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8030Y1 - 화물차의 테일 게이트 록킹장치 - Google Patents

화물차의 테일 게이트 록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8030Y1
KR200158030Y1 KR2019960067287U KR19960067287U KR200158030Y1 KR 200158030 Y1 KR200158030 Y1 KR 200158030Y1 KR 2019960067287 U KR2019960067287 U KR 2019960067287U KR 19960067287 U KR19960067287 U KR 19960067287U KR 200158030 Y1 KR200158030 Y1 KR 2001580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gate
side gate
elastic spring
tail g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672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4095U (ko
Inventor
김진각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600672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8030Y1/ko
Publication of KR1998005409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409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80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803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2Platforms; Open load compartments
    • B62D33/023Sideboard or tailgate structures
    • B62D33/027Sideboard or tailgate structures movable
    • B62D33/037Latch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2Mounting of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8Mounting of individual lock elements in the lock, e.g. le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46Tailboards, tailgates or sideboards opening upw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물차용 테일 게이트 록킹장치에 관한 것으로, 화물차의 적재함을 개폐하는 측면 게이트와 후방 게이트의 록킹력이 견고하며 록킹된 록킹장치의 해지동작이 용이하게 하여 록킹작업에 따른 편의성이 증대되도록 하기 위하여 사이드 게이트의 일측 단부에 탄성스프링이 내설되며 상기 탄성스프링을 관통하여 사이드 게이트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작동로드 및 그 반대측에는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가이드면이 형성되는 록킹부로 되는 록킹수단이 탄지되며 상기 사이드 게이트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작동로드의 단부에 힌지결합되며 일측이 사이드 게이트와 힌지결합되어 상기 록킹수단을 해지하는 소정 길이의 작동레버와, 상기 탄성스프링에 의하여 탄지되는 록킹부의 록킹을 위한 록킹홈을 테일 게이트의 양측 소정 위치에 형성하여 테일 게이트의 닫힘과 동시에 탄성부재에 의하여 탄지되는 록킹부가 록킹되도록 한 화물차용 테일 게이트 록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화물차의 테일 게이트 록킹장치
본 고안은 화물차용 테일 게이트 록킹장치에 관한 것으로, 화물차의 적재함을 개폐하는 측면 게이트와 후방 게이트의 록킹력이 견고하며 록킹된 록킹장치의 해지동작이 용이하게 하여 록킹작업에 따른 편의성이 증대되도록 한 화물차용 테일 게이트 록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적재함용 게이트는 힌지 결합되어 회동되도록 하였으며 회동되는 사이드게이트와 테일게이트를 서로 록킹하여 지지되도록 하여 적재함에 적재되는 화물이 보호되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화물차의 적재함을 개폐하는 테일 게이트의 록킹장치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일 게이트(100)의 양측면에 소정 형상의 록킹봉(110)을 구비하며 상기 록킹봉(110)이 록킹되는 록킹편(210)을 사이드 게이트(200)의 소정위치에 구비하여, 상기 테일 게이트(100)의 록킹봉(110)이 사이드 게이트(200)의 록킹편(210)에 록킹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구조로 된 종래의 록킹장치는 테일 게이트(100)에 구비된 록킹봉(110)을 당겨 사이드 게이트(200)의 록킹편(210)에 록킹시킴으로써, 사이드 게이트(200)에 테일 게이트(100)가 록킹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된 종래의 테일 게이트 록킹장치는 사이드 게이트에 테일 게이트를 정확한 위치에 위치시킨 후에 상기 사이드 게이트의 록킹편에 테일 게이트의 록킹봉을 당겨 록킹되도록 한 것으로, 록킹봉의 록킹작업에 따른 무리한 작동력을 필요로 하였으며 이에 따른 록킹작업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대형 화물차인 경우에는 각 게이트가 중량체로서 사이드 게이트와 테일 게이트를 서로 맞닿도록 지지하는 지지력이 미약하여 안전사고의 발생과 록킹작업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대두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적재함을 개방한 사이드 게이트에 테일 게이트의 록킹에 따른 작동이 용이하며 록킹된 사이드 게이트와 테일 게이트의 해지동작이 용이하여 테일 게이트의 록킹작업에 따른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하며 편의성이 증대되도록 한 화물차용 테일 게이트 록킹장치를 제공하는데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사이드 게이트의 일측 단부에 탄성스프링이 내설되며 상기 탄성스프링을 관통하여 사이드 게이트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작동로드 및 그 반대측에는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가이드면이 형성되는 록킹부로 되는 록킹수단이 탄지되며 상기 사이드 게이트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작동로드의 단부에 힌지결합되며 일측이 사이드 게이트와 힌지결합되어 상기 록킹수단을 해지하는 소정 길이의 작동레버와, 상기 탄성스프링에 의하여 탄지되는 록킹부의 록킹을 위한 록킹홈을 테일 게이트의 양측 소정 위치에 형성하여 테일 게이트의 닫힘과 동시에 탄성부재에 의하여 탄지되는 록킹부가 록킹되도록 함으로서 소기의 목적이 달성된다.
제1도는 종래의 록킹장치가 적용된 적재함을 보인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록킹장치가 적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록킹장치의 동작상태를 보인 평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록킹수단 11 : 탄성스프링
12 : 작동로드 13 : 가이드 면
14 : 록킹부 20 : 작동레버
21,22 : 힌지 30 : 록킹홈
100 : 테일 게이트 200 : 사이드 게이트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에 의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록킹장치기 적용된 상태를 사시도이며,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록킹장치의 동작상태를 보인 평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 게이트(200)의 일측 단부에 탄성스프링(11)이 내설되며 상기 탄성스프링(11)을 관통하여 사이드 게이트(20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작동로드(12) 및 그 반대측에는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가이드면(13)이 형성되는 록킹부(14)로 되는 록킹수단(10)이 탄지되며 상기 사이드 게이트(20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작동로드(12)의 단부에 힌지(21)결합되며 일측이 사이드 게이트(200)와 힌지(22)결합되어 상기 록킹수단(10)을 해지하는 소정 길이의 작동레버(20)와, 상기 탄성스프링(11)에 의하여 탄지되는 록킹부(14)의 록킹을 위한 록킹홈(30)을 테일 게이트(100)의 양측 소정위치에 형성하여 상기 테일 게이트(100)의 닫힘과 동시에 탄성스프링(11)에 의하여 탄지되는 록킹부(14)가 록킹되도록 한 구성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이드 게이트(200)의 소정 위치에 구비되는 록킹수단(10)은 탄성스프링(11)에 의하여 사이드 게이트(200)의 내측으로 록킹부(14)가 돌출된 상태로 탄지되며 이때 상기 록킹부(14)의 가이드 면(13)은 테일 게이트(100)가 회동되는 방향으로 구비되어 테일 게이트(100)의 양측 단부에 접촉되어 사이드 게이트(200)의 내부로 삽입된다.
이때, 사이드 게이트(200)의 내부로 삽입되는 록킹수단(10)은 내부에 탄지된 탄성스프링(11)을 압축하여 상기 록킹수단(10)이 탄지되면 테일 게이트(100)의 록킹홈(30)이 록킹수단(10)의 록킹부(14)와 일치되면 상기 록킹수단(10)은 탄성스프링(11)에 의하여 록킹홈(30)에 삽입되어 테일 게이트(100)가 록킹된다.
한편, 탄성스프링(11)에 의하여 탄지되는 록킹수단(10)의 작동로드(12)는 상기 사이드 게이트(200)의 외부로 돌출되며 그 단부에 힌지(21)결합된 작동레버(20)는 일측이 사이드 게이트(200)의 소정 위치에 회동가능한 구조로 힌지(22)결합되어 상기 작동레버(20)의 회동에 따라 탄지된 록킹수단(10)을 당겨주어 테일 게이트(100)의 록킹홈(30)에 록킹된 록킹부(14)가 해지된다.
이때, 작동레버(200)는 사이드 게이트(200)에 일측 단부가 힌지(22)결합되며 상기 힌지(22)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작동레버(20)의 소정 위치에 록킹수단(10)의 작동로드(12)가 힌지(21)결합되어 상기 작동레버(20)의 회동에 따라 록킹수단(10)의 작동로드(12)가 당겨져 탄성스프링(11)을 압축하게 되어 록킹홈(30)에 록킹된 록킹부(14)가 해지되며 작동레버(20)의 당김력을 제거하면 탄성스프링(11)의 복원력에 의하여 록킹수단(10)은 원래의 위치로 복귀된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인 화물차의 테일 게이트 록킹장치를 제공하면 적재함을 개방한 사이드 게이트에 테일 게이트의 록킹에 따른 작동이 용이하며 록킹된 사이드 게이트와 테일 게이트의 해지동작이 용이하여 테일 게이트의 록킹작업에 따른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하며 편의성이 증대되는 이점이 제공된다.

Claims (1)

  1. 사이드 게이트(200)의 일측 단부에 탄성스프링(11)이 내설되며 상기 탄성스프링(11)을 관통하여 사이드 게이트(20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작동로드(12) 및 그 반대측에는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가이드면(13)이 형성되는 록킹부(14)로 되는 록킹수단(10)이 탄지되며 상기 사이드 게이트(20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작동로드(12)의 단부에 힌지(21)결합되며 일측이 사이드 게이트(200)와 힌지(22)결합되어 상기 록킹수단(10)을 해지하는 소정 길이의 작동레버(20)와, 상기 탄성스프링(11)에 의하여 탄지되는 록킹부(14)의 록킹을 위한 록킹홈(30)을 테일 게이트(100)의 양측 소정위치에 형성하여, 상기 테일 게이트(100)의 닫힘과 동시에 탄성스프링(11)에 의하여 탄지되는 록킹부(14)가 록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용 테일 게이트 록킹장치.
KR2019960067287U 1996-12-31 1996-12-31 화물차의 테일 게이트 록킹장치 KR2001580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7287U KR200158030Y1 (ko) 1996-12-31 1996-12-31 화물차의 테일 게이트 록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7287U KR200158030Y1 (ko) 1996-12-31 1996-12-31 화물차의 테일 게이트 록킹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4095U KR19980054095U (ko) 1998-10-07
KR200158030Y1 true KR200158030Y1 (ko) 1999-10-15

Family

ID=19488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67287U KR200158030Y1 (ko) 1996-12-31 1996-12-31 화물차의 테일 게이트 록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803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4095U (ko) 1998-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83448A (en) Electromechanical door lock
US10822837B2 (en) Obliquely-engaging locking mechanism
US5042857A (en) Electrically releasable door locking means
KR200158030Y1 (ko) 화물차의 테일 게이트 록킹장치
KR970000063Y1 (ko) 글로브 박스의 록킹장치
KR100357796B1 (ko) 차량의 글로브 박스 록크구조
KR19990011119U (ko) 화물차용 리어 게이트 록킹장치
KR100348095B1 (ko)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래치
KR200145902Y1 (ko) 적재함용 게이트 록킹장치
KR0180658B1 (ko) 테일 게이트용 핸들의 구조
US3810273A (en) Locking mechanism
JP2591233Y2 (ja) バン型車における荷物扉の煽止装置
KR100392000B1 (ko) 자동차 도어래치의 록킹 해제장치
KR960003524Y1 (ko) 화물 자동차의 데크핸들 고정장치
KR200145737Y1 (ko)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잠금장치
FR2781003A1 (fr) Ensemble de fermeture d'urgence pour porte commande par une plaque de poussee formant poussoir
KR200203468Y1 (ko) 자동문 개폐장치
KR960003981Y1 (ko) 자동차 연료주입구 도어잠금장치
US2861834A (en) Control mechanism for door latches
KR0130498Y1 (ko) 회전래치식 평면핸들장치
JPH1095237A (ja) ウイング車のウイングロック
KR19990026628U (ko) 차량용 연료 필러 도어의 개폐 장치
KR19990009351U (ko) 도어 잠금장치
KR0158147B1 (ko) 자동차용 도어의 인사이드 핸들
KR200162233Y1 (ko) 화물차 적재함용 리어 포스트의 록킹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