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4832B1 - 건물벽체에 설치되는 환기창 - Google Patents

건물벽체에 설치되는 환기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4832B1
KR100764832B1 KR1020070083497A KR20070083497A KR100764832B1 KR 100764832 B1 KR100764832 B1 KR 100764832B1 KR 1020070083497 A KR1020070083497 A KR 1020070083497A KR 20070083497 A KR20070083497 A KR 20070083497A KR 100764832 B1 KR100764832 B1 KR 1007648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opening
frame
rotating part
lock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3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돈
Original Assignee
종합건축사사무소세림(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종합건축사사무소세림(주) filed Critical 종합건축사사무소세림(주)
Priority to KR10200700834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48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4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48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50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more than one kind of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7/04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with ventilation w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벽체에 설치되어 실내공기를 환기할 수 있도록 하는 환기창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창틀(10)을 개구부(1)에 고정되는 고정부(16)와, 개구부(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부(17)로 구성하여, 개폐창문(30)을 회동부(17)쪽으로 밀어 창을 연 후, 회동부(17)를 실내쪽으로 당겨 창을 완전히 개방하여, 개방감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건물벽체에 설치되는 환기창{Window}
도 1은 일반적인 환기창을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도 1의 평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창을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환기창의 분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환기창의 정면 부분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창의 평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창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참고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개구부, 10; 창틀,
16; 고정부, 17; 회동부,
20; 고정창문, 30; 개폐창문,
40; 잠금장치, 50; 잠금해제장치,
60; 보조고정장치.
본 발명은 건물벽체에 설치되어 실내공기를 환기할 수 있도록 하는 환기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벽체에 설치되는 환기창은 다양한 종류의 것이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환기창 중에서 창문을 측방향으로 밀어 여닫는 미닫이식 환기창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 프레임형상으로 구성되어 벽체에 형성된 개구부(1)에 장착되는 창틀(10)과, 이 창틀(10)에 고정설치되는 고정창문(20)과, 창틀(10)에 슬라이드가능하게 장착된 개폐창문(3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창틀(10)은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는 상, 하부프레임(11,12)과, 이 상, 하부프레임(11,12)의 양측에 구비되는 수직프레임(13)으로 구비된다. 이때, 상부프레임(11)의 저면에는 개폐창문(30)의 상단이 삽입되는 삽입부(14)가 형성되고, 하부프레임(12)의 상면에는 개폐창문(30)이 올려지는 레일(15)이 형성된다. 따라서, 개폐창문(30)을 측방향으로 밀어 창을 개폐할 수 있다.
이러한 미닫이식 환기창은 창을 여닫는 것이 매우 용이하고, 창을 크게 제작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창이 열리는 정도를 사용자가 임의로 조절할 수 있어서 개방감을 중요시하는 가정의 베란다 등에 주로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환기창은 개폐창문(30)이 창틀(10)을 따라 좌우로 슬라이드되면서 창을 개폐하므로, 창을 최대로 열더라도 창틀(10) 전체 면적의 절반 밖에 열리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필요에 따라 창 전체면적을 개방하여 개방감을 높일 수 있도록 된 환기창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각프레임형상으로 구성되어 벽체에 형성되는 개구부에 장착되는 창틀과, 이 창틀에 고정장착되는 고정창문과, 창틀에 좌우로 슬라이드가능하게 장착되는 개폐창문을 포함하는 환기창에 있어서,
상기 창틀은, 개구부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부와; 일측에 구비된 힌지를 매개로 개구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부로 구성되며, 고정창틀은 회동부에 고정결합되고, 개폐창문은 회동부와 고정부를 이동하면서 창을 개폐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한편,
회동부의 선단부에 전후진가능하게 장착되며 전진시 고정부 선단의 결합공에 끼움결합되는 데드볼트와, 이 데드볼트를 전진가압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져, 회동부가 움직이지 않도록 위치고정하는 잠금장치와; 회동부의 수직프레임 내부에 힌지결합되며 선단에는 수직프레임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수직프레임의 측면으로 돌 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된 회동바와, 이 회동바와 잠금장치의 데드볼트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로 구성되어, 돌출부가 개폐창문에 의해 눌리면 잠금장치의 데드볼트를 후퇴시켜 잠금장치를 잠금해제하는 잠금해제장치와; 선단의 걸림턱이 회동부의 수직프레임의 측면으로 돌출되도록 회동부의 수직프레임에 힌지결합되어 개폐창문의 측면에 형성된 결합홈에 걸리는 후크와, 이 후크에 연결된 스프링과, 수직프레임의 실내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후크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후크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된 핸들로 이루어져, 회동부로 이동된 개폐창틀에 결합되어 개폐창틀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보조잠금장치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로 되어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내지 도 6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건물벽체에 설치되는 환기창은 사각프레임형상으로 구성되어 벽체에 형성되는 개구부(1)에 장착되는 창틀(10)과, 이 창틀(10)에 고정장착되는 고정창문(20)과, 창틀(10)에 좌우로 슬라이드가능하게 장착되는 개폐창문(30)으로 이루어진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이때, 상기 창틀(10)은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는 상, 하부프레임(11,12)과, 이 상, 하부프레임(11,12)의 양측에 구비되는 수직프레임(13)으로 구비되며, 상부프레임(11)의 저면에는 개폐창문(30)의 상단이 삽입되는 삽입부(14)가 형성되고, 하부프레임(12)의 상면에는 개폐창문(30)이 올려지는 레일(15)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창틀(10)은 상하방향의 가상선을 기준으로 좌우로 나뉘어져, 디귿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개구부(1)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부(16)와, 이 고정부(16)와 반대로 배치되는 디귿자형으로 이루어져 개구부(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부(17)로 구성된다. 상기 회동부(17)는 일측에 구비된 힌지(17a)를 매개로 개구부(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힌지(17a)는 회동부(17)의 수직프레임(13) 실내측 면과 건물벽의 실내측면을 연결하여, 회동부(17)가 실내쪽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고정창문(20)은 창틀(10)의 회동부(17)에 일체로 고정되어 회동부(17)와 함께 회동되며, 개폐창문(30)은 창틀(10)에 좌우로 슬라이드가능하게 장착되어, 회동부(17)와 고정부(16)로 슬라이드되면서 창을 개폐한다.
이때, 고정창문(20)과 개폐창문(30) 및 회동부(17)는 좌우폭이 동일하게 이루어져, 창문을 열면 고정창문(20)과 개폐창문(30)이 겹쳐지면서 고정창문(20)이 회동부(17)에 완전히 수납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개폐창문(30)을 회동부(17) 쪽으로 완전히 밀면, 개폐창문(30)이 고정부(16)로부터 벗어나 회동부(17)에 수납되어 회동부(17)를 실내측으로 당겨 회동시킬 수 있다. 이때, 고정창문(20)과 개폐창문(30)은 회동부(17)와 함께 실내쪽으로 회동되어 창 전체면적이 개방된다.
그리고, 이 환기창에는 회동부(17)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잠금장치(40)와, 회동부(17)의 이 잠금장치(40)에 연결되며 회동부(17)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개폐창문(30)을 회동부(17)로 이동시키면 개폐창문(30)에 의해 눌려 잠금장치(40)를 잠금해제하는 잠금해제장치(50)와, 회동부(17)에 구비되며 회동부(17)로 이동된 개폐창틀(10)에 결합되어 개폐창틀(10)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보조잠 금장치(60)가 더 구비된다.
상기 잠금장치(4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동부(17)의 하부프레임(12) 선단부에 전후진가능하게 장착되며, 전진시 고정부(16) 선단의 결합공(16a)에 끼움결합되는 데드볼트(41)와, 이 데드볼트(41)를 전진가압하는 스프링(42)으로 구성되어, 데드볼트(41)가 결합공(16a)에 결합되어 회동부(17)가 회동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상기 잠금해제장치(50)는 회동부(17)의 수직프레임(13) 내부에 힌지결합되며 선단에는 수직프레임(13)에 형성된 관통공(13a)을 통해 수직프레임(13)의 측면으로 돌출되는 돌출부(51a)가 형성된 회동바(51)와, 이 회동바(51)와 잠금장치(40)의 데드볼트(41)를 연결하는 연결부재(52)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연결부재(52)는 회동바(51)와 데드볼트(41)를 연결하는 와이어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사용자가 개폐창틀(10)을 회동부(17)쪽으로 밀어 개폐창틀(10)의 측면이 돌출부(51a)를 누르면, 회동바(51)가 회동되면서 연결부재(52)를 당겨 데드볼트(41)를 후퇴시키며, 이에따라, 회동부(17)와 고정부(16)의 고정이 해제되어 회동부(17)를 회동시킬 수 있다.
상기 보조잠금장치(60)는 선단의 걸림턱(61a)이 회동부(17)의 수직프레임(13)의 측면으로 돌출되도록 회동부(17)의 수직프레임(13)에 힌지결합된 후크(61)와, 이 후크(61)에 연결된 스프링(62)과, 수직프레임(13)의 실내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후크(61)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후크(61)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된 핸들(63)로 구성되며, 개폐창문(30)의 측면에는 상기 후크(61)가 삽입되어 걸리는 결합홈(31)이 형성된다.
상기 후크(61)는 걸림턱(61a)이 하측에 형성되어 회동하강시 걸림턱(61a)이 개폐창문(30)의 결합홈(31)에 맞물려 개폐창문(30)이 열리지 않도록 고정하는 것으로, 선단부 하측에는 경사면(61b)이 형성된다. 그리고, 스프링(42)은 후크(61)에 연결되어 후크(61)를 회동하강시키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개폐창문(30)을 회동부(17)쪽으로 밀어 창을 완전히 열면, 보조잠금장치(60)의 후크(61)가 개폐창문(30)의 결합홈(31)에 결합되어, 개폐창문(30)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며, 사용자가 핸들(63)을 돌려 후크(61)를 회동상승시키면, 후크(61)와 결합홈(31)의 결합이 해제되어, 개폐창문(30)을 고정부(16) 쪽으로 밀어 창을 닫을 수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건물벽체에 설치되는 환기창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동부(17)가 기준위치에 있을 때, 즉, 회동부(17)의 선단부가 고정부(16)와 일렬로 연결되어 잠금장치(40)에 의해 회동되지 않도록 고정된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개폐창문(30)을 좌우로 슬라이드시켜 창을 개폐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창을 완전히 열어 개폐창문(30)이 회동부(17)에 수납되면, 개폐창문(30)의 측면이 상기 잠금해제장치(50)의 돌출부(51a)를 눌러 고정장치를 해제하면서, 보조잠금장치(60)의 후크(61)가 개폐창문(30)의 결합홈(31)에 결합되 어, 개폐창문(30)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된다. 따라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개폐창문(30)이나 고정창문(20)을 잡고 실내쪽으로 당기면, 회동부(17)가 회동되며 이와함께 고정창문(20)과 개폐창문(30) 전체가 실내쪽으로 접혀, 창 전체가 개방된다.
그리고, 창을 닫기 위해, 회동부(17)를 실외쪽으로 밀어 원위치시킨 후, 보조잠금장치(60)의 핸들(63)을 돌려 개폐창문(30)의 고정을 해제하고 개폐창문(30)을 닫는 방향으로 밀면, 회동바(51)가 회동되면서 데드볼트(41)가 전진되어 고정부(16)의 선단에 형성된 결합공(16a)에 끼워진다. 따라서, 회동부(17)가 회동되지 않도록 고정되어, 고정부(16)와 일렬로 배치되므로, 개폐창문(30)을 옆으로 밀어 창을 닫을 수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환기창은 개폐창문(30)을 회동부(17) 쪽으로 완전히 밀어 수납시킨 후 회동부(17)를 실내쪽으로 당겨 창 전체를 개방시킬 수 있으므로, 창의 절반밖에 개방되지 않는 종래의 환기창에 비해 개방감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환기창은, 창틀(10)을 개구부(1)에 고정되는 고정부(16)와, 개구부(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부(17)로 구성하여, 개폐창문(30)을 회동부(17)쪽으로 밀어 창을 연 후, 회동부(17)를 실내쪽으로 당겨 창을 완전히 개방하여, 개방감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

  1. 사각프레임형상으로 구성되어 벽체에 형성되는 개구부(1)에 장착되는 창틀(10)과, 이 창틀(10)에 고정장착되는 고정창문(20)과, 창틀(10)에 좌우로 슬라이드가능하게 장착되는 개폐창문(30)을 포함하는 환기창에 있어서,
    상기 창틀(10)은 개구부(1)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부(16)와; 일측에 구비된 힌지(17a)를 매개로 개구부(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부(17)로 구성되며, 고정창틀(10)은 회동부(17)에 고정결합되고, 개폐창문(30)은 회동부(17)와 고정부(16)를 이동하면서 창을 개폐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한편,
    회동부(17)의 선단부에 전후진가능하게 장착되며 전진시 고정부(16) 선단의 결합공(16a)에 끼움결합되는 데드볼트(41)와, 이 데드볼트(41)를 전진가압하는 스프링(42)으로 이루어져, 회동부(17)가 움직이지 않도록 위치고정하는 잠금장치(40)와;
    회동부(17)의 수직프레임(13) 내부에 힌지결합되며 선단에는 수직프레임(13)에 형성된 관통공(13a)을 통해 수직프레임(13)의 측면으로 돌출되는 돌출부(51a)가 형성된 회동바(51)와, 이 회동바(51)와 잠금장치(40)의 데드볼트(41)를 연결하는 연결부재(52)로 구성되어, 돌출부(51a)가 개폐창문(30)에 의해 눌리면 잠금장치(40)의 데드볼트(41)를 후퇴시켜 잠금장치(40)를 잠금해제하는 잠금해제장치(50)와;
    선단의 걸림턱(61a)이 회동부(17)의 수직프레임(13)의 측면으로 돌출되도록 회동부(17)의 수직프레임(13)에 힌지결합되어 개폐창문(30)의 측면에 형성된 결합홈(31)에 걸리는 후크(61)와, 이 후크(61)에 연결된 스프링(62)과, 수직프레임(13)의 실내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후크(61)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후크(61)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된 핸들(63)로 이루어져, 회동부(17)로 이동된 개폐창틀(10)에 결합되어 개폐창틀(10)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보조잠금장치(6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벽체에 설치되는 환기창.
KR1020070083497A 2007-08-20 2007-08-20 건물벽체에 설치되는 환기창 KR1007648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3497A KR100764832B1 (ko) 2007-08-20 2007-08-20 건물벽체에 설치되는 환기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3497A KR100764832B1 (ko) 2007-08-20 2007-08-20 건물벽체에 설치되는 환기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4832B1 true KR100764832B1 (ko) 2007-10-09

Family

ID=39419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3497A KR100764832B1 (ko) 2007-08-20 2007-08-20 건물벽체에 설치되는 환기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483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9903Y1 (ko) 2003-10-21 2004-01-28 이병노 미닫이 창문의 잠금장치
KR200396859Y1 (ko) 2005-07-13 2005-09-27 김순석 여닫이, 미닫이 방식을 병용한 안전 방범창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9903Y1 (ko) 2003-10-21 2004-01-28 이병노 미닫이 창문의 잠금장치
KR200396859Y1 (ko) 2005-07-13 2005-09-27 김순석 여닫이, 미닫이 방식을 병용한 안전 방범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61239B2 (ja) 止めラッチを有するラッチ構成
JP5302310B2 (ja) ラッチ
JP4445416B2 (ja) 引き戸
KR100797158B1 (ko) 여닫기가 용이한 고층건물용 창구조물
CN108005489B (zh) 一种智能锁
US11118374B2 (en) Straight action flush lock for casement window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100764832B1 (ko) 건물벽체에 설치되는 환기창
KR101738140B1 (ko) 초기 개폐 기능을 갖는 미닫이문용 수동 잠금장치
KR200457119Y1 (ko) 창호용 자동잠금장치
KR101663162B1 (ko) 로테이터블 래치볼트를 갖는 도어락
CN108005488B (zh) 一种具有联动开门功能的智能锁
KR200169262Y1 (ko) 발코니용 창의 잠금장치
KR200449153Y1 (ko) 창호용 겸용 잠금장치
KR20130006936U (ko) 전후 수평이동식 창문
BR102013004967A2 (pt) Porta de um veículo, e, método para travar manualmente uma porta de um veículo
JP2004353378A (ja) 戸先錠解除機構付き開口部装置
KR20080064076A (ko) 건물용 현관문
KR100894176B1 (ko) 보조잠금기가 구비된 건물용 출입문개폐장치
KR200203653Y1 (ko) 창문 자동 잠금장치
JP7337227B2 (ja) 建具
KR200473054Y1 (ko) 락킹 기능이 개선된 도어용 잠금장치
KR101401653B1 (ko) 창호용 잠금장치
JP2019178557A (ja) 建具
AU771114B2 (en) Door lock assembly
JP6934649B2 (ja) 障子の開口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