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3789B1 - 자동차용 글로브박스의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글로브박스의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3789B1
KR101123789B1 KR1020090094368A KR20090094368A KR101123789B1 KR 101123789 B1 KR101123789 B1 KR 101123789B1 KR 1020090094368 A KR1020090094368 A KR 1020090094368A KR 20090094368 A KR20090094368 A KR 20090094368A KR 101123789 B1 KR101123789 B1 KR 1011237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ove box
contact portion
opening
door
operat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4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7094A (ko
Inventor
김진태
Original Assignee
덕양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덕양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덕양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4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3789B1/ko
Publication of KR20110037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70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37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37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28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 E05B83/30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for glov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6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or below dashboards

Landscapes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글로브박스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소정의 물건을 수납할 수 있도록 자동차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조작력을 제공받는 노브의 조작을 통해 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된 걸림홈에 걸림된 작동로드가 해제되면서 도어를 개폐시키는 자동차용 글로브박스의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동로드는 상기 걸림홈에 걸림되는 일측에 소정 두께를 가지도록 탄성재질을 가지는 접촉부가 형성되며, 상기 접촉부의 끝단은 상기 도어를 닫을 시 도어 진입 방향에 대하여 소정각도로 경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작동로드 끝단에 일체로 형성된 탄성재질(고무)의 접촉부를 통해 글로브박스의 도어를 닫을 시 발생되는 노이즈 제거와 스크래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글로브박스, 고무, 개폐장치, 사출성형

Description

자동차용 글로브박스의 개폐장치{Device for opening and shutting glove box of car}
본 발명은 자동차용 글로브박스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글로브박스 개폐장치의 구조적 특징을 개선하여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글로브박스(Glove Box)는 자동차의 인스트루먼트패널의 조수석에 설치되어 물품을 보관하기 위하여 힌지결합에 의해 회동하면서 개폐되는 차량용 보관박스를 지칭하는 말이다.
자동차 산업이 발전하면서 단순 물품 보관함으로만 사용되어 왔던 글로브박스가 근래에는 냉/온 기능이 부가되어 기능적인 면에서 사용자들에게 한층 더 높은 편의성을 제공하고 있다.
글로브박스는 잠금장치와 개폐장치가 설치되는데, 잠금장치는 키(key)를 이용하여 타인이 함부로 개방하지 못하게 잠금 시킬 때 사용하며, 개폐장치는 박스를 개방할 때 잠금장치가 해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작하여 개방하게 된다.
이러한 글로브박스의 개폐장치는 꾸준한 기술개발로 인하여 조작의 편의성, 설치의 간소화, 단순 메카니즘으로 인한 비용절감 등 여러 방면으로 개폐장치가 제안되어 왔다.
도 1 내지 도 2는 종래의 글로브박스 개폐장치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차량의 내부 전면부에는 도어에 인접한 운전석의 전면부분에 계기판이 설치되는 인스트루먼트패널과 상기 인스트루먼트패널의 조수석에 사물을 보관하도록 하는 글로브박스와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설치되는 콘솔박스와 상기 인스트루먼트패널의 중심부분에 오디오, 에어콘 및 히터 등을 작동하도록 하는 센터페시아 등이 설치되어진다.
글로브박스는 인스트루먼트패널의 조수석에 개방된 공간부를 형성하고 그 내부에서 열고 닫히도록 힌지를 조립하여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서, 종래의 일반적인 힌지 조립구조는 경첩을 사용하거나 핀을 사용하여서 조립하도록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글로브박스 개폐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글로브박스(20)의 전면에 설치된 노브(Knob)를 작동하여서 누름레버(10)를 눌러서 구동링크(12)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제1구동돌기(14)를 오른쪽으로 이동시키도록 하고, 상기 구동링크(12)의 회전에 의하여 고정홈(16)에 삽입된 연결돌기(22)에 의하여서 피동링크(21)가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2구동돌기(24)를 왼쪽으로 동작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2구동돌기(14)(24)가 동작함에 따라 이에 설치홈(28)(34)이 결합된 제1,2작동로드(30)(32)가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글로브 박스(20)의 걸림 상태를 해제하도록 한다.
다른 종래의 기술로 도 2를 살펴보면, 마찬가지로 글로브박스(20) 저면에 설치되는 노브(40)의 배면으로 걸리는 걸림턱(42)에 의하여 수평으로 이동하는 제1작동로드(44)와, 상기 제 1작동로드(44)의 일측에 형성된 제1기어치(46)에 맞물려져서 회전축(52)에 대하여 회전하는 중심기어(50)와, 상기 중심기어(50)의 기어치에 제2기어치(62)가 맞물려서 상기 제1작동로드(44)에 대하여 반대방향으로 작동하여서 글로브박스(20)를 개방하도록 하는 제 2작동로드(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글로브박스의 도어를 잠금하는 작동로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의 일측으로 걸림홈이 형성되어 여기에 걸림되어 도어가 잠금되고, 노브의 조작으로 작동로드가 해제 방향으로 이동하면 걸림홈에서 이탈되어 도어가 개방되게 된다.
또한, 도어를 닫을 때에는 탄성력을 제공받는 작동로드가 하우징에 결합홈에 진입하기 직전에 일정량 이동한 후 걸합홈에 완전 진입하면 탄성력이 회복되면서 걸림홈에 결합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기술은 작동로드가 결합홈에 진입할 때 순간 탄성회복으로 인하여 노이즈("딱")가 발생하고, 플라스틱 계열의 합성수지로 제작되기 때문에 도어 폐쇄 시 결합홈 진입면에 강한 스크래치가 발생되어 외관 품질을 저하시킨다.
또한, 다른 종래기술로는 별도의 결합홈(BEZEL)을 제작하여 조립하는 방법을 채택하고 있으나, 이것은 별도 제작에 따른 원가 및 중량 증대와 조립 및 매칭 구조가 매우 난이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글로브박스의 도어 폐쇄시 발생되는 노이즈 제거와 스크래치 발생 억제 및 저비용으로 효과적인 글로브박스 개폐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소정의 물건을 수납할 수 있도록 자동차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조작력을 제공받는 노브의 조작을 통해 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된 걸림홈에 걸림된 작동로드가 해제되면서 도어를 개폐시키는 자동차용 글로브박스의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동로드는 상기 걸림홈에 걸림되는 일측에 소정 두께를 가지도록 탄성재질을 가지는 접촉부가 형성되며, 상기 접촉부의 끝단은 상기 도어를 닫을 시 도어 진입 방향에 대하여 소정각도로 경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촉부는, 인서트 사출을 통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도어를 닫을 시 상기 접촉부와 접하는 진입로로 상기 경사면에 대응하는 하우징 경사부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촉부는, 끝단에서부터 탄성재질이 형성되는 영역을 조절하여 탄성변형의 크기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도어를 닫을 시 작동로드에 가해지는 압축력 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촉부는, 상기 걸림홈에 걸림되는 위치까지는 내측으로 작동로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동로드는, 상기 접촉부가 형성되는 부분으로 소정깊이의 고정홈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접촉부 형성 시 상기 고정홈으로 요입되어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접촉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은 작동로드의 끝단을 탄성재질의 고무를 일체로 사출 성형함으로써 도어를 닫는 과정에서 작동로드가 결합홈에 걸림될 때 발생되는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고, 작동로드가 걸림홈에 걸림되기 위한 진입로에 발생되는 스크래치 문제점을 해소하여 외관상의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별도의 LOOK BEZEL 적용에 따른 원가, 중량 증가 및 이탈에 따른 법규 시험 불만족 등의 문제점을 모두 해소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글로브박스의 개폐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글로브박스 개폐장치의 작동로드를 나타낸 단면도 및 동작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작동로드의 단면도 및 동작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작동로드의 고정홈을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작동로드의 제작 공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글로브박스의 개폐장치는, 소정의 물건을 수납할 수 있도록 자동차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조작력을 제공받는 노브의 조작을 통해 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된 걸림홈에 걸림된 작동로드(100)가 해제되면서 도어를 개폐시키는 자동차용 글로브박스의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동로드는 상기 걸림홈(200)에 걸림되는 일측에 소정 두께를 가지도록 탄성재질을 가지는 접촉부(110)가 형성되며, 상기 접촉부의 끝단은 상기 도어를 닫을 시 도어 진입 방향에 대하여 소정각도로 경사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작동로드(100)는 일반적으로 글로브박스의 도어상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조작력을 제공받는 노브(미도시)에 의해 선형 이동하면서 도어의 개폐를 결정한다. 도면에 도시하진 않았지만, 일반적으로 두 개의 작동로드가 구비되고 노브를 조작하면 글로브박스 하우징에 형성된 걸림홈에 걸림되어 있는 상기 작동로드(100)의 끝단이 걸림홈에서 이탈하면서 도어가 개방된다.
여기서 상기 작동로드(100)의 끝단으로는 탄성재질의 접촉부(110)가 형성되는 것을 본 발명의 주요 기술적 요지에 해당한다. 탄성재질은 바람직하게는 고무이며, 그 재료로는 니트릴 고무, 아크릴 고무, 우레탄 고무, 실리콘 고무 등 다양한 재질이 적용될 수 있으며, 글로브박스의 구조적 특성에 따라 고무의 기계적, 물리적 특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접촉부는 도어를 닫을 시 발생되는 기존의 노이즈("딱")를 제거하고 스크래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탄성력을 가지는 합성수지를 인서트 사출하여 작동로드의 끝단에 일체로 형성한다. 형성방법으로는 기 준비된 작동로드의 끝단으로 접촉부가 형성될 수 있도록 형성공간을 확보한 후 그 자리에 접촉부를 사출하여 성형한다.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부 끝단에서부터 탄성재질이 형성되는 영역을 조절하여 탄성변형 영역의 크기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도어를 닫을 시 작동로드에 가해지는 압축력을 제어한다.
이것은 접촉부 끝단에서부터 고무 영역의 짧으면 도어를 닫을 때 작동로드의 압축이 크게 일어나면서 접촉부가 거의 탄성변형되지 않고 작동로드의 압축만으로 걸림홈에 걸림되기 위해 진입한다. 접촉부 끝단에서부터 고무 영역의 길이가 길면 도어를 닫을 때 작동로드의 압축이 적게 일어나고 접촉부가 탄성변형이 많이 일어나면서 하우징의 걸림홈(200)으로 진입한다.
한편, 상기 접촉부의 끝단으로는 소정각도를 가지는 경사부(120)를 더 형성시킨다. 상기 경사부(120)는 걸림홈으로 작동로드가 진입할 때 진입을 용이하게 즉, 작동로드의 선형 압축이 잘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대응하는 하우징에도 소정각도를 가지는 하우징 경사부(21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촉부를 형성할 때 접촉부 내측으로는 작동로드가 형성되어 있 는데, 작동로드의 형성 길이는 걸림홈에 걸림되는 위치까지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글로브박스가 닫혀 있을 때 고무의 탄성 특성상 지지력이 떨어질 수 있음으로 지지력 보강을 위하여 걸림홈에 걸림되는 지점에는 내측으로 작동로드가 연장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
한편, 상기 접촉부가 형성되는 작동로드의 영역으로는 다수의 고정홈(130)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홈은 작동로드에 탄성재질의 접촉부가 사출 형성될 때 홈 내부로 요입되어 접촉부가 작동로드에서 일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고정홈(13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고정홈을 형성시키거나 하나로 형성시킬 수 있으며, 접촉부의 이탈방지를 위한 구조는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도 7은 접촉부를 형성하기 위한 작동로드 제작 공정 순서를 나타낸 것이다. 작동로드의 끝단으로 접촉부를 형성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로드를 준비한다. 이때 로드 끝단으로 형성될 접촉부의 영역을 고려하여 작동로드를 제작하여 준비한다.
준비된 작동로드를 금형에 장착한 후 접촉부가 형성될 공간으로 탄성재료(고무원료)를 주입하여 접촉부를 형성시킨다. 이때 금형에는 경사부가 형성되도록 준비하여 사출 성형 시 경사부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작동로드가 걸림되기 위해 걸림홈으로 진입하기 위한 진입로 즉, 경사부와 접하는 면으로 소정각도의 경사를 갖도록 하우징 경사부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결합홈과 걸림 고정되는 작동로드의 끝단을 고무재질로 일체 사출 성형함으로써 도어 닫음 시 노이즈와 스크래치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글로브박스 개폐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다른 종래기술에 따른 글로브박스 개폐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글로브박스 개폐장치의 작동로드가 걸림되는 걸림홈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글로브박스 개폐장치의 작동로드를 나타낸 단면도 및 동작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작동로드의 단면도 및 동작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작동로드의 고정홈을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작동로드의 제작 공정을 나타낸 공정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작동로드 110 : 접촉부
120 : 경사면 130 : 고정홈
200 : 걸림홈 210 : 하우징 경사부
300 : 금형

Claims (6)

  1. 소정의 물건을 수납할 수 있도록 자동차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조작력을 제공받는 노브의 조작을 통해 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된 걸림홈에 걸림된 작동로드가 해제되면서 도어를 개폐시키는 자동차용 글로브박스의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동로드는 상기 걸림홈에 걸림되는 일측에 소정 두께를 가지도록 탄성재질을 가지는 접촉부가 형성되며,
    상기 접촉부의 끝단은 상기 도어를 닫을 시 도어 진입 방향에 대하여 소정각도로 경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도어를 닫을 시 상기 접촉부와 접하는 진입로로 상기 경사부에 대응하는 하우징 경사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글로브박스의 개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인서트 사출을 통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글로브박스의 개폐장치.
  3. 삭제
  4. 제 1항 내지 제 2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끝단에서부터 탄성재질이 형성되는 영역을 조절하여 탄성변형의 크기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도어를 닫을 시 작동로드에 가해지는 압축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글로브박스의 개폐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걸림홈에 걸림되는 위치까지는 내측으로 작동로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글로브박스의 개폐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로드는,
    상기 접촉부가 형성되는 부분으로 소정깊이의 고정홈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접촉부 형성 시 상기 고정홈으로 요입되어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접촉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글로브박스의 개폐장치.
KR1020090094368A 2009-10-05 2009-10-05 자동차용 글로브박스의 개폐장치 KR1011237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4368A KR101123789B1 (ko) 2009-10-05 2009-10-05 자동차용 글로브박스의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4368A KR101123789B1 (ko) 2009-10-05 2009-10-05 자동차용 글로브박스의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7094A KR20110037094A (ko) 2011-04-13
KR101123789B1 true KR101123789B1 (ko) 2012-03-12

Family

ID=44044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4368A KR101123789B1 (ko) 2009-10-05 2009-10-05 자동차용 글로브박스의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37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63365A1 (ja) * 2015-04-07 2016-10-13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開閉体のロック装置
CN106958392A (zh) * 2017-04-28 2017-07-18 北京汽车股份有限公司 手套箱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2294Y1 (ko) * 1995-06-23 1998-07-15 한승준 차량용 글로브박스의 이음방지구조
KR100357796B1 (ko) * 1999-11-26 2002-10-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글로브 박스 록크구조
JP2006044506A (ja) * 2004-08-05 2006-02-16 Kojima Press Co Ltd 車両用収納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2294Y1 (ko) * 1995-06-23 1998-07-15 한승준 차량용 글로브박스의 이음방지구조
KR100357796B1 (ko) * 1999-11-26 2002-10-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글로브 박스 록크구조
JP2006044506A (ja) * 2004-08-05 2006-02-16 Kojima Press Co Ltd 車両用収納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7094A (ko) 2011-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35428B2 (en) Lock unit having a slotted pawl
JP5004268B2 (ja) 押上装置
EP2776651B1 (en) Lock device having a multi-part pawl
US9777515B2 (en) Motor-vehicle door lock
US10767396B2 (en) Vehicular latch assembly with latch mechanism having pop-off sound reduction
CN108474225B (zh) 机动车锁
JP2014507581A (ja) 自動車用ロックおよび製造方法
JP2021503053A (ja) 安全装置のある車両用ドアラッチ
KR101123789B1 (ko) 자동차용 글로브박스의 개폐장치
US9718350B2 (en) Structure of fuel door
CN114080484B (zh) 机动车门锁
KR20200075384A (ko) 연료 도어 오프너 어셈블리
KR100956483B1 (ko) 자동차용 글로브박스의 개폐장치
KR20060062052A (ko)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의 래치 해제 방지 구조
CN111836940B (zh) 用于机动车技术方面的应用的关闭装置
JP6135281B2 (ja) 自動車用ドアラッチ装置
KR100348095B1 (ko)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래치
KR101833872B1 (ko) 글로브박스
US9517810B2 (en) Glove compartment
KR100826577B1 (ko) 자동차용 글로브박스의 개폐장치
KR20190068342A (ko)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JP5062024B2 (ja) グラブボックス
KR101193625B1 (ko) 글로브 박스의 셀프 로킹 장치
KR20090124499A (ko) 스위치 조립체
US8672369B2 (en) Door lock indicator ar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