(2a)는 작동되지 않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의 테일게이트 록킹장치는 도1b에 도시된 것처럼 키실린더와 액츄에이터가 테일게이트 내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어서 장착공간을 많이 차지할 뿐만 아니라 테일게이트의 래치수단을 작동시키기 위하여 많은 수의 로드 및 부품이 필요하고 그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테일게이트에 장착되는 록킹장치의 배치를 변경해서 테일게이트 상에서 적은 공간을 차지하도록 하며, 록킹장치의 작동에 필요한 부품수를 줄이고, 그 구조를 간단하게 하는데 있다.
도1b는 일반적인 테일게이트가 구비된 차량을 보인 사시도,
도1b는 종래의 테일게이트 록킹장치의 구성 및 배치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2a 및 도2b는 종래 테일게이트의 작용 상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일게이트 록킹장치의 전체 구성 및 배치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4a와 도4b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일게이트 록킹장치가 언록킹된 상태와 록킹된 상태를 나타낸 작용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테일게이트 3 : 키실린더
4 : 액츄에이터 5 : 아웃사이드핸들
10 : 래치수단 10a : 래치
10b : 폴(pawl) 11 : 핸들암
11a : 가압편 11b : 슬롯공
11c : 가이드바 12 : 푸시암
4a : 회전암 R1 : 제1로드
R2 : 제2로드 R3 : 제3로드
s : 스트라이커 sp : 스프링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일게이트 록킹장치의 전체 구성 및 배치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4a와 도4b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일게이트 록킹장치가 언록킹된 상태와 록킹된 상태를 나타낸 작용 상태도이다.
먼저,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전체 구성 및 배치를 설명하면, 본 발명에는 종래기술에서 미리 설명한 바와 같이 래치수단(10)을 록킹 또는 언록킹시키기 위한 키실린더(3)와, 액츄에이터(4) 및 래치수단(10)이 차체의 스트라이커(s)로부터 해제되도록 하여 테일게이트(1)가 개방되도록 하는 아웃사이드핸들(5)이 구비된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종래와 달리 키실린더(3)와 액츄에이터(4)가 래치수단(10)의 한쪽방향으로 배치되어 로드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이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테일게이트(1)의 일측에는 차체에 형성된 스트라이커(s)에 걸리도록 된 래치수단(10)이 설치되는데, 상기 래치수단(10)은 종래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트라이커(s)에 걸리거나 걸림 해제되도록 탄성 설치된 래치(10a)와, 상기 래치(10a)가 스트라이커(s)에 걸려서 회전되었을 때 래치(10a)가 스트라이커(s)에 걸린 상태로 유지되도록 상기 래치(10a)를 구속하는 폴(10b)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상기 래치수단(10) 근처에는 상기 래치(10a)가 스트라이커(s)로부터 해제되도록 상기 폴(10b)에 외력을 가하는 핸들암(11)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핸들암(11)의 일측에는 상기 폴(10b)에 외력을 가하기 위한 가압편(11a)이 폴(10b) 쪽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핸들암(11)의 타측에는 "『" 형상처럼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절곡된 슬롯공(11b)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핸들암의 가압편(11a)은 외부로부터 힘을 제공받을 때만 상기 폴(10b)에 외력을 가할 수 있도록 핸들암(11)은 스프링(sp)을 통해 탄력 지지된다.
한편, 상기 핸들암의 슬롯공(11b)에는 상기 아웃사이드핸들(5)과 연결된 제1로드(R1)의 일측 끝단이 끼워지는데, 상기 제1로드(R1)의 일측 끝단은 보통의 경우 상기 슬롯공(11b)의 수평방향 측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제1로드(R1) 일측 끝단과 핸들암(11) 간에는 스프링(sp)이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1로드가 상기 슬롯공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슬롯공의 수평방향측에는 가이드바(11c)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아웃사이드핸들(5)을 잡아당기면 상기 제1로드(R1)가 도면상 하방으로 움직여 핸들암(11)을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므로 핸들암의 가압편(11a)이 상기 폴(10b)에 외력을 가하여 래치(10a)가 폴(10b)로부터 구속해제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 제1로드(R1)가 상기 핸들암(11)의 슬롯공(11b) 상에서 수직방향 쪽에 위치하게 되면 아웃사이드핸들(5)을 작동시켜도 그 힘이 핸들암(11)에 미치지 않게 된다.
즉, 상기 제1로드(R1)를 상기 슬롯공(11b)의 수직방향 쪽으로 밀어주기 위하여 상기 래치수단(10) 근처에는 푸시암(12)이 힌지설치된다.
상기 푸시암(12)은 외부로부터 힘을 전달받아 상기 제1로드(R1)를 밀어줌으로써 상기 제1로드(R1)의 일측 끝단이 상기 핸들암 슬롯공(11b)의 수직방향에 위치되도록 한다.
상기 푸시암(12)은 다시 상기 액츄에이터(4)와 연결되는데, 상기 액츄에이터(4)에는 힌지를 통해 회전되는 회전암(4a)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회전암(4a)의 일측단은 제2로드(R2)를 매개로 상기 푸시암(12)의 일측과 연결되고, 상기 회전암(4a)의 타측단은 다시 제3로드(R3)를 매개로 상기 키실린더(3)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키실린더(3)나 액츄에이터(4) 중 어느 하나를 록킹시키면 상기 액츄에이터(4)에 설치된 회전암(4a)이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2로드(R2)를 도면상 왼쪽으로 밀게되므로 상기 푸시암(12)은 상기 제1로드(R1)를 밀게된다.
따라서, 상기 푸시암(12)에 의해 밀린 제1로드(R1)는 핸들암 슬롯공(11b)의 수직방향 쪽에 위치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는 상기 아웃사이드핸들(5)을 작동시켜도 제1로드(R1)의 힘이 상기 핸들암(11)에 전달되지 못하므로 상기 래치수단(10)을 작동시킬 수 없게 되어 테일게이트(1)는 차체에 록킹되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물론, 이 상태에서 상기 키실린더(3)나 액츄에이터(4)를 언록킹상태로 하면 상기 제2로드(R2)가 도면상 오른쪽 방향으로 당겨져 상기 제1로드(R1)를 밀던 푸시암(12)은 이제 더 이상 제1로드(R1)에 외력을 가하지 못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로드(R1)는 상기 핸들암(11)과의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sp)의 복원력에 의하여 핸들암 슬롯공(11b)의 수평방향 쪽으로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아웃사이드핸들(5)을 작동시키면 상기 제1로드(R1)가 핸들암(11)에 외력을 가할 수 있고, 상기 핸들암의 가압편(11a)은 상기 폴(10b)을 회전시켜 그 폴(10b)에 구속되었던 래치(10a)가 구속해제됨으로써 차체의 스트라이커(s)에 의해 닫혔던 테일게이트(1)는 열릴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테일게이트의 록킹장치에 의하면, 테일게이트를 개방하기 위해 마련된 키실린더와 액츄에이터가 일직선으로 연결되므로 테일게이트 내의 장착공간을 적게 차지하고, 힘을 전달하기 위한 로드 및 암의 개수가 줄어들어 록킹장치의 전체적인 구성 및 구조가 간단해지므로 작동노이즈가 줄고 작동감은 개선되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차체의 스트라이커(s)에 걸리거나 걸림 해제되도록 설치된 래치(10a) 및 상기 래치가 스트라이커에 걸린 상태로 유지되도록 상기 래치를 구속하는 폴(10b)로 이루어져 테일게이트(1) 일측에 설치된 래치수단(10)과, 상기 래치수단에 외력을 가하여 래치수단을 작동시키는 아웃사이드핸들(5)과, 상기 아웃사이드핸들이 래치수단에 외력을 가하지 못하도록 하는 키실린더(3)와 액츄에이터(4)가 구비된 자동차용 테일게이트의 록킹장치에 있어서,
    상기 래치수단(10)이 스트라이커(s)로부터 해제되도록 상기 폴(10b)에 외력을 가하는 가압편(11a)이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는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으로 절곡된 슬롯공(11b)이 형성되어 힌지 회전되는 핸들암(11);
    상기 핸들암의 슬롯공(11b)에 끼워 설치되고 상기 슬롯공의 수평방향 측에 탄력적으로 위치되는 상기 아웃사이드핸들(5)과 연결된 제1로드(R1);
    상기 제1로드(R1)를 상기 슬롯공의 수직방향 측으로 밀도록 힌지 설치된 푸시암(12);
    상기 푸시암(12)과 제2로드(R2)를 통해 일측단이 연결되고 상기 액츄에이터(4)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암(4a);
    상기 회전암(4a)의 타측단과 상기 키실린더(3)를 연결하는 제3로드(R3);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테일게이트의 록킹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공(11b)의 수평방향 측에는 상기 제1로드(R1)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드바(11c)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테일게이트의 록킹장치.
KR10-2002-0065209A 2002-10-24 2002-10-24 자동차용 테일게이트의 록킹장치 KR1004399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5209A KR100439967B1 (ko) 2002-10-24 2002-10-24 자동차용 테일게이트의 록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5209A KR100439967B1 (ko) 2002-10-24 2002-10-24 자동차용 테일게이트의 록킹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6251A KR20040036251A (ko) 2004-04-30
KR100439967B1 true KR100439967B1 (ko) 2004-07-12

Family

ID=37334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5209A KR100439967B1 (ko) 2002-10-24 2002-10-24 자동차용 테일게이트의 록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99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42700B2 (en) * 2018-03-01 2022-02-08 Honda Patents & Technologies North America Truck tailgate lock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6251A (ko) 2004-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32393B2 (en) Motor vehicle doorlock with combined central locking and opening actuator
US9151085B2 (en) Passive entry side door latch release system
JPS6227226B2 (ko)
CA2039072C (en) Low effort remote latch actuator
KR19990054536A (ko) 자동차용 도어의 아웃사이드핸들 조립체
CN108625693B (zh) 具有防拍击闩锁机构的车辆关闭闩锁组件
US5666834A (en) Anti-theft mechanism for a vehicle door lock device
KR100559568B1 (ko) 자동차의 잼 방지형 도어 래치
KR20210055827A (ko) 차량의 슬라이딩/스윙 복합도어
KR100439967B1 (ko) 자동차용 테일게이트의 록킹장치
KR100348095B1 (ko)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래치
KR100419732B1 (ko) 차량 슬라이딩 도어의 잠금장치
JPS61186680A (ja) キ−シリンダのリンク機構
KR100392000B1 (ko) 자동차 도어래치의 록킹 해제장치
KR100610913B1 (ko) 자동차용 슬라이드도어의 리모트 콘트롤러
KR100424883B1 (ko) 자동차용 테일 게이트 아웃사이드 핸들장치
KR100475954B1 (ko) 자동차의 테일 게이트 개폐장치
KR100431985B1 (ko) 차량의 운전석 도어잠금장치
KR100318069B1 (ko) 자동차용 도어 래치의 오작동 방지장치
KR100819699B1 (ko) 자동차의 테일 게이트 록킹장치
KR0114860Y1 (ko) 자동차의 도어 록킹장치
KR100767916B1 (ko) 자동차용 슬라이드도어의 잼 방지용 리모트 콘트롤러 구조
KR100384717B1 (ko) 차량의 테일게이트 록시스템
KR100461054B1 (ko) 트렁크리드의 록킹장치
KR200141963Y1 (ko) 차량용 안전도어로크의 장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