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5850A - 도어클로우저를 이용한 건물용 출입문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도어클로우저를 이용한 건물용 출입문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5850A
KR20100035850A KR1020080095212A KR20080095212A KR20100035850A KR 20100035850 A KR20100035850 A KR 20100035850A KR 1020080095212 A KR1020080095212 A KR 1020080095212A KR 20080095212 A KR20080095212 A KR 20080095212A KR 20100035850 A KR20100035850 A KR 201000358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opening
wire
hole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5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35121B1 (ko
Inventor
배종식
Original Assignee
배종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종식 filed Critical 배종식
Priority to KR1020080095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5121B1/ko
Publication of KR20100035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58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5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51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04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liquid piston brak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9/00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 E05C9/02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with one sliding bar for fastening when moved in one direction and unfastening when moved in opposite direction; with two sliding bars moved in the same direction when fastening or unfast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9/00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 E05C9/10Actuating mechanisms for ba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02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wings in general, e.g. fanlights
    • E05F11/04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wings in general, e.g. fanlights with cords, chains or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2Additional arrangements for closers, e.g. for holding the wing in opened or other position
    • E05F3/221Mechanical power-locks, e.g. for holding the wing open or for free-moving z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클로우저를 이용한 건물용 출입문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압에 의해 동작하는 도어클로우저에 의해 출입문을 자동으로 개폐되게 하고, 그 도어클로우저의 동작에 의해 개폐케이블이 연동되면서 보조잠금기와 도어록장치를 자동으로 잠금 및 해제시킬 수 있도록 하며, 유압을 공급하지 아니할 때는 손잡이를 설치한 도어록가동기에 의해 출입문의 개폐는 물론이고 보조잠금기와 도어록장치를 수동으로 잠금 및 해제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본체케이스(11)는 도어프레임(1)에 설치되고 신축링크(16)는 출입문(2)에 설치되어 출입문(2)을 힌지식으로 개폐되게 하는 도어클로우저(10)와, 도어클로우저(10)의 신축링크(16)의 말단부에 연결 설치되어 2가닥의 개폐케이블(3)를 당겨주는 와이어당김구(20)와, 일측 개폐케이블(3)의 말단부에 연결 설치된 걸림핀(31)이 개폐케이블(3)을 당기고 미는 동작에 따라 도어프레임(1)에 형성된 잠금구멍(1a)에 삽탈되는 보조잠금기(30)와, 타측 개폐케이블(3)의 말단부에 연결 설치되어 개폐케이블(3)을 당기고 미는 동작에 따라 도어록장치(90)를 록킹 및 언록킹되게 하는 도어록가동기(40)와, 도어록가동기(40)에 설치된 내부손잡이(44)와 출입문(2)의 외측에 설치되는 외부손잡이 및 키뭉치(91)의 조작에 의해 도어프레임(1)에 구비된 걸림구(1b)에 잠금구(92)가 록킹 및 언록킹되는 공지된 도어록장치(9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어프레임, 출입문, 도어클로우저, 와이어당김구, 개폐케이블, 보조잠금기,도어록가동기, 비틀림스프링, 도어록장치

Description

도어클로우저를 이용한 건물용 출입문 개폐장치{A building door opening and shutting contrivance for using a door closer}
본 발명은 도어클로우저를 이용한 건물용 출입문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압에 의해 동작하는 도어클로우저에 의해 출입문을 자동으로 개폐되게 하고, 그 도어클로우저의 동작에 의해 개폐케이블이 연동되면서 보조잠금기와 도어록장치를 자동으로 잠금 및 해제시킬 수 있도록 하며, 유압을 공급하지 아니할 때는 손잡이를 설치한 도어록가동기에 의해 출입문의 개폐는 물론이고 보조잠금기와 도어록장치를 수동으로 잠금 및 해제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의 출원인이 선출원하여 등록된 특허등록 제748712호(발명의 명칭 : 건물용 출입문 개폐장치)의 종래발명 1은 현관출입문의 내측에 설치된 내부손잡이를 외측방향으로 밀면 출입문의 내부에 설치된 도어록장치의 잠금상태가 해제되면서 출입문이 외측으로 개방될 수 있게 하고, 상기 내부손잡이를 당기면 출입문이 닫침과 아울러 도어록장치가 잠금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서, 위급한 상황이 발생된 경우에 신속하게 외부로 대피할 수 있고, 출입문을 닫을 때는 내부손잡이를 당기면서 출입문을 닫기만 하면 도어록장치의 잠금상태까지 간편하게 잠길 수 있도록 하 였다.
그러나, 이는 출입문을 잠금 및 해제하는 부분이 도어록장치 1개임에 따라, 출입문을 강제로 열기위하여 도어록장치의 잠금구와, 도어프레임에 설치되며 잠금구가 걸리게 되는 걸림구를 강제로 부순다면 출입문을 개방할 수 있게 되는 미흡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출원원인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특허출원 제2008-83936호(발명의 명칭 : 보조잠금기가 구비된 건물용 출입문 개폐장치 : 종래발명 2)를 출원하였는데, 이는 도어록장치를 잠금 및 해제시키기 위하여 동작하는 출입문개폐장치 및 도어록장치의 동작에 연동되는 보조잠금기를 추가로 설치함으로서, 주잠금기 역할을 하는 도어록장치와 보조잠금기가 동시에 출입문을 잠금에 따라 출입문의 잠금상태가 더욱더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는 종래발명 1,2의 건물용 출입문 개폐장치를 구성하는 구조가 매우 복잡하여 제작상의 어려움과 제작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어 제조원가가 상승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출입문을 유압에 의해 동작하는 도어클로우저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되게 하고, 그 도어클로우저의 동작에 의해 개폐케이블이 연동되면서 일측의 개폐케이블은 보조잠금기를 자동으로 잠금 및 해제시키고, 타측의 개폐케이블은 손잡이를 구비한 도어록가동기를 동작시켜서 그 도어록가동기와 연결된 도어록장치가 자동으로 잠금 및 해제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출입문 개폐장치의 전체적인 구조가 간단해져서 제작이 용이하고 제작비용이 절감되도록 하며, 유압을 공급하지 아니할 때는 도어록가동기에 조작에 출입문의 개폐는 물론이고, 보조잠금기와 도어록장치를 수동으로 잠금 및 해제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본체케이스(11)는 도어프레임(1)에 설치되고 신축링크(16)는 출입문(2)에 설치되어 출입문(2)을 힌지식으로 개폐되게 하는 도어클로우저(10)와, 도어클로우저(10)의 신축링크(16)의 말단부에 연결 설치되어 2가닥의 개폐케이블(3)를 당겨주는 와이어당김구(20)와, 일측 개폐케이블(3)의 말단부에 연결 설치된 걸림핀(31)이 개폐케이블(3)을 당기고 미는 동작에 따라 도어프레임(1)에 형성된 잠금구멍(1a)에 삽탈되는 보조잠금기(30)와, 타측 개폐케이블(3)의 말단부에 연결 설치되어 개폐케이블(3)을 당기고 미는 동작에 따라 도어록장치(90)를 록킹 및 언록킹되게 하는 도어록가동기(40)와, 도어록가동기(40)에 설치된 내부손잡이(44)와 출입문(2)의 외측에 설치되는 외부손잡이 및 키뭉치(91)의 조작에 의해 도어프레임(1)에 구비된 걸림구(1b)에 잠금구(92)가 록킹 및 언록킹되는 공지된 도어록장치(9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도어클로우저를 이용한 건물용 출입문 개폐장치는, 출입문을 유압에 의해 동작하는 도어클로우저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되게 하고, 그 도어클로우저의 동작에 의해 개폐케이블이 연동되면서 일측의 개폐케이블은 보조잠금기를 자동으로 잠금 및 해제시키고, 타측의 개폐케이블은 손잡이를 구비한 도어록가동기를 동작시켜서 그 도어록가동기와 연결된 도어록장치를 자동으로 잠금 및 해제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출입문 개폐장치의 전체적인 구조가 간단해져서 제작이 용이하고 제작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으며, 유압을 공급하지 아니할 때는 도어록가동기에 조작에 출입문의 개폐는 물론이고, 보조잠금기와 도어록장치를 수동으로 잠금 및 해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사용상의 편리함이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도어클로우저를 이용한 건물용 출입문 개폐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체케이스(11)는 도어프레임(1)에 설치되고 신축링크(16)는 출입문(2)에 설치되어 출입문(2)을 힌지식으로 개폐되게 하는 도어클로우저(10)와, 도어클로우저(10)의 신축링크(16)의 말단부에 연결 설치되어 2가닥의 개폐케이블(3)를 당겨주는 와이어당김구(20)와, 일측 개폐케이블(3)의 말단부에 연결 설치된 걸림핀(31)이 하우징(32)내에서 개폐케이블(3)을 당기고 미는 동작에 따라 도어프레임(1)에 형성된 잠금구멍(1a)에 삽탈되는 보조잠금기(30)와, 타측 개폐케이블(3)의 말단부에 연결 설치되어 개폐케이블(3)을 당기고 미는 동작에 따라 도어록장치(90)를 록킹 및 언록킹되게 하는 도어록가동기(40)와, 도어록가동기(40)에 설치된 내부손잡이(44)와 출입문(2)의 외측에 설치되는 외부손잡이 및 키뭉치의 조작에 의해 도어프레임(1)에 구비된 걸림구(1b)에 잠금구(92)가 록킹 및 언록킹되는 공지된 도어록장치(90)로 이루어진다.
상기 도어클로우저(10)는 도어프레임(1)에 설치되는 본체케이스(11)의 내부에 유압모터(도시생략)로부터 유압을 공급받아 신축하는 실린더(14)가 설치되고, 실린더(14)의 로드 선단부측 본체케이스(11)의 내측에는 로드의 선단부와 연결링크(18)에 의해 힌지식으로 연결되어 정역회전하는 섹터기어(13)가 설치된다.
그리고, 본체케이스(11) 내측의 섹터기어(13) 전방에는 섹터기어(13)와 맞물려 회전하는 피니언(12)이 설치되고, 이 피니언(12)의 피니언축(12a)은 본체케이스(11)의 외측으로 외향 돌출되어 그 피니언축(12a)에 1차링크(15)의 일측단이 결합 설치되며, 1차링크(15)의 타단부에는 말단부에 브래킷(17)이 힌지식으로 설치된 신축링크(16)가 힌지식으로 연결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신축링크(16)는 공지된 것으로 파이프형 로드의 선단부에 신축연결부(16a)가 나사식으로 연결 되며, 이 신축연결부(16a)의 선단부가 브래킷(17)에 힌지식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당김구(20)는 일측에 절곡부(21a)가 형성되며 바닥면에 장공(22)을 형성한 베이스판(21)이 장공(2a)을 형성한 출입문(2)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브래킷(17)의 외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연결구(24)가 출입문(2)의 장공(2a)과 베이스판(21)의 장공(22)을 통하여 베이스판(21)의 안쪽으로 삽입되고, 이 연결구(24)의 선단부에는 베이스판(21)을 따라 슬라이딩될 이송대(23)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판(21)의 절곡부(21a)에는 2가닥의 개폐케이블(3) 단부를 설치할 와이어홀더(26)가 설치되어 와이어튜브(4)의 내측에 와이어(5)가 이동가능하게 삽입된 개폐케이블(3)의 와이어튜브(4) 단부가 와이어홀더(26)에 삽입 설치되며, 와이어(5)의 단부는 와이어튜브(4)의 단부 외측으로 노출되어 그 노출된 단부가 이송대(23)의 일측에 설치된 와이어고정구(25)에 나사에 의해 결합 설치된다.
도 4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도어록가동기(40)는 손잡이홈(49)이 움푹 파인 형태로 형성되고 손잡이홈(49)의 양측에 작동공(42)과 통공(43)을 형성한 베이스판(41)이 출입문(2)의 실내측면에 설치되며, 손잡이홈(49) 외측의 베이스판(41) 외면에는 내부손잡이(44)가 힌지식으로 설치된다.
이때, 내부손잡이(44)는 일측의 힌지부와 타측에 손잡이돌출편(45)이 내향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의 힌지부는 작동공(42)으로 삽입되어 베이스판(41)의 내면에 힌지식으로 설치되고 타측의 손잡이돌출편(45)은 통공(43)으로 내향 삽입되고, 손잡이돌출편(45)에는 상부구멍(46)과 좌우구멍(47,48)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베이스판(41)의 내면에는 손잡이돌출편(45)의 상부구멍(46)에 끼워 져 손잡이돌출편(45)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력장치(7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판(41)의 내면에는 와이어홀더(26a)를 구비한 지지대(26b)가 설치되어 타측 개폐케이블(3)의 말단부를 설치하되, 개폐케이블(3)의 내측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된 와이어(5)는 와이어튜브(4)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그 노출된 단부에 장공(6a)을 형성한 와이어엔드(6)에 연결 설치된다.
그리고, 통공(43) 측의 베이스판(41) 내면에는 와이어엔드(6)에 의한 당기고 미는 동작에 의해 열림링크(7)를 당겨주고 밀어주며, 손잡이돌출편(45)의 탄력에 의해 닫침링크(8)을 당겨주고 밀어주는 도어록개폐장치부(50)가 설치된다.
상기 탄력장치(70)은 도 6 내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측이 베이스판(41)의 내부면에 고정 설치되는 하우징(79)과, 하우징(79)에 회전되게 삽입되는 회전체(74)와, 하우징(79)과 회전체(74)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축핀(81)과, 회전체(74)에 설치되어 회전체(74)를 정역회전되게 하는 비틀림스프링(8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79)은 일측이 개구된 원통형 몸체의 상측에 스프링걸림절개부(77)가 소정 폭으로 절개되게 형성되고, 그 몸체의 폐쇄된 쪽의 중심부에 핀구멍(7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체(74)는 하우징(79)으로 삽입되는 스프링케이스부(72)의 상측에 하우징(79)의 스프링걸림절개부(77)와 동일하게 절개된 스프링걸림절개부(73)가 형성되며, 이 스프링케이스부(72)의 전방에는 선단부가 손잡이돌출편(45)의 상부구멍(46)에 끼워지는 탄력레버(71)가 측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되고, 스프링케이스 부(72)의 내측 중심부에는 축핀(81)이 끼워질 내관부(75)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축핀(81)은 후방에 머리부가 형성되고 전방측에는 선단부에 나사부(82)가 형성되어 회전체(74)의 전방측 중심부에 형성된 핀구멍(76)을 관통하는 나사부에 너트가 체결되며, 상기 비틀림스프링(80)의 코일 양단부가 각각의 스프링걸림절개부(73,77)에 걸리도록 상향 절곡되게 형성되어 있다.
도 4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도어록개폐장치부(50)는 베이스판(41)의 내부에 2~3개의 지지대(51)가 간격을 두고 돌출되게 설치되고, 이 지지대(51)의 선단부에는 축핀(52)이 관통되게 설치되며, 이 축핀(52)의 외부에는 제1축관(58)과 제2축관(56)이 회전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제1축관(58)에는 1,2,3차레버(53,55,57)가 간격을 두고 각각 설치되어 1차레버(53)의 자유단부에 돌출된 가이드핀(54)이 와이어엔드(6)의 장공(6a)에 끼워지며, 2차레버(55)의 말단부에는 열림링크(7)가 힌지식으로 연결되며, 3차레버(57)의 자유단부는 손잡이돌출편(45)의 우구멍(48)이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축관(56)에는 자유단부가 손잡이돌출편(45)의 좌구멍(47)에 끼워지는 4차레버(59)와 자유단부에 닫침링크(8)가 힌지식으로 연결되는 5차레버(60)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 설치되는 도어록장치(90)는 본 발명의 출원인이 선 출원하여 특허 등록된 특허등록 제748712호의 발명에 설치되고 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 8 내지 도 15에 도시되어 있는 도어록장치와 동일한 것을 설치하므로, 본 발명에서 도어록장치(90)에 대한 구체적인 구조와 작용관계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종래발명에 설치한 도어록장치는 현대자동차에서 생산한 2006년형 에쿠스승용차에 장착된 것과 동일한 것이며, 본 발명에서도 에쿠스승용차에 장착된 도어록장치와 같은 차량용 도어록장치를 설치할 것임을 밝혀둔다.
도면 부호중 미설명 부호 "91"은 도어록장치(90)에 설치되는 키뭉치로서, 이 키뭉치(91)는 공지된 것으로 키뭉치(91)의 키구멍으로 키를 삽입시켜 돌림에 따라 록킹과 언록킹을 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작용관계를 도 1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리모콘을 이용하여 출입문(2)을 개폐하와, 리모콘을 사용하지 않고 출입문(2)의 내외측에 설치된 내외부손잡이를 당기거나 밀어서 출입문(2)를 개폐하고 도어록장치를 잠금과 해제를 하는 두 가지 방식으로 출입문(2)을 개폐하고 도어록장치를 잠금과 해제를 할 수 있다.
먼저, 리모콘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리모콘을 이용하여 출입문(2)을 개방시키는 신호를 입력하면 그 신호에 의해 컨트롤장치(미도시)의 작용에 의해 도어클로우저(10)의 내측에 설치된 실린더(14)에 유압을 공급하게 한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린더(14)에 유압이 공급되어 실린더로드가 전진하게 되면 실린더로드와 연결링크(18)로 연결된 섹터기어(13)가 회전하게 되고, 이 섹터기어(13)가 회전함에 따라 섹터기어(13)와 맞물린 피니언(12)이 회전하게 된다.
상기 피니언(12)이 회전할 때 함께 회전하는 피니언축(12a)은 본체케이 스(11)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있으면서 그 피니언축(12a)에 1차링크(15)의 일측 단부가 고정되어서 1차링크(15)가 피니언축(12a)이 회전하는 만큼 각운동 회전을 하게 되고, 그 1차링크(15)의 자유단부에는 신축링크(16)가 힌지식으로 연결 되어서 신축링크(16)를 당겨주게 된다.
이때, 신축링크(16)의 말단부에는 브래킷(17)이 설치되고 그 브래킷(17)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출입문(2)의 내측에 설치된 와이어당김구(20)에 장공(22)의 길이만큼 이동가능하게 연결 설치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신축링크(16)의 당김동작으로 출입문(2)을 열리는 방향으로 당겨주게 되나, 이 출입문(2)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보조잠금기(30)와 도어록장치(90)가 출입문(2)을 잠그고 있음에 따라 출입문(2)을 열어젖히지 못하는 상태가 된다.
이렇게 보조잠금기(30)와 도어록장치(90)에 의해 잠겨진 출입문(2)을 도어클로우저(10)의 신축링크(16)가 계속적으로 당김에 따라 출입문(2)의 장공(2a)과 베이스판(21)의 장공(22)에서 슬라이딩 이동가능한 연결구(24)가 브래킷(17)과 이송대(23)를 연결하고 있어서 상기 당김동작에 의해 이송대(23)이 당겨지게 되고, 이 이송대(23)에 설치되어 있는 와이어고정구(25)에 와이어(5)가 각각 연결 되어 있어서 상기 당김동작에 의해 와이어(5)가 당겨지게 된다.
상기 와이어(5)는 와이어튜브(4)의 내부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것이며, 와이어튜브(4)의 내부에 와이어(5)가 삽입된 것을 개폐케이블(3)라고 칭하는데, 이송대(23)의 와이어고정구(25)에는 두 가닥의 와이어(5)가 연결되어 있으며, 이 두 가닥의 와이어(5)는 도 1 및 도 3에서와 같이 일측은 보조잠금기(30)와 연결되는 개폐케이블(3)에 설치되고 타측은 도어록가동기(40)와 연결되는 개폐케이블(3)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일측의 개폐케이블(3)은 보조잠금기(30)의 걸림핀(31)을 당겨서 그 걸림핀(31)이 도어프레임(1)에 형성된 잠금구멍(1a)에서 이탈하여 보조잠금기(30)의 잠금상태가 해제되고, 타측의 개폐케이블(3)의 당김작용에 의해서는 도어록가동기(40)를 가동시켜서 그 도어록가동기(40)와 연결된 도어록장치(90)가 동작되게 되며, 그 도어록장치(90)의 잠금구(92)가 도어프레임(1)의 걸림구(1b)에서 이탈하여 도어록장치에 대한 잠금이 해제된다.(도어록가동기(40)에 대한 작용관계의 설명은 추후에 함)
상기와 같이 두 가닥의 개폐케이블(3)이 당겨짐에 따라 보조잠금기(30)와 도어록장치(90)의 잠금상태가 해제될 때에 이송대(23)가 슬라이드 식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렇게 이송대(23)가 이동하는 길이는 도 3의 (나)에서와 같이 베이스판(21)에 형성된 장공(22)의 길이만큼만 당기게 되고, 그 장공(22)의 길이만큼 이송대(23)를 당기고 난 뒤에도 신축링크(16)의 당김작용은 초기에 실린더(14)가 이동한 거리만큼 당김작용이 계속되므로, 보조잠금기(30)와 도어록장치(90)의 잠금상태가 해제된 출입문(2)을 당겨주어 출입문(2)이 힌지식으로 개방되게 되는 것이다.
위와 같이 출입문(2)을 열어젖히고 난 뒤에도 컨트롤장치의 설정된 신호에 따라 출입문(2)이 열린 상태를 설정된 시간(수초)동안 유지하다가 출입문(2)을 닫히게 하는 신호가 실린더(14)를 제어하는 밸브로 보내져 실린더로드가 수축하게 되면, 상기 출입문(2)을 개방할 때와 반대의 작용으로 출입문(2)이 닫혀지게 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열려있던 출입문(2)이 컨트롤장치의 신호에 따라 닫혀지는 도중에 또 다른 사람이 출입구로 출입하는 경우에는 별도로 설치된 포토센서에 의해 사람의 출입을 감지하여 출입문이 닫히는 동작을 멈추게 하고 사람의 출입이 완료하면 닫침작용을 계속하게 한다.
상기와 같이 출입문(2)을 닫고 잠그기 위하여 실린더(14)를 반대로 동작시키면 두가닥의 와이어(5)를 함께 밀어서 보조잠금기(30)와 도어록장치(90)를 잠그게 된다.
상기 보조잠금기(30)의 잠금은 밀려나는 보조잠금기 측의 걸림핀(31)이 도어프레임(1)에 형성된 잠금구멍(1a)으로 삽입되어 보조잠금기(30)가 잠겨지게 된다.
그리고, 도어록장치(90)의 잠금작용도 타측 와이어(5)가 밀어줌에 따라 그 타측 와이어(5)와 연결된 와이어엔드(6)를 밀어주게 되는데, 이때는 도 6의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엔드(6)에 형성된 장공(6a)의 내측(도면상 좌측단부)에서부터 1차레버(53)의 (54)을 밀어주어 장공(6a)의 길이만큼 잠금상태를 해제하기 위하여 1차레버(53)를 당길때 보다는 잠금을 위하여 밀어줄 때가 1차레버(53)를 더 많이 밀어주게 된다.
상기와 같이 큰 폭으로 밀려나는 1차레버(53)에 의해 1차레버(53)가 설치된 제1축관(58)이 더 큰 회전각도로 회전하면서 타측의 3차레버(57)를 "a"와 같이 회동시키게 되며, 3차레버(57)의 선단부가 손잡이돌출편(45)의 우구멍(48)에 삽입되어 있음에 따라 손잡이돌출편(45)이 "b"와 같이 하강하게 된다.
이때, 도 5와 같이 손잡이돌출편(45)의 좌구멍(47)에 삽입되어 있는 4차레 버(59)가 손잡이돌출편(45)이 하강하는 만큼 하강하면서, 4차레버(59)가 설치된 제2축관(56)이 회동하게 되고, 그 제2축관(56)의 타측에 설치된 5차레버(60)를 회동시킴에 따라 5차레버(60)의 단부에 설치된 닫침레버(8)를 밀어주어 도어록장치(90)가 잠금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다음은 도어록장치의 잠금상태를 해정하는 과정에서 작용하는 도어록가동기(40)의 작용관계에 대하여 설명하는데, 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측 개폐케이블(3)이 당겨짐에 따라 도 4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와이어홀더(26a)에 고정된 타측 개폐케이블(3)의 와이어(5)가 그 선단에 설치된 와이어엔드(6)와 함께 당겨진다.
위와 같이 당겨지는 와이어엔드(6)의 장공(6a)에는 1차레버(53)의 자유단부에 외향 돌출된 가이드핀(54)이 삽입되어서 상기 와이어엔드(6)의 당김동작에 의해 1차레버(53)의 자유단부가 당겨지면서 그 1차레버(53)가 설치된 제1축관(58)이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하게 되고, 그 제1축관(58)에는 2,3차레버(55,57)가 함께 설치되어서 2,3차레버(55,57)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상기 2차레버(55) 말단의 자유단부에는 공지된 도어록장치(90)를 개방시킬 때 당겨주는 열림링크(7)가 힌지식으로 연결되어서 2차레버(55)의 회전 각운동에 의해 열림링크(7)를 당겨주어 도 1 및 도 9와 같이 도어록장치(90)의 잠금구(92)가 도어프레임(1)의 걸림구(1b)에서 이탈하여 잠금상태가 해제된다.
그리고, 상기 3차레버(57)는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탄력장치(70)에서 제공하는 탄력을 제공받는 손잡이돌출편(45)의 우구멍(48)에 삽입되어 있음에 따라 열림링크(7)를 당겨주기 위하여 회전하는 제1축관(58)이 탄력적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는 탄력장치(70)의 비틀림스프링(80)이 비틀리면서 비틀림탄성이 생기게 되고, 당김동작이 정지되면 상기 비틀림스프링(80)의 비틀림탄력이 원위치로 복원되면서 제1축관(58)이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제1축관(58)이 원위치로 복귀함에 따라 제1축관(58)에 설치된 1,2,3차레버(53,55,57) 모두가 함께 원위치로 복귀하여 다음의 당김동작을 대비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1차레버(53)의 자유단부에 설치된 가이드핀(54)은 도 6의 (나)와 같이 와이어엔드(6)의 장공(6a)에 삽입되어서 1차레버(53)가 원위치로 복귀할 때, 1차레버(53)의 선단부에 설치된 가이드핀(54)이 장공(6a) 내에서 걸림이 없이 후퇴하여 와이어(5)가 연결된 와이어엔드(6)를 동작시키지 않고, 초기에 도어클로우저(10)의 작용에 의해 와이어엔드(6)를 당겼던 위치에 있게 한다.
이는 상기 와이어엔드(6)의 장공(6a)의 길이범위 안에서 회전식으로 각운동하는 1차레버(53)의 가이드핀(54)이 회동하여 1차레버가 원위치로 복귀할 때에 와이어엔드(6)가 연결된 와이어(5)를 후퇴시키지 않게 한다.
상기 탄력장치(70)가 제1축관(58)에 탄력을 제공하는 것은 도 5와 도 6의 (가)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축관(58)의 3차레버(57)가 "a"와 같이 회전하면, 3차레버(57)의 선단부가 손잡이돌출편(45)의 우구멍(48)에 삽입되어 있음에 따라 손잡이돌출편(45)이 "b"와 같이 하강하게 되고, 손잡이돌출편(45)의 하강에 의해 손잡이돌출편(45)의 상부구멍(46)에 탄력장치(70)의 탄력레버(71)가 끼워져 있으므로 탄력레버(71)가 "c"와 같이 회전하게 된다.
위와 같이 탄력레버(71)가 회전할 때, 상기 탄력레버(71)는 도 5 및 도 7, 8에서와 같이 탄력레버(71)가 일체로 결합된 회전체(74)가 하우징(79)의 내측에서 회전가능하게 삽입되어 있고, 회전체(74)의 내관부(75)에 삽입된 비틀림스프링(80)의 상향 절곡된 양단부가 회전체(74)의 스프링걸림절개부(73)와 하우징(79)의 스프링걸림절개부(77)에 각각 걸려 있는 상태이므로 상기 탄력레버(71)가 회전할 때 비틀림스프링(80)이 비틀리면서 비틀림탄성이 생기게 된다.
상기와 같이 비틀림스프링(80)에 비틀림탄성이 생기다가 탄력레버(71)가 회전을 멈추어 회전하는 힘이 없어진 뒤에는 상기 비틀림탄성이 원위치로 복원되면서 탄력레버(71)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뒤이어 손잡이돌출편(45)을 통하여 제1축관(58)에 설치된 3차레버(57)를 반대로 밀어주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탄력장치(70)의 탄력레버(71)가 도 6의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손잡이돌출편(45)이 상측으로 상승하고, 탄력레버(7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손잡이돌출편(45)이 하측으로 하강하면서 (70)의 (80)은 비틀림탄성이 생기게 되는 것이다.
다음은 리모콘을 사용하지 않고 출입문(2)의 내외측에 설치된 내외부손잡이를 당기거나 밀어서 출입문(2)를 개폐하고, 보조잠금기(30)와 도어록장치(90)를 록킹 및 언록킹하는 것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때는 도어클로우저(10)의 실린더(14)로 유압이 공급되지 않아서 실린더로드는 출입문(2)을 열고 닫는 동작에 의해 부드럽게 출몰된다.
먼저, 내부에서 출입문(2)을 열고 외부로 나가고자 하는 경우에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내부손잡이(44)를 외측으로 밀면, 내부손잡이(44)의 타단에 돌출되게 형성된 손잡이돌출편(45)이 밀려들어가면서(도 5의 그림에서는 손잡이돌출편(45)가 상승됨) 손잡이돌출편(45)에 형성된 상부구멍(46)과 좌우구멍(47,48)에 끼워진 각각의 탄력레버(71)와 3차레버(57), 4차레버(59)가 올라간다.
탄력레버(71)이 올라감아 따라 탄력장치(70)에서는 비틀림탄력이 생기게 하고, 3차레버(57)가 올라가는 것은 3차레버(57)가 설치된 제1축관(58)을 회전시켜서 제1축관(58)의 타측에 설치된 2차레버(55)의 자유단부에 연결된 열림링크(7)를 당겨주어 도어록장치(90)가 열리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4차레버(59)가 올라가는 것은 4차레버(59)가 설치된 제2축관(56)을 회전시키며, 이 제2축관(56)의 타측에 설치된 5차레버(60)에 닫침링크(8)가 연결되어서 닫침링크(8)가 당겨지게 되나, 닫침링크(8)이 당겨질 때는 도어록장치(90)의 잠금작용에 관계하지 않는다.
위에서와 같이 내부손잡이(44)를 외측으로 밀음에 따라 손잡이돌출편(45)이 상승하면서 2차레버(55)에 연결된 열림링크(7)를 밀어주어 도어록장치(90)의 잠금상태를 해제하게 되는 것이며, 이처럼 도어록장치(90)의 잠금상태가 해제된 상태에서 내부손잡이(44)를 외측으로 계속 밀어줌에 따라 출입문(2)을 외측으로 열어젖힐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출입문(2)을 열고 출입구로 나간 뒤에 외부손잡이(미도시)를 당기게 되면, 공지된 도어록장치(90)의 잠금구(92)가 도어프레임(1)의 걸림구(1b)에 걸려 서 걸림상태가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설치된 출입문을 실내측에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설치되는 도어클로우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의 (가)(나)는 본 발명에 설치되는 와이어당김구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설치되는 도어록가동기를 나타내는 배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도어록가동기의 배면 사시도.
도 6의 (가)(나)는 도 4의 A-A선 및 B-B선 단면도.
도 7의 (가)은 본 발명에 설치되는 탄력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8의 (가)(나)는 도 7에 도시된 탄력장치의 평단면도와 정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설치되는 도어록장치의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도어프레임 2 : 출입문 3 : 개폐케이블
4 : 와이어튜브 5 : 와이어 6 : 와이어엔드
7 : 열림링크 8 : 닫침링크 10 : 도어클로우저
11 : 본체케이스 12 : 피니언 13 : 섹터기어
14 : 실린더 15 : 1차링크 16 : 신축링크
17 : 브래킷 18 : 연결링크 20 : 와이어당김구
21 : 베이스판 22 : 장공 23 : 이송대
24 : 연결구 25 : 와이어고정구 26 : 와이어홀더
30 : 보조잠금기 31 : 걸림핀 32 : 하우징
40 : 도어록가동기 41 : 베이스판 42 : 작동공
43 : 통공 44 : 내부손잡이 45 : 손잡이돌출편
46 : 상부구멍 47 : 좌구멍 48 : 우구멍
49 : 손잡이홈 50 : 도어록개폐장치부 51 : 지지대
52 : 축핀 53 : 1차레버 54 : 가이드핀
55 : 2차레버 56 : 제2축관 57 : 3차레버
58 : 제1축관 59 : 4차레버 60 : 5차레버
70 : 탄력장치 71 : 탄력레버 72 : 스프링케이스부
73 : 스프링걸림절개부 74 : 회전체 75 : 내관부
76 : 핀구멍 77 : 스프링걸림절개부 78 : 핀구멍
79 : 하우징 80 : 비틀림스프링 81 : 축핀
82 : 나사부 90 : 도어록장치 91 : 키뭉치
92 : 잠금구

Claims (4)

  1. 본체케이스(11)는 도어프레임(1)에 설치되고 신축링크(16)는 출입문(2)에 설치되어 출입문(2)을 힌지식으로 개폐되게 하는 도어클로우저(10)와,
    도어클로우저(10)의 신축링크(16)의 말단부에 연결 설치되어 2가닥의 개폐케이블(3)를 당겨주는 와이어당김구(20)와,
    일측 개폐케이블(3)의 말단부에 연결 설치된 걸림핀(31)이 개폐케이블(3)을 당기고 미는 동작에 따라 도어프레임(1)에 형성된 잠금구멍(1a)에 삽탈되는 보조잠금기(30)와,
    타측 개폐케이블(3)의 말단부에 연결 설치되어 개폐케이블(3)을 당기고 미는 동작에 따라 도어록장치(90)를 록킹 및 언록킹되게 하는 도어록가동기(40)와,
    도어록가동기(40)에 설치된 내부손잡이(44)와 출입문(2)의 외측에 설치되는 외부손잡이 및 키뭉치(91)의 조작에 의해 도어프레임(1)에 구비된 걸림구(1b)에 잠금구(92)가 록킹 및 언록킹되는 공지된 도어록장치(9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클로우저를 이용한 건물용 출입문 개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클로우저(10)는 도어프레임(1)에 설치되는 본체케이스(11)의 내부에 유압모터로부터 유압을 공급받아 신축하는 실린더(14)가 설치되고, 실린더(14)의 로드 선단부측 본체케이스(11)의 내측에는 로드의 선단부와 연결링크(18)로 힌지식으로 연결되어 정역회전하는 섹터기어(13)가 설치되며, 본체케 이스(11) 내측의 섹터기어(13) 전방에는 섹터기어(13)와 맞물려 회전하는 피니언(12)이 설치되고 이 피니언(12)의 피니언축(12a)은 본체케이스(11)의 외측으로 외향 돌출되어 그 피니언축(12a)에 1차링크(15)의 일측단이 결합설치되며, 1차링크(15)의 타단부에는 말단부에 브래킷(17)이 힌지식으로 설치된 신축링크(16)가 힌지식으로 연결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당김구(20)는 일측에 절곡부(21a)가 형성되며 바닥면에 장공(22)을 형성한 베이스판(21)이 장공(2a)을 형성한 출입문(2)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브래킷(17)의 외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연결구(24)가 출입문(2)의 장공(2a)과 베이스판(21)의 장공(22)을 통하여 베이스판(21)의 안쪽으로 삽입되고, 이 연결구(24)의 선단부에는 베이스판(21)을 따라 슬라이딩될 이송대(23)가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판(21)의 절곡부(21a)에는 2가닥의 개폐케이블(3) 단부를 설치할 와이어홀더(26)가 설치되어 와이어튜브(4)의 내측에 와이어(5)가 이동가능하게 삽입된 개폐케이블(3)의 와이어튜브(4) 단부가 와이어홀더(26)에 삽입 설치되며, 와이어(5)의 단부는 와이어튜브(4)의 단부 외측으로 노출되어 그 노출된 단부가 이송대(23)의 일측에 설치된 와이어고정구(25)에 결합 설치되고,
    상기 도어록가동기(40)는 작동공(42)과 통공(43)을 간격을 두고 형성한 베이스판(41)이 출입문(2)의 실내측면에 설치되며, 이 베이스판(41)의 외면에는 내부손잡이(44)를 힌지식으로 설치하되, 이 내부손잡이(44)는 일측의 힌지부와, 타측에 상부구멍(46)과 좌우구멍(47,48)을 형성한 손잡이돌출편(45)이 내향 설치되며, 힌 지부는 작동공(42)으로 삽입되어 베이스판(41)의 내면에 힌지식으로 설치되고 손잡이돌출편(45)은 통공(43)으로 내향 삽입되며,
    베이스판(41)의 내면에는 손잡이돌출편(45)의 상부구멍(46)에 끼워져 손잡이돌출편(45)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력장치(70)가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판(41)의 내면에는 와이어홀더(26a)를 구비한 지지대(26b)가 설치되어 타측 개폐케이블(3)의 말단부를 설치하되, 개폐케이블(3)의 내측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된 와이어(5)는 와이어튜브(4)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그 노출된 단부에 장공(6a)을 형성한 와이어엔드(6)에 연결 설치되며,
    통공(43)측의 베이스판(41) 내면에는 와이어엔드(6)에 의한 당김과 미는 동작에 따라 열림링크(7)를 당겨주고 밀어주며, 손잡이돌출편(45)의 탄력에 의해 닫침링크(8)을 당겨주고 밀어주는 도어록개폐장치부(5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클로우저를 이용한 건물용 출입문 개폐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탄력장치(70)은 하측이 베이스판(41)의 내부면에 고정 설치되는 하우징(79)과, 하우징(79)에 회전되게 삽입되는 회전체(74)와, 하우징(79)과 회전체(74)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축핀(81)과, 회전체(74)에 설치되어 회전체(74)를 정역회전되게 하는 비틀림스프링(8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우징(79)은 일측이 개구된 원통형 몸체의 상측에 스프링걸림절개부(77)가 소정 폭으로 절개되게 형성되고, 그 몸체의 폐쇄된 쪽의 중심부에 핀구멍(78)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체(74)는 하우징(79)으로 삽입되는 스프링케이스부(72)의 상측에 하우징(79)의 스프링걸림절개부(77)와 동일하게 절개된 스프링걸림절개부(73)가 형성되며, 이 스프링케이스부(72)의 전방에는 선단부가 손잡이돌출편(45)의 상부구멍(46)에 끼워지는 탄력레버(71)가 측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되고, 스프링케이스부(72)의 내측 중심부에는 축핀(81)이 끼워질 내관부(75)가 형성되며,
    상기 비틀림스프링(80)의 코일 양단부가 각각의 스프링걸림절개부(73,77)에 걸리도록 상향 절곡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클로우저를 이용한 건물용 출입문 개폐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록개폐장치부(50)은 베이스판(41)의 내부에 2~3개의 지지대(51)가 간격을 두고 돌출되게 설치되고, 이 지지대(51)의 선단부에는 축핀(52)이 관통되게 설치되며, 이 축핀(52)의 외부에는 제1축관(58)과 제2축관(56)이 회전가능하게 삽입되고,
    제1축관(58)에는 1,2,3차레버(53,55,57)가 간격을 두고 각각 설치되어 1차레버(53)의 자유단부에 돌출된 가이드핀(54)이 와이어엔드(6)의 장공(6a)에 끼워지며, 2차레버(55)의 말단부는 열림링크(7)와 힌지식으로 연결되며, 3차레버(57)의 자유단부는 손잡이돌출편(45)의 우구멍(48)이 삽입되고,
    상기 제2축관(56)에는 자유단부가 손잡이돌출편(45)의 좌구멍(47)에 끼워지는 4차레버(59)와, 자유단부에 닫침링크(8)가 힌지식으로 연결되는 5차레버(6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클로우저를 이용한 건물용 출입문 개폐장치.
KR1020080095212A 2008-09-29 2008-09-29 도어클로우저를 이용한 건물용 출입문 개폐장치 KR1010351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5212A KR101035121B1 (ko) 2008-09-29 2008-09-29 도어클로우저를 이용한 건물용 출입문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5212A KR101035121B1 (ko) 2008-09-29 2008-09-29 도어클로우저를 이용한 건물용 출입문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5850A true KR20100035850A (ko) 2010-04-07
KR101035121B1 KR101035121B1 (ko) 2011-05-19

Family

ID=42213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5212A KR101035121B1 (ko) 2008-09-29 2008-09-29 도어클로우저를 이용한 건물용 출입문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512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41127A (zh) * 2017-04-06 2020-01-31 胡斯华纳有限公司 用于在线材捆扎机中引导线材的装置以及包括该装置的线材捆扎机
CN113236052A (zh) * 2021-05-10 2021-08-10 中车太原机车车辆有限公司 一种用于铁路敞车的平开式下侧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6360B1 (ko) 2018-10-10 2019-07-04 이장우 도어 클로저 장치
KR20240047651A (ko) 2022-10-05 2024-04-12 한솔아 양방향 도어 개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3948A (ja) * 1992-08-24 1994-03-15 Tostem Corp 窓開閉装置
JPH06307155A (ja) * 1993-04-19 1994-11-01 Nippon Cable Syst Inc 窓等の開閉装置
KR20040022612A (ko) * 2002-09-09 2004-03-16 주식회사 포스코 빌릿 그라인딩라인의 빌릿 로딩장치
JP4904078B2 (ja) * 2006-04-27 2012-03-28 Dt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ドアクローザー
KR200422612Y1 (ko) 2006-05-17 2006-07-27 조성수 문자동개폐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41127A (zh) * 2017-04-06 2020-01-31 胡斯华纳有限公司 用于在线材捆扎机中引导线材的装置以及包括该装置的线材捆扎机
EP3607154A4 (en) * 2017-04-06 2020-12-16 Husqvarna AB ARRANGEMENT FOR GUIDING A WIRE IN A WIRE BINDING MACHINE AND WIRE BINDING MACHINE WITH THE ARRANGEMENT
CN110741127B (zh) * 2017-04-06 2021-12-07 胡斯华纳有限公司 用于在线材捆扎机中引导线材的装置以及包括该装置的线材捆扎机
US11518559B2 (en) 2017-04-06 2022-12-06 Husqvarna Ab Arrangement for guiding a wire in a wire binding machine and a wire binding machine comprising the arrangement
CN113236052A (zh) * 2021-05-10 2021-08-10 中车太原机车车辆有限公司 一种用于铁路敞车的平开式下侧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5121B1 (ko) 2011-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29290B (zh) 多取用方式門鎖機構
US11598123B2 (en) Multi-point exit device
US10214945B2 (en) Door latch assembly for motor vehicles
KR101795252B1 (ko) 차량용 트렁크 래치 모듈
AU2017228059B2 (en) Latch arrangement having a handle
US10214944B2 (en) Opening-and-closing device for vehicle door
US20170314304A1 (en) Push and/or pull handle locksets
US11959307B2 (en) Lever action automatic shootbolt operator with magnetically-triggered locking mechanism
KR101035121B1 (ko) 도어클로우저를 이용한 건물용 출입문 개폐장치
US20200199916A1 (en) Deployable handle system using remote actuator
AU2023233054A1 (en) Lever action automatic shootbolt operator with magnetically-triggered locking mechanism
JP4205081B2 (ja) 開き戸の施解錠機構
JP3165169U (ja) 引戸錠装置
JP3133714U (ja) 開き戸の施解錠機構
JP2008057178A (ja) 引戸用把手の構造
TWM487341U (zh) 汽車門鎖的解鎖機構
KR101905552B1 (ko) 도어 로크 스트라이커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의 도어 장치
KR100892514B1 (ko) 차량용 도어인사이드핸들 장치
KR100901607B1 (ko) 도어래치 어셈블리의 세이프티 노브레버
KR200381043Y1 (ko) 도어록의 잠금 및 해제장치
KR100894176B1 (ko) 보조잠금기가 구비된 건물용 출입문개폐장치
RU210016U1 (ru) Привод фалевой защёлки
ITBO960150U1 (it) Maniglione ad azionamento semplificato di sicurezza per portelloni di camion, rimorchi o simili.
ITTO940926A1 (it) Assieme di chiusura per una porta di un veicolo.
TWI512181B (zh) 汽車門鎖的解鎖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