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2932B1 - 오토락 문고리 래치 - Google Patents

오토락 문고리 래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2932B1
KR101922932B1 KR1020180084434A KR20180084434A KR101922932B1 KR 101922932 B1 KR101922932 B1 KR 101922932B1 KR 1020180084434 A KR1020180084434 A KR 1020180084434A KR 20180084434 A KR20180084434 A KR 20180084434A KR 101922932 B1 KR101922932 B1 KR 1019229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protrusion
unit
lock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4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수
Original Assignee
김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수 filed Critical 김영수
Priority to KR1020180084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2932B1/ko
Priority to PCT/KR2018/008803 priority patent/WO2020017685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2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29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18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with arrangements independent of the locking mechanism for retaining the bolt or latch in the retracted position
    • E05B63/2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with arrangements independent of the locking mechanism for retaining the bolt or latch in the retracted position released automatically when the wing is clos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3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4Spring arrangements in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4Spring arrangements in locks
    • E05B2015/0403Wound springs
    • E05B2015/0406Wound springs wound in a cylindrical sh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성력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선단이 문틀의 캐치 내부 또는 외부로 수평 이동하며, 일단에 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타단에 결속홈이 형성되는 결속부; 탄성력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결속부에 직교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결속홈에 결속 또는 분리되도록 단부에 잠금돌기가 형성되는 잠금부; 상기 잠금부가 상기 결속부 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상기 잠금돌기의 상단에 구비된 걸림돌기를 간섭하고 있다가 상기 결속부의 후진시 상기 돌기에 의해 연동되면서 상기 걸림돌기를 간섭으로부터 해제시키는 잠금력 생성해제부; 상기 결속부 및 잠금부의 단부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후진시 단부에 구비된 경사면이 상기 잠금부의 걸림돌기를 상기 결속부의 외측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걸림돌기가 이와 이웃한 상기 잠금력 생성해제부의 걸림턱을 통과한 후 상기 잠금부에 가해지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걸림턱에 걸려 간섭되도록 하는 잠금부 이동부재; 및 상기 잠금부 이동부재의 단부에 설치되어 문의 손잡이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회전되면서 상기 잠금부 이동부재를 후진시키는 회전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문을 닫으면 결속부가 후진하면서 하강된 잠금부에 의해 결속부를 잠궈 문을 폐쇄시키고, 문을 개방하기 위해 손잡이를 돌려 회전부를 회전시키면 이와 연동되는 잠금부 이동부재의 경사면이 잠금부를 상승시켜 결속부가 결속 없이 전후진되도록 함으로써 간단한 구조로 구현 가능하면서 이에 유지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오토락 문고리 래치 {AUTO LOCK DEVICE OF DRAW LATCH FOR DOOR}
본 발명은 오토락 문고리 래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문을 닫으면 자동으로 잠기고, 손잡이를 돌려 잠금 해제하는 래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토락이라 함은 건물의 도어나 창문 등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도어나 창문에 설치된 손잡이를 회전시키면 도어의 잠금상태가 해제되고, 도어를 닫는 경우 자동으로 잠기도록 작동하는 장치를 말한다.
여기서, 오토락을 구현하기 위해 손잡이의 회전에 의해 선단이 전진 또는 후진하는 래치 유닛을 포함한다
이때, 래치 유닛은 전단부의 일부가 라운드지게 곡면으로 경사져 형성되어, 전진되어 있는 상태에서 손잡이 조작 없이 문이 닫히더라도, 경사면이 문턱 또는 벽면과 접촉하여 자연스럽게 후퇴함으로써, 자연스러운 도어의 닫힘이 가능하다.
이러한, 래치 조립체와 관련된 기술이 한국공개특허 제2018-0055426호 및 한국등록특허 제1810480호에 제안된 바 있다.
특허문헌 1은 에지볼트의 인입 및 인출에 대한 상태정보를 검출하여 제어부를 통해 송출함으로써 보안 시스템 등에 잠금 상태 확인 및 출입정보로 활용할 수 있는 도어락의 래치 조립체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는 도어를 빠르게 개방시키는 과정에서 또는 도어 손잡이를 밀거나 당기는 힘이 약할 때 래치헤드의 직선면이 도어틀의 홈에 걸려 도어의 개방이 원활하지 못했던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게 되고 도어가 급작스럽게 열리게 되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푸시풀 도어락용 래치볼트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 2는 작동을 위한 전자 시스템이 적용되고, 래치 구조가 복잡하므로 유지보수가 난해한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8-0055426호(2018.05.25) 한국등록특허 제1810480호(2017.12.1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문을 닫으면 결속부가 후진하면서 하강된 잠금부에 의해 결속부를 잠궈 문을 폐쇄시키고, 문을 개방하기 위해 손잡이를 돌려 회전부를 회전시키면 이와 연동되는 잠금부 이동부재의 경사면이 잠금부를 상승시켜 결속부가 결속 없이 전후진되도록 함으로써 간단한 구조로 구현 가능하면서 이에 유지보수가 용이한 오토락 문고리 래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오토락 문고리 래치는, 탄성력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선단이 문틀의 캐치 내부 또는 외부로 수평 이동하며, 일단에 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타단에 결속홈이 형성되는 결속부; 탄성력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결속부에 직교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결속홈에 결속 또는 분리되도록 단부에 잠금돌기가 형성되는 잠금부; 상기 잠금부가 상기 결속부 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상기 잠금돌기의 상단에 구비된 걸림돌기를 간섭하고 있다가 상기 결속부의 후진시 상기 돌기에 의해 연동되면서 상기 걸림돌기를 간섭으로부터 해제시키는 잠금력 생성해제부; 상기 결속부 및 잠금부의 단부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후진시 단부에 구비된 경사면이 상기 잠금부의 걸림돌기를 상기 결속부의 외측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걸림돌기가 이와 이웃한 상기 잠금력 생성해제부의 걸림턱을 통과한 후 상기 잠금부에 가해지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걸림턱에 걸려 간섭되도록 하는 잠금부 이동부재; 및 상기 잠금부 이동부재의 단부에 설치되어 문의 손잡이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회전되면서 상기 잠금부 이동부재를 후진시키는 회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속부는 선단이 반구 또는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후방에 상기 잠금부의 잠금돌기에 걸릴 수 있도록 단차가 형성되어 상기 결속부의 후진 위치를 한정할 수 있다.
상기 결속부의 결속홈의 일단 모서리에 상기 잠금부의 잠금돌기가 점차 하강하도록 안내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잠금부는 걸림돌기의 전후면 중 적어도 한 면에 라운딩 형성되어 라운딩 면의 정점을 상기 잠금력 생성해제부의 제2 레버에 형성된 걸림턱이 통과하면 탄성력에 의해 상기 결속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잠금력 생성해제부는, 상기 결속부의 돌기에 의한 가압시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제1 레버; 및 상기 제1 레버와 이웃한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레버의 회전시 반대 방향으로 연동 회전되며, 단부에 상기 잠금부의 걸림돌기를 결속 또는 결속 해제시키는 걸림턱이 형성된 제2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레버의 상단에 형성된 제1 상측 수평부재의 단부가 상기 제2 레버의 상단에 형성된 제2 상측 수평부재의 단부 하측에 중첩되게 위치되어, 상기 제1 레버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제1 상측 수평부재의 단부가 제2 상측 수평부재의 단부를 밀어 상기 제2 레버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회전부는 상기 잠금부 이동부재의 단부 안쪽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전면에 손잡이가 연결되도록 체결홈이 형성되고, 외주면 일측에 설치된 반원 형상의 캠(cam) 후면이 상기 잠금부 이동부재를 가압하면서 후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문을 닫으면 결속부가 후진하면서 하강된 잠금부에 의해 결속부를 잠궈 문을 폐쇄시키고, 문을 개방하기 위해 손잡이를 돌려 회전부를 회전시키면 이와 연동되는 잠금부 이동부재의 경사면이 잠금부를 상승시켜 결속부가 결속 없이 전후진되도록 함으로써 간단한 구조로 구현 가능하면서 이에 유지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오토락 문고리 래치가 문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오토락 문고리 래치가 하우징 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오토락 문고리 래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오토락 문고리 래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오토락 문고리 래치에 의해 문을 폐쇄하는 과정을 설명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오토락 문고리 래치에 의해 문을 개방하는 과정을 설명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토락 문고리 래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오토락 문고리 래치가 문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오토락 문고리 래치가 하우징 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오토락 문고리 래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오토락 문고리 래치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오토락 문고리 래치에 의해 문을 폐쇄하는 과정을 설명한 측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오토락 문고리 래치에 의해 문을 개방하는 과정을 설명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오토락 문고리 래치(100)는 결속부(110), 잠금부(120), 잠금력 생성해제부(130), 잠금부 이동부재(140), 회전부(150), 횡방향 탄성부재(S1) 및 종방향 탄성부재(S2)를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의 오토락 문고리 래치(100)는 문틀(2)과 이웃한 문(1)의 단부 내부에 설치되어, 개방된 문(1)을 닫아 결속부(110)가 문틀(2)에 접촉한 후 캐치(4) 내부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후진했다가 전진하면서 자동으로 결속부(110)를 잠그게 되고, 폐쇄된 문(1)을 개방하기 위해 손잡이(2)를 회전시켜 결속부(110)를 문틀(3)의 캐치(4) 외부로 이동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오토락 문고리 래치(100)는 문틀(3)의 캐치(4)와 대향된 문(1)의 폭에 해당되는 면에 고정되는 수직부(12)에 결속부(110)가 출몰하도록 홀이 형성된 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된다.
결속부(110)는 횡방향의 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되, 잠금부 이동부재(140)의 선단 내부에 위치되며, 내부에 설치된 횡방향 탄성부재(S1)의 탄성력에 의해 지지되어 선단이 문틀(3)의 캐치(4) 내부 또는 외부로 수평 이동한다.
이때, 결속부(110)는 도 4 기준 좌측인 전면에 걸림부재(112)가 형성되고, 상면에 돌기(114), 안내 경사면(118) 및 결속홈(116)이 순차 형성된다. 또한, 결속부(110)의 후면에는 횡방향 탄성부재(S1)의 단부와 결합되도록 원통 형상의 돌기가 돌출 형성된다.
더욱이, 결속부(110)는 회전부(150) 방향인 중간 지점 상면에 단차에 의한 단차면(111)이 형성되어 하강된 잠금부(120)의 잠금돌기(122)에 단차면(111)의 단부가 접촉하게 되면 더 이상 후진되지 않는다.
걸림부재(112)는 반구 또는 삼각형 형상 등으로 형성되어 개방된 문(1)을 닫아 걸림부재(112)가 문틀(3)에 접촉한 후 캐치(4) 내부로 이동할 때 원호면에 의해 걸림 없이 이동 가능하다.
돌기(114)는 결속부(110)가 문틀(3)의 캐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때 잠금력 생성해제부(130)의 제2 레버(134)가 잠금부(120)를 결속홈(116)으로 하강시킬 수 있도록 잠금력 생성해제부(130)의 제1 레버(132)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결속홈(116)은 결속부(110)의 후방 상면에 잠금부(120)의 잠금돌기(122)가 위치되면 결속부(110)의 위치가 정지되도록 형성된다.
안내 경사면(118)은 결속부(110)의 상면과 결속홈(116)의 수직벽에 형성되어 결속부(110)가 문틀(3)의 캐치(4) 방향으로 이동할 때 잠금부(120)의 잠금돌기(122)가 경사면을 따라 점차 하강하도록 구비된다.
잠금부(120)는 종방향의 단차진 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되, 하부인 잠금돌기(122)가 상단에 형성된 당김홀(142)을 통해 잠금부 이동부재(140)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측에 설치된 종방향 탄성부재(S2)의 탄성력에 의해 지지되며, 하단이 결속부(110)의 결속홈(116) 내부 또는 외부로 수직 이동한다.
여기서, 잠금부(120)는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잠금돌기(122) 및 걸림돌기(124)가 순차 형성되며, 결속부(110)가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강한 잠금돌기(122)가 결속부(110)의 결속홈(116)에 결속되어 잠그게 하거나, 상승한 잠금돌기(122)가 결속부(110)의 결속홈(116)에서 분리되어 잠금 해제하게 된다.
잠금돌기(122)는 결속홈(116)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며, 제2 레버(134)의 걸림턱(134a)에 걸린 상태에서 저면이 결속부(110)의 단차면(111)과 근접하게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잠금부(120)의 걸림돌기(124)가 제2 레버(134)의 걸림턱(134a)에 걸린 상태에서 잠금돌기(122)의 저면에 단차면(111) 보다 이격된 상측에 위치되는 것을 말한다. 이렇게, 잠금부(120)의 잠금돌기(122) 저면이 단차면(111)에 접촉하게 되면 그 시점에서 잠금부(120)에 형성된 걸림돌기(124)의 정점 부위가 걸림턱(134a)의 모서리 부분을 통과하게 된다.
걸림돌기(124)는 잠금돌기(122)의 상면에 횡방향으로 형성되며, 전후면 중 적어도 한 면에 라운딩 형성되어 정점 위치가 잠금력 생성해제부(130)의 제2 레버(134)에 형성된 걸림턱(134a)을 통과하면 간섭력이 해제되면서 종방향 탄성부재(S2)의 탄성력에 의해 결속부(110) 방향으로 이동한다.
한편, 걸림돌기(124)는 좌우 폭이 잠금부 이동부재(140)의 당김홀(142)의 폭보다 길게 형성되어 제2 레버(134)의 걸림턱(134a)에 걸린 저면이 잠금부 이동부재(140)의 단차면(111)에 접촉되는 높이만큼 하강하게 된다.
더욱이, 걸림돌기(124)는 상면에 종방향 탄성부재(S2)의 단부와 결합되도록 원통 형상의 돌기가 돌출 형성된다.
잠금력 생성해제부(130)는 잠금부(120)가 결속부(110) 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잠금돌기(122)의 상단에 구비된 걸림돌기(124)의 이동을 간섭하고 있는 상태에서 결속부(110)의 후진시 돌기(114)에 의해 연동되면서 걸림돌기(124)를 간섭 해제시킨다. 이때, 잠금력 생성해제부(130)는 상대 운동하는 제1 레버(132)와 제2 레버(134)를 포함한다.
제1 레버(132)는 측면이 "
Figure 112018071707218-pat00001
"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 상측 수평부재, 제1 상측 수평부재의 단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상측 수직부재, 제1 상측 수직부재의 단부에서 수평 방형으로 연장되는 제1 하측 수평부재 및 제1 하측 수평부재의 단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압부재(132a)를 포함하며, 결속부(110)의 돌기(114)에 의한 가압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제1 레버(132)의 하단 수직부인 가압부재(132a)에 결속부(110)의 돌기(114)가 접촉하고 가압하게 되면 제1 레버(132)가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제1 레버(132)는 상단 수직부에 힌지축(H1)이 설치되어 힌지축(H1)을 기점으로 회전된다. 여기서, 힌지축(H1)은 하우징(10)의 대향된 측면에 지지될 수 있다.
힌지축(H1)에 토션 스프링(도면에 미도시)이 설치되어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시 토션 스프링이 압축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토션 스프링은 권취된 일단은 제1 레버(132)에 지지되고, 권취된 타단은 하우징(10)에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레버(134)는 측면이 "
Figure 112018071707218-pat00002
"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2 수평부재와, 제2 수평부재의 단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수직부재로 구성된다.
그리고 제2 레버(134)는 제1 레버(132)와 이웃한 위치에 구비되어 제1 레버(132)의 회전시 반대 방향인 시계 방향으로 연동 회전되며, 제2 수직부재 단부에 잠금부(120)의 걸림돌기(124)를 결속 또는 결속 해제시키는 걸림턱(134a)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2 레버(134)는 수직부와 수평부의 연결지점에 힌지축(H2)이 설치되어 힌지축(H2)을 기점으로 회전된다. 힌지축(H2)에 토션 스프링(도면에 미도시)이 설치되어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시 토션 스프링이 압축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토션 스프링은 권취된 일단은 제2 레버(134)에 지지되고, 권취된 타단은 하우징(10)에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힌지축(H2)은 잠금부 이동부재(140)의 경사면(142) 이동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하우징(10)의 대향된 측면에 지지될 수 있다.
더욱이, 제2 레버(134)에는 제2 수직부재의 외벽면에 경사면에 의해 형성된 걸림턱(134a)에 잠금부(120)의 걸림돌기(124)가 걸리게 되면 잠금부(120)가 하강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제2 레버(134)의 제2 수직부재의 외벽면에 형성된 경사면은 결속부(110)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해 잠금부(120)가 상승할 때 걸림돌기(124)의 라운딩면이 밀어 제2 레버(134)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안내한다.
따라서, 제1 레버(132)의 상단에 형성된 제1 상측 수평부재의 단부가 제2 레버(134)의 상단에 형성된 제2 상측 수평부재의 단부 하측에 중첩되게 위치되어, 제1 레버(132)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제1 상측 수평부재의 단부가 제2 상측 수평부재의 단부를 밀어 제2 레버(134)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잠금부 이동부재(140)는 결속부(110)의 후방 및 잠금부(120)의 하부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결속부(110)에서 잠금부(120)를 분리시키기 위해 잠금부(120)의 걸림돌기(124)를 제2 레버(134)의 걸림턱(134a)까지 상승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를 위해, 잠금부 이동부재(140)는 횡방향의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결속부(110)가 설치되도록 전면은 개구되고, 내부에 횡방향 탄성부재(S1) 및 회전부(150)가 설치되도록 중공 형성되며, 상면에 잠금부(120)의 걸림돌기(124)의 두께보다 폭 길이가 얇은 슬릿(slit) 형태의 당김홀(142)이 형성된다. 여기서, 잠금부 이동부재(140)는 배면과 당김홀(142)과의 사이에 걸림부(142a)가 형성되어 회전부(150)의 회전시 캠(152)이 회전 방향과 상관없이 걸림부(142a)에 걸리도록 한다.
또한, 잠금부 이동부재(140)는 돌출된 선단 양쪽에 경사면(142)이 각각 형성되어 후진 과정에서 경사면(142)이 걸림돌기(124)를 점차 상승시켜 걸림돌기(124)를 제2 레버(134)의 걸림턱(134a)에 걸리도록 한다.
회전부(150)는 잠금부 이동부재(140)의 후방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문(1)의 개방이 요구되는 경우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잠금부 이동부재(140)를 후진시키게 된다.
이를 위해, 회전부(150)는 결속부(110) 측 외주면 일측에 측면이 반원 형상으로 형성된 캠(cam: 152)과, 전면에 문(1)의 바깥쪽 면에 설치된 손잡이(2)가 연결되도록 사각 형상의 체결홈(154)이 형성된다.
여기서, 캠(152)은 회전부(150)의 회전에 의해 후면이 잠금부 이동부재(140)의 걸림부(142a)를 미는 역할을 한다. 이렇게, 캠(152)에 의해 잠금부 이동부재(140)가 후진하게 되면서 잠금부 이동부재(140)의 경사면(142)이 잠금부(120)의 걸림돌기(124)를 제2 레버(134)의 걸림턱(134a)에 걸리게 한다.
횡방향 탄성부재(S1)는 잠금부 이동부재(140)의 내부에 설치되어 결속부(110)가 항시 문틀(3)의 캐치(4) 방향으로 전진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압축 스프링이다.
종방향 탄성부재(S2)는 잠금부(120)의 상단에 설치되어 잠금부(120)가 항시 결속부(110) 방향으로 전진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압축 스프링이다.
더욱이, 종방향 탄성부재(S2)는 상단이 하우징(10)의 천장면에 지지되어 하단에 지지된 잠금부(120)를 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오토락 문고리 래치(100)에 의해 문(1)을 폐쇄하고 개방하는 과정을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5를 참조하여, 문(1)을 폐쇄하는 경우를 설명하면, 문(1)을 닫아 결속부(110)의 걸림부재(112)가 문틀(3)의 모서리를 거쳐 문틀에 함몰 설치된 캐치(4) 내부로 이동될 때 후진했다가 횡방향 탄성부재(S1)의 복원력에 의해 전진하게 된다.
이때, 결속부(110)의 돌기(114)가 후진하면서 잠금력 생성해제부(130)의 제1 레버(132) 하부에 형성된 가압부재(132a)를 뒤로 밀게 되며, 이 과정에서 제1 레버(132)의 상단에 형성된 제1 상측 수평부재의 단부가 제2 레버(134)의 상단에 형성된 제2 상측 수평부재의 단부를 밀게 된다.
즉, 제1 레버(132)가 결속부(110)의 돌기(114)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제1 상측 수평부재의 단부가 제2 상측 수평부재의 단부를 밀어 제2 레버(134)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제2 레버(134)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잠금부(120)의 걸림돌기(124)를 간섭하고 있던 제2 수직부재의 걸림턱(134a)이 걸림돌기(124)에서 분리된다.
다음으로, 잠금부(120)는 종방향 탄성부재(S2)의 복원력에 의해 하강되어 잠금돌기(122)의 저면이 단차면(111) 상면에 위치된다.
다음으로, 결속부(110)가 횡방향 탄성부재(S1)의 복원력에 의해 전진되며, 결속부(110)의 전진 과정에서 단차면(111)에 형성된 안내 경사면(118)의 시작 부위에 잠금돌기(122)의 모서리가 위치되면 종방향 탄성부재(S2)의 탄성력에 의해 안내 경사면(118)을 따라 점차 하강하기 시작하여 결속홈(116)과 잠금부(120)의 잠금돌기(122)가 동일수직선상 위치되는 시점에서 잠금돌기(122)가 결속홈(116) 내에 위치된다.
이렇게, 결속부(110)의 결속홈(116)에 잠금부(120)의 잠금돌기(122)가 위치되어 결속부(110)가 이동되지 못하게 되므로 문(1)이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다르게 도 6을 참조하여, 문(1)을 개방하는 경우를 설명하면, 회전부(150)의 체결홈(154)에 설치된 손잡이(2)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결속부(110)는 결속홈(116)에 잠금부(120)의 잠금돌기(122)가 위치되어 전후 이동이 불가능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다음으로, 손잡이(2)를 회전시키면 회전부(150)의 일측 외주면에 형성된 캠(152)의 후면이 해당 방향측 잠금부 이동부재(140)의 걸림부(142a) 대향면을 회전 과정에서 밀어 잠금부 이동부재(140)를 후진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손잡이(2)를 회전시켜 잠금부 이동부재(140)의 경사면(142)이 점차 잠금부(120)의 걸림돌기(124)를 상방향으로 밀게 된다. 이때, 종방향 탄성부재(S2)는 압축된다.
다음으로, 잠금부 이동부재(140)의 경사면(142)에 의해 잠금부(120)의 걸림돌기(124)가 상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제2 레버(134)의 제2 수직부재에 형성된 걸림턱(134a)의 경사면을 점차 밀어 제2 레버(134)를 시계 방향을 회전시킨다.
다음으로, 제2 레버(134)가 시계 방향을 회전되면서 걸림돌기(124)의 정점 부위가 걸림턱(134a)의 모서리를 통과하면 걸림돌기(124)가 걸림턱(134a) 상에 걸리게 된다.
이렇게, 잠금부(120)는 걸림돌기(124)가 제2 레버(134)의 걸림턱(134a)에 걸리면서 종방향 탄성부재(S2)의 탄성력이 가해진 상태로 위치가 고정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문 2: 손잡이
3: 문틀 4: 캐치
10: 하우징 12: 수직부
100: 오토락 문고리 래치 110: 결속부
111: 단차면 112: 걸림부재
114: 돌기 116: 결속홈
118: 안내 경사면 120: 잠금부
122: 잠금돌기 124: 걸림돌기
130: 잠금력 생성해제부 132: 제1 레버
132a: 가압부재 134: 제2 레버
134a: 걸림턱 140: 잠금부 이동부재
142: 경사면 142: 당김홈
142a: 걸림부 150: 회전부
152: 캠 154: 체결홈
H1, H2: 힌지 S1: 횡방향 탄성부재
S2: 종방향 탄성부재

Claims (7)

  1. 탄성력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선단이 문틀의 캐치 내부 또는 외부로 수평 이동하며, 일단에 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타단에 결속홈이 형성되는 결속부;
    탄성력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결속부에 직교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결속홈에 결속 또는 분리되도록 단부에 잠금돌기가 형성되는 잠금부;
    상기 잠금부가 상기 결속부 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상기 잠금돌기의 상단에 구비된 걸림돌기를 간섭하고 있다가 상기 결속부의 후진시 상기 돌기에 의해 연동되면서 상기 걸림돌기를 간섭으로부터 해제시키는 잠금력 생성해제부;
    상기 결속부 및 잠금부의 단부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후진시 단부에 구비된 경사면이 상기 잠금부의 걸림돌기를 상기 결속부의 외측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걸림돌기가 이와 이웃한 상기 잠금력 생성해제부의 걸림턱을 통과한 후 상기 잠금부에 가해지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걸림턱에 걸려 간섭되도록 하는 잠금부 이동부재; 및
    상기 잠금부 이동부재의 단부에 설치되어 문의 손잡이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회전되면서 상기 잠금부 이동부재를 후진시키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락 문고리 래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는 선단이 반구 또는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후방에 상기 잠금부의 잠금돌기에 걸릴 수 있도록 단차가 형성되어 상기 결속부의 후진 위치를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락 문고리 래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의 결속홈의 일단 모서리에 상기 잠금부의 잠금돌기가 점차 하강하도록 안내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락 문고리 래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걸림돌기의 전후면 중 적어도 한 면에 라운딩 형성되어 라운딩 면의 정점을 상기 잠금력 생성해제부의 제2 레버에 형성된 걸림턱이 통과하면 탄성력에 의해 상기 결속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락 문고리 래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력 생성해제부는,
    상기 결속부의 돌기에 의한 가압시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제1 레버; 및
    상기 제1 레버와 이웃한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레버의 회전시 반대 방향으로 연동 회전되며, 단부에 상기 잠금부의 걸림돌기를 결속 또는 결속 해제시키는 걸림턱이 형성된 제2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락 문고리 래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버의 상단에 형성된 제1 상측 수평부재의 단부가 상기 제2 레버의 상단에 형성된 제2 상측 수평부재의 단부 하측에 중첩되게 위치되어, 상기 제1 레버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제1 상측 수평부재의 단부가 제2 상측 수평부재의 단부를 밀어 상기 제2 레버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락 문고리 래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잠금부 이동부재의 단부 안쪽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전면에 손잡이가 연결되도록 체결홈이 형성되고, 외주면 일측에 설치된 반원 형상의 캠(cam) 후면이 상기 잠금부 이동부재를 가압하면서 후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락 문고리 래치.
KR1020180084434A 2018-07-20 2018-07-20 오토락 문고리 래치 KR1019229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4434A KR101922932B1 (ko) 2018-07-20 2018-07-20 오토락 문고리 래치
PCT/KR2018/008803 WO2020017685A1 (ko) 2018-07-20 2018-08-02 오토락 문고리 래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4434A KR101922932B1 (ko) 2018-07-20 2018-07-20 오토락 문고리 래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2932B1 true KR101922932B1 (ko) 2018-11-28

Family

ID=64561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4434A KR101922932B1 (ko) 2018-07-20 2018-07-20 오토락 문고리 래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22932B1 (ko)
WO (1) WO2020017685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0439A (ko) * 2020-03-26 2021-10-07 주식회사 엑사이엔씨 패널 잠금장치
KR102557115B1 (ko) 2023-03-27 2023-07-18 최중열 도어 잠금 해제 장치
KR102667330B1 (ko) 2022-11-08 2024-05-20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맨홀 유실방지 및 관리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3821B1 (ko) 2006-09-22 2007-10-12 주식회사 테크슈머 도어록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8640A (ko) * 2005-12-27 2007-07-02 주식회사 캡스테크 자동잠김 기능을 갖는 전기정
KR101109413B1 (ko) * 2011-07-27 2012-01-31 (주)락시스 데드 볼트를 구비한 래치 어셈블리
KR101810480B1 (ko) * 2016-05-19 2017-12-20 윤채희 푸시풀 도어락용 래치볼트
KR102531348B1 (ko) * 2016-11-17 2023-05-12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도어락의 래치 조립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3821B1 (ko) 2006-09-22 2007-10-12 주식회사 테크슈머 도어록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0439A (ko) * 2020-03-26 2021-10-07 주식회사 엑사이엔씨 패널 잠금장치
KR102455769B1 (ko) 2020-03-26 2022-10-18 주식회사 엑사이엔씨 패널 잠금장치
KR102667330B1 (ko) 2022-11-08 2024-05-20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맨홀 유실방지 및 관리 시스템
KR102557115B1 (ko) 2023-03-27 2023-07-18 최중열 도어 잠금 해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17685A1 (ko) 2020-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5565B1 (ko) 백셋 조절이 가능한 도어 줌업 래치 및 그를 구비한 디지털 도어락 장치
KR101922932B1 (ko) 오토락 문고리 래치
CN102434042B (zh) 空腔门端面拉闩锁和锁具
JP6232336B2 (ja) ラッチ装置
KR101663162B1 (ko) 로테이터블 래치볼트를 갖는 도어락
KR101887640B1 (ko) 창호의 자동 록킹장치
KR101228161B1 (ko) 도어의 보조잠금장치
KR101433092B1 (ko) 헤드락킹 도어락
KR200225310Y1 (ko) 출입문용 이중자물쇠
KR20100035850A (ko) 도어클로우저를 이용한 건물용 출입문 개폐장치
JP6414889B2 (ja) 開き扉の施解錠機構
KR101404431B1 (ko) 2단 출몰 구조를 갖는 튜블러형 래치
KR101398143B1 (ko) 도어의 일부 개방형 도어 잠금구
JP3326542B2 (ja) 安全装置
KR20020023614A (ko) 도어 잠금장치
KR101847986B1 (ko) 도어의 자동 잠금이 가능한 도어록 장치
KR20200099948A (ko) 래치볼트 자동 인입형 도어락 모티스
JP2006207189A (ja) デッドボルトの構造
JPH022853Y2 (ko)
KR20210015797A (ko) 액추에이터 유닛 및 안전 스위치
JP2569495Y2 (ja) 家具等における扉のラッチ係止鎖錠装置
JP6216132B2 (ja) プッシュ・プル錠
CN111577016B (zh) 碰簧销自动解锁型门锁插芯
KR20120117559A (ko) 도어 잠금장치
KR20110066543A (ko) 도어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