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6104Y1 - 도어래치조립체및그조립체에결합된도어손잡이조립체 - Google Patents

도어래치조립체및그조립체에결합된도어손잡이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6104Y1
KR200196104Y1 KR2019970031811U KR19970031811U KR200196104Y1 KR 200196104 Y1 KR200196104 Y1 KR 200196104Y1 KR 2019970031811 U KR2019970031811 U KR 2019970031811U KR 19970031811 U KR19970031811 U KR 19970031811U KR 200196104 Y1 KR200196104 Y1 KR 2001961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piece
latch assembly
latch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18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8544U (ko
Inventor
최재학
Original Assignee
최재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재학 filed Critical 최재학
Priority to KR20199700318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6104Y1/ko
Publication of KR199900185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854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61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610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Landscapes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여닫이 출입문에 장착되어 도어의 걸쇠 역할을 하는 도어 래치 조립체 및 그 도어 래치 조립체에 결합되어 손잡이의 역할을 하는 도어 손잡이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실내에서 도어(14)를 열고자 할 때에는 도어(14)에 장착된 손잡이(70)를 가볍게 밀어 도어 래치 조립체(100)의 래치(30)가 자유롭게 회동되도록하여 도어가 열릴 수 있도록하고, 실외에서 도어(14)를 열고자 할 때에는 손잡이를 가볍게 당기면 마찬가지로 래치(30)가 작동하여 도어가 열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Description

도어 래치 조립체 및 그 조립체에 결합된 도어 손잡이 조립체
본 고안은 여닫이 출입문에 장착되어 도어의 걸쇠 역할을 하는 도어 래치 조립체 및 그 도어 래치 조립체에 결합되어 손잡이의 역할을 하는 도어 손잡이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에서 도어를 열고자 할 때에는 손잡이를 가볍게 밀고 실외에서 도어를 열고자 할 때에는 손잡이를 가볍게 당기면 래치가 작동하여 도어가 열릴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에는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열리지 않고 닫힌 상태로 유지되도록 도어 래치가 장착되어 있고, 그 도어 래치에는 손잡이가 결합되어 그 손잡이를 돌리면 손잡이에 결합된 도어 래치가 도어의 속으로 들어가 도어를 열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도어 래치는 반드시 그 도어 래치와 결합된 손잡이를 잡고 일정각도 회전시켜야만 도어를 열 수 있는 상태가 되므로 여러 가지로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밖으로 도어가 열리는 여닫이 도어를 열을 때 일반적인 인간의 동작상태를 고려하여 도어 래치와 결합된 손잡이를 가볍게 밀면 실내에서 도어가 열리도록하고, 도어 래치와 결합된 손잡이를 가볍게 잡아당기면 실외에서 도어가 열리도록하여 인간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 래치 조립체를 도시한 것으로서 케이스의 일측을 떼어낸 상태의 평면도.
도 2 는 도 1 의 A-A선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 래치 조립체와 결합되는 도어 손잡이 조립체의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라 도어 래치 조립체와 도어 손잡이 조립체가 도어에 장착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어의 일부에 대한 측면도.
도 5 는 도어 손잡이의 내부를 보여주는 부분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케이스 12 : 압축스프링1 20 : 이동체 22 : 핀 24 : 스프링1 26 : 고정편 30 : 래치 32 : 걸림턱 40 : 걸림편 42 : 압축스프링2 50 : 조작편 52 : 핀 54 : 고리 60 : 회전편 70,80 : 손잡이 71,81 : 장착편 74,84 : 이동편 75,85 : 연결간 100 : 도어 래치 조립체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은 케이스와, 그 케이스내에서 전후 이동되고 압축스프링1에 의하여 지지되는 이동체와, 그 이동체의 선단에 장착된 핀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그 핀에 장착된 스프링1에 의하여 회동방향으로 하중을 받는 래치와, 그 래치의 후단에 형성된 걸림턱에 걸려 래치의 회동을 제한하고 이동체내에서 전후 작동되는 걸림편과. 일측은 그 이동체의 고정편에 지지되고 일측은 걸림편에 지지되어 걸림편을 래치의 걸림턱에 걸리도록 하는 압축스프링2와, 그 걸림편의 측면에 결합되어 그 걸림편을 이동체내에서 전후 작동시키는 조작편과, 일측에 형성된 핀에 그 조작편의 고리가 걸리도록하여 회전력을 조작편에 전달하는 회전편으로 구성함으로써 달성된다.
실내에서 손잡이를 잡고 가볍게 밀면 손잡이의 이동편이 회전편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조작편이 우측으로 당겨지고 , 그 조작편의 일단이 걸려있는 걸림편은 압축스프링2를 압축하며 우측으로 이동하여 래치의 후단에 형성된 걸림턱으로부터 빠져나와 래치를 구속하고 있던 구속력을 해제함으로써 래치의 경사방향을 변경해주어 래치가 도어속으로 들어갈 수 있게 되므로 손잡이를 잡고 당겨줌과 동시에 래치가 도어속으로 들어가 도어를 열 수 있게 된다.
실외에서는 실내의 손잡이와 대칭으로 장착된 손잡이를 잡고 가볍게 잡아당기면 손잡이의 이동편이 회전편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위에서 설명한 동일한 과정을 거쳐 도어를 열 수 있게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고로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 래치 조립체를 도시한 것으로서 케이스의 일측을 떼어낸 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2 는 도 1 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 래치 조립체와 결합되는 도어 손잡이 조립체의 사시도이고, 도 4 는 본 고안에 따라 도어 래치 조립체와 도어 손잡이 조립체가 도어에 장착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어의 일부에 대한 측면도이고, 도 5 는 도어 손잡이의 내부를 보여주는 부분사시도이다.
도1 및 도2에 있어서, 도어 래치 조립체는 거의 대부분 도어 속에 매설되어 고정체(16)에 의하여 도어의 측면에 볼트로 고정되고, 도어 래치(30)만이 도어의 밖으로 돌출되어 있다. 도어 래치 조립체의 케이스(10)에는 그 케이스(10)내에서 전후 이동되고 압축스프링1(12)에 의하여 지지되는 이동체(20)가 내장되어 있고, 그 이동체(20)의 선단에는 핀(22)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그 핀(22)에 장착된 스프링1(24)에 의하여 회동방향으로 하중을 받는 래치(30)가 형성되어 있고, 그 래치의 후측에는 걸림턱(32)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상기 래치(30)가 도어 내측으로 하중을 받으면 그 래치(30)와 이동체(20)는 압축스프링1(12)를 압축하며 케이스(10)내에서 함께 후진된다. 또한, 그 래치(30)와 핀(22)에 의하여 결합된 이동체(20)의 내부에는 그 래치(30)의 후단부에 형성된 걸림턱(32)에 걸려 래치(30)의 회동을 제한하고 이동체(20)내에서 전후 작동되는 걸림편(40)이 내장되어 있고, 그 걸림편(40) 과 그 이동체(20)의 고정편(26)의 사이에는 그 걸림편(40)을 래치(30)의 걸림턱(32)에 걸리도록 하는 압축스프링2(42)가 내장되어 있다. 그 걸림편(40)의 측면에는 그 걸림편(40)을 이동체(20)내에서 전후 작동시키는 조작편(50)이 결합되어 있고, 그 조작편(50)의 고리(54)에는 핀(52)이 걸려있고, 그 핀(52)이 형성되어 있는 회전편(60)은 핀(62)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그 회전력을 조작편(50)에 전달한다. 따라서, 도어의 손잡이를 밀고 당김으로써 상기 회전편(60)을 회전시키면 그 회전편(60)에 형성된 핀(52)이 조작편(50)을 당기고, 그 조작편(50)과 일측면이 결합된 걸림편(40)이 이동체(20)내에서 압축스프링2(42)를 압축하며 후진하여 래치(30)의 걸림턱(32)을 빠져나와 래치(30)의 구속상태를 해제한다. 위와 같이 래치(30)의 구속상태가 해제되면 그 래치(30)는 일정각도 자유롭게 회전하면서 경사방향이 바뀌어 이동체(20)와 더불어 압축스프링1(12)을 압축하며 후진하여 도어가 열리게된다.
한편,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닫을 때에는 압축스프링1,2에 작용하는 하중이 제거된 후 도어 래치(30)가 돌출되어 래치(30)의 경사방향이 원위치로 돌아가 있으므로 도어를 닫는데도 문제가 없다.
도3 내지 도5에 있어서, 도어(14)의 실내측과 실외측에는 각각 손잡이(70)(80)가 장착되어 있다. 도어(14)의 실내측에는 장착편(71)이 도어(14)에 장착되어 있고, 그 장착편(71)의 내부에는 회동핀(72)이 장착되어 있고, 그 회동핀(72)에는 도어(14)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케이스(10)의 개구(73)로 들어가 회전편(60)의 하측과 접하고 있는 이동편(74)이 결합되어 있다. 그 장착편(71)의 회동핀(72)에는 일측이 손잡이(70)에 볼트로 고정된 연결간(75)이 장착되어 있고 , 스프링2(76)가 외측에 장착되어 있어 손잡이(70)를 잡고 가볍게 밀면 이동편(74)이 회전편(60)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어(14)의 실외측에는 위와 마찬가지로 손잡이(80)에 연결간(85)이 고정되고, 그 연결간(85)에는 회동핀(82),스프링2(86), 이동편(84)을 내부에 장착된 장착편(81)이 결합되어 있고, 다만 차이가 나는 것은 이동편(84)이 케이스(10)의 상측으로 결합되어 회전편(60)의 우측에서 회전편(60)을 회전시키는 것이다.
또한, 손잡이(70)(80)가 연결간(75)(85)과 볼트로 고정되는 부분에는 파이프의 내측으로 볼록부(77)가 형성되고, 상하로 볼트 체결위치를 표시하는 지시선(78)이 구비되어 있어 손잡이(70)(80)의 강성을 높여주고, 작업의 편의성을 올려준다.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도어가 밖으로 열리는 여닫이 도어에 대하여 설명했으나 본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어 래치 조립체를 180도 회전시켜 도어에 매설하고, 실내측과 실외측 손잡이를 바꾸어 장착하면 도어가 안으로 열리는 도어에도 사용할 수 있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르면, 실내에서는 손잡이를 잡고 가볍게 밀면 도어 래치가 작동하여 문을 열 수있고 실외에서는 손잡이를 잡고 가볍게 잡아당기면 도어 래치가 작동하여 문을 열 수 있으므로 도어와 관련하여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케이스(10)와, 그 케이스(10)내에서 전후 이동되고 압축스프링1(12)에 의하여 지지되는 이동체(20)와, 그 이동체(20)의 선단에 장착된 핀(22)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그 핀(22)에 장착된 스프링1(24)에 의하여 회동방향으로 하중을 받는 래치(30)와, 그 래치(30)의 후단에 형성된 걸림턱(32)에 걸려 래치(30)의 회동을 제한하고 이동체(20)내에서 전후 작동되는 걸림편(40)과. 일측은 그 이동체(20)의 고정편(26)에 지지되고 일측은 걸림편(40)에 지지되어 걸림편(40)을 래치(30)의 걸림턱(32)에 걸리도록 하는 압축스프링2(42)와, 그 걸림편(40)의 측면에 결합되어 그 걸림편(40)을 이동체(20)내에서 전후 작동시키는 조작편(50)과, 일측에 형성된핀(52)에 그 조작편(50)의 고리(54)가 걸리도록하여 회전력을 조작편(50)에 전달하는 회전편(6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래치 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래치 조립체(100)와, 도어(14)의 실내측과 실외측에 각각 장착된 손잡이(70)(80)와, 그 도어(14)에 장착된 장착편(71)(81)과, 그 장착편(71)의 내부에 장착된 회동핀(72)(82)과, 그 회동핀(72)(82)에 결합되며 도어(14)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케이스(10)의 개구(73)(79)로 들어가 회전편(60)의 하측과 상측에 접하고있는 이동편(74)(84)과, 그 회동핀(72)(82)에 일측이 결합되며 타측은 손잡이(70)(80)에 볼트로 고정된 연결간(75)(85)과, 그 회동핀(72)(82)의 외측에 장착된 스프링2(76)(86)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래치 조립체가 결합된 도어 손잡이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70)(80)는 연결간(75)(85)과 볼트로 고정되는 부분에 파이프의 내측으로 볼록부(77)가 형성되고, 그 볼록부(77)의 외측 파이프의 상하로 볼트 체결위치를 표시하는 지시선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손잡이 조립체.
  4. 제2항에 있어서,
    도어 래치 조립체를 180도 회전시켜 도어에 매설하고, 실내측과 실외측 손잡이를 바꾸어 장착하여 도어가 안으로 열리는 도어에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래치 조립체가 결합된 도어 손잡이 조립체.
KR2019970031811U 1997-11-12 1997-11-12 도어래치조립체및그조립체에결합된도어손잡이조립체 KR2001961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1811U KR200196104Y1 (ko) 1997-11-12 1997-11-12 도어래치조립체및그조립체에결합된도어손잡이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1811U KR200196104Y1 (ko) 1997-11-12 1997-11-12 도어래치조립체및그조립체에결합된도어손잡이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8544U KR19990018544U (ko) 1999-06-05
KR200196104Y1 true KR200196104Y1 (ko) 2000-10-02

Family

ID=19513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1811U KR200196104Y1 (ko) 1997-11-12 1997-11-12 도어래치조립체및그조립체에결합된도어손잡이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610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8544U (ko) 1999-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75894A (en) Slide lock fastener
CA1105961A (en) Tailgate lock and control assembly
JP2022020643A (ja) 止めラッチを有するラッチ構成
JPH0718935A (ja) ラッチ装置
GB2315092A (en) Latch device used in vehicle door
US4487440A (en) Aircraft door bolt actuating mechanism
JP2009522160A (ja) 自動ロックおよび待避を有するドアハンドルロック組立体
KR20050036950A (ko) 도어 록킹 메카니즘
US4103945A (en) Emergency opening latch actuator for sliding door
US6955378B2 (en) Latch assembly
KR200196104Y1 (ko) 도어래치조립체및그조립체에결합된도어손잡이조립체
KR200457119Y1 (ko) 창호용 자동잠금장치
KR100748712B1 (ko) 건물용 출입문개폐장치
JP4543468B2 (ja) 車両用ドア開閉装置
CN110043121A (zh) 自动锁体及具有自动锁体的装置
KR100956412B1 (ko) 전면출몰식 전자파 차폐도어의 4점식 개폐구조
EP0151672B1 (en) Lock for refrigerator or the like which can be unlocked from inside thereof
JP2004353378A (ja) 戸先錠解除機構付き開口部装置
JP3499960B2 (ja) 扉のハンドル装置
JPS62242084A (ja) 自動式複動あおり止めかんぬき
JP4632218B2 (ja) 扉のハンドル装置
JPH0323497Y2 (ko)
KR20060005768A (ko) 도어록의 잠금 및 해제장치
JPH0239019Y2 (ko)
JPH033581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70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