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5565B1 - 백셋 조절이 가능한 도어 줌업 래치 및 그를 구비한 디지털 도어락 장치 - Google Patents

백셋 조절이 가능한 도어 줌업 래치 및 그를 구비한 디지털 도어락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5565B1
KR101425565B1 KR1020140015691A KR20140015691A KR101425565B1 KR 101425565 B1 KR101425565 B1 KR 101425565B1 KR 1020140015691 A KR1020140015691 A KR 1020140015691A KR 20140015691 A KR20140015691 A KR 20140015691A KR 101425565 B1 KR101425565 B1 KR 1014255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moving body
door
bolt head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5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재욱
강재석
Original Assignee
강재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재욱 filed Critical 강재욱
Priority to KR1020140015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55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55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5565B1/ko
Priority to CN201710796454.8A priority patent/CN107575085B/zh
Priority to CN201580006719.9A priority patent/CN105940171B/zh
Priority to US15/115,936 priority patent/US10400479B2/en
Priority to CN201910257570.1A priority patent/CN109812149A/zh
Priority to PCT/KR2015/001370 priority patent/WO2015122683A1/ko
Priority to JP2016549272A priority patent/JP6279752B2/ja
Priority to JP2017158237A priority patent/JP6475797B2/ja
Priority to JP2017158238A priority patent/JP6490762B2/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6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with lengthwise-adjustable bolts ; with adjustable backset, i.e. distance from door edg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5/00Locks in which a sliding latch is used also as a locking bol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8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 E05C1/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Abstract

백셋 조절이 가능한 도어 줌업 래치 및 그를 구비한 디지털 도어락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셋 조절이 가능한 도어 줌업 래치는, 래치 이동 본체; 및 래치 이동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래치 볼트 헤드; 및 래치 이동 본체와 래치 볼트 헤드의 상대적인 거리를 조절하면서 래치 이동 본체와 래치 볼트 헤드를 결합시키는 백셋 조절 결합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백셋 조절이 가능한 도어 줌업 래치 및 그를 구비한 디지털 도어락 장치{BACK SET ADJUSTABLE DOOR ZOOM UP LATCH AND DIGITAL DOOR LOCK APAR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백셋 조절이 가능한 도어 줌업 래치 및 그를 구비한 디지털 도어락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도어의 백셋 규격에 대응할 수 있는 백셋 조절이 가능한 도어 줌업 래치 및 그를 구비한 디지털 도어락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에 구비되는 도어 래치(Latch)는, 도어 내측 측면에 설치되어, 도어 외측 레버 타입 또는 둥근 모양의 볼 손잡이의 회전에 의해 전진 또는 후진하는 래치볼트 유닛을 포함한다. 이때 래치볼트 유닛의 전진은 도어 외측으로 튀어나오는 움직임을 말하며, 래치볼트 유닛의 후진은 도어 내측으로 들어가는 움직임을 말한다.
이러한 래치볼트 유닛은 전단부의 일부가 라운드지게 곡면으로 경사져 형성되어, 전진되어 있는 상태에서 레버 조작 없이 문이 닫히더라도, 경사면이 문턱 또는 벽면과 접촉하여 자연스럽게 후퇴함으로써, 자연스러운 도어의 닫힘이 가능하다.
한편, 문틀 또는 벽면에는 래치볼트 유닛이 삽입될 수 있는 래치볼트 유닛 삽입홈이 형성되며, 이러한 구조로 인해, 도어가 닫히면, 래치볼트 유닛이 래치볼트 유닛 삽입홈에 삽입되는데, 레버를 돌리지 않은 상태에서 도어를 닫더라도, 전술한 바와 같이, 래치볼트 유닛이 문틀 또는 벽면에 의해 밀리어 자연스럽게 후진하고, 문틀 또는 벽면에 형성된 볼트 삽입 홈이 있는 위치까지 오면, 내장된 스프링 등의 탄성에 의해, 다시 외측으로 전진하여, 도어의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렇게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잠금 장치를 작동시키면, 외부에서는 레버를 돌려 도어를 열 수 없게 된다. 이때, 잠금의 해제를 위해서는, 도어 내부에서 잠금 해제 조작을 하거나, 도어 외부에서 키(key)로 잠금 상태를 해제시켜야 한다.
그러나, 래치볼트 유닛에 경사면이 존재함으로 인해, 외부에서 문틈으로 플라스틱 카드나 기타 부재를 강제로 삽입시켜, 래치볼트 유닛을 강제로 후퇴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외부 침입자에 의해 잠금 상태가 강제로 해제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문 열림 방지를 위해 추가로 데드 볼트 등을 구비하여 래치볼트 유닛의 강제 후퇴를 방지하고 있으나 그 구성이 복잡하고 문과 문틀의 틈이 벌어져 있을 경우나, 문의 변형 등으로 본래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여 안전 상에 취약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한편, 도어락을 출입문에 설치할 시에는 출입문에 설치용 구멍을 형성해 주게 되는데 이때 출입문은 그 가장자리에서부터 설치용 구멍의 중심까지 갖는 거리, 즉 백셋(Back Set)이 약 60mm 또는 약 70mm를 갖도록 규격화된 두 종류의 출입문이 일반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다양한 도어의 백셋 규격에 따라 도어 래치를 각각 구비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므로 백셋의 규격이 다르게 제작되는 출입문에 구분없이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백셋 조절기능(Adjustable Backset)이 도어 래치에 요구되나 백셋 조절기능(Adjustable Backset)이 구비된 도어 래치는 아직 개시된 바 없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특1995-0027149호(1995.10.16)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데드 볼트와 래치 볼트의 두 가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단부에 백셋(back set)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도어의 백셋 규격에 대응할 수 있는 백셋 조절이 가능한 도어 줌업 래치 및 그를 구비한 디지털 도어락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래치 이동 본체; 상기 래치 이동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래치 볼트 헤드; 및 상기 래치 이동 본체와 상기 래치 볼트 헤드의 상대적인 거리를 조절하면서 상기 래치 이동 본체와 상기 래치 볼트 헤드를 결합시키는 백셋 조절 결합 유닛을 포함하는 백셋 조절이 가능한 도어 줌업 래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백셋 조절 결합 유닛은, 상기 래치 이동 본체와 상기 래치 볼트 헤드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래치 이동 본체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샤프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샤프트에는 복수의 걸림부가 마련되며, 상기 백셋 조절 결합 유닛은, 상기 결합샤프트의 상기 복수의 걸림부와 선택적으로 걸림되어 상기 결합샤프트의 상기 래치 이동 본체에서의 상대적인 이동을 제한하는 백셋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백셋 조절 결합 유닛은, 상기 결합샤프트를 상기 래치 볼트 헤드 측으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백셋 조절 결합 유닛은, 상기 래치 볼트 헤드와 결합되고 상기 결합샤프트가 상기 래치 이동 본체 측으로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결합샤프트가 관통 결합되며, 상기 탄성부재에 의하여 상기 래치 볼트 헤드 측으로 탄성 가압되는 지지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샤프트는, 상기 래치 볼트 헤드에서 상기 래치 이동 본체 방향으로 길게 마련되는 결합봉; 및 상기 결합봉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결합헤드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기 래치 볼트 헤드 측에는 상기 결합헤드가 수용 가능하도록 표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된 수용홈이 마련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래치 이동 본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결합샤프트는, 상기 래치 볼트 헤드에서 상기 래치 이동 본체 방향으로 길게 마련되며, 상기 지지프레임에 일체로 결합되는 결합봉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래치 이동 본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걸림부는 상기 결합봉의 회전에 따라 상기 백셋 스토퍼에 선택적으로 걸림되도록 상기 결합봉에 마련되는 복수의 걸림벽이며, 상기 결합봉에는, 상기 결합봉의 회전에 의해 상기 복수의 걸림벽과 상기 백셋 스토퍼의 걸림이 해제되고 상기 결합봉이 상기 백셋 스토퍼를 통과할 수 있도록, 절취된 절취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걸림벽은, 제1 걸림벽; 및 상기 제1 걸림벽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이격된 제2 걸림벽을 포함하며, 상기 백셋 스토퍼에는 통과공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결합봉은 회전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걸림벽에 상기 백셋 스토퍼가 걸림되거나 상기 결합봉의 단면이 상기 백셋 스토퍼의 통과공에 통과가능하도록 형상 맞춤되도록 상기 걸림벽과 상기 절취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에 연결되되 상기 래치 이동 본체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는 래치 이동 본체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래치 이동 본체와 상기 래치 볼트 헤드가 수용되는 래치 바디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래치 이동 본체 커버에는 표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돌기가 마련되며, 상기 래치 바디 유닛에는 상기 돌기가 삽입 가능하되 상기 래치 이동 본체 커버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결합샤프트는 상기 래치 볼트 헤드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레버가 결합되어 도어의 실내 측과 실외 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레버 고정구; 및 한 쌍의 상기 도어락 본체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도어를 문틀에 잠금 및 잠금해제시키도록 상기 도어에 설치되는 상기 도어 래치를 포함하는 디지털 도어락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데드 볼트와 래치 볼트의 두 가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단부에 백셋(back set)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도어의 백셋 규격에 대응할 수 있는 백셋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장치가 도어에 설치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도어 래치의 백셋 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래치볼트 유닛의 주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1의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도어 래치의 백셋 조절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어 래치의 절단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도어 래치의 래치 이동 본체 커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의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도 1의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단계별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어 래치의 내부 정면도들이다.
도 12는 도 1의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도 8 대비 반대 방향에서 바라 본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의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도어 래치의 래치 이동 본체의 레일부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도어 래치의 백셋 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래치볼트 유닛의 주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도어 래치의 백셋 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래치볼트 유닛의 주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장치가 도어에 설치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장치는, 레버(5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도어(10)의 실내 측과 실외 측에 결합되는 한 쌍의 레버 고정구(100)와, 레버(50)에 의해 회전되도록 한 쌍의 레버 고정구(100)에 결합되는 회전 연결 유닛(105)과, 한 쌍의 레버 고정구(100) 사이에 배치되되 도어(10)를 문틀(미도시)에 잠금 및 잠금 해제시키도록 도어(10)의 측벽부에 설치되어 회전 연결 유닛(105)에 의한 회전력을 입력받는 도어 래치(110)를 포함한다.
한 쌍의 레버 고정구(100)는, 레버(5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레버(50)의 배치 부위에 회전결합 홀(미도시)이 마련되는 도어락 바디(101)와, 레버(50)와 결합되어 도어락 바디(101)의 회전결합 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하우징(103)을 포함한다.
회전 연결 유닛(105)은, 레버(50)와 도어 래치(110)를 연결하여 레버(50)의 회전력을 도어 래치(110)로 전달한다.
이러한 회전 연결 유닛(105)은, 한 쌍의 레버 고정구(100)가 도어에 설치될 때, 도어의 두께에 따라 한 쌍의 레버 고정구(100)는 상호 이격되는데, 이때 레버(50)가 결합되는 회전 하우징(103)과 도어 래치(110)의 연결상태를 유지하여 레버(50)로부터 도어 래치(110) 측으로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도어 래치(110)는, 한 쌍의 레버 고정구(100)에 설치되어 도어(10)를 문틀(미도시)에 잠금시키고, 반대로 레버(50), 키, 인증부 등에 의해 작동되어 도어(10)를 문틀(미도시)로부터 잠금해제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도어 래치(110)는, 데드 볼트와 래치 볼트의 두 가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단부에 백셋(back set)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도어의 백셋 규격에 대응할 수 있다.
이러한 도어 래치(110)는, 본 실시 예에서, 래치 바디 유닛(120)과, 스토퍼 유닛(170)과, 래치볼트 유닛(200)과, 래치볼트 지지유닛(160)을 포함하는데, 우선 백셋 거리 조절 설명을 위하여 래치볼트 유닛(200)에 대하여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1의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도어 래치의 백셋 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래치볼트 유닛의 주요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4 내지 도 6은 도 1의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도어 래치의 백셋 조절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어 래치의 절단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1의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도어 래치의 래치 이동 본체 커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도어 래치(110)의 래치볼트 유닛(200)은, 래치 이동 본체(210)와, 래치 이동 본체(2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래치 볼트 헤드(220)와, 래치 이동 본체(210)와 래치 볼트 헤드(220)의 상대적인 거리를 조절하면서 래치 이동 본체(210)와 래치 볼트 헤드(220)를 결합시키는 백셋 조절 결합 유닛(230)을 포함한다.
백셋 조절 결합 유닛(230)은, 래치 이동 본체(210)와 래치 볼트 헤드(220) 사이에 배치되며 래치 이동 본체(210)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샤프트(231)와, 결합샤프트(231)의 래치 이동 본체(210)에서의 상대적인 이동을 제한하는 백셋 스토퍼(235)와, 결합샤프트(231)를 래치 볼트 헤드(220) 측으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부재(237)와, 래치 볼트 헤드(220)와 결합되고 결합샤프트(231)가 래치 이동 본체(210) 측으로 이동을 제한하도록 결합샤프트(231)가 관통 결합되되 탄성부재(237)에 의하여 래치 볼트 헤드(220) 측으로 탄성 가압되는 지지프레임(238)과, 지지프레임(238)에 결합되어 지지프레임(238)과 함께 움직이되, 래치 이동 본체(210)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래치 이동 본체 커버(239)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탄성부재(237)는 지지프레임(238)과 래치 이동 본체(210) 사이에 배치되는 압축 및 토션 스프링(237)이다.
결합샤프트(231)는, 래치 볼트 헤드(220)에서 래치 이동 본체(210) 방향으로 길게 마련되는 결합봉(232)과, 결합봉(232)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결합헤드(233)를 포함한다.
결합봉(232)에는 결합봉(232)의 회전에 따라 백셋 스토퍼(235)에 선택적으로 걸림되도록 결합봉(232)에 마련되는 복수의 걸림벽(232a, 232b)과, 결합봉(232)의 어느 특정한 위치에서 백셋 스토퍼(235)를 통과할 수 있도록 일정 영역이 절취된 절취부(232c)가 마련된다.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걸림벽(232a, 232b)은 제1 걸림벽(232a)과, 제1 걸림벽(232a)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이격된 제2 걸림벽(232b)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백셋 거리가 제1 거리 예를 들어 60mm일 때 제1 걸림벽(232a)은 백셋 스토퍼(235)에 걸림되어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백셋 거리를 제2 거리 예를 들어 70mm로 조절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먼저 한쪽 손으로 지지프레임(238)이나 래치 이동 본체 커버(239)를 일정 각도 예를 들어 45도 정도 회전하게 되면 결합봉(232)의 단면은 백셋 스토퍼(235)에 형성된 통과공(236) 형상에 형상 맞춤이 되어 즉 복수의 걸림벽(232a, 232b)과 절취부(232c)에 의하여 결합봉(232)은 백셋 스토퍼(235)에 형성된 통과공(236) 형상에 형상 맞춤이 되어 결합봉(232)이 백셋 스토퍼(235)와의 걸림이 없게 된다.
이와 같이 결합봉(232)이 백셋 스토퍼(235)와의 걸림이 없게 되면 백셋 거리가 제1 거리에 있을 때 압축 상태로 있던 압축 및 토션 스프링(237)에 의하여 결합봉(232)은 래치 볼트 헤드(220) 측으로 전진하게 된다. 그 후 백셋 거리가 제2 거리 예를 들어 70mm로 조절이 완료되면, 최초 위치로 회전되도록 탄성 바이어스 된 압축 및 토션 스프링(237)에 의하여 일정 각도 예를 들어 45도 정도 원 위치로 회전되고 이에 의하여 제2 걸림벽(232b)이 백셋 스토퍼(235)에 걸리게 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압축 및 토션 스프링(237)은 백셋 거리가 제1 거리에 있을 때 압축 상태에 있어 결합봉(232)을 래치 볼트 헤드(220) 측으로 가압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최초 위치로 회전되도록 탄성 바이어스 되어 있어 결합봉(232)이 회전하게 되면 원 위치로 결합봉(232)을 회전하도록 가압하며 래치 볼트 헤드(220)의 전진 및 후진 시 래치볼트 유닛(200)이 흔들림 없이 정렬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한편 지지프레임(238)의 래치 볼트 헤드(220) 측에는 결합헤드(233)가 수용 가능하도록 표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된 수용홈(238a)이 마련되어 결합헤드(233)가 수용된다. 그리고 지지프레임(238)은 래치 볼트 헤드(220)와 결합되어 있으므로 결합샤프트(231)의 전진과 후진에 따라 결과적으로 지지프레임(238)과 래치 볼트 헤드(220)도 전진과 후진을 함께 하게 된다.
이와 같이 지지프레임(238)과 결합샤프트(231)는 전진과 후진을 함께 할 수 있는 구조이나 본 실시 예에서 지지프레임(238)과 결합샤프트(231)는 일체로 결합되지 않고 분리된 구조를 가지므로 래치 볼트 헤드(220)에 가해지는 하중에 대하여 결합샤프트(231)가 그 하중에 대하여 자유로운 구조를 갖는다. 이에 의하여 지지프레임(238)과 결합샤프트(231)가 일체로 결합된 경우 결합부위에 발생할 수 있는 집중 하중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래치 이동 본체 커버(239)는 지지프레임(238)에 결합되되 래치 이동 본체(210)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지지프레임(238)과 함께 움직인다. 즉 결합샤프트(231)가 백셋 거리 조절을 위하여 래치 이동 본체(210)로부터 더 돌출되게 되면 지지프레임(238)이 전방으로 더 위치 이동하게 되므로 이에 의하여 래치 이동 본체 커버(239)도 지지프레임(238)과 함께 이동한다. 래치 이동 본체 커버(239)는 이 경우 래치 이동 본체(210)와 래치 볼트 헤드(220) 사이에 발생되는 공간을 차폐하는 하우징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래치 이동 본체 커버(239)에는 표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돌기(234)가 마련된다. 자세히 후술하겠지만 래치 바디 유닛(120)에는 래치 이동 본체(210)와 래치 볼트 헤드(220)가 수용되는데, 래치 바디 유닛(120)의 전단부 상부 표면에는 래치 이동 본체 커버(239)의 돌기(234)가 삽입 가능하되 래치 이동 본체 커버(239)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128)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가이드홈(128)은 'U'자 평단면 형상을 가지는데, 이는 래치 볼트 헤드(220)가 일정 각도 예를 들어 45도 회전한 후 전진하고 다시 45도 회전하여 백셋 거리 조절을 완료하여 위치 고정시킬 때에 래치 이동 본체 커버(239)의 표면에 마련된 돌기(234)가 이 가이드홈(128)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래치 이동 본체 커버(239)의 이동을 가이드하게 된다.
전술한 결합봉(232)에 마련된 복수의 걸림벽(232a, 232b)과 백셋 스토퍼(235)의 걸림 작용과 함께 래치 이동 본체 커버(239)에 마련된 돌기(234)와 래치 바디 유닛(120)에 형성된 가이드홈(128)의 걸림 작용은 래치 볼트 헤드(220)를 래치 이동 본체(210)에 대해 위치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며, 래치 이동 본체 커버(239)는 래치 볼트 헤드(220)를 래치 바디 유닛(120)에 지지시키는 역할도 하게 된다.
도 8은 도 1의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9 내지 도 11은 도 1의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단계별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어 래치의 내부 정면도들이고, 도 12는 도 1의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도 8 대비 반대 방향에서 바라 본 부분 분해 사시도이며, 도 13은 도 1의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도어 래치의 래치 이동 본체의 레일부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과 함께 이들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하 백셋 조절에서 언급되지 않았던, 데드 볼트와 래치 볼트의 두 가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도어 래치(110) 부분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어 래치(110)는, 래치 바디 유닛(120)과, 스토퍼 유닛(170)과, 래치볼트 유닛(200)과, 래치볼트 지지유닛(160)을 포함한다.
우선 래치 바디 유닛(120)에는 수용 공간(112, 도 2 참조)과, 수용 공간(112)에 연결되는 출입구(113)와, 도어(10)의 잠금 및 잠금해제와 연관되는 회전력이 수용 공간(112)으로 입력하기 위한 연동공(114, 도 2 참조)이 마련된다.
그리고 스토퍼 유닛(170)은 수용 공간(112)에 움직이도록 설치된다.
또한, 래치볼트 유닛(200)의 래치 볼트 헤드(220)는, 래치 바디 유닛(120)의 출입구(113)를 통해 돌출 및 인입되어 도어(10)를 문틀에 잠금 및 잠금해제시키도록 수용 공간(112)에 탄력적으로 설치되며, 래치볼트 유닛(200)의 래치 이동 본체(210)에는 인입영역(121, 도 13 참조)과 인입을 허용하는 인입허용영역(122, 도 13)이 마련되는 레일부(240)가 구비된다.
한편 래치볼트 지지유닛(160)은 래치볼트 유닛(200)에 결합되어 래치볼트 유닛(200)을 지지한다.
또한, 도어 래치(110)는, 레버(50)에 의해 도어(10)가 열릴 때 스토퍼 유닛(170)이 레일부(240)를 움직이도록 스토퍼 유닛(170)을 가압하는 래치볼트 유닛(200)을 움직이는 운동전달 및 잠금해제 유닛(180)을 더 포함한다.
레일부(240)가 마련되는 래치 이동 본체(210)에는, 레일부(240)가 마련되어 있는 래치 이동 본체(210)의 반대 측 벽부에 마련되되 래치 이동 본체(210)를 출입구(113)로 인입시킬 때, 운동전달 및 잠금해제 유닛(180)에 접촉되어 가압되는 당김 걸림턱(211)과, 당김 걸림턱(211)과 이격되어 래치 이동 본체(210)에 마련되며, 래치 이동 본체(210)가 출입구(113)로 인입될 때, 운동전달 및 잠금해제 유닛(180)을 가압하는 밀림 걸림턱(213, 도 11 참조)을 더 포함한다.
도 13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 이동 본체(210)의 레일부(240)는, 도어(10)가 열린 상태에서 닫힐 때 스토퍼 유닛(170)의 일단부가 인입영역(121)으로 안내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1차 도피 영역부(131)와, 도어(10)가 닫힌 상태에서 열릴 때 스토퍼 유닛(170)의 일단부가 인입허용영역(122)으로 안내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2차 도피 영역부(132)를 제공한다. 도 13에서 1차 도피 영역부(131)와 2차 도피 영역부(132)는 경계(133)를 중심으로 빗금으로 각각 나타낸 영역에 해당한다.
또한 레일부(240)는 래치 이동 본체(210)가 래치 바디 유닛(120)의 수용 공간(112)을 따라 출입구(113)를 향하는 전진 및 반대로 후진 이동될 때, 전진 및 후진에 따라 스토퍼 유닛(170)의 일단부가 위치하는 최전방 영역(135)과 최후방 영역(136) 사이로 래치 이동 본체(210)의 이동 구간을 설정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레일부(240)는 래치 이동 본체(210)에 루프 형상으로 마련되어 스토퍼 유닛(170)의 일단부가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레일부(240)는, 래치 이동 본체(210)가 출입구(113)를 통해 인입될 때, 스토퍼 유닛(170)의 일단부가 인입영역(121)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최전방 영역(135)으로부터 인입영역(121)까지 1차 도피 영역부(131)에 마련되는 1차 레일(141)과, 스토퍼 유닛(170)의 일단부가 인입허용영역(122)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최전방 영역(135)으로부터 인입허용영역(122)까지 2차 도피 영역부(132)에 마련되는 2차 레일(14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레일부(240)는 스토퍼 유닛(170)의 일단부가 1차 레일(141)에서 2차 레일(142)로 이동 후 다시 1차 레일(141) 측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경사 구간(145)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2차 레일(142)은 최전방 영역(135)에서 인입허용영역(122)까지 스토퍼 유닛(170)의 일단부가 이동할 수 있도록 레일 구간(146)에 연결될 수 있다.
레버(50)가 회전되는 경우, 스토퍼 유닛(170)의 일단부의 위치가 레일부(240)의 최전방 영역(135)으로 이동한 후 인입허용영역(122)으로 이동하게 되며, 래치볼트 유닛(200)은 래치 볼트로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에 따른 인입허용영역(122)에는, 래치 이동 본체(210)가 출입구(113, 도 8 참조)를 향해 돌출될 경우, 래치 이동 본체(210)의 더 이상의 돌출을 제한하되 돌출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을 허용하도록 스토퍼 유닛(170)이 한 방향으로 지지되는 돌출제한 걸림턱(149)이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돌출제한 걸림턱(149)은 스토퍼 유닛(170)의 일단부가 바로 인입영역(121)으로 돌아가지 못하도록 대략 “ㄱ”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도어(10)가 닫힐 때 스토퍼 유닛(170)의 일단부는 돌출제한 걸림턱(149)에 의해 안내되어 제2 고정 방지턱(153)과 1차 레일(141)을 거쳐 인입영역(121)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르면, 도어(10)가 닫힌 상태에서 열릴 때, 1차 도피 영역부(131) 측으로 스토퍼 유닛(170)의 일단부의 이동을 제한하고 2차 도피 영역부(132)를 따라 인입허용영역(122)으로 안내하는 1차 도피 방지부(151)가 마련된다.
이러한 1차 도피 방지부(151)는, 1차 도피 영역부(131)와 2차 도피 영역부(132)의 경계에서 1차 도피 영역부(131) 측으로 스토퍼 유닛(170)의 일단부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마련되는 제1 고정 방지턱(152)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10)가 닫힌 상태에서 열릴 때, 래치 이동 본체(210)는 문틀에 가압되어 인입된 상태로 있다가 레버(50)의 회전과 운동전달 및 잠금해제 유닛(180)의해 급격스럽게 전진된다.
또한, 스토퍼 유닛(170)의 일단부 즉 레일 걸림돌기(173)는 1차 도피 영역부(131)의 인입영역(121)에서 레일부(240)의 최전방 영역(135)으로 이동된 후, 래치볼트 지지유닛(160)의 탄성력에 의한 래치 이동 본체(210)의 급격한 전진에 의해 1차 레일(141)의 경사 구간(145)을 따라 1차 도피 영역부(131) 측으로 이동되지 못하고 제1 고정 방지턱(152)으로 이동하게 되며, 제1 고정 방지턱(152)은 레일 걸림돌기(173)를 2차 도피 영역부(132) 내에서 인입허용영역(122)으로 안내하게 된다.
도 12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스토퍼 유닛(170)은, 래치 바디 유닛(120)의 수용 공간(11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회전공(미도시)이 마련되는 스토퍼 몸체(171)와, 래치 이동 본체(210)의 레일부(240)에 대응하여 레일부(240)를 이동하되 스토퍼 몸체(171)를 회전시키도록 회전공으로부터 이격배치되며 래치 이동 본체(210)가 돌출된 상태에서 인입영역(121) 또는 인입허용영역(122)에 위치하도록 스토퍼 몸체(171)의 일단부에 마련되는 레일 걸림돌기(173)와, 운동전달 및 잠금해제 유닛(180)에 대응하게 배치되어 스토퍼 몸체(171)를 회전시키는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스토퍼 몸체(171)의 타단부에 마련되는 회전 걸림돌기(174)와, 운동전달 및 잠금해제 유닛(180)과 반대 방향으로 스토퍼 몸체(171)를 지지하도록 스토퍼 몸체(171)에 결합되는 토션 및 압축 스프링(175)을 포함한다.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운동전달 및 잠금해제 유닛(180)은 회전 연결 유닛(105)의 회전운동을 래치볼트 유닛(200)에 전달하도록 래치 바디 유닛(120)의 수용 공간(112)에 설치된다.
이러한 운동전달 및 잠금해제 유닛(180)은 연동공(114)을 통해 입력되는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래치 바디 유닛(12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래치 캠(181)과, 래치 캠(181)에 접촉되도록 배치되어 래치 캠(181)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며 스토퍼 유닛(170)을 회전시키는 회전 캠(183)과, 래치 캠(181)으로부터 이격되어 래치 바디 유닛(12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일단부는 회전 캠(183)에 접촉되도록 배치되며, 타단부는 당김 걸림턱(211)에 걸림되는 회전 암(185)을 포함한다.
래치 캠(181)은, 연동공(114)과 연통되는 입력공(181a)이 형성되어 연동공(114)을 통해 입력되는 회전력을 전달받는 회전 입력부(182)와, 회전 입력부(182)로부터 이격되어 회전 캠(183)에 접촉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 입력 돌기(184)를 포함한다.
회전 캠(183)은 일단부는 래치 캠(181)에 접촉되고 타단부는 회전 암(185)에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어 래치 캠(181)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여 회전 암(185)을 회전시키게 된다. 이러한 회전 캠(183)은, 래치 캠(181)에 접촉되는 회전 캠 본체(183a)와, 회전 캠 본체(183a)에 돌출되어 마련되어 회전 암(185)에 접촉 가능한 회전 캠 암(183b)을 포함한다.
회전 캠 암(183b)은 회전 암(185)에 접촉하여 회전 암(185)을 회전시킬 수 있으며, 또한 회전 캠 암(183b)은 래치 이동 본체(210)의 이동제한 걸림턱(215)에 걸림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제한 걸림턱(215)이 회전 캠 암(183b)에 걸림되면, 래치 이동 본체(210)의 전진 및 후진이동을 제한하게 되는데, 래치볼트 유닛(200)은 데드 볼트로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 이동 본체(210)의 전진 및 후진이동이 제한된 상태에서 만약 회전 캠 암(183b)이 회전 암(185)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회전하게 되면 이동제한 걸림턱(215)과의 걸림이 해제된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운동전달 및 잠금해제 유닛(180)은 래치 캠(181)에 별도의 회전력을 제공하는 복원 스프링(18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래치 캠(181)은 회전 암(185)을 회전시킨 상태에서 복귀 회전력을 제공하는 복원 스프링(187)에 의하여 원 위치로 충분히 회전 복귀될 수 있다. 이때 복원 스프링(187)은 래치 캠(181)이 회전 시 태엽처럼 말려 있다가 회전력이 제거되면 래치 캠(181)을 원위치로 가압하기 위한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회전 암(185)은, 회전 캠(183)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제1 암(185a)과, 당김 걸림턱(211)과 밀림 걸림턱(213)에 선택적인 접촉이 가능하도록 당김 걸림턱(211)과 밀림 걸림턱(213)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암(185b)과, 제1 암(185a)과 제2 암(185b) 사이에 마련되어 래치 바디 유닛(12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암 회전축(185c)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다른 디지털 도어락 장치는, 레일부(240)에 의하여 래치 볼트의 기능이 수행될 수 있고, 이동제한 걸림턱(215)과 회전 캠 암(183b)의 걸림에 의하여 데드 볼트의 기능이 수행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단부에 백셋(back set)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도어의 백셋 규격에 대응할 수 있는 백셋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도어 래치의 백셋 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래치볼트 유닛의 주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비교할 때에 일부의 구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에 있어서는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차이점이 있는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는 결합봉(1231)과 지지프레임(238)이 일체로 결합된 점만이 다르다.
즉 본 실시 예에서 결합샤프트(1231)는, 래치 볼트 헤드(220)에서 래치 이동 본체(210) 방향으로 길게 마련되며 지지프레임(238)에 일체로 결합되는 결합봉(232)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도 전술한 제1 실시 예와 동일하게 탄성부재(237)는 지지프레임(238)과 래치 이동 본체(210)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도어 래치의 백셋 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래치볼트 유닛의 주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비교할 때에 일부의 구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에 있어서는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차이점이 있는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에서 결합샤프트(2231)에는 래치 볼트 헤드(220)와 나사 결합을 위하여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도어 래치가 데드 볼트와 래치 볼트의 두 가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백셋 조절이 가능한 도어 줌업 래치 및 그를 구비한 디지털 도어락 장치에 대하여 상술하였으나, 데드 볼트를 별도로 구비하는 디지털 도어락 장치 즉 모티스를 구비하는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경우에는, 모티스 및 그를 구비하는 디지털 도어락 장치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도어락 본체 105: 회전 연결 유닛
105: 회전 연결 유닛 110: 도어 래치
120: 래치 바디 유닛 128: 가이드 홈
160: 래치볼트 지지유닛 170: 스토퍼 유닛
180: 운동전달 및 잠금해제 유닛 200: 래치볼트 유닛
210: 래치 이동 본체 220: 래치 볼트 헤드
230: 백셋 조절 결합 유닛 231: 결합샤프트
235: 백셋 스토퍼 237: 탄성부재
238: 지지프레임 239: 래치 이동 본체 커버

Claims (13)

  1. 도어 래치(latch)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래치 이동 본체;
    상기 래치 이동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도어를 문틀에 잠금 및 잠금해제시키는 래치 볼트 헤드; 및
    상기 래치 이동 본체와 상기 래치 볼트 헤드의 상대적인 거리를 조절하면서 상기 래치 이동 본체와 상기 래치 볼트 헤드를 결합시키는 백셋 조절 결합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백셋 조절 결합 유닛은,
    상기 래치 이동 본체와 상기 래치 볼트 헤드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래치 이동 본체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복수의 걸림부가 마련되는 결합샤프트;
    상기 결합샤프트의 상기 복수의 걸림부와 선택적으로 걸림되어 상기 결합샤프트의 상기 래치 이동 본체에서의 상대적인 이동을 제한하는 백셋 스토퍼;
    상기 결합샤프트를 상기 래치 볼트 헤드 측으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래치 볼트 헤드와 결합되고, 상기 결합샤프트가 관통 결합되며, 상기 결합샤프트의 일측과 걸림결합되어 상기 결합샤프트가 상기 래치 이동 본체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되, 상기 탄성부재에 의하여 상기 래치 볼트 헤드 측으로 탄성 가압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백셋 조절이 가능한 도어 줌업 래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샤프트는,
    상기 래치 볼트 헤드에서 상기 래치 이동 본체 방향으로 길게 마련되는 결합봉; 및
    상기 결합봉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결합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기 래치 볼트 헤드 측에는 상기 결합헤드가 수용 가능하도록 표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된 수용홈이 마련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래치 이동 본체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인 백셋 조절이 가능한 도어 줌업 래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샤프트는,
    상기 래치 볼트 헤드에서 상기 래치 이동 본체 방향으로 길게 마련되며, 상기 지지프레임에 일체로 결합되는 결합봉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래치 이동 본체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인 백셋 조절이 가능한 도어 줌업 래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걸림부는 상기 결합봉의 회전에 따라 상기 백셋 스토퍼에 선택적으로 걸림되도록 상기 결합봉에 마련되는 복수의 걸림벽이며,
    상기 결합봉에는, 상기 결합봉의 회전에 의해 상기 복수의 걸림벽과 상기 백셋 스토퍼의 걸림이 해제되고 상기 결합봉이 상기 백셋 스토퍼를 통과할 수 있도록, 절취된 절취부가 마련되는 백셋 조절이 가능한 도어 줌업 래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걸림벽은,
    제1 걸림벽; 및
    상기 제1 걸림벽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이격된 제2 걸림벽을 포함하고,
    상기 백셋 스토퍼에는 통과공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결합봉이 회전하는 각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또는 제2 걸림벽이 상기 백셋 스토퍼에 걸림되거나, 상기 결합봉이 상기 백셋 스토퍼의 통과공에 통과가능하도록, 상기 결합봉에는 상기 절취부가 마련된 위치의 상기 결합봉의 단면이 상기 통과공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마련되는 백셋 조절이 가능한 도어 줌업 래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프레임과 함께 움직이되, 상기 래치 이동 본체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래치 이동 본체 커버를 더 포함하는 백셋 조절이 가능한 도어 줌업 래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백셋 조절이 가능한 도어 줌업 래치는,
    상기 래치 이동 본체와 상기 래치 볼트 헤드가 수용되는 래치 바디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래치 이동 본체 커버에는 표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돌기가 마련되며,
    상기 래치 바디 유닛에는 상기 돌기가 삽입 가능하되 상기 래치 이동 본체 커버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는 백셋 조절이 가능한 도어 줌업 래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샤프트는 상기 래치 볼트 헤드와 나사 결합되는 백셋 조절이 가능한 도어 줌업 래치.
  13. 도어를 관통하여 도어의 실내 측과 실외 측에 설치되며, 레버가 결합되는 한 쌍의 레버 고정구; 및
    한 쌍의 상기 레버 고정구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도어를 문틀에 잠금 및 잠금해제시키도록 상기 도어에 설치되는 상기 제1항 및 제6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도어 줌업 래치를 포함하는 디지털 도어락 장치.
KR1020140015691A 2014-02-11 2014-02-11 백셋 조절이 가능한 도어 줌업 래치 및 그를 구비한 디지털 도어락 장치 KR1014255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5691A KR101425565B1 (ko) 2014-02-11 2014-02-11 백셋 조절이 가능한 도어 줌업 래치 및 그를 구비한 디지털 도어락 장치
CN201710796454.8A CN107575085B (zh) 2014-02-11 2015-02-11 能够调整门边距的放大门插锁及具备其的数码门锁装置
CN201580006719.9A CN105940171B (zh) 2014-02-11 2015-02-11 能够调整门边距的放大门插锁及具备其的数码门锁装置
US15/115,936 US10400479B2 (en) 2014-02-11 2015-02-11 Door zoom-up latch having adjustable backset and digital door lock device having same
CN201910257570.1A CN109812149A (zh) 2014-02-11 2015-02-11 能够调整门边距的放大门插锁及具备其的数码门锁装置
PCT/KR2015/001370 WO2015122683A1 (ko) 2014-02-11 2015-02-11 백셋 조절이 가능한 도어 줌업 래치 및 그를 구비한 디지털 도어락 장치
JP2016549272A JP6279752B2 (ja) 2014-02-11 2015-02-11 バックセットが調整可能なドアズームアップラッチ及びそれを備えたデジタルドアロック装置
JP2017158237A JP6475797B2 (ja) 2014-02-11 2017-08-18 ロック装置
JP2017158238A JP6490762B2 (ja) 2014-02-11 2017-08-18 ロック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5691A KR101425565B1 (ko) 2014-02-11 2014-02-11 백셋 조절이 가능한 도어 줌업 래치 및 그를 구비한 디지털 도어락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5565B1 true KR101425565B1 (ko) 2014-08-05

Family

ID=51749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5691A KR101425565B1 (ko) 2014-02-11 2014-02-11 백셋 조절이 가능한 도어 줌업 래치 및 그를 구비한 디지털 도어락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400479B2 (ko)
JP (3) JP6279752B2 (ko)
KR (1) KR101425565B1 (ko)
CN (3) CN109812149A (ko)
WO (1) WO2015122683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5630B1 (ko) * 2016-01-12 2017-06-09 주식회사 정화테크 도어록용 래치어셈블리
KR20180025645A (ko) * 2016-09-01 2018-03-09 주식회사 라맥스 매립형 도어 스트라이크 유닛
KR102034963B1 (ko) 2018-10-08 2019-10-21 김정규 디지털 도어락용 보조 자물쇠
KR102146710B1 (ko) * 2020-05-26 2020-08-21 이현진 푸쉬풀 도어락용 도어 로킹장치
KR20240022108A (ko) 2022-08-11 2024-02-20 백창목 백셋 조절이 가능한 데드볼트용 래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712125S (en) * 2016-10-18 2017-06-19 ASSA ABLOY BRANDING S AƒA R L Door handle
TWI638078B (zh) * 2017-10-20 2018-10-11 台灣福興工業股份有限公司 鎖閂之拆裝方法及其結構
USD906086S1 (en) * 2018-05-23 2020-12-29 Zkteco Co., Ltd. Smart lock
TWI660103B (zh) * 2018-06-04 2019-05-21 穩多企業股份有限公司 Door lock with adjustable handle angle
USD902004S1 (en) * 2018-07-11 2020-11-17 Imgate, Inc. Digital door lock
USD883068S1 (en) * 2018-10-31 2020-05-05 Shenzhen Cnest Electronic Technology Co., Ltd. Door lock
US11639617B1 (en) 2019-04-03 2023-05-02 The Chamberlain Group Llc Access control system and method
US10711489B1 (en) * 2019-05-30 2020-07-14 Digilock Asia Ltd. Electromechanical multi-directional lock
US10697203B1 (en) * 2019-05-30 2020-06-30 Digilock Asia Ltd. Electromechanical lock with adjustable backset
JP2022122778A (ja) * 2021-02-10 2022-08-23 タキゲン製造株式会社 扉のポップアウト型ロックハンドル装置
JP2022122779A (ja) * 2021-02-10 2022-08-23 タキゲン製造株式会社 扉のポップアウト型ロックハンドル装置
CN113775258B (zh) * 2021-08-23 2024-01-12 深圳市云伽智能技术有限公司 内锁体及具有它的锁具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8232U (ko) * 1998-03-21 1999-10-25 이재호 레버형 도어록
JP2007205112A (ja) 2006-02-06 2007-08-16 Giken Kanamono Kk ラッチ錠
US7393022B1 (en) 2007-01-19 2008-07-01 Shin An Enterprise Inc. Backset adjustable deadbolt
KR100913064B1 (ko) 2007-04-11 2009-08-21 주식회사 정화테크 백셋 조절기능을 갖는 데드락용 데드래치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67057A (en) 1949-08-17 1954-01-26 Thorne Harold Lock for doors and the like
JPS4979590U (ko) * 1972-10-30 1974-07-10
JPS60133071U (ja) * 1984-02-16 1985-09-05 株式会社東芝 摺動保持装置
JPS6141763U (ja) * 1984-08-22 1986-03-17 株式会社ユニオン レバーハンドル用ラッチ錠
US4671089A (en) * 1986-01-31 1987-06-09 W&F Manufacturing, Inc. Door latch and deadbolt assembly
JPH0745737Y2 (ja) * 1989-09-29 1995-10-18 株式会社アルファ 反転ラッチ錠
CN1101396A (zh) * 1993-10-05 1995-04-12 台湾福兴工业股份有限公司 管形锁锁闩
TW326230U (en) * 1996-12-26 1998-02-01 xi-hu Guo Adjustable latch device
KR200216958Y1 (ko) * 1999-03-11 2001-03-15 심만섭 도어록용 데드볼트 조립체의 백셋조절구조
CN1189638C (zh) * 1999-09-02 2005-02-16 笠源精密工业股份有限公司 安全门锁装置
US6860129B2 (en) * 2001-01-29 2005-03-01 Sargent Manufacturing Company Security classroom function lock mechanism
CN2503167Y (zh) * 2001-10-18 2002-07-31 中山市力劲金属电业有限公司 改进型球形锁可调锁舌
US6543265B1 (en) * 2001-11-15 2003-04-08 Fang-Yi Fan Door lock-and-handle assembly
CN2553039Y (zh) * 2002-06-24 2003-05-28 台湾福兴工业股份有限公司 辅助锁的可调锁闩
KR200312859Y1 (ko) * 2003-02-25 2003-05-16 김태준 도어 록 장치
KR100543715B1 (ko) * 2003-10-16 2006-01-23 주식회사 봉영 프라이버시 도어록용 튜블라래치
CN2663600Y (zh) * 2003-12-13 2004-12-15 中山市星光金属工业有限公司 一种可调中心距斜舌闭锁
KR200346997Y1 (ko) * 2004-01-05 2004-04-06 오은성 도어록의 래치 어셈블리
US8047385B2 (en) * 2004-02-03 2011-11-01 Rtc Industries, Inc. Product securement and management system
US6993946B1 (en) * 2004-11-15 2006-02-07 I-Tek Metal Mfg. Co., Ltd. Lock with clutching function
JP2007197904A (ja) * 2006-01-23 2007-08-09 Miwa Lock Co Ltd 錠前の錠箱
KR100662023B1 (ko) * 2006-08-11 2006-12-27 (주)일신설계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 도어의 재래식 잠금장치
TW200902823A (en) * 2007-07-05 2009-01-16 Thase Entpr Co Ltd Door handle apparatus
JP4714728B2 (ja) 2007-12-27 2011-06-2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スライドドアの干渉防止構造
JP2010174588A (ja) * 2009-02-02 2010-08-12 Nifco Inc ロック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扉
CN201381697Y (zh) * 2009-03-06 2010-01-13 中山市华锋制锁有限公司 用上、下调距片和调节弹簧的可调距离的锁舌体
US8141400B2 (en) * 2009-04-10 2012-03-27 Emtek Products, Inc. Keypad lockset
US8292336B2 (en) * 2009-04-15 2012-10-23 Townsteel, Inc. Mortise lock assembly
ITMI20091722A1 (it) * 2009-10-08 2011-04-09 Iseo Serrature Spa Serratura multi punto a catenaccio traslante
CN201554291U (zh) * 2009-12-04 2010-08-18 宓雾林 移窗锁具
CN201666045U (zh) * 2010-03-31 2010-12-08 罗志军 机械式密码锁
US8720960B2 (en) * 2011-07-15 2014-05-13 Schlage Lock Company Door lock with anti-ligature function
CN102936983B (zh) * 2012-10-18 2014-08-27 宁波埃迪五金工贸有限公司 一种卫生间用门锁
CN203034958U (zh) * 2013-01-12 2013-07-03 罗志军 一种机械密码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8232U (ko) * 1998-03-21 1999-10-25 이재호 레버형 도어록
JP2007205112A (ja) 2006-02-06 2007-08-16 Giken Kanamono Kk ラッチ錠
US7393022B1 (en) 2007-01-19 2008-07-01 Shin An Enterprise Inc. Backset adjustable deadbolt
KR100913064B1 (ko) 2007-04-11 2009-08-21 주식회사 정화테크 백셋 조절기능을 갖는 데드락용 데드래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5630B1 (ko) * 2016-01-12 2017-06-09 주식회사 정화테크 도어록용 래치어셈블리
KR20180025645A (ko) * 2016-09-01 2018-03-09 주식회사 라맥스 매립형 도어 스트라이크 유닛
KR101900151B1 (ko) * 2016-09-01 2018-09-18 주식회사 라맥스 매립형 도어락 유닛
KR102034963B1 (ko) 2018-10-08 2019-10-21 김정규 디지털 도어락용 보조 자물쇠
KR102146710B1 (ko) * 2020-05-26 2020-08-21 이현진 푸쉬풀 도어락용 도어 로킹장치
KR20240022108A (ko) 2022-08-11 2024-02-20 백창목 백셋 조절이 가능한 데드볼트용 래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504740A (ja) 2017-02-09
US20170175421A1 (en) 2017-06-22
JP6475797B2 (ja) 2019-02-27
WO2015122683A1 (ko) 2015-08-20
CN107575085B (zh) 2019-08-16
JP2017201128A (ja) 2017-11-09
CN105940171B (zh) 2018-01-02
CN109812149A (zh) 2019-05-28
US10400479B2 (en) 2019-09-03
JP6490762B2 (ja) 2019-03-27
CN105940171A (zh) 2016-09-14
JP2017201129A (ja) 2017-11-09
CN107575085A (zh) 2018-01-12
JP6279752B2 (ja) 2018-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5565B1 (ko) 백셋 조절이 가능한 도어 줌업 래치 및 그를 구비한 디지털 도어락 장치
KR101868469B1 (ko) 방향 전환이 용이한 푸쉬풀 도어락
KR101453945B1 (ko) 멀티타입 래치볼트
KR102386486B1 (ko) 가역 클러치 모티스록
EP2915939B1 (en) Lock
US20200173202A1 (en) Lock heads and mechanisms for mobile device security
WO2020115574A1 (en) Lock heads and mechanisms for mobile device security
US20170191288A1 (en) Door latch assembly
KR101986613B1 (ko) 슬라이딩 도어용 도어락장치
KR200448028Y1 (ko) 도어용 보조 잠금장치
KR101833414B1 (ko) 안전래치볼트가 구비된 도어락 모티스
AU2016261123B2 (en) Anti-barricade door system
KR101667352B1 (ko) 디지털 도어록의 모티스 록
KR101922932B1 (ko) 오토락 문고리 래치
KR101404431B1 (ko) 2단 출몰 구조를 갖는 튜블러형 래치
KR101887640B1 (ko) 창호의 자동 록킹장치
GB2586378A (en) A restrictor for a window or a door
KR101890318B1 (ko) 스윙형 래치볼트 조립체
KR101441363B1 (ko) 가변형 볼트삽입부를 구비한 스트라이커 어셈블리
CN108027195B (zh) 把手及冷冻器
JP2009114708A (ja) 開閉装置
KR101114557B1 (ko) 디지털 도어록
EP2184425A1 (en) Lock casing
KR102573156B1 (ko) 래치유닛을 갖는 푸쉬풀 도어록
JP7238091B2 (ja) 錠アセンブ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