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4176B1 - 보조잠금기가 구비된 건물용 출입문개폐장치 - Google Patents

보조잠금기가 구비된 건물용 출입문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4176B1
KR100894176B1 KR1020070083936A KR20070083936A KR100894176B1 KR 100894176 B1 KR100894176 B1 KR 100894176B1 KR 1020070083936 A KR1020070083936 A KR 1020070083936A KR 20070083936 A KR20070083936 A KR 20070083936A KR 100894176 B1 KR100894176 B1 KR 1008941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
wire
lever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3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9475A (ko
Inventor
배종식
Original Assignee
배종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종식 filed Critical 배종식
Priority to KR10200700839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4176B1/ko
Publication of KR20090019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94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4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41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14Arrangement of several locks or locks with several bolts, e.g. arranged one behind the o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8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 E05C1/1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latch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조잠금기가 구비된 건물용 출입문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 출원의 출원인이 선출원하여 특허등록된 특허등록 제748712호(발명의 명칭 : 건물용 출입문개폐장치)의 발명에 보조잠금기를 추가로 설치하고, 이 보조잠금기는 도어록장치를 잠금 및 해제시키기 위하여 동작하는 출입문개폐장치와 도어록장치의 동작에 연동되도록 구성함으로서, 주잠금기 역할을 하는 도어록장치와 보조잠금기가 동시에 출입문을 잠금에 따라 출입문의 잠금상태가 더욱더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어프레임(1)에 힌지식으로 개폐되게 설치되는 출입문(3)에는 내외부손잡이의 조작에 의해 연동되는 방향전환기(12)가 구비된 출입문개폐장치(100)가 설치되고, 상기 출입문개폐장치(100) 일측의 출입문(3) 내에는 방향전환기(12)의 동작에 따라 출입문(3)을 잠금 및 해정하는 공지의 도어록장치(6)가 설치된 것에 있어서, 상기 도어록장치(6)의 삼방향레버(52)가 설치된 쪽의 브라켓트(49)에는 수평돌출편(70)이 삼방향레버(52)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절곡 형성되고, 상기 수평돌출편(70)에는 "人"자 형태로 형성되는 이방향레버(71)의 꼭지부분이 힌지식으로 설치되며, 출입문개폐장치(100) 하방의 출입문(3) 내측에는 와이어당김구(80)를 설치하되, 이 와이어당김구(80)는 "ㄷ"형으로 절곡된 브래킷(81)이 출입문개폐장치(100) 하방의 출입문(3) 내벽에 설치되고, 이 브래킷(81)의 내부에는 상부에 로드결합부(84)가 형성되고 하부에 로드결합부(85) 및 한 쌍의 와이어고정구멍(86,86a)을 형성한 회동브래킷(82)의 중앙부가 힌지핀(83)에 의해 힌지식으로 설치되며, 브래킷(81)의 일측 벽에는 와이어 안내용 와이어안내튜브(91)의 일측 단부를 고정 결합하는 한 쌍의 암나사관(87) 및 조임너트(88)가 설치되고, 상기 도어프레임(1)의 일측 상하부 내벽에는 잠금구멍(93)이 형성되고, 잠금구멍(93)에 대응하는 출입문(3) 내측의 상하에는 잠금구멍(93)에 잠금 및 해제하는 보조잠금기(110)를 각각 설치하되, 상기 보조잠금기(110)는 출입문(3)의 내측에 잠금구멍(93)에 대응하는 설치공(116)을 형성한 브래킷(111)이 설치되며, 이 브래킷(111)의 설치공(116)에는 일측에 잠금구멍(93)에 대응하는 슬라이드홈(112)과 타측에 잠금너트(120)가 체결되는 숫나사부(113)를 구비하며 슬라이드홈(112)과 숫나사부(113)의 중심부에 외측과 통하는 통공(114)이 형성된 잠금핀가이드(115)가 고정 설치되고, 슬라이드홈(112)의 내부에는 후단부에 와이어(92)가 연결된 잠금핀(118)이 잠금구멍(93)으로 출몰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당김구(80)의 외측 조임너트(88)와 보조잠금기(110)의 잠금너트(120)의 사이에 와이어안내튜브(91)가 연결되고, 와이어당김구(80)의 양측 와이어고정구멍(86,86a)과 잠금핀(118)의 후단부 사이에는 와이어안내튜브(91)의 내부를 관통한 와이어(92)의 양단부가 각각 연결 고정되며, 상기 와이어당김구(80)의 상하측 로드결합부(84,85)에는 제1,2로드(94,95)의 선단부가 힌지식으로 각각 연결되고, 제1로드(94)의 타단부는 공지된 도어록장치(6)에 힌지식으로 설치된 삼방향레버(51)의 중간레버부(51a)에 힌지식으로 연결되며, 제2로드(95)의 타단부는 공지된 도어록장치(6)에 힌지식으로 설치된 이방향레버(71)의 일측단부에 힌지식으로 연결되고, 이방향레버(71)의 타단부와 출입문개폐장치(100)의 방향전환기(12)측으로 설치되는 키뭉치(64)의 레버(65) 단부사이에는 제3로드(97)를 힌지식으로 연결하되, 이방향레버(71)의 타단부에 연결되는 제3로드(97)의 단부에는 장공(9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건물, 출입문, 개폐장치, 내부손잡이, 외부손잡이, 방향전환기, 보조잠금기,잠금핀, 와이어, 와이어튜브, 와이어당김구, 회동브래킷

Description

보조잠금기가 구비된 건물용 출입문개폐장치{A door opening and shutting contrivance with an auxiliary locking device for a building}
본 발명은 보조잠금기가 구비된 건물용 출입문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 출원의 출원인이 선출원하여 특허등록된 특허등록 제748712호(이하, 선출원 발명이라 칭함)의 발명에 보조잠금기를 추가로 설치하고, 이 보조잠금기는 도어록장치를 잠금 및 해제시키기 위하여 동작하는 출입문개폐장치 및 도어록장치의 동작에 연동되도록 구성함으로서, 주잠금기 역할을 하는 도어록장치와 보조잠금기가 동시에 출입문을 잠금에 따라 출입문의 잠금상태가 더욱더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의 출원인이 선출원하여 특허등록된 종래발명은 출입문을 잠금 및 해제하는 부분이 도어록장치 1개임에 따라, 출입문을 강제로 열기위하여 도어록장치의 잠금구와, 도어프레임에 설치되며 잠금구가 걸리게 되는 걸림구를 강제로 부순다면 출입문을 개방할 수 있게 되는 미흡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출원의 출원인이 선출원하여 선등록된 종래발명에 도어록장치를 잠금 및 해제시키기 위하여 동작하는 출입문개폐장치 및 도어록장치의 동작에 연동되는 보조잠금기를 추가로 설치함으로서, 주잠금기 역할을 하는 도어록장치와 보조잠금기가 동시에 출입문을 잠금에 따라 출입문의 잠금상태가 더욱더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과제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어프레임에 힌지식으로 개폐되게 설치되는 출입문에는 내외부손잡이의 조작에 의해 연동되는 방향전환기가 구비된 출입문개폐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출입문개폐장치 일측의 출입문 내에는 방향전환기의 동작에 따라 출입문을 잠금 및 해정하는 공지의 도어록장치가 설치된 것에 있어서, 상기 도어록장치의 삼방향레버가 설치된 쪽의 브라켓트에는 수평돌출편이 삼방향레버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절곡 형성되고, 상기 수평돌출편에는 "人"자 형태로 형성되는 이방향레버의 꼭지부분이 힌지식으로 설치되며, 출입문개폐장치 하방의 출입문 내측에는 출입문개폐장치와 도어록장치의 동작에 의해 와이어를 밀어주고 당겨주는 와이어당김구를 설치하며, 상기 도어프레임의 일측 상하부 내벽에는 잠금구멍이 형성되고, 잠금구멍에 대응하는 출입문 내측의 상하에는 와이어당김구에 의해 밀려나고 당겨지면서 잠금구멍에서 삽탈하며 출입문의 잠금 및 해제하는 보조잠금기를 각각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보조잠금기가 구비된 건물용 출입문개폐장치는, 본 출원의 출원인이 선출원하여 선등록된 종래발명에 도어록장치를 잠금 및 해제시키기 위하여 동작하는 출입문개폐장치 및 도어록장치의 동작에 연동되는 보조잠금기를 추가로 설치함으로서, 주잠금기 역할을 하는 도어록장치와 보조잠금기가 동시에 출입문을 잠금에 따라 출입문의 잠금상태가 더욱더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보조잠금기가 구비된 건물용 출입문개폐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14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보조잠금기가 구비된 건물용 출입문개폐장치(100)는 본 출원의 출원인이 선출원하여 특허등록된 발명에 도어록장치를 잠금 및 해제시키기 위하여 동작하는 출입문개폐장치와 도어록장치의 동작에 연동되는 보조잠금기를 추가로 설치한 것이므로, 선출원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추가된 보조잠금기와 그 주변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어프레임(1)에 힌지식으로 개폐되게 설치되는 출입문(3)에는 내외부손잡이의 조작에 의해 연동되는 방향전환기(12)가 구비된 출입문개폐장치(100)가 설치되고, 상기 출입문개폐장치(100) 일측의 출입문(3) 내에는 방향전환기(12)의 동작에 따라 출입문(3)을 잠금 및 해정하는 도어록장치(6)가 설치되어 있다.
도 9 및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도어록장치(6)의 삼방향레버(52)가 설치된 쪽의 브라켓트(49)에는 수평돌출편(70)이 삼방향레버(52)의 상측으로 돌출 되게 절곡 형성되고, 상기 수평돌출편(70)에는 "人"자 형태로 형성되는 이방향레버(71)의 꼭지부분이 힌지식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출입문개폐장치(100) 하방의 출입문(3) 내측에는 와이어당김구(80)를 설치하되, 이 와이어당김구(80)는 "ㄷ"형으로 절곡된 브래킷(81)이 출입문개폐장치(100) 하방의 출입문(3) 내벽에 설치된다.
상기 브래킷(81)의 내부에는 상부에 로드결합부(84)가 형성되고 하부에 로드결합부(85) 및 한 쌍의 와이어고정구멍(86,86a)을 형성한 회동브래킷(82)의 중앙부가 힌지핀(83)에 의해 힌지식으로 설치되며, 브래킷(81)의 일측 벽에는 와이어 안내용 와이어안내튜브(91)의 일측 단부를 고정 결합하는 한 쌍의 암나사관(87) 및 조임너트(88)가 설치된다.
상기 암나사관(87)은 중앙부외주연에 플랜지부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양측외주연에 나사부를 구비한 관체형으로 형성되어 브래킷(81)의 일측벽에 구멍을 뚫은 뒤에 그 구멍에 삽입되며, 이렇게 구멍으로 삽입시킨 암나사관(87)의 양측 나사부에 조임너트(88)가 체결된다.
도 1 및 도 4의 (가)(나)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도어프레임(1)의 일측 상하부에는 잠금구멍(93)이 형성되고, 잠금구멍(93)에 대응하는 출입문(3) 내측의 상하에는 잠금구멍(93)에 잠금 및 해제하는 보조잠금기(110)가 각각 설치된다.
이때, 상기 보조잠금기(110)를 도 1에 도시한 가상선 "A1"과 같이 1개의 보조잠금기(110)를 출입문(3)이 개방되는 쪽에 설치하고 또 1개의 보조잠금기(110)는 출입문(3)이 힌지식으로 연결된 쪽에도 설치할 수 있으며, 또 다른 예로 "A2"와 같 이 출입문(3)의 상하부에 보조잠금기(110)가 상하방향으로 출몰하게 설치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상기 보조잠금기(110)는 출입문(3)의 내측에 잠금구멍(93)에 대응하는 설치공(116)을 형성한 브래킷(111)이 설치되며, 이 브래킷(111)의 설치공(116)에는 일측에 잠금구멍(93)에 대응하는 슬라이드홈(112)과 타측에 잠금너트(120)가 체결되는 숫나사부(113)를 구비하며 슬라이드홈(112)과 숫나사부(113)의 중심부에 외측과 통하는 통공(114)이 형성된 잠금핀가이드(115)가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슬라이드홈(112)의 내부에는 후단부에 와이어설치홀(117)이 형성되며 그 와이어설치홀(117)로 와이어(92)의 단부를 삽입한 뒤에 세트스크류(119)로서 와이어(92)를 고정 설치한 잠금핀(118)이 잠금구멍(93)으로 출몰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당김구(80)의 외측 조임너트(88)와 보조잠금기(110)의 잠금너트(120)의 사이에 와이어안내튜브(91)를 연결 설치하며, 와이어당김구(80)의 양측 와이어고정구멍(86,86a)과 잠금핀(118)의 후단부 사이에는 와이어안내튜브(91)의 내부를 관통한 와이어(92)의 양단부를 각각 연결 고정한다.
이때, 상기 와이어안내튜브(91)는 양단부에 걸림용 플랜지부가 외측으로 확장되게 형성되어 너트(88,120)의 내부에 걸리는 구조로 설치되며, 와이어(92)는 일측단부가 와이어고정구멍(86,86a)으로 삽입된 뒤에 세트스크류로 고정되고 타측단부는 잠금핀(118)의 와이어설치홀(117)로 삽입되어 세트스크류(119)로 고정됨에 따 라 와이어(92)를 고정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당김구(80)의 상하측 로드결합부(84,85)에는 도 3의 (가) 및 도9,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2로드(94,95)의 선단부가 힌지식으로 연결되고, 제1로드(94)의 타단부는 본 출원인 선출원하여 공지된 도어록장치(6)에 힌지식으로 설치된 삼방향레버(51)의 중간레버부(51a)에 힌지식으로 연결되며, 제2로드(95)의 타단부는 상기 도어록장치(6)에 힌지식으로 설치된 이방향레버(71)의 일측단부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또한, 이방향레버(71)의 타단부와 출입문개폐장치(100)의 방향전환기(12)측으로 설치되는 키뭉치(64)의 레버(65) 단부사이에는 제3로드(97)를 힌지식으로 연결하되, 이방향레버(71)의 타단부에 연결되는 제3로드(97)의 단부에는 장공(9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작용 관계를 도 1 내지 도 14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출원인이 선출원하여 특허등록된 발명에 보조잠금기(110)와 그 보조잠금기(110)와 연동되는 주변 구조물이 추가로 설치된 것이므로, 선출원 발명의 작용관계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하면서 본 발명에서 추가된 특징부와 이 특징부와 연계된 부분에 대해서 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선출원 발명의 개략적인 작용관계는 다음과 같다.
출입문(3)이 도어프레임(1)에 닫쳐진 상태에서 출입문(3)을 실내측에서 개방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1 및 도 5 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내측에서 내부손잡이(4)를 외측으로 민다.
위와 같이 내부손잡이(4)를 외측으로 밀면 내부손잡이(4)의 밀림동작에 의해 내부판(7)의 내부에 설치된 방향전환기(12)가 동작되면서 방향전환기(12)의 후단에 설치된 후방레버(21)가 링크(39)에 의해 열림레버(34)를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열림레버(34)의 회동으로 열림링크(40)를 도 7의 화살표방향으로 당겨주면, 이 열림링크(40)의 타단부는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어록장치(6)에 힌지식으로 설치된 개폐레버동작구(62)의 밀림부(61) 측을 당기게 되어 이 개폐레버동작구(62)가 힌지식으로 회전하면서 타측의 푸싱부(60)가 개폐레버(59)의 하측걸림턱(57)을 밀어주게 된다.
이때, 도 9 및 도 10,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개폐레버(59)는 힌지식으로 회동하게 설치되고 이 개폐레버(59)의 반대편에는 개폐레버(59)의 일측단에 끼움식으로 결합되는 걸림쇠(63)가 개폐레버(59)와 동일하게 힌지식으로 설치되어 있어서 개폐레버(59)가 회전하면 잠금구조작편(58)에 끼워져 있는 걸림쇠(63)가 개폐레버(59)와 동일하게 회동한다.
상기 걸림쇠(63)는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어프레임(1)에 설치된 걸림구(2)에 걸림과 해제를 하는 잠금구(6a)가 탄력적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어서 걸림쇠(63)의 회전에 기인하여 잠금구(6a)가 회전되면서 걸림구(2)와의 걸림상태가 해제되어 출입문의 잠금상태가 해제 되게 되는 것이다.
다음은 실내측에서 내부손잡이(4)를 당김동작으로 출입문(3)을 닫으며 도어록장치(6)가 잠금상태가 되도록 할 때에는 사용자가 실내로 들어와 내부손잡이(4) 를 당기면, 출입문(3)이 닫히면서 도 12와 같이 도어프레임(1)에 돌출되게 설치된 걸림구(2)에 잠금구(6a)의 걸림홈(6c)이 삽입되면서 밀리게 된다.
이때, 잠금구(6a)는 힌지핀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설치되어서 위와 같은 밀림작용에 의해 잠금구(6a)가 회전하면서 걸림홈(6c)으로 들어온 걸림구(2)를 가두게 되고, 이렇게 회전하면서 걸림구를 가둔 잠금구(6a)는 그 일측의 걸림쇠(63)가 비틀림스프링의 탄력으로 회전하면서 걸려진 상태를 유지하게 하여 출입문이 닫힘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실내측에서 내부손잡이(4)를 당김동작으로 출입문(3)을 닫으며 도어록장치(6)가 잠금상태가 된 때에는, 도 6,7 및 도 9 내지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부손잡이(4)를 당김에 따라 상기 내부손잡이(4)를 외측으로 밀을 때와 반대방향으로 방향전환기(12)가 동작되면서 방향전환기(12) 후단의 후방레버(21)에 연결된 링크(39)가 당겨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당겨지는 링크(39)의 선단부는 닫침레버(35)를 통하여 닫침링크(41)를 도어록장치(6)측으로 밀어주면서 닫침링크(41)의 타단부가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삼방향레버(51)의 중간레버부(51a)를 밀어주어 삼방향레버(51)가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하게 된다.
이 삼방향레버(51)의 우측에는 또 다른 삼방향레버(52)의 하측이 끼움식으로 연결되어서 이 또 다른 삼방향레버(52)도 힌지핀을 중심으로 각운동하게 되며, 삼방향레버(52)의 타측에 힌지식으로 설치된 힌지레버(55)가 삼방향레버(52)에 의해 하측으로 내려가게 된다.
이렇게 내려가는 힌지레버(55)에 힌지식으로 함께 설치된 걸림레버(56)도 힌지레버(55)와 함께 내려간 상태가 되어 걸림레버(56)의 선단부가 개폐레버(59)의 상측걸림턱(59a)에 걸리지 않게 된다.
위와 같이 걸림레버(56)의 선단부가 상측걸림턱(59a)을 밀어줄 수 없는 상태가 되므로 개폐레버(59)를 힌지식으로 회동시킬 수 없어서 최종적으로 잠금구(6a)의 잠금상태를 해제시키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걸림레버(56)의 조작은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부손잡이(5)를 당겨서 출입문(3)을 열고자 하는 경우에 작용하는 것으로서, 외부손잡이(5)를 출입문(3)의 외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당기면 외부손잡이(5)의 삽입단부(5a)가 외측으로 당겨지면서 전방개폐레버(66)를 힌지식으로 당기게 된다.
그리고, 이 전방개폐레버(66)의 타단이 일측단이 서로 힌지결합된 탄성레버(54)와 힌지레버(55)의 핀결합부를 개폐레버(59)측으로 밀어주게 되며, 위와 같이 힌지레버(55)가 내려가서 걸림레버(56)가 상측걸림턱(59a)을 밀어줄 수 없는 상태되어 개폐레버(59)를 조작시키지 못하므로 잠금상태를 해제시키지 못하는 것이고, 힌지레버(55)가 올라가서 상측걸림턱(59a)을 레버(65)가 밀어줄 수 있으면 잠금구(6a)의 잠금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출입문(3)을 개방할 때는 개폐레버동작구(62)를 당겨서 개폐레버(59)가 회동하게 하고 이 개폐레버(59)의 반대편에 설치된 걸림쇠(63)의 회전으로 잠금구(6a)가 도어프레임(1)에 설치된 걸림구(2)와의 걸림상태가 해제되게 하는 것이고, 출입문(3)을 잠글 때는 힌지레버(55)가 내려가서 걸림레버(56)가 개폐레 버(59)의 상측걸림턱(59a)를 못 밀어줘서 출입문(3)의 잠금상태를 해제시키지 못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설치되는 출입문(3)에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일사용상태로 에쿠스 승용차에 설치되는 공지된 도어록장치(6)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 공지된 도어록장치(6)에는 잠금구(6a)의 잠금상태를 해제시키는 수단이 열쇠를 이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본 발명의 출원인은 리모콘과 지문인식기로도 잠금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먼저, 리모콘이나 지문인식기로 잠금구(6a)의 잠금상태를 해제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리모콘 또는 지문인식기의 신호에 따라 베이스프레임(36) 내부에 설치된 모터(도시생략)를 구동시키게 되고, 그 모터의 회전력으로 모터축에 연결된 편심레버(50)가 회전하면서 편심레버(50)의 자유단부와 연결된 삼방향레버(51)를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시키게 된다.
이 삼방향레버(51)의 우측단부(51b)에는 위에서 열쇠를 이용하여 잠금구(6a)의 잠금상태를 해제시킬 때 회동하는 또 다른 삼방향레버(52)와 연결되어서 이 삼방향레버(52)가 회전하게 되고, 그 삼방향레버(52)의 회전이 힌지레버(55)를 상측으로 올려서 위에서 걸림레버(56)가 개폐레버(59)의 상측걸림턱(59a)을 밀어서 잠금구(6a)의 잠금상태를 해제시키는 것과 동일한 작용이 이루어진다.
다음은 도 1 및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개폐실린더(42)와 열림실린더(44)를 이용하여 본 발명이 설치된 출입문(3)을 자동을 개폐하는 것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는 출입문(3)을 열고 닫을 때 출입문(3)에 손을 대지 않고 리모콘을 이용하여 출입문(3)을 개폐시킬 수 있는 것이다.
리모콘으로 열림신호를 보내게 되면 열림실린더(44)의 작용에 의해 선단부에 설치된 밀대(47)가 후퇴하면서 밀대(47)의 장공(46)과 열림레버(34)의 하단부 사이에 연결된 당김링크(48)를 당겨주고, 이렇게 당겨져서 회전하는 열림레버(34)의 회전에 의해 위에서 열림링크(40)이 당겨져서 잠금구(6a)의 잠김상태가 해제되는 것과 동일하게 잠금상태가 해제된다.
그 다음에 개폐실린더(42)를 동작시켜서 출입문(3)이 힌지식으로 개방되도록 하여 사용자는 그 개방된 출입문(3)을 이용하여 출입을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열림실린더(44)의 실린더로드에는 압축코일스프링(45)이 설치되어서 밀대(47)를 한 번 당기고 나면 그 압축코일스프링(45)의 탄성복원력으로 실린더로드를 포함한 밀대(47)가 전방으로 밀려나가 다음의 당김동작을 다시 할 수 있게 준비하며, 밀대(47)에 장공(46)이 형성된 것은 당김링크(48)가 당겨지고 난 뒤에 당김하중이 제거되어 압축코일스프링(45)의 탄력으로 밀대(47)가 전진할 때 열림레버(34)가 복귀하는 속도에 차이가 있는 경우에 열림링크(40)를 당기는 길이에 차이가 발생할 염려가 있으므로 장공을 여유있게 길게 형성한 것이다.
열쇠를 이용하여 잠금상태를 해제시키는 경우에 대해서는 선등록 발명에 추가된 본 발명의 특징부를 설명할 때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이상은 선등록된 발명에서의 출입문의 개폐동작을 설명하였는데, 다음은 선등록 발명에 추가된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과 도 4의 (나)는 보조잠금기(110)의 잠금핀(118)이 도어프레임(1)의 잠 금구멍(93)에 삽입되어 출입문(3)이 잠겨진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현관문(3)을 개방하고자 내부손잡이(4)를 외측으로 밀거나 또는 리모콘, 열쇠 등의 열림수단이 작용시키게 되면, 선등록 발명의 도 10 내지 도 12에서와 같이 개폐레버동작구(62)를 당겨서 개폐레버(59)가 회동하게 하고 이 개폐레버(59)의 반대편에 설치된 걸림쇠(63)의 회전으로 잠금구(6a)가 걸림구(2)와의 걸림상태가 해제되게 하는 것이다.
그런데, 도 9 및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삼방향레버(51)에는 본 발명의 특징부가 되는 제1로드(94)가 연결되어 있는데, 이 삼방향레버(51)의 일측에는 푸셔(64b)가 힌지식으로 연결되어 있고, 이 푸셔(64b)는 개폐레버동작구(62)의 밀림부(61)가 밀어주도록 되어 있음에 따라 개폐레버동작구(62)의 밀림부(61)가 푸셔(64b)를 밀어내게 된다.
상기와 같이 밀림부(61)에 의해 밀려 나는 푸셔(64b)의 일측 단부에는 제1로드(94)가 힌지식으로 연결된 삼방향레버(51)가 힌지식으로 회동하게 설치되어서 출입문(3)을 개방하고자 당겨지는 개폐레버동작구(62)에 의해 제1로드(94)가 도 5의 (가)와 같이 와이어당김구(80)측으로 밀려나게 된다.
상기 제1로드(94)가 와이어당김구(80)측으로 당겨짐에 따라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와이어당김구(80)의 브래킷(81)에 힌지핀(83)에 의해 힌지식으로 설치된 회동브래킷(82)이 도 3 (가) 및 도 5의 (가)의 화살표방향으로 회동하면서 회동브래킷(82) 하측의 와이어고정구멍(86,86a)에 고정 설치된 각각의 와이어(92)를 당겨주게 된다.
상기 와이어(92)가 당겨지게 되면 도 4의 (가)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와이어안내튜브(91) 내에 들어 있으며 타단부가 잠금핀(118)에 연결된 와이어(92)가 당겨져서 그 와이어(92)의 타단부에 연결 고정된 잠금핀(118)이 와이어(92)가 당겨지는 방향으로 당겨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당겨지는 잠금핀(118)은 잠금핀가이드(115)의 슬라이드홈(112)에서 슬라이딩 후퇴하여 도어프레임(1)에 형성된 잠금구멍(93)에서 이탈하여 보조잠금기(110)가 출입문(3)을 도어프레임(1)에 잠그던 동작을 해제하게 되는 것이다.
반대로 도 4의 (가)와 같이 도어프레임(1)의 잠금구멍(93)에 보조잠금기(110)의 잠금핀(118)이 이탈하여 출입문(3)에 대한 잠금상태가 해제된 상황에서 도 4의 (나)와 같이 잠금핀(118)이 잠금구멍(93)으로 삽입되어 출입문(3)에 대한 잠금상태가 되게 할 때에는, 와이어(92)가 잠금핀(118)을 잠금구멍(93)으로 밀어 넣으면 된다.
위와 같이 와이어(92)가 잠금핀(118)을 잠금구멍(93)으로 밀어 넣는 동작은,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어록장치(6)의 힌지레버(55)가 내려가서 걸림레버(56)가 개폐레버(59)의 상측걸림턱(59a)를 못 밀어줄 수 없게 하면 출입문(3)의 잠금상태를 해제시키지 못하는 상태기 되므로, 힌지레버(55)가 내려가게 하면된다.
상기 힌지레버(55)가 내려가게 하는 동작은 닫침링크(41)가 삼방향레버(51)의 중간레버부(51a)를 개폐레버(95)측으로 밀어주게 되는데, 이 삼방향레버(51)의 중간레버부(51a)에 제1로드(94)의 일측단이 연결되어 있고 이 제1로드(94)의 타단이 회동브래킷(82) 상측의 로드결합부(84)에 연결되어 있음에 따라 회동브래킷(82) 가 도 5의 (나)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상기 회동브래킷(82)가 시계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회동브래킷(82)의 하측은 와이어(92)가 삽입된 암나사관(87)측으로 회동하게 되고, 이 회동브래킷(82) 하측의 와이어고정구멍(86)에 와이어(92)가 고정되어 있어서 이 와이어(92)는 보조잠금기(110)측으로 밀려가면서 그 와이어(92)의 말단부에 연결된 잠금핀(118)이 도어프레임(1)의 잠금구멍(93)으로 밀려들어가 출입문을 잠그게 되는 것이다.
다음은 열쇠를 이용하여 잠그거나 또는 열을 경우에는 도 9 및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키뭉치(64)에 열쇠를 삽입시킨 상태로 열쇠를 돌리면, 키뭉치(64)에 설치된 레버(65)가 회전하면서 이방향레버(71)의 타단부와 연결된 제3로드(97)에 의해 레버(65)가 회전하는 방향에 따라 이방향레버(71)가 회동하게 된다.
이때, 이방향레버(71)가 회전하는 방향을 출입문을 잠그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방향레버(71)가 잠기는 방향으로 회전할 때는 이방향레버(7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렇게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이방향레버(71)에 의해 이방향레버(71)의 일측단에 연결된 제2로드(95)가 도 10의 화살표방향(a)으로 밀려나게 된다.
위와 같이 제2로드(95)가 도 10의 화살표방향(a)으로 밀려나게 되면, 이 제2로드(95)가 회동브래킷(82)의 하측을 보조잠금기(110)가 잠기는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회동브래킷(82)의 하측에 연결된 와이어(92)를 보조잠금기(110)측으로 밀어주어 위에서 잠금핀(118)이 잠금구멍(93)에 삽입될 때와 동일하게 도 4의 (나) 및 도 5의 (나)와 같이 보조잠금기(110)가 잠기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보조잠금기(110)가 잠기면서 회동브래킷(82)의 상측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1로드(94)를 삼방향레버(51)를 잠기는 방향으로 밀어주어 도어록장치(6)도 잠기게 되는 것이며, 열쇠에 의해 보조잠금기(110)가 열리고 도어록장치(6)도 열리게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위의 잠길 때와 반대로 동작이 이루어지면서 열림작용이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이 설치된 출입문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요부가 되는 와이어당김구의 사시도 .
도 3의 (가)(나)는 도 2에 도시된 와이어당김구의 구조와 작용관계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및 평단면도.
도 4의 (가)(나)는 본 발명의 다른 요부가 되는 보조잠금기의 작용관계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의 (가)(나)는 본 발명의 작용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출입문에 내부손잡이와 방향전환기가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7은 출입문에 설치되는 출입문개폐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출입문의 내부에 본 발명을 비롯한 출입문개폐장치와 도어록장치가 내부판에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출입문의 내부에 출입문개폐장치와 도어록장치가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도어록장치의 평면도.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도어록장치의 정면사시도.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도어록장치의 커버를 분해하여 잠금구가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배면도.
도 13은 도 9에 도시된 도어록장치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부분평면도.
도 14는 도 9에 도시된 도어록장치에 설치된 탄성레버와 외부손잡이의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부분발췌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프레임 2 : 걸림구 3 : 출입문
4 : 내부손잡이 5 : 외부손잡이 6 : 도어록장치
7 : 내부판 12 : 방향전환기 21 : 후방레버
34 : 열림레버 35 : 닫침레버 36 : 베이스프레임
39 : 링크 40 : 열림링크 41 : 닫침링크
42 : 개폐실린더 44 : 열림실린더 45 : 압축코일스프링
46 : 장공 47 : 밀대 48 : 당김링크
49 : 브라켓트 50 : 편심레버 51 : 삼방향레버
52 : 삼방향레버 54 : 탄성레버 55 : 힌지레버
56 : 걸림레버 57 : 하측걸림턱 59 : 개폐레버
60 : 푸싱부 61 : 밀림부 62 : 개폐레버동작구
63 : 걸림쇠 64 : 키뭉치 65 : 레버
70 : 수평돌출편 71 : 이방향레버 80 : 와이어당김구
81 : 브래킷 82 : 회동브래킷 83 : 힌지핀
84 : 로드결합부 85 : 로드결합부 86 : 와이어고정구멍
87 : 암나사관 90 : 개폐와이어 91 : 와이어안내튜브
92 : 와이어 93 : 잠금구멍 94 : 제1로드
95 : 제2로드 97 : 제3로드 110 : 보조잠금기
111 : 브래킷 112 : 슬라이드홈 113 : 숫나사부
114 : 통공 115 : 잠금핀가이드 116 : 설치공
117 : 와이어설치홀 118 : 잠금핀 119 : 세트스크류
120 : 잠금너트

Claims (1)

  1. 도어프레임(1)에 힌지식으로 개폐되게 설치되는 출입문(3)에는 내외부손잡이의 조작에 의해 연동되는 방향전환기(12)가 구비된 출입문개폐장치(100)가 설치되고, 상기 출입문개폐장치(100) 일측의 출입문(3) 내에는 방향전환기(12)의 동작에 따라 출입문(3)을 잠금 및 해정하는 공지의 도어록장치(6)가 설치된 것에 있어서,
    상기 도어록장치(6)의 삼방향레버(52)가 설치된 쪽의 브라켓트(49)에는 수평돌출편(70)이 삼방향레버(52)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절곡 형성되고, 상기 수평돌출편(70)에는 "人"자 형태로 형성되는 이방향레버(71)의 꼭지부분이 힌지식으로 설치되며,
    출입문개폐장치(100) 하방의 출입문(3) 내측에는 와이어당김구(80)를 설치하되, 이 와이어당김구(80)는 "ㄷ"형으로 절곡된 브래킷(81)이 출입문개폐장치(100) 하방의 출입문(3) 내벽에 설치되고, 이 브래킷(81)의 내부에는 상부에 로드결합부(84)가 형성되고 하부에 로드결합부(85) 및 한 쌍의 와이어고정구멍(86,86a)을 형성한 회동브래킷(82)의 중앙부가 힌지핀(83)에 의해 힌지식으로 설치되며, 브래킷(81)의 일측 벽에는 와이어 안내용 와이어안내튜브(91)의 일측 단부를 고정 결합하는 한 쌍의 암나사관(87) 및 조임너트(88)가 설치되고,
    상기 도어프레임(1)의 일측 상하부 내벽에는 잠금구멍(93)이 형성되고, 잠금구멍(93)에 대응하는 출입문(3) 내측의 상하에는 잠금구멍(93)에 잠금 및 해제하는 보조잠금기(110)를 각각 설치하되,
    상기 보조잠금기(110)는 출입문(3)의 내측에 잠금구멍(93)에 대응하는 설치공(116)을 형성한 브래킷(111)이 설치되며, 이 브래킷(111)의 설치공(116)에는 일측에 잠금구멍(93)에 대응하는 슬라이드홈(112)과 타측에 잠금너트(120)가 체결되는 숫나사부(113)를 구비하며 슬라이드홈(112)과 숫나사부(113)의 중심부에 외측과 통하는 통공(114)이 형성된 잠금핀가이드(115)가 고정 설치되고, 슬라이드홈(112)의 내부에는 후단부에 와이어(92)가 연결된 잠금핀(118)이 잠금구멍(93)으로 출몰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당김구(80)의 외측 조임너트(88)와 보조잠금기(110)의 잠금너트(120)의 사이에 와이어안내튜브(91)가 연결되고, 와이어당김구(80)의 양측 와이어고정구멍(86,86a)과 잠금핀(118)의 후단부 사이에는 와이어안내튜브(91)의 내부를 관통한 와이어(92)의 양단부가 각각 연결 고정되며,
    상기 와이어당김구(80)의 상하측 로드결합부(84,85}에는 제1,2로드(94,95)의 선단부가 힌지식으로 각각 연결되고, 제1로드(94)의 타단부는 공지된 도어록장치(6)에 힌지식으로 설치된 삼방향레버(51)의 중간레버부(51a)에 힌지식으로 연결되며, 제2로드(95)의 타단부는 공지된 도어록장치(6)에 힌지식으로 설치된 이방향레버(71)의 일측단부에 힌지식으로 연결되고, 이방향레버(71)의 타단부와 출입문개폐장치(100)의 방향전환기(12)측으로 설치되는 키뭉치(64}의 레버(65) 단부사이에는 제3로드(97)가 힌지식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잠금기가 구비된 건물용 출입문개폐장치.
KR1020070083936A 2007-08-21 2007-08-21 보조잠금기가 구비된 건물용 출입문개폐장치 KR1008941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3936A KR100894176B1 (ko) 2007-08-21 2007-08-21 보조잠금기가 구비된 건물용 출입문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3936A KR100894176B1 (ko) 2007-08-21 2007-08-21 보조잠금기가 구비된 건물용 출입문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9475A KR20090019475A (ko) 2009-02-25
KR100894176B1 true KR100894176B1 (ko) 2009-04-22

Family

ID=40687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3936A KR100894176B1 (ko) 2007-08-21 2007-08-21 보조잠금기가 구비된 건물용 출입문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41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6412B1 (ko) * 2008-04-21 2010-05-06 이엠엔지니어링(주) 전면출몰식 전자파 차폐도어의 4점식 개폐구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8712B1 (ko) 2006-11-02 2007-08-13 배종식 건물용 출입문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8712B1 (ko) 2006-11-02 2007-08-13 배종식 건물용 출입문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9475A (ko) 2009-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04530B2 (en) Vehicle door inside handle assembly
AU2013362827B2 (en) Latch mechanism
RU2508436C2 (ru) Нижний замок нерабочего дверного полотна двупольной двери
US20100251786A1 (en) Door Lock of Key-Driven Transmission Structure
KR101601189B1 (ko) 푸시풀 도어락 어셈블리
KR200452304Y1 (ko) 고정후크가 마련된 도어록 장치
KR100996594B1 (ko) 강제해정수단이 구비된 데드볼트 전자잠금장치
KR100894176B1 (ko) 보조잠금기가 구비된 건물용 출입문개폐장치
KR200448028Y1 (ko) 도어용 보조 잠금장치
KR101035121B1 (ko) 도어클로우저를 이용한 건물용 출입문 개폐장치
KR101936332B1 (ko) 푸시풀형 도어 잠금장치
KR200169262Y1 (ko) 발코니용 창의 잠금장치
KR100748712B1 (ko) 건물용 출입문개폐장치
KR101524775B1 (ko) 다중 래치 통합 배치형 멀티 록 장치 및 설치 방향 선택장치
KR200457119Y1 (ko) 창호용 자동잠금장치
KR100840141B1 (ko) 미닫이문의 잠금 해제장치
KR200430219Y1 (ko) 레치볼트로만 작동되는 모티스 락
KR200473054Y1 (ko) 락킹 기능이 개선된 도어용 잠금장치
EP4310276A1 (en) A safety lock for a hinged closure member
KR200205791Y1 (ko) 출입문 잠금장치의 개폐기
KR100764832B1 (ko) 건물벽체에 설치되는 환기창
KR100848704B1 (ko) 현관문용 도어록장치
KR200438043Y1 (ko) 도어용 핸들 장치
JP4166006B2 (ja) 収納家具の鎖錠装置
JP4702681B2 (ja) 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