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5768A - 도어록의 잠금 및 해제장치 - Google Patents

도어록의 잠금 및 해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5768A
KR20060005768A KR1020040054720A KR20040054720A KR20060005768A KR 20060005768 A KR20060005768 A KR 20060005768A KR 1020040054720 A KR1020040054720 A KR 1020040054720A KR 20040054720 A KR20040054720 A KR 20040054720A KR 20060005768 A KR20060005768 A KR 200600057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
stopper
door
push plate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4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성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엘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엘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엘시스템
Priority to KR10200400547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05768A/ko
Publication of KR20060005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57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20Means independent of the locking mechanism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pening, e.g. for securing the bolt in the fastening position
    • E05B17/2007Securing, deadlocking or "dogging" the bolt in the fastening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7/00Locks in which a pivoted latch is used also as locking mean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를 잠금 및 해제시키는 기능을 갖는 도어록에 관한 것으로, 내,외측 핸들에 연동하는 래치볼트를 동작시켜 도어를 개폐시키는 도어록에 있어서, 내,외측 핸들의 이동 조작을 각기 회전운동으로 변환시키도록 도어록 본체에 힌지 결합됨과 동시에 탄성수단에 연결되어 원위치로 복원 가능토록 한 한쌍의 조작레버와; 외측 핸들의 조작력을 받는 조작레버에 이웃한 위치에서 승강가능하게 설치되고 승강 이동 위치에 따라 해당 조작레버의 회전동작을 구속/해제시키는 스톱퍼와; 스톱퍼와 이웃한 위치에서 핸들축 방향으로 직선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실내측에서 실외측으로 밀어낼 경우 스톱퍼를 하강시키는 푸시판을 포함하여 달성된다.
도어록, 잠금, 해제, 핸들, 조작레버, 래치볼트, 조작축, 스톱퍼, 푸시판, 도어, 문틀

Description

도어록의 잠금 및 해제장치{Locking and unlocking device of door lock}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도면으로서,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록의 잠금 및 해제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내,외측 핸들과 조작레버 및 래치볼트의 관계를 나타낸 도 1의 평단면도이고,
도 3a는 내,외측 핸들을 조작하였을시 조작레버가 회전하면서 래치볼트가 문틀에서 이탈하여 도어가 열리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 1의 평단면도이고,
도 3b는 도어록이 해제된 상태에서 외측 핸들을 밀었을 경우의 조작레버의 작동상태도이고,
도 3c는 도어록이 해제된 상태에서 내측 핸들을 당경을 경우의 조작레버의 작동상태도이고,
도 4는 도어록이 잠금된 상태에서 외측핸들과 내측핸들의 동작여부를 나타내 는 도면이고,
도 5는 푸시판과 스톱퍼의 다른 실시예로서 연결된 상태도이다.
여기서, 도 3b 내지 도 4는 각 작동상태에서 도 2의 A-A선에서 본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내측핸들
22 : 내측 작동축
23 : 외측핸들
24 : 외측 작동축
26 : 도어록 실린더
28,30 : 회전레버
40 : 작동간
42 : 래치볼트
50 : 푸시판
51,52 : 정지홈
60 : 스톱퍼
80 : 판스프링
본 발명은 도어를 잠금 및 해제시키는 기능을 갖는 도어록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밀고 당기는 동작만으로 도어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한 도어록에 있어 실내에서 잠금이 가능하고 잠금상태를 실내측 핸들을 조작하는 것만으로 간단히 해제시킬 수 있도록 한 도어록의 잠금 및 해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어 핸들을 회전시키지 아니하고 밀고 당기는 조작만으로 도어를 여닫는 기술이 실용등록 제312859호(명칭 : 도어 록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도어 록 장치는 내,외측 핸들에 연계되어 레버를 회전조작시키면, 레버에 연결되어 있는 작동간이 후퇴 이동하고, 작동간의 선단부에 위치한 래치볼트가 후퇴 회전하여 문틀 홈에서 이탈하므로 도어를 열 수 있게 되어 있다.
즉,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실내측 핸들을 당기거나 실외측 핸들을 밀면 그 힘을 전달받은 조작레버가 회전하여 작동간을 후퇴시키고 동시에 래치볼트가 문틀홈에서 회전하면서 이탈하여 도어가 쉽게 열린다.
이와 같은 도어 록 장치의 경우 실내에서 잠금이 이루어지면 외부에서 도어를 열 수 없도록 하는 잠금기능이 필요하다.
또한 실내에서 잠금이 이루어진 후에는 필요시 외부인의 출입을 허용하기 위해 도어를 열어주는 해제도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실내측에서 간단히 도어 록 장치를 잠금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필요시 그 잠금상태를 손쉽게 해제상태로 되돌릴 수 있는 도어록의 잠금 및 해제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외측 핸들에 연동하는 래치볼트를 동작시켜 도어를 개폐시키는 도어록에 있어서,
내,외측 핸들의 이동 조작을 각기 회전운동으로 변환시키도록 도어록 본체에 힌지 결합됨과 동시에 탄성수단에 연결되어 원위치로 복원가능토록 한 한쌍의 조작레버와;
외측 핸들의 조작력을 받는 조작레버에 이웃한 위치에서 승강가능하게 설치되고 승강 이동 위치에 따라 해당 조작레버의 회전동작을 구속/해제시키는 스톱퍼와;
스톱퍼와 이웃한 위치에서 핸들축 방향으로 직선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실내측에서 실외측으로 밀어낼 경우 스톱퍼를 하강시키는 푸시판을 포함하여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내측 핸들을 당길 경우 스톱퍼의 구속 동작이 해제되도록, 일단이 상기 내측 핸들에 연결되고 타단이 푸시판에 연결된 작동암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스톱퍼는 일단이 스프링수단에 연결되어 탄성력에 의해 상기 푸시판의 경사면에 면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스톱퍼는 일단이 푸시판의 경사진 장공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푸시판은 밀거나 내측 핸들을 당길 경우 스톱퍼를 승하강 위치에서 정지해 있도록 2개소의 정지홈에 적어도 하나의 판스프링이 누름되어져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래치볼트는 한쌍의 조작레버의 회전동작으로 후퇴동작함과 동시에 그 한쌍의 조작레버가 원위치시 스프링력에 의해 전직운동하는 작동간의 단부에 가까이 위치하여 도어록 실린더에 힌지 결합되고, 작동간의 단부는 래치볼트와 분리되어 면접촉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10)의 잠금 및 해제를 담당하는 주요부품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내,외측 핸들(21,23)과 조작레버(28,30) 및 래치볼트(42)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고, 도 3a는 내,외측 핸들(21,23)을 조작하였을시 조작레버(28,30)가 회전하면서 래치볼트(42)가 문틀(10)의 홈(10a)에서 이탈하여 도어가 열리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 1의 평단면도이다.
한편, 도 3b는 도어록이 해제된 상태에서 외측 핸들(23)을 밀었을 경우의 상부측 조작레버(28)의 작동상태도이고, 도 3c는 도어록이 해제된 상태에서 내측 핸들(21)을 당경을 경우의 하부측 조작레버(30)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1내지 도 3c에서 도면부호 '20'은 "도어 록 케이스"이다.
상기 도어 록 케이스(20)에는 서로 직교하는 X,Y축선상에 각기 내,외측 핸들 작동축(22,24)과 도어 록 실린더(26)가 배치되어 있고, 핸들 작동축(22,24)은 X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도어 록 실린더(26)에는 핸들 작동축(22,24)의 이동동작에 의해 회전운동하는 한쌍의 조작레버(28,30)가 배치되어 있고, 핸들 작동축(22,24)의 끝단에는 각기 내,외측 핸들(21,23)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조작레버(28,30)는 힌지핀(32)을 매개로 도어 록 실린더(26)의 후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힌지핀(30)에는 2개의 토션스프링(34,36)이 삽입되어 있고, 각 토션스프링(34,36)은 일단이 도어 록 실린더(26)에 연결되어 있고 타단은 조작레버(28,30)의 걸림턱(28a,30a) 내면에 지지되어 있다.
상기 내,외측 핸들 작동축(22,24)은 각기 절곡된 절곡편(22a,24a)을 통해 조작레버(28,30)를 회전 조작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즉, 내측 핸들(21)을 실내측에서 당기거나 외측 핸들(24)을 실외측에서 실내측으로 밀어낼 경우 내,외측 핸들 작동축(22,24)이 화살표(100)방향으로 동일하게 이동하여 절곡편(22a,24a)이 해당하는 조작레버(28,30)를 힌지핀(32)을 중심으로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어 있다.
이같이 본 발명은 한쌍의 조작레버(28,30)가 회전 조작될 경우 작동간(40)을 매개로 래치볼트(42)가 문틀(10)의 록킹홈(10a)에서 빠져나올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모든 도어록에 적용이 가능하다.
이때 작동간(40)은 압축스프링(90)에 의해 항시 Y축선인 화살표(101) 방향으로 밀어붙여져 있다. 또한 작동간(40)은, 그의 일단이 상기 조작레버(28,30)에 구속 연결되어 직선 운동하거나 당접되어 후퇴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그의 타단에 래치볼트(42)가 직접 일체로 연결되거나 아니면 분리된 래치볼트(42)가 될 수 있다.
래치볼트(42)가 분리될 경우 도2 및 도3a와 같이 도어록 실린더(26)에 피봇 결합되어 회전 및 이동가능하고 작동간(40)과 분리되어 캠면(62)으로 면접되어 있는 것이 될 수 있다.
이같이 본 발명은 내,외측 핸들(21,24)에 의해 조작레버(28,30)가 동작하고 이를 매개로 작동간(40)이 축방향으로 이동 조작되는 모든 도어록에 있어서, 실내측에서 푸시판(50)을 눌러놓았을 시 외측 작동축(24)으로 조작되는 상부측 조작레버(28)가 구속 고정되어 실외측 핸들(23)을 조작하여도 도어를 열 수 없게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실내에서 도어를 열어주고자 할 경우 실내측 핸들(21)을 당기는 동작만으로 조작레버(28)의 구속이 해제되고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어 외측 핸들(23)을 밀어 도어를 열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러한 동작을 구현하기 위한 구성을 상기 조작레버(28,30)와 관계지어 설명한다.
상기 조작레버(28,30)의 상방에 이웃하여 판형의 스톱퍼(50)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스톱퍼(50)는 일단이 도어 록 케이스(20)에 연결된 양쪽 인장스프링(70) 에 연결되어 항시 상방으로 힘을 받고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스톱퍼(50)는 하강 하였을 시 하단이 도어록 실린더(26)의 장공(26a)에 삽입되어 상부 조작레버(28)에 걸림되어 회전을 구속하고, 상승하였을 경우 하단이 장공(26a)에서 빠져나와 상부 조작레버(28)의 걸림에서 이탈하게 되어 있다.
상기 스톱퍼(50)의 일측에는 실내에서 조작가능한 푸시판(50)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푸시판(50)은 일예로 도 도 3b와 같이 일단측의 경사면(50a)으로 상기 스톱퍼(60)의 상단에 접촉되거나 다른 예로 도 5와 같이 경사진 장공(52)(또는 장홈)같은 가이드수단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푸시판(50)은 직접 또는 다른 매개수단을 통하여 실내에서 조작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장공(52)과 같은 가이드수단을 통해 스톱퍼(60)가 연결될 경우 인장스프링(70)이 사용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푸시판(50)은 이동위치 즉, 스톱퍼(60)의 상승위치 및 하강위치를 유지하기 위해 판스프링(80)의 지지력을 받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판스프링(80)의 일단이 절곡되어 푸시판(50)의 상면 2개소에 형성된 정지홈(51,52)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접촉되어 있다.
다른 한편, 스톱퍼(60)가 하강하여 조작레버(28)에 걸림될 경우 이를 해제하기 위해 상기 푸시판(50)을 이용하거나 아니면 상기 내측 핸들(21)을 이용할 수 있다.
내측 핸들(21)을 이용할 경우 일단이 내측 핸들(21)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푸시판(50)에 접촉 걸림되거나 아니면 구속 연결되는 작동암(90)이 추가될 수 있 다. 본 실시예에서는 작동암(90)이 내측 핸들 작동축(22)내에 배치되어 일단이 내측핸들(21)에 고정되고 타단이 푸시판(50)의 걸림턱(53)에 걸림되게 설치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를 스톱퍼(60)의 위치를 중점으로 하여 설명한다.
먼저, 스톱퍼(60)가 도 3b 및 도 3c와 같이 상승위치에 있을 경우(잠금 해제상태일 경우) 이때는 푸시판(50)이 실내측으로 이동하여 후퇴위치에 있는 경우이다. 또한 판스프링(80)은 제1정지홈(51)에 위치한 상태이다.
이같은 상태에서는 내측핸들(21)을 도 3c와 같이 실내측에서 잡아당기거나 외측 핸들(23)을 도 3b와 같이 실외측에서 밀 경우 각기 해당하는 조작레버(28,30)가 힌지핀(32)을 중심으로 도 3a와 같이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고, 작동간(40)이 후퇴 이동하여 래치볼트(42)가 회동하여 문틀 홈(10a)에서 빠져나오므로 도어(12)가 열리게 된다.
그러나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실내측에서 푸시판(50)을 실외측으로 밀어넣으면 외측핸들(23)을 조작하여서는 도어를 열 수 없고 실내측에 있는 사용자만이 내측 핸들(21) 또는 푸시판(50)을 조작하여야 열 수 있다(도 4참조).
즉, 실내측에서 푸시판(50)을 실외측으로 밀어내면, 푸시판(50)의 경사면(50a)에 접촉해 있던 스톱퍼(60)가 인장스프링(70)력을 이기고 하강한다.
따라서 스톱퍼(60)는 하강 위치에서 그 하단부가 도어록 실린더(26)의 장공(26a)내로 삽입되어 상부측 조작레버(28)에 걸리게 된다. 즉, 스톱퍼(60)는 상 부측 조작레버(28)가 더 이상 회전될 수 없도록 구속시키게 된다.
따라서 실외측에서 방문자가 외측핸들(23)을 밀거나 당기어도 상부측 조작레버(28)가 스톱퍼(60)에 걸림되어 더 이상 회전될 수 없고, 이로 인해 작동간(40) 및 래치볼트(42)가 동작할 수 없어 도어를 열 수 없게 된다.
이같은 도어 잠금 상태에서 실내에서 사용자가 내측핸들(21)을 당기거나 푸시판(50)을 조작하면 도어를 열 수 있게 된다.
즉, 내측핸들(21)을 당기면 하부측 조작레버(30)가 회전하고 작동간(40)이 조작레버(30)에 당김되어 후퇴하고 래치볼트(42)가 문틀 홈(10a)에서 빠져나와 도어가 열린다(도 3c 참조).
이와 동시에 내측 핸들(21)에 연결된 작동암(90)이 내측 핸들(21)과 함께 동일 방향으로 이동하여 푸시판(50)을 후퇴이동시킨다. 따라서 푸시판(50)의 경사면(50a) 위치가 후퇴하게 되므로서 후퇴하면서 생긴 여유 간격만큼 스톱퍼(60)가 상승하여 상부측 조작레버(28)는 구속에서 해제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도어록 잠금 및 해제장치는 도어 핸들을 당기거나 미는 동작으로 간단하게 도어를 여닫을 수 있고,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실내에서 푸시판(50)을 잠금 위치시키면 외부에서 외측 핸들(23)을 조작하여도 도어를 열 수 없는 도난 방지가 가능하다. 또한 푸시판(50)이 잠금 위치된 상태에서 실내에서 실내 핸들 조작만으로도 잠금상태가 해제상태로 전환되어 간단히 도어를 열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도어록 잠금 및 해제장치는 도어 핸들을 당기거나 미는 동작으로 간단하게 도어를 여닫을 수 있고,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실내에서 푸시판을 잠금 위치시키면 외부에서 외측 핸들을 조작하여도 도어를 열 수 없는 도난 방지가 가능하다. 또한 푸시판이 잠금 위치된 상태에서 실내에서 실내 핸들 조작만으로도 간단히 도어를 열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Claims (6)

  1. 내,외측 핸들(21,23)에 연동하는 래치볼트(42)를 동작시켜 도어를 개폐시키는 도어록에 있어서,
    상기 내,외측 핸들(21,23)의 이동 조작을 각기 회전운동으로 변환시키도록 도어록 본체에 힌지 결합됨과 동시에 탄성수단에 연결되어 원위치로 복원가능토록 한 한쌍의 조작레버(28,30)와;
    상기 외측 핸들(23)의 조작력을 받는 조작레버(28)에 이웃한 위치에서 승강가능하게 설치되고 승강 이동 위치에 따라 해당 조작레버(28)의 회전동작을 구속/해제시키는 스톱퍼(60)와;
    상기 스톱퍼(60)와 이웃한 위치에서 핸들축 방향으로 직선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실내측에서 실외측으로 밀어낼 경우 상기 스톱퍼(60)를 하강시키는 푸시판(50)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의 잠금 및 해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핸들(21)을 당길 경우 상기 스톱퍼(60)의 구속 동작이 해제되도록, 일단이 상기 내측 핸들(21)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푸시판(50)에 연결된 작동암(9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의 잠금 및 해제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60)는 일단이 스프링수단에 연결되어 탄성력에 의해 상기 푸시판(50)의 경사면(50a)에 면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의 잠금 및 해제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60)는 일단이 상기 푸시판(50)의 경사진 장공()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의 잠금 및 해제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판(50)은 밀거나 내측 핸들(21)을 당길 경우 상기 스톱퍼(60)를 승하강 위치에서 정지해 있도록 2개소의 정지홈(51,52)에 적어도 하나의 판스프링(80)이 누름되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의 잠금 및 해제장치.
  6.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볼트(42)는 상기 한쌍의 조작레버(28,30)의 회전동작으로 후퇴동작함과 동시에 조작레버(28,30)가 원위치시 스프링력에 의해 전직운동하는 작동간(40)의 단부에 가까이 위치하여 도어록 실린더(26)에 힌지 결합되고, 작동간(40)의 단부는 래치볼트(42)와 분리되어 면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의 잠금 및 해제장치.
KR1020040054720A 2004-07-14 2004-07-14 도어록의 잠금 및 해제장치 KR200600057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4720A KR20060005768A (ko) 2004-07-14 2004-07-14 도어록의 잠금 및 해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4720A KR20060005768A (ko) 2004-07-14 2004-07-14 도어록의 잠금 및 해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5768A true KR20060005768A (ko) 2006-01-18

Family

ID=37117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4720A KR20060005768A (ko) 2004-07-14 2004-07-14 도어록의 잠금 및 해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0576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8981B1 (ko) * 2006-06-26 2007-12-27 오병춘 열림손잡이를 구비한 도어잠금장치
KR100909560B1 (ko) * 2009-04-01 2009-07-27 윤병만 도어록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8981B1 (ko) * 2006-06-26 2007-12-27 오병춘 열림손잡이를 구비한 도어잠금장치
KR100909560B1 (ko) * 2009-04-01 2009-07-27 윤병만 도어록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61239B2 (ja) 止めラッチを有するラッチ構成
US7837241B2 (en) Two point lock for doors and windows
CN108699864B (zh) 具有手柄的闩锁装置
KR910006592A (ko) 미닫이문의 이중래치 및 자물쇠
US20090078011A1 (en) Mortise Lock
US20130098124A1 (en) Rotary latch
CA2821821A1 (en) Electric door strike having a dead latch release platform actuated by a spring latch keeper and a spring latch lifter feature
KR20050036950A (ko) 도어 록킹 메카니즘
US20210388642A1 (en) Push Pad Exit Device for Emergency Door Egress
US6973810B2 (en) Toolbox rotary latch
KR200479683Y1 (ko) 초기 개폐 기능을 갖는 미닫이문용 잠금장치
US5992100A (en) Door jamb assembly
JP4823874B2 (ja) 電気錠
KR101256040B1 (ko) 슬라이딩 도어 핸들
CA2795998C (en) Multiple access door lock mechanism with reversible cam actuation
KR101206563B1 (ko) 창호용 잠금장치
KR20060005768A (ko) 도어록의 잠금 및 해제장치
KR100748712B1 (ko) 건물용 출입문개폐장치
US6575505B1 (en) Latch apparatus and method
KR200393226Y1 (ko) 모티스 록 장치
KR200381043Y1 (ko) 도어록의 잠금 및 해제장치
KR20110017519A (ko) 여닫이문의 잠금장치
KR102599754B1 (ko) 푸시풀 타입 도어락
JP2004353378A (ja) 戸先錠解除機構付き開口部装置
US11781346B2 (en) Latch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