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7402Y1 - 버스 화물칸 도어용 링크구조 - Google Patents

버스 화물칸 도어용 링크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7402Y1
KR200177402Y1 KR2019970036758U KR19970036758U KR200177402Y1 KR 200177402 Y1 KR200177402 Y1 KR 200177402Y1 KR 2019970036758 U KR2019970036758 U KR 2019970036758U KR 19970036758 U KR19970036758 U KR 19970036758U KR 200177402 Y1 KR200177402 Y1 KR 2001774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actuating
coupled
door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67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4304U (ko
Inventor
조영중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700367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7402Y1/ko
Publication of KR199900243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430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74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740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97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for load transporting vehicles or public transport, e.g. lorries, trucks, bu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036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by using the door logic and door and engine unlock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1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 E05B81/16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operating on locking elements for locking or unlocking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16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 E05B83/22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for luggage compartments at the side of the vehicle, e.g. of buses or camper v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3Buss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06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for bu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버스 화물함 도어용 링크구조(A structure for link luggage flap door of a bus)에 관한 것으로, 버스의 화물함을 개폐하는 도어의 록킹 및 해지를 위하여 핸들로부터 제공되는 작용력을 각 록킹장치로 전달이 용이하도록 하여 도어의 개폐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핸들의 작용력을 전달하는 연결로드가 일측에 연결되며 그 작용력을 일측의 래치부로 전달하기 위한 작동로드가 연결되며 일측에는 제2작동링크와 힌지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장공이 관통되는 제1작동링크와, 상기 제1작동링크를 회동 가능한 구조로 제1회전축으로 결합하고 항시 일정방향으로 탄지되도록 상기 제1회전축에 삽입되어 탄지되는 토션스프링과, 상기 제1작동링크와 대칭형상으로 구비되며 핸들과 연결되는 작동링크가 연결되고 제2회전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작동링크의 장공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제1작동링크와 동시에 연동되며 다른 일측의 래치부와 연결되는 작동로드가 연결되는 제2작동링크와, 상기 회동되는 제2작동링크의 복귀를 위하여 상기 제2작동링크가 항시 일정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당겨주어 탄지 되도록 한 탄성스프링으로 이루어져 핸들로부터 전해지는 작용력에 의하여 토션스프링과 탄성스프링에 의하여 탄지되는 제1작동링크 및 이와 연계되어 회동되는 제2작동링크의 회동이 이루어지며 각 래치부로 연결된 작동로드가 당겨지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버스 화물칸 도어용 링크구조
본 고안은 버스 화물함 도어용 링크구조(A structure for link luggage flap door of a bus)에 관한 것으로, 버스의 화물함을 개폐하는 도어의 록킹 및 해지를 위하여 핸들로부터 제공되는 작용력을 각 록킹장치로 전달이 용이하도록 하여 도어의 개폐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버스 화물함 도어용 링크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스에 마련된 화물함은 차체의 하측에 구비되어 있으며 그 화물함을 개폐하는 도어를 버스의 양측에서 걔폐되도록 하여 화물함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이때, 상기 화물함을 개폐하는 도어는 록킹장치의 해제를 위한 핸들과 열쇠를 이용한 잠금장치가 구비되었으며 상기 핸들의 작용력을 전달하기 위한 작동링크를 이용하여 핸들의 회동에 따른 작용력을 작동로드를 통하여 도어를 록킹하는 래치부로 전달되도록 하여 화물함의 내측에 고정되는 스트라이커와 록킹되는 래치부의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즉, 상기 핸들로부터 작용력이 전달되는 작동링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100)과 연결링크(110)로 연결되어 그 작용력에 의하여 회동되며 전달된 작용력을 도어 내측의 양측에 구비되는 래치부(200)로 전달하기 위한 작동링크(120)를 도어의 내측에 힌지(130) 결합하여 록킹된 도어의 개방을 위한 핸들(100)의 작동에 따라 힌지(130)를 중심으로 회동되며 각 래치부(200)로 연결되는 작동로드(140)가 당겨지게 하여 래치부(200)의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작동링크(120)의 일측에 열쇠에 의하여 작동되는 잠금장치(210)를 록킹로드(220)로 연결하여 핸들(100)에 의하여 회동되는 작동링크(120)의 회동이 방지되도록 하여 래치부(200)의 해제가 제어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이 핸들의 작용력을 래치부로 전달하는 작동링크는 래치부의 해지를 위한 작용력이 상기 작동링크의 힌지로 집중과 각 래치부로 연결된 작동로드의 저항력이 상기 작동링크로 집중되어 상기 작동링크를 동작시키기 위한 작용력을 크게 작용하여야 함에 따른 문제점이 발생되어 도어의 개폐작업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또한, 상기 작동링크의 회동을 위한 작용력의 누적으로 인한 도어의 처짐과 변형이 발생되어 외관의 저하를 수반하게 되는 폐단이 제기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핸들로부터 래치부로 그 작용력을 전달하는 작동링크에 집중되는 하중을 분산하여 각 래치부와 연결되는 작동로드의 동작이 용이하도록 하여 래치부의 동작이 용이하도록 하며 그에 따른 록킹된 래치부의 해제를 위한 핸들의 작동이 용이하여 도어의 개방에 따른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힘의 집중에 따른 도어의 처짐과 변형, 그리고 외관 불량이 불량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품성이 향상되도록 한 버스 화물칸 도어용 링크구조를 제공하는데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링크구조를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링크구조를 보인 정면도
도 3은 도 2의 A부를 보인 요부확대 평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링크 구조의 작동상태를 보인 정면도
* 도면중 주요 부호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2 : 연결로드 20,22 : 작동로드
30 : 제1작동링크 32 : 장공
34 : 제1회전축 36 : 토션스프링
38,48 : 연결부 40 : 제2작동링크
42 : 힌지 44 : 제2회전축
46 : 탄성스프링 50 : 부시
100 : 핸들 200 : 래치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핸들의 작용력을 전달하는 연결로드가 일측에 연결되며 그 작용력을 일측의 래치부로 전달하기 위한 작동로드가 연결되며 일측에는 제2작동링크와 힌지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장공이 관통되는 제1작동링크와, 상기 제1작동링크를 회동 가능한 구조로 제1회전축으로 결합하고 항시 일정방향으로 탄지 되도록 상기 제1회전축에 삽입되어 탄지되는 토션스프링과, 상기 제1작동링크와 대칭형상으로 구비되며 핸들과 연결되는 작동링크가 연결되고 제2회전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작동링크의 장공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제1작동링크와 동시에 연동되며 다른 일측의 래치부와 연결되는 작동로드가 연결되는 제2작동링크와, 상기 회동되는 제2작동링크의 복귀를 위하여 상기 제2작동링크가 항시 일정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당겨주어 탄지 되도록 한 탄성스프링으로 이루어져 핸들로부터 전해지는 작용력에 의하여 토션스프링과 탄성스프링에 의하여 탄지되는 제1작동링크 및 이와 연계되어 회동되는 제2작동링크의 회동이 이루어지며 각 래치부로 연결된 작동로드가 당겨지도록 함으로서 소기의 목적이 달성된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의 제1작동링크 및 제2작동링크는 제1회전축 및 제2회전축으로 회동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며 연결로드 및 작동로드의 연결을 위한 각 연결부가 십자형으로 형성되며 그 중 제2작동링크가 접촉되는 제1작동링크의 연결부 단부에 장공을 관통하고 상기 제1작동링크의 장공이 관통된 연결부와 접촉되는 제2작동링크의 연결부의 단부에 상기 장공에 삽입되는 힌지가 부시 결합되도록 한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인 버스 화물칸 도어용 링크구조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링크구조를 보인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부를 보인 요부확대 평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링크 구조의 작동상태를 보인 정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100)의 작용력을 전달하는 연결로드(10)가 일측에 연결되며 그 작용력을 일측의 래치부(200)로 전달하기 위한 작동로드(20)가 연결되며 일측에는 제2작동링크(40)와 힌지(42)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장공(32)이 관통되는 제1작동링크(30)와, 상기 제1작동링크(30)를 회동 가능한 구조로 제1회전축(34)으로 결합하고 항시 일정방향으로 탄지 되도록 상기 제1회전축(34)에 삽입되어 탄지되는 토션스프링(36)과, 상기 제1작동링크(30)와 대칭형상으로 구비되며 핸들(100)과 연결되는 연결로드(12)가 연결되고 제2회전축(44)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작동링크(30)의 장공(32)에 힌지(42) 결합되어 상기 제1작동링크(30)와 동시에 연동되며 다른 일측의 래치부(200)와 연결되는 작동로드(22)가 연결되는 제2작동링크(40)와, 상기 회동되는 제2작동링크(40)의 복귀를 위하여 상기 제2작동링크(40)가 항시 일정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당겨주어 탄지 되도록 한 탄성스프링(46)으로 이루어져 핸들(100)로부터 전해지는 작용력에 의하여 토션스프링(36)과 탄성스프링(46)에 의하여 탄지되는 제1작동링크(30) 및 이와 연계되어 회동되는 제2작동링크(40)의 회동이 동시에 이루어지며 각 래치부(200)로 연결된 작동로드(20)(22)가 당겨지도록 한 구성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제1작동링크(30) 및 제2작동링크(40)는 상기 제1회전축(34) 및 제2회전축(44)으로 회동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며 연결로드(10)(12) 및 작동로드(20)(22)의 연결을 위한 각 연결부(38)(48)가 십자형으로 형성되며 그 중 제2작동링크(40)가 접촉되는 제1작동링크(30)의 연결부(38) 단부에 장공(32)을 관통하고, 상기 제1작동링크(30)의 장공(32)이 관통된 연결부(38)와 접촉되는 제2작동링크(40)의 연결부(48)의 단부에 상기 장공(32)에 삽입되는 힌지(42)가 부시(50) 결합되는 특징을 갖는 구성이다.
이때, 미설명 부호인 (210),(220)은 제1작동링크의 회동을 방지하기 위한 잠금장치 및 록킹로드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핸들(100)과 연결되는 연결로드(10)(12)가 연결되는 각각 연결되는 제1작동링크(30) 및 제2작동링크(40)는 그 중앙에 결합된 제1회전축(34) 및 제2회전축(44)을 중심으로 회동되며 그 하측으로 래치부(200)와 연결된 작동로드(20)(22)를 당겨주어 상기 래치부(200)의 해제가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작동링크(30) 및 제2작동링크(40)는 토션스프링(36)과 탄성스프링(46)에 의하여 각각 탄지되어 일측 방향으로 탄지되어 핸들(100)의 작용력이 미치지 않을 경우에는 래치부(200)의 잠김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핸들(100)의 작동에 따라 상기 토션스프링(36)과 탄성스프링(46)에 의하여 탄지되는 제1작동링크(30) 및 제2작동링크(40)가 회동되며 래치부(200)와 연결된 작동로드(20)(22)를 당겨주게되어 래치부(200)의 해제가 이루어진다.
한편, 제1작동링크(30) 및 상기 제1작동링크(30)가 상기 제2작동링크(40)와 접촉되는 연결부(38)에 관통된 장공(32)에 연결부(48)의 힌지(42) 결합되는 상기 제2작동링크(40)는 상기 힌지(42)에 의하여 동시에 연계 동작되어 작동로드(20)(22)로 연결된 양측의 각 래치부(200)가 동시에 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작동링크(30)의 장공(32)에 결합되는 제2작동링크(40)의 힌지(42)는 제1회전축(34) 및 제2회전축(44)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제1작동링크(30) 및 제2작동링크(40)의 회동에 따라 가변되는 중심거리가 흡수되어 상기 제1작동링크(30) 및 제2작동링크(40)의 회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인 버스 화물함 도어용 링크구조를 제공하면 핸들로부터 래치부로 그 작용력을 전달하는 작동링크에 집중되는 하중을 분산하여 각 래치부와 연결되는 작동로드의 동작이 용이하도록 하여 래치부의 동작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록킹된 래치부의 해제를 위한 핸들의 작동이 용이하여 도어의 개방에 따른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힘의 집중에 따른 도어의 처짐과 변형, 그리고 외관 불량이 불량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품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제공된다.

Claims (2)

  1. 핸들(100)의 작용력을 전달하는 연결로드(10)가 일측에 연결되며 그 작용력을 일측의 래치부(200)로 전달하기 위한 작동로드(20)가 연결되며 일측에는 제2작동링크(40)와 힌지(42)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장공(32)이 관통되는 제1작동링크(30)와;
    상기 제1작동링크(30)를 회동 가능한 구조로 제1회전축(34)으로 결합하고 항시 일정방향으로 탄지 되도록 상기 제1회전축(34)에 삽입되어 탄지되는 토션스프링(36)과;
    상기 제1작동링크(30)와 대칭형상으로 구비되며 핸들(100)과 연결되는 연결로드(12)가 연결되고 제2회전축(44)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작동링크(30)의 장공(32)에 힌지(42) 결합되어 상기 제1작동링크(30)와 동시에 연동되며 다른 일측의 래치부(200)와 연결되는 작동로드(22)가 연결되는 제2작동링크(40)와;
    상기 회동되는 제2작동링크(40)의 복귀를 위하여 상기 제2작동링크(40)가 항시 일정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당겨주어 탄지되도록 한 탄성스프링(46)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화물함 도어용 링크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작동링크(30) 및 제2작동링크(40)는 상기 제1회전축(34) 및 제2회전축(44)으로 회동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며 연결로드(10)(12) 및 작동로드(20)(22)의 연결을 위한 각 연결부(38)(48)가 십자형으로 형성되며 그 중 제2작동링크(40)가 접촉되는 제1작동링크(30)의 연결부(38) 단부에 장공(32)을 관통하고, 상기 제1작동링크(30)의 장공(32)이 관통된 연결부(38)와 접촉되는 제2작동링크(40)의 연결부(48)의 단부에 상기 장공(32)에 삽입되는 힌지(42)가 부시(50)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화물함 도어용 링크구조.
KR2019970036758U 1997-12-12 1997-12-12 버스 화물칸 도어용 링크구조 KR2001774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6758U KR200177402Y1 (ko) 1997-12-12 1997-12-12 버스 화물칸 도어용 링크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6758U KR200177402Y1 (ko) 1997-12-12 1997-12-12 버스 화물칸 도어용 링크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4304U KR19990024304U (ko) 1999-07-05
KR200177402Y1 true KR200177402Y1 (ko) 2000-04-15

Family

ID=19516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6758U KR200177402Y1 (ko) 1997-12-12 1997-12-12 버스 화물칸 도어용 링크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7402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4947B1 (ko) * 2000-12-19 2003-05-2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프론트 도어의 잠금노브레버 절환장치
KR100844667B1 (ko) 2006-09-29 2008-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버스 플랩도어의 핸들구조
KR100850979B1 (ko) 2007-10-31 2008-08-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버스의 플랩도어 개폐장치
KR100962135B1 (ko) 2008-05-27 2010-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버스의 비상구 로킹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4947B1 (ko) * 2000-12-19 2003-05-2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프론트 도어의 잠금노브레버 절환장치
KR100844667B1 (ko) 2006-09-29 2008-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버스 플랩도어의 핸들구조
KR100850979B1 (ko) 2007-10-31 2008-08-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버스의 플랩도어 개폐장치
KR100962135B1 (ko) 2008-05-27 2010-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버스의 비상구 로킹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4304U (ko) 199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93593A (en) Latch device used in vehicle door
JP3586159B2 (ja) 車両用ドア開閉装置
KR100204959B1 (ko) 자동차용 도어 개폐 장치
WO1998049417A1 (en) Control assembly for lift gate or sliding and cargo doors
US3339226A (en) Toggle linkage for vehicle door hinge
US5433039A (en) Two-way motor vehicle door
KR200177402Y1 (ko) 버스 화물칸 도어용 링크구조
KR100320817B1 (ko) 자동차의 테일게이트용 잠금장치
US3582120A (en) Cargo door latching mechanism
KR20090102045A (ko) 자동차용 직결식 도어래치 장치
KR0118543Y1 (ko) 자동차용 뒷문의 잠금장치
KR20000021757A (ko) 차량의 테일 게이트 및 테일 게이트 글라스 록/언록 장치
KR19990009351U (ko) 도어 잠금장치
KR100443967B1 (ko) 자동차 도어의 록킹장치
KR200207583Y1 (ko) 버스용 엔진룸 도어 록킹장치
KR20010066198A (ko) 자동차용 글로브 박스 잠금장치
KR19980042254U (ko) 도어 록크의 아우터 핸들 구조
KR0158147B1 (ko) 자동차용 도어의 인사이드 핸들
KR20030008971A (ko) 차량용 플립 업 타입 테일 게이트 시스템
JP4632218B2 (ja) 扉のハンドル装置
KR910002924Y1 (ko) 벤 도어 록크(Van Door Lock) 장치
KR0114860Y1 (ko) 자동차의 도어 록킹장치
KR200156548Y1 (ko) 자동차 도어의 스토퍼
KR200142251Y1 (ko) 차량용 도어 록킹장치
JPS6229592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2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