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6412B1 - 전면출몰식 전자파 차폐도어의 4점식 개폐구조 - Google Patents

전면출몰식 전자파 차폐도어의 4점식 개폐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6412B1
KR100956412B1 KR1020080036733A KR20080036733A KR100956412B1 KR 100956412 B1 KR100956412 B1 KR 100956412B1 KR 1020080036733 A KR1020080036733 A KR 1020080036733A KR 20080036733 A KR20080036733 A KR 20080036733A KR 100956412 B1 KR100956412 B1 KR 1009564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electromagnetic shielding
shielding
electromagnetic
ro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6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1126A (ko
Inventor
김현호
Original Assignee
이엠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엠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이엠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1020080036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6412B1/ko
Publication of KR20090111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11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6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64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10Hook fastenings; Fastenings in which a link engages a fixed hook-like memb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03Locking bars, cross bars, security ba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9/00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 E05C9/04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with two sliding bars moved in opposite directions when fastening or unfast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9/00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 E05C9/10Actuating mechanisms for ba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5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fluid-pressure actu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완벽한 전자파 차폐구조를 갖도록 설치되는 전자파 차폐룸의 출입구에 설치되는 전자파 차폐도어가 힌지타입의 여닫이식이 아닌, 전면출몰식 차폐도어의 양 세로변 상,하측부에 각각 에어실린더에 의해 서로 동시에 연동되게 작동되는 4점 개폐식 후크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차폐도어 개방 시 순간적으로 차폐도어가 문틀로부터 그 결속상태가 해제되어 출입구를 완전개방 상태로 유지되게 함과 동시에, 필요 시 차폐도어가 다시 완벽하게 문틀에 4점식식으로 보다 확실하고 완벽하게 결속되어 잠금상태로 되도록 하여 완벽한 전자파 차단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어의 가로 폭 보다 큰 크기(높이)를 갖는 전자파 흡수체가 차폐도어의 내측 면에 여러개 부착설치된다 하더라도 그 흡수체의 크기에 구애받지 않고 차폐도어를 보다 확실하게 개폐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완벽하게 전자파를 차단되게 하는 닫힘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전자파 차폐룸의 사용성을 제고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전자파 차폐룸(R)의 출입구 개폐를 위한 전면 출몰식 전자파 차폐도어의 4점식 개폐구조(A)에 있어서,
전면에 덮개(19-1)가 설치되는 도어(a)의 중앙부 상,하측에 각각 대향되게 설치되어 외부 신호에 의해 선단의 로드(11)(11)가 진퇴작동하면서 작동구(2)(2)를 회동시키는 에어실린더(1)(1)와;
중앙의 제1회동편(21)(21)은 상기 에어실린더(1)(1)의 로드(11)(11)에 연결되고, 제2회동편(22)(22)은 작동봉(5)(5)에 연결되며, 양측단의 연결 편(23)(23)(23)(23)은 작동암(3)(3)(3)(3)에 연결된채 일측의 지지대(24)(24) 양측에는 도어(a)와 연결된 코일스프링(25)(25)(25)(25)이 설치되어 도어(a)에 축설되는 작동구(2)(2)와; 상기 연결편(23)(23)(23)(23)에 일단이 연결된채 그 타단은 회동봉(4)(4)(4)(4)과 연결된 회동구(31)(31)(31)(31)의 일측에 각각 연결되는 작동암(3)(3)(3)(3)과; 상기 회동구(31)(31)(31)(31)의 타측에 연결된채 그 일측에 문틀(6)의 걸고리홈(61)(61)(61)(61)에 각각 결합되거나 결합해제되는 후크(41)(41)(41)(41)를 도어(a)의 양측으로 노출되게 부착 설치한 회동봉(4)(4)(4)(4)과; 상기 제2회동편(22)(22)에 각각 그 일단이 연결된채 그 타단은 도어(a) 중앙부의 브라켓(19)에 피봇축(52)에 의해 축설된 회동부재(51)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는 작동봉(5)(5)을 각각 포함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출몰식 전자파 차폐도어의 4점식 개폐구조이다.
전자파,차폐도어,차페룸,에어실린더,4점식

Description

전면출몰식 전자파 차폐도어의 4점식 개폐구조{Four point open and close type opening device for slide door of electromagnetic wave test chamber}
본 발명은 전면출몰식 전자파 차폐도어의 4점식 개폐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완벽한 전자파 차폐구조를 갖도록 설치되는 전자파 차폐룸의 출입구에 설치되는 전자파 차폐도어가 힌지타입의 여닫이식이 아닌, 전면출몰식 차폐도어의 양 세로변 상,하측부에 각각 에어실린더에 의해 서로 동시에 연동되게 작동되는 4점 개폐식 후크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차폐도어 개방 시 순간적으로 차폐도어가 문틀로부터 그 결속상태가 해제되어 출입구를 완전개방 상태로 유지되게 함과 동시에, 필요 시 차폐도어가 다시 완벽하게 문틀에 4점식으로 보다 확실하고 완벽하게 결속되어 잠금상태로 되도록 하여 완벽한 전자파 차단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어의 가로 폭 보다 큰 크기(높이)를 갖는 전자파 흡수체가 차폐도어의 내측 면에 여러개 부착설치된다 하더라도 그 흡수체의 크기에 구애받지 않고 차폐도어를 보다 확실하게 개폐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완벽하게 전자파를 차단되게 하는 닫힘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전자파 차폐룸의 사용성을 제고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크기가 작은 전자제품에서 크기가 큰 자동차에 이르기까지 각종 제품에 대한 전자파 발생 여부의 테스트를 위해 완벽하게 전자파의 유입 및 유출이 차단되는 전자파 차폐룸이 사용되고 있는 것인 바, 이 경우 차폐룸 자체는 완벽한 전자파 차폐구조를 이루고 있어 별문제는 없으나, 전자파 차폐룸의 출입을 위한 출입문의 구조적 특성상, 이 출입문을 통해 전자파의 유입 및 유출이 발생 될 수밖에 없어 출입문을 이루는 차폐도어와 출입문 문틀 간의 보다 긴밀한 결속 및 결합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이 차폐룸의 출입문에 대해, 전자파가 완벽하게 차단되는 상태로 차단되도록 하기 위한 일반적인 차폐도어는 그 대부분이 도어 일측에 힌지를 설치하여 도어가 힌지를 축으로 회동하면서 도어 타측의 후크가 문틀의 걸고리에 결합되거나 결합 해제되면서 출입문에 대한 차폐도어의 개폐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 여닫이 방식의 차폐도어가 주로 설치 사용되고 있는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도어의 일측에 힌지가 결합되어 그 힌지를 축으로 회동하면서 전자파 차폐룸의 출입구를 여닫이 방식으로 개폐가능 하도록 하는 종래의 전자파 차폐도어는, 필요 시 차폐도어의 내측면에 콘(corn)형태의 전자파 흡수체가 다수개 부착되는 경우, 흡수체의 크기(높이)가 소형일 경우에는 별문제가 없으나, 흡수체의 크기가 출입문의 가로 폭 크기에 상응하거나 그 이상일 경우에는 여닫이 방식으로 회동하면서 개폐작동되는 차폐도어의 개폐동작에 지장을 주게 되므로 전자파 흡수체의 크기에 대응하여 필요 이상으로 차폐룸의 출입구를 크게 구성하여야 하므로 그만큼 차폐도어의 크기(가로 폭)가 커지게 되는 문제와 함께 어쩔 수 없이 전자파 차폐룸의 전체적인 내부용적 크기까지 제한을 받을 수밖에 없게 되는 문제뿐만 아니라 출입구에 대한 전자파 차폐 효율이 현저히 저하되어 전자파 차폐룸의 제작설치를 위한 작업공수(工手)의 증가와 아울러 그에 따른 전자파 차폐룸의 제작 및 설치 공사비의 상승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이 여닫이식 도어가 갖는 구조적 특성상 전자파 차폐룸의 출입구 개폐를 위해 설치되는 차폐도어의 내측면에 다수 설치되는 전자파 흡수체의 크기(높이)가 제약을 받을 수밖에 없게 되어 전자파 차폐룸의 크기까지도 제한을 받을 수밖에 없는 종래의 여닫이식 차폐도어가 지닌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자파 차폐룸의 출입구 개폐를 위해 설치되는 차폐도어가 출입구 개방시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출입구에 대한 개폐동 작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차폐도어의 양측단 상하부에 회동봉의 회동 동작에 의해 서로 동시에 작동되는 후크를 설치하여, 이 후크로 하여금 에어실린더 작동에 따라 문틀의 걸고리에 강하게 걸려 결속되면서 차폐도어가 보다 확실하고 안정적으로 전자파 차폐상태로 닫힘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필요시 버튼 조작에 의해 언제든지 역시 에어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후크가 걸고리홈으로부터 간편히 벗겨져 차폐도어가 개방되도록 하여, 차폐도어를 포함한 전자파 차폐룸 내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전자파 흡수체의 크기(높이)에 구애받음 없이 차폐도어가 개방 또는 닫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자파 차폐룸의 설치 작업성의 제고와 아울러 전자파차폐룸의 효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전면 출몰식 전자파 차폐도어의 4점식 개폐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전면출몰식 전자파 차폐도어의 4점식 개폐구조는, 전자파 차폐룸(R)의 출입문 개폐를 위한 전면 출몰식 전자파 차폐도어의 4점식 개폐구조(A)에 있어서, 전면에 덮개(19-1)가 설치되는 도어(a)의 중앙부 상,하측에 각각 대향되게 설치되어 외부 신호에 의해 선단의 로드(11)(11)가 진퇴 작동하면서 작동구(2)(2)를 회동시키는 에어실린더(1)(1)와; 중앙의 회동편(21)(21)은 상기 에어실린더(1)(1)의 로드(11)(11)에 연결되고, 제2회동편(22)(22)은 작동봉(5)(5)에 연결되며, 양 측단의 연결편(23)(23)(23)(23)은 작동암(3)(3)(3)(3)에 연결된 채 일측의 지지대(24)(24) 양측에는 도어(a)와 연결된 코 일스프링(25)(25)(25)(25)이 설치되어 도어(a)에 축설되는 작동구(2)(2)와; 상기 연결편(23)(23)(23)(23)에 일단이 연결된 채 그 타단은 회동봉(4)(4)(4)(4)과 연결된 회동구(31)(31)(31)(31)의 일측에 각각 연결되는 작동암(3)(3)(3)(3)과; 상기 회동구(31)(31)(31)(31)의 타측에 연결된 채 그 일측에 문틀(6)의 걸고리홈(61)(61)(61)(61)에 각각 결합되거나 결합해제되는 후크(41)(41)(41)(41)를 도어(a)의 양측으로 노출되게 부착 설치한 회동봉(4)(4)(4)(4)과; 상기 제2회동편(22)(22)에 각각 그 일단이 연결된 채 타단은 도어(a) 중앙부의 브라켓(19)에 피봇축(52)에 의해 축설된 회동부재(51)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는 작동봉(5)(5)을 각각 포함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작동구(2)(2)의 제1회동편(21)(21)과 로드(11)(11), 제2회동편(22)(22)과 작동봉(5)(5), 연결편(23)(23)(23)(23)과 작동암(3)(3)(3)(3), 작동암(3)(3)(3)(3)과 회동구(31)(31)(31)(31) 및 작동봉(5)(5)과 회동부재(51)간의 결합은 각각 연결구(b)에 의해 서로 피봇 회동 가능한 상태로 연결되어 각 연결부가 링크 역활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전면출몰식 전자파 차폐도어의 4점식 개폐구조에 의하면, 작종 전자제품의 전자파 테스트를 위한 전자파 차폐룸의 출입문 개폐를 위한 차폐도어가 힌지에 의한 여닫이식이 아닌, 에어실린더 작동에 따라 회동봉이 작동하면서 후크가 문틀의 걸고리홈에 결합 되거나 결합 해제되는 것에 의해 차폐도어가 문틀 전면 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출몰된 상태에서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전자파 차폐룸의 출입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한 4점식 개폐방식으로 되어 있으므로, 차폐도어의 내측면에 크기가 큰 다수의 전자파 흡수체를 설치한다 하더라도 확실하게 차폐도어의 개방 및 닫힘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여 전자파 차폐룸의 설치 작업성을 좋게 함과 동시에 보다 효율적으로 전자파 차폐룸을 운용할 수 있게 되는 등의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중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면출몰식 전자파 차폐도어의 4점식 개폐구조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고, 도2a 및 2b는 본 발명에 의한 전면출몰식 전자파 차폐도어의 4점식 개폐구조의 구성을 나타내는 닫힘 상태의 작동 상태도이며, 도3a 및 3b는 본 발명에 의한 전면출몰식 전자파 차폐도어의 4점식 개폐구조의 구성을 나타내는 열림 상태의 작동 상태도이고,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전면출몰식 전자파 차폐도어의 4점식 개폐구조가 적용상태를 나타내는 차페도어의 정면예시도로서, 그 구성은 에어실린더(1), 작동구(2), 작동암(3)(3) 회동봉(4)(4) 및 작동봉(5)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들은 도어(a) 중앙의 브라켓(19)에 피봇축(52)에 의해 피봇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부재(51)를 사이에 두고 서로 상,하 대칭 상 태로 설치되는 것으로, 상부측 구성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상기한 에어실린더(1)는, 차페도어(a)의 열림과 닫힘 동작시 리미트스위치 작동에 의한 외부신호에 의해 작동하는 것으로, 그 선단의 로드(11)로 하여금 로드(11)와 피봇상태로 연결된 작동구(2)를 회동시켜 결과적으로 후크(41)(41)로 하여금 문틀(6)의 걸고리홈(61)(61)에 끼워져 걸려 잠금상태를 유지하거나 걸고리홈(61)(61)로 부터 벗어나 잠금 해제 상태로 두게 한다.
상기한 작동구(2)는 그 양단이 도어(a)에 회동가능하게 축설된 것으로, 전술한 에어 실린더(1)의 로드(11)와 연결구(b)에 의해 피봇 결합되는 제1회동편(21)과, 역시 연결구(b)에 의해 작동봉(5)과 피봇 결합되는 제2회동편(22)을 가지며, 또한 그 양측으로는 작동구(2)의 회전력을 작동암(3)에 전달되도록 하기 위해 작동암(3)(3) 일단에 연결구(b)에 의해 피봇 결합되는 연결편(23)(23) 을 각각 설치하고 있다.
또한, 작동구(2)의 전면 일측에는 지지대(24)를 일체로 형성하여 이 지지대(24) 양단에 각각 도어(a)에 일단이 연결된 코일스프링(25)(25)의 타단이 연결되게 하여 작동구(2)는 항상 일정한 힘으로 중앙측으로 서로 대향하여 당겨지게 되어 차폐도어(a)의 개방시 작동구(2)의 회동이 용이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작동암(3)(3)은 작동구(2)에 전달된 회전력을 회동봉(4)(4)에 전달되도록 하여 실실적으로 차폐도어(a)의 개폐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 그 일단은 상기 작동구(2)의 연결편(23)(23)에, 또 그 타단은 회동봉(4)(4)과 연결된 회동구(31)(31)에 각각 연결구(b)에 의해 피봇 결합되어 있다.
상기한 회동봉(4)(4)은, 각각 그 일측에 문틀(6)의 걸고리홈(61)에 결합 또는 결합 해제되는 후크(41)(41)를 설치하고 타측은 작동암(3)과 연결된 회동구(31)에 각각 연결되는 상태로 도어(a) 내부를 가로 질러 후크(41)(41)가 도어(a) 양측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된다.
상기한 작동봉(5)은 일단이 상기 작동구(2)의 제2회동편(22)에, 타단은 도어(a)의 브라켓(19)에 피봇축(52)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회동부재(51)의 일단에 각각 연결구(b)에 의해 피봇 결합되는 것으로, 상,하 양 작동구(2)(2)에 대한 동기(同期)작동이 가능하게 하여 문틀(6)에 대한 차폐도어(a)의 보다 확실한 4점식 개폐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본 발명에 의한 전면출몰식 전자파 차폐도어의 4점식 개폐구조의 실시 작동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차폐도어(a)가 문틀(6)에 밀접되어 닫힘상태가 유지되는 상태, 즉 에어실린더(1)의 로드(11)가 확장되어 회동봉(4)(4) 양단의 후크(41)(41)가 전자파 차폐룸(R)의 출입구에 설치된 문틀(6)의 걸고리 홈(61)(61)에 각각 끼워져 걸려 출입구를 닫힘 상태로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차폐도어(a)를 개방하고자 하는 경우, 차폐도어(a) 외부의 개방스위치(도시생략)을 이용하여 에어실린더(1)를 작동시킨다.
이후 에어실린더(1)는 작동되면서 확장된 상태의 로드(11)를 당기게 되고 그로 인해 로드(11) 선단에 피봇 결합된 작동구(2)의 제1회동편(21)을 당기게 됨에 따라 도어(a)에 양단이 축설된 작동구(2)는 회전하게 된다.
이렇게 작동구(2)가 회전하게 되면, 작동구(2) 양측의 연결편(23)(23)도 함께 회전하면서 그 회전력은 연결된 작동암(3)(3)에 대해 당기는 힘으로 작용하게 되고, 이와 같은 작동암(3)(3)의 당기는 힘은 그 타단의 회동구(31)(31)를 회전시키게 됨에 따라, 그 회전력은 다시 회동구(31)(31)에 연결된 회동봉(4)(4)에 그대로 전달되게 되어 회동봉(4)(4) 일단의 후크(41)(41)로 하여금 문틀(6)의 걸고리홈(61)으로 부터 이탈되는 힘으로 작용하여 차폐도어(a)의 후크(41)(41)는 문틀(6)의 걸고리홈(61)으로부터 완전히 이탈되게 됨에 따라, 결과적으로 4점식 개폐구조를 갖는 차폐도어(a)는 문틀(6)로부터 잠금 해제 상태로 되어 개방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차폐도어(a)의 후크(41)(41)가 문틀(6)의 걸고리홈(61)(61)으로 완전분리되어 잠금 해제 상태로 되면, 이후 작업자가 인위적으로 수동조작하여 차폐도어(a)를 이동시키게 되면 차폐도어(a)는 이후 가이드 프레임을 타고 원하는 위치까지 이동되어 전자파 차폐룸(R)의 출입구를 완전 개방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전자파 차폐룸(R)의 출입구를 개방상태로 유지하고 있던 차폐도어(a)를 작동시켜 출입구를 닫힘 상태로 유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작업자가 수동으로 차폐도어(a)를 밀어 차폐도어(a)가 가이드 프레임을 타고 문틀(6)과 결합직전의 위치에 도달되도록 하면, 리미트 스위치(도시생략)의 작동에 의해 작동신호를 받은 에어실린더(1)는 앞서 잠금 해제 작동시와는 역방향으로 작동하게 된다.
즉, 당겨진 상태인 로드(11)는 다시 확장되면서 작동구(2)의 제1회동편(21)을 밀게 됨에 따라 작동구(2)가 회전하면서 그 양측의 연결편(23)(23)을 회전시켜 그와 연결된 작동암(3)(3)을 미는 힘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렇게 작동암(3)(3)을 미는 힘은 다시 작동암(3)(3)에 각각 연결된 회동구(31)(31)를 그대로 회전시키는 회전력으로 작용하게 되므로, 회동구(31)(31)에 각각 일단이 연결된 회동봉(4)(4)을 회전시키게 되어 회동구(31)(31) 타단에 연결된 후크(41)(41)는 앞서와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됨에 따라 후크(41)(41)는 문틀(6)의 걸고리홈(61)(61)에 견고하게 결속되게 되어 차폐도어(a)는 전자파 차폐룸(R)의 출입구를 전자파 차단상태로 닫힘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차폐도어(a) 닫힘 동작에 있어서, 회동봉(4)(4)의 후크(41)(41)가 문틀(6)의 걸고리홈(61)(61) 끼워져 걸릴 때 별도의 프로그램 동작에 의해 에어실린더(1)가 다단으로 작동토록 하는 경우, 보다 확실한 결속력으로 잠금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으나, 이를 특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차폐도어(a)의 개폐동작을 위한 에어실린더(1)의 작동에 따른 작동구(2)의 회전시, 작동구(2)의 제2회동편(22)에는 도어(a) 중앙의 브라켓(19)에 피봇축(52)에 의해 피봇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회동부재(51)의 일단이 연결된 작동봉(5)이 연결되어 있으므로, 서로 대칭 상태로 상,하로 설치된 작동구(2)(2)의 회전동작이 동기 작동되도록 하여, 결과적으로 회동봉(4)(4)(4)(4)에 대한 보다 정확하고 확실한 회전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후크(41)(41)(41)(41)가 문틀(6)의 걸고리홈(61)(61)(61)(61)에 대해 보다 확실한 결속력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일단이 도어(a)에 연결된 채 그 타단은 각각 작동 구(2)(2)의 지지대(24)(24) 양단에 연결되어 작동구(2)(2)에 대해 중앙부로 당기는 힘으로 작용하고 있는 코일스프링(25)(25)(25)(25)는 선택적으로 설치,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그 설치를 반드시 특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문틀(6)의 걸고리홈(61)(61)(61)(61) 및 이 걸고리홈(61)(61)(61)(61)에 결속되어 잠금상태로 되거나 또는 벗어나 잠금 해제 상태로 되게 하는 후크(41)(41)(41)(41)는 기존의 차폐도어 잠금장치에 사용되는 것을 그대로 적용하는 것으로,그 선단부에 구름 롤을 갖고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상기의 실시 예에 한하여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면출몰식 전자파 차폐도어의 4점식 개폐구조의 부분 사시도.
도 2a 및 2b는 본 발명에 의한 전면출몰식 전자파 차폐도어의 4점식 개폐구조의 닫힘상태 작동상태도.
도 3a 및 3b는 본 발명에 의한 전면출몰식 전자파 차폐도어의 4점식 개폐구조의 열림상태 작동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전면출몰식 전자파 차폐도어의 4점식 개폐구조의 적용 예시도.

Claims (1)

  1. 전자파 차폐룸(R)의 출입구 개폐를 위한 전면 출몰식 전자파 차폐도어의 4점식 개폐구조(A)에 있어서,
    전면에 덮개(19-1)가 설치되는 도어(a)의 중앙부 상,하측에 각각 대향 되게 설치되어 외부 신호에 의해 선단의 로드(11)(11)가 진퇴작동하면서 작동구(2)(2)를 회동시키는 에어실린더(1)(1)와;
    중앙의 제1회동편(21)(21)은 상기 에어실린더(1)(1)의 로드(11)(11)에 연결되고, 제2회동편(22)(22)은 작동봉(5)(5)에 연결되며, 양측단의 연결편(23)(23)(23)(23)은 작동암(3)(3)(3)(3)에 연결된채 일측의 지지대(24)(24) 양측에는 도어(a)와 연결된 코일스프링(25)(25)(25)(25)이 설치되어 도어(a)에 축설되는 작동구(2)(2)와;
    상기 연결편(23)(23)(23)(23)에 일단이 연결된채 그 타단은 회동봉(4)(4)(4)(4)과 연결된 회동구(31)(31)(31)(31)의 일측에 각각 연결되는 작동암(3)(3)(3)(3)과;
    상기 회동구(31)(31)(31)(31)의 타측에 연결된채 그 일측에 문틀(6)의 걸고리홈(61)(61)(61)(61)에 각각 결합되거나 결합해제되는 후크(41)(41)(41)(41)를 도어(a)의 양측으로 노출되게 부착 설치한 회동봉(4)(4)(4)(4)과;
    상기 제2회동편(22)(22)에 각각 그 일단이 연결된채 그 타단은 도어(a) 중앙부의 브라켓(19)에 피봇축(52)에 의해 축설된 회동부재(51)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 는 작동봉(5)(5)
    을 각각 포함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출몰식 전자파 차폐도어의 4점식 개폐구조.
KR1020080036733A 2008-04-21 2008-04-21 전면출몰식 전자파 차폐도어의 4점식 개폐구조 KR1009564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6733A KR100956412B1 (ko) 2008-04-21 2008-04-21 전면출몰식 전자파 차폐도어의 4점식 개폐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6733A KR100956412B1 (ko) 2008-04-21 2008-04-21 전면출몰식 전자파 차폐도어의 4점식 개폐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1126A KR20090111126A (ko) 2009-10-26
KR100956412B1 true KR100956412B1 (ko) 2010-05-06

Family

ID=41538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6733A KR100956412B1 (ko) 2008-04-21 2008-04-21 전면출몰식 전자파 차폐도어의 4점식 개폐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64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0595B1 (ko) 2011-11-29 2013-10-28 이엠시프로(주) 방호도어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17800B1 (en) 2023-02-27 2024-02-27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ulti-layered window or door system for electromagnetic pulse protec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5377Y1 (ko) * 1990-05-14 1992-08-08 이광영 캐비넷문의 괘, 해정장치
JPH09189164A (ja) * 1996-01-12 1997-07-22 Tochigiya:Kk 錠止機構の保持装置
KR200436370Y1 (ko) 2006-10-20 2007-08-08 이엠엔지니어링(주) 공압을 이용한 전자파 차폐룸용 차폐도어의 개폐구조
KR20090019475A (ko) * 2007-08-21 2009-02-25 배종식 보조잠금기가 구비된 건물용 출입문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5377Y1 (ko) * 1990-05-14 1992-08-08 이광영 캐비넷문의 괘, 해정장치
JPH09189164A (ja) * 1996-01-12 1997-07-22 Tochigiya:Kk 錠止機構の保持装置
KR200436370Y1 (ko) 2006-10-20 2007-08-08 이엠엔지니어링(주) 공압을 이용한 전자파 차폐룸용 차폐도어의 개폐구조
KR20090019475A (ko) * 2007-08-21 2009-02-25 배종식 보조잠금기가 구비된 건물용 출입문개폐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0595B1 (ko) 2011-11-29 2013-10-28 이엠시프로(주) 방호도어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1126A (ko) 2009-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82929B1 (en) Multipoint mortise lock
EP1995400B1 (en) Handle Apparatus
KR101382759B1 (ko)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의 직선형 센터레일 링크 구조
US7363781B2 (en) Reversible door
JP2002520528A5 (ko)
CA2331080A1 (en) Over center door closing mechanism
KR100956412B1 (ko) 전면출몰식 전자파 차폐도어의 4점식 개폐구조
EP0859079A1 (en) Hinge for electrical appliance door, particularly for laundry washing and/or drying machine
KR20040014516A (ko) 래치 어셈블리
US10498114B1 (en) Arc resistant door with multi-latch system
KR200425320Y1 (ko) 전자파 차폐룸용 차폐도어의 상.하 연동개폐구조
KR100544963B1 (ko) 도어락 장치의 백셋
WO2019015694A1 (zh) 联动开盖组件和顶开式滚筒洗衣机
KR200457119Y1 (ko) 창호용 자동잠금장치
KR20090119108A (ko) 창문의 기밀을 위한 자동 락킹 크리센트
JP2000270419A (ja) 垂直自立盤
KR200337650Y1 (ko) 도어락 장치의 백셋
JPH0932366A (ja) 車両用ドアのハンドル装置
JP2546616B2 (ja) ドア用ロック装置
CN221000244U (zh) 洗涤设备
JP3564093B2 (ja) ヒンジ装置
KR200196104Y1 (ko) 도어래치조립체및그조립체에결합된도어손잡이조립체
KR101887403B1 (ko) 도어잠금장치
JP2955210B2 (ja) 対震扉
JP2006167085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