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9903Y1 - 미닫이 창문의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미닫이 창문의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9903Y1
KR200339903Y1 KR20-2003-0032995U KR20030032995U KR200339903Y1 KR 200339903 Y1 KR200339903 Y1 KR 200339903Y1 KR 20030032995 U KR20030032995 U KR 20030032995U KR 200339903 Y1 KR200339903 Y1 KR 2003399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window
locking lever
cam rod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29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노
Original Assignee
이병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노 filed Critical 이병노
Priority to KR20-2003-00329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99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99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990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6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holding sliding wings op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창문이 닫힌 상태에서는 외부에서 창문을 임의로 열지 못하도록 하는 미닫이 창문의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방충망의 설치에 따라 상시 개방하지 않고 필요에 따라 방충망을 제거한 상태에서 창문을 반대방향으로 개방하는 경우에만 창문의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상기 개방이 필요없는 창문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창문 프레임(11)에 고정 설치되며 받침대(13a)가 형성된 본체(13)와, 상기 본체에 형성된 받침대의 상측에 일단이 노출되게 본체 내에 핀(14)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걸림 레버(15)와, 상기 걸림 레버 및 본체 사이에 설치되어 걸림 레버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걸림 레버를 상측으로 편의하는 코일스프링(16)과, 상기 본체의 일측에 스크류(18)로 고정되어 걸림 레버를 본체에 지지하는 커버(19)와, 상기 창문 프레임에 본체의 고정방향과 직교되게 형성된 통공(11a)을 통해 결합되어 스크류(21)로 고정되는 케이스(20)와, 상기 케이스에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며 본체에 형성된 받침대 상에 위치되어 경사면(17a)이 걸림 레버(15)에 접속되는 캠 로드(17)와, 상기 캠 로드의 일단이 인써트되어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는 버튼(22)과, 상기 캠 로드 및 케이스 사이에 설치되어 캠 로드에 외력이 작용되지 않을 때 캠 로드를 초기 위치로 복원시키는 코일스프링(23)과, 창틀 프레임(15)에 고정되며 창문을 닫을 경우에 걸림 레버가 걸리는 요입홈(26a)이 형성된 걸림쇠(26)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미닫이 창문의 잠금장치{omitted}
본 고안은 창문이 닫힌 상태에서는 외부에서 창문을 임의로 열지 못하도록 하는 미닫이 창문의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방충망의 설치에 따라 상시 개방하지 않고 필요에 따라 방충망을 제거한 상태에서 창문을 반대방향으로 개방하는 경우에만 창문의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상기 개방이 필요없는 창문의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벽면에는 실내의 환기 등을 목적으로 미닫이 창문이 설치되고, 이에 따라 창문을 통해 외부에서 침입자가 들어오는 것을 방지할 목적으로 창문 상에 잠금장치를 설치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잠금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 종단면도로서, 창문 프레임(1)에 걸림고리(2)가 스크류(3)로 고정되어 있고 이와 대응되는 창틀 프레임(4) 또는 창문에는 브라켓(5)이 또 다른 스크류(6)로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브라켓에는 반달형의 걸고리(7)가 회동 가능하게 스크류(8)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도 2의 실선으로 나타낸 상태에서는 창문이 닫혀있더라도 걸고리(7)가 걸림고리(2)로부터 해제되어 있어 창문을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창문을 잠그고자 할 경우에는 걸고리(7)를 화살표 방향으로 회동시켜 일점쇄선과 같이 걸림고리(2)에 끼워지도록 하면 창문의 잠금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외부에서 창문을 열지 못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장치는 창문이 닫힌 상태에서 반드시 걸림고리를 걸고리에 걸어주어야만 창문의 잠금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부주의로 창문이 닫힌 상태에서 걸고리를 걸림고리에 걸지 않고 외출을 하거나, 취침을 할 경우에는 외부에서 침입자가 창문을 통해 침입하게 되는 폐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그 구조를 개선하여 걸고리와 걸림고리를 설치하지 않고도 창문을 닫기만 하면 자동으로 창문의 잠금상태를 유지하고, 창문의 개방시에만 버튼을 눌러 창문의 잠금상태를 해제하므로서 창문을 통해 외부로부터 침입자가 침입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형태에 따르면, 창문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며 받침대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형성된 받침대의 상측에 일단이 노출되게 본체 내에 핀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걸림 레버와, 상기 걸림 레버 및 본체 사이에 설치되어 걸림 레버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걸림 레버를 상측으로 편의하는 코일스프링과, 상기 본체의 일측에 스크류로 고정되어 걸림 레버를 본체에 지지하는 커버와, 상기 창문 프레임에 본체의 고정방향과 직교되게 형성된 통공을 통해 결합되어 스크류로 고정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통공 내에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며 본체에 형성된 받침대 상에 위치되어 경사면이 걸림 레버에 접속되는 캠 로드와, 상기 캠 로드의 일단이 인써트되어 케이스와 외부로 노출되는 버튼과, 상기 캠 로드 및 케이스 사이에 설치되어 캠 로드에 외력이작용되지 않을 때 캠 로드를 초기 위치로 복원시키는 코일스프링과, 창틀 프레임에 고정되며 창문을 닫을 경우에 걸림 레버가 걸리는 요입홈이 형성된 걸림쇠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창문의 잠금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종래의 잠금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의 작동 상태도로서,
도 4a는 창문이 열린 상태도
도 4b는 창문이 록킹된 상태도
도 5는 도 4a의 A - A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창문 프레임 13 : 본체
13a : 받침대 13b : 안내편
15 : 걸림 레버 16, 23 : 코일스프링
17 : 캠 로드 17a : 경사면
20 : 케이스 22 : 버튼
24 : 폐쇄판 26 : 걸림쇠
26a : 요입홈
이하, 본 고안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의 작동 상태도이며 도 5는 도 4a의 A - A선 단면도로서, 본 고안은 창문 프레임(11)에 스크류(12)로 고정 설치되는 본체(13)의 배면에 받침대(13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본체와 받침대(13a)의 사이에는 측면이 개구되어 있으며 상기 받침대의 상측에는 본체(13) 내에 핀(14)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걸림 레버(15)가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걸림 레버(15) 및 본체(13) 사이에는 걸림 레버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걸림 레버를 상측으로 편의하는 코일스프링(16)이 걸려 있다.
이 때, 상기 본체(13)에 형성된 받침대(13a)의 일측에 캠 로드(17)의 수평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편(13b)이 상향 절곡되게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13)의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걸림 레버(15)는 본체의 일측에 스크류(18)로 고정되는 커버(19)에 의해 안정된 상태로 회동하게 된다.
그리고 창문 프레임(11)에 본체의 고정방향과 직교되게 형성된 통공(11a)을 통해 케이스(20)가 결합되어 스크류(21)로 고정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에는 본체(13)에 형성된 받침대(13a) 상에 위치되어 경사면(17a)이 걸림 레버(14)의 저면에 접속되는 캠 로드(17)가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캠 로드(17)의 일단에는 케이스(20)의 외부로 노출되는 버튼(22)이 인써트(insert)되어 있으며 상기 캠 로드(17) 및 케이스(20) 사이에는 캠 로드에 외력이 작용되지 않을 때 캠 로드를 초기 위치로 복원시키는 코일스프링(23)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20)를 창문 프레임(11)에 고정시키는 스크류(21)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케이스(20)에 걸림공(20a)이 형성되어 있고 폐쇄판(24)에는 상기 걸림공에 걸려 지지되는 걸림돌기(24a)가 형성되어 있어 폐쇄판(24)이 케이스(20)의 전면을 폐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창틀 프레임(25)에는 창문을 닫을 경우에 걸림 레버(15)가 걸리는 요입홈(26a)이 형성된 걸림쇠(26)가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a와 같이 창문이 개방된 상태에서는 본체(13)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걸림 레버(15)가 코일스프링(16)의 복원력에 의해 상측으로 당겨져 있고 캠 로드(17)의 경사면(17a)은 상단부가 걸림 레버(15)에 접속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버튼(22)은 코일스프링(23)의 복원력으로 케이스(20)의 외부로 최대한 노출된 상태이다.
이와 같이 창문이 개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창문을 닫으면 걸림 레버(15)의 선단이 걸림쇠(26)의 하단부에 의해 눌려 코일스프링(16)을 인장시키면서 도 4a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동하였다가 걸림 레버(15)의 선단이 걸림쇠(26)를 통과하여 요입홈(26a)내에 위치하면 걸림 레버(15)가 코일스프링(16)의 복원력에 의해 초기 상태인 도 4a와 같은 상태로 환원되므로 도 4b와 같이 걸림 레버(15)가 걸림쇠(26)의 요입홈(26a)내에 위치하여 창문의 잠긴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창문을 닫는 동작으로 창문의 잠긴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별도의 잠금장치를 조작하지 않고도 창문의 잠긴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외부에서 창문을 임의로 개방할 수 없게 되고, 이에 따라 외부에서 창문을 통해 침입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창문을 개방하기 위해 케이스(20)의 외부로 노출된 버튼(22)을 도 5의 화살표 방향으로 누르면 캠 로드(17)가 코일스프링(23)을 압축시키면서 전진하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본체(13)에 받침대(13a)가 형성되어 있고 받침대(13a)의 후방에 상향 절곡된 안내편(13b)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캠 로드(17)가 안정적으로 수평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버튼(22)의 누름 동작으로 캠 로드(17)가 코일스프링(23)을 압축시키면서 수평 이동하면 캠 로드(17)의 경사면(17a)에 의해 걸림 레버(15)의 후단이 핀(14)을 중심으로 상향 이동하여 걸림 레버(15)의 선단이 걸림쇠(26)에 형성된 요입홈(26a)으로부터 이탈되므로 창문을 열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창문을 닫기만 하면 걸림 레버가 창틀프레임에 고정된 걸림쇠의 요입홈 내에 삽입되어 창문의 잠긴 상태가 자동으로 유지되므로 창문이 닫힌 상태에서 외부의 침입자가 창문을 통해 침입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또한, 그 구조가 간단함과 아울러 두께 또한 얇아 비교적 폭이 좁은 창문 프레임 내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게 된다.

Claims (3)

  1. 창문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며 받침대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형성된 받침대의 상측에 일단이 노출되게 본체 내에 핀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걸림 레버와, 상기 걸림 레버 및 본체 사이에 설치되어 걸림 레버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걸림 레버를 상측으로 편의하는 코일스프링과, 상기 본체의 일측에 스크류로 고정되어 걸림 레버를 본체에 지지하는 커버와, 상기 창문 프레임에 본체의 고정방향과 직교되게 형성된 통공을 통해 결합되어 스크류로 고정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통공 내에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며 본체에 형성된 받침대 상에 위치되어 경사면이 걸림 레버에 접속되는 캠 로드와, 상기 캠 로드의 일단이 인써트되어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는 버튼과, 상기 캠 로드 및 케이스 사이에 설치되어 캠 로드에 외력이 작용되지 않을 때 캠 로드를 초기 위치로 복원시키는 코일스프링과, 창틀 프레임에 고정되며 창문을 닫을 경우에 걸림 레버가 걸리는 요입홈이 형성된 걸림쇠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창문의 잠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형성된 받침대의 일측에 캠 로드의 수평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편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창문의 잠금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 걸림공을 형성하고 폐쇄판에는 상기 걸림공에 걸려 지지되는 걸림돌기를 형성하여 폐쇄판이 케이스의 전면을 폐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창문의 잠금장치.
KR20-2003-0032995U 2003-10-21 2003-10-21 미닫이 창문의 잠금장치 KR2003399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2995U KR200339903Y1 (ko) 2003-10-21 2003-10-21 미닫이 창문의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2995U KR200339903Y1 (ko) 2003-10-21 2003-10-21 미닫이 창문의 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9903Y1 true KR200339903Y1 (ko) 2004-01-28

Family

ID=49342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2995U KR200339903Y1 (ko) 2003-10-21 2003-10-21 미닫이 창문의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990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4832B1 (ko) 2007-08-20 2007-10-09 종합건축사사무소세림(주) 건물벽체에 설치되는 환기창
KR100942391B1 (ko) 2008-02-17 2010-02-18 이재민 윈도우 디지탈 락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4832B1 (ko) 2007-08-20 2007-10-09 종합건축사사무소세림(주) 건물벽체에 설치되는 환기창
KR100942391B1 (ko) 2008-02-17 2010-02-18 이재민 윈도우 디지탈 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59968B2 (ja) 自己ラッチ装置
KR20160052486A (ko)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
US2742309A (en) Sliding door latch
KR200339903Y1 (ko) 미닫이 창문의 잠금장치
JP6823142B1 (ja) 窓開閉ロック装置
KR200489898Y1 (ko) 방충망용 잠금장치
KR200186315Y1 (ko) 미닫이창의 잠금장치
JP3079037B2 (ja) シャッター
JP5349280B2 (ja) 引戸の施錠装置
KR101811814B1 (ko) 자동잠김을 방지하는 안전방충망 잠금장치
KR100421692B1 (ko) 미닫이 창문의 잠금장치
KR101902494B1 (ko) 미닫이 도어의 이중 잠금장치
JP2001173332A (ja) 非常脱出用面格子の取付装置
JP7460992B1 (ja) 窓開閉ロック装置、窓サッシ及び壁構造
JP2001323701A (ja) シャッター用施錠装置
KR101929231B1 (ko) 자동 잠김 및 벌어짐을 방지하는 안전방충망 잠금장치
KR101115424B1 (ko) 창호용 버튼식 자동잠금장치
JP2011153470A (ja) ドア締り装置及びドア
JP3119790B2 (ja) 両開戸の施錠装置
KR100362514B1 (ko) 통풍구 및 개폐 유니트를 구비한 도어 어셈블리
JP2004257177A (ja) シャッターの錠装置及びその錠装置を備えたシャッター
US3480316A (en) Safety door fastener
KR101990692B1 (ko) 방범 방충망용 잠금장치
KR200218009Y1 (ko) 미닫이 창문의 자동잠금장치
JP2006214193A (ja) シャッターの施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