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2514B1 - 통풍구 및 개폐 유니트를 구비한 도어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통풍구 및 개폐 유니트를 구비한 도어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2514B1
KR100362514B1 KR1020000012692A KR20000012692A KR100362514B1 KR 100362514 B1 KR100362514 B1 KR 100362514B1 KR 1020000012692 A KR1020000012692 A KR 1020000012692A KR 20000012692 A KR20000012692 A KR 20000012692A KR 100362514 B1 KR100362514 B1 KR 1003625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ole
opening
rod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2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1223A (ko
Inventor
허상은
Original Assignee
허상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상은 filed Critical 허상은
Priority to KR10200000126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2514B1/ko
Publication of KR20010091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12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2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25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7/04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with ventilation w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 어셈블리에 있어서, 문틀에 설치된 메인 도어와; 상기 메인 도어 상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 도어가 닫힘과 동시에 상기 메인 도어를 잠금 상태로 복귀시키는 개폐 유니트와; 상기 메인 도어의 전후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통풍구와; 상기 통풍구에 설치된 다수개의 창살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구 및 개폐 유니트를 구비한 도어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 어셈블리에 있어서, 일측면에는 걸쇠홀을 형성하고 타측면에는 푸시로드홀을 형성하며 내측면에 돌출한 스프링 고정부를 가진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전면 레버와; 하측단에 링크 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전면 레버의 회전에 의해 연동되는 링크와; 상기 하우징 내에는 도어 잠금시 상기 걸쇠홀을 통해 돌출하는 걸쇠와, 상기 하우징에 고정된 가이드 나사가 삽입된 장공 모양의 가이드 홀과, 상기 링크 돌기가 삽입된 장공 모양의 링크 홀을 구비한 링크 가이드와, 일측에 걸림홀을 가진 좌우 이동 프레임과; 상기 좌우 이동 프레임과 스프링 고정부에 양단이 고정된 제1 프레임 스프링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설치되며 스프링 고정편이 장착된 힌지 슬리브와; 상기 힌지 슬리브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며 상측단과 하측단이 상호 절곡되고 상측단에는 도어 열림시 상기 걸림홀에 걸리는 아암 돌기를 형성한 절곡 아암과; 양단이 상기 절곡 아암과 스프링 고정편에 고정된 아암 스프링과; 일단은 상기 푸시로드홀을 통해 돌출하며 타단은 상기 절곡 아암의 하측단과 힌지 결합되어 도어가 닫힐 때 돌출된 일단이 삽입되는 푸시 로드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개폐 유니트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유니트를 구비한 도어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통풍구 및 개폐 유니트를 구비한 도어 어셈블리{DOOR ASSEMBLY HAVING VENTILATION HOLE AND OPEN/CLOSE UNIT}
본 발명은 도어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동 잠김 기능을 가진 개폐 유니트 및 도어 잠금시에도 통풍이 가능한 통풍구를 구비한 도어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각 건물의 출입문 혹은 아파트의 세대별 출입문에 설치된 도어는 잠금 상태일 때 도어 전후로 통풍이 되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실내 공기를 전환하거나 온도 조절을 위해 통풍을 시키기 위해서는 도어를 열어 놓아야하는데, 이때 외부인의 침입 위험에 노출되기 쉽다.
한편, 각 도어에는 출입자의 제한을 통한 보안 유지 및 도난 방지를 위해 도어 개폐 장치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도어 개폐 장치는 제작사에 따라 여러 형태가 있으며, 크게 키를 통해 작동되는 기계식과 버튼 등을 통해 작동되는 전자식으로 나뉘어진다.
그러나, 종래의 도어는 상기와 같은 도어 개폐 장치를 조작하여 도어를 열고 난 후 다시 도어를 닫게 되면, 도어 잠금을 위한 걸쇠 같은 부재가 도어 밖으로 돌출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도어는 열려 있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도어를 잠김 상태로 만들기 위해서는 다시 도어 개폐 장치를 조작하여 도어를 잠궈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도어 사용자가 이를 간과할 경우 외부인의 침입에 무방비로 노출되는 보안상의 문제점도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인의 침입을 방지하면서도 도어 안팎으로 통풍이 가능한 도어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어가 닫힐 때 별도의 조작없이도 자동으로 잠금 상태로 전환되는 개폐 유니트를 구비한 도어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어 어셈블리에 있어서, 문틀에 설치된 메인 도어와; 상기 메인 도어 상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 도어가 닫힘과 동시에 상기 메인 도어를 잠금 상태로 복귀시키는 개폐 유니트와; 상기 메인 도어의 전후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통풍구와; 상기 통풍구에 설치된 다수개의 창살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구 및 개폐 유니트를 구비한 도어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 어셈블리에 있어서, 일측면에는 걸쇠홀을 형성하고 타측면에는 푸시로드홀을 형성하며 내측면에 돌출한 스프링 고정부를 가진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전면 레버와; 하측단에 링크 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전면 레버의 회전에 의해 연동되는 링크와; 상기 하우징 내에는 도어 잠금시 상기 걸쇠홀을 통해 돌출하는 걸쇠와, 상기 하우징에 고정된 가이드 나사가 삽입된 장공 모양의 가이드 홀과, 상기 링크 돌기가 삽입된 장공 모양의 링크 홀을 구비한 링크 가이드와, 일측에 걸림홀을 가진 좌우 이동 프레임과; 상기 좌우 이동 프레임과 스프링 고정부에 양단이 고정된 제1 프레임 스프링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설치되며 스프링 고정편이 장착된 힌지 슬리브와; 상기 힌지 슬리브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며 상측단과 하측단이 상호 절곡되고 상측단에는 도어 열림시 상기 걸림홀에 걸리는 아암 돌기를 형성한 절곡 아암과; 양단이 상기 절곡 아암과 스프링 고정편에 고정된 아암 스프링과; 일단은 상기 푸시로드홀을 통해 돌출하며 타단은 상기 절곡 아암의 하측단과 힌지 결합되어 도어가 닫힐 때 돌출된 일단이 삽입되는 푸시 로드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개폐 유니트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유니트를 구비한 도어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 어셈블리의 전면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 어셈블리의 후면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폐 유니트의 전면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폐 유니트의 후면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폐 유니트의 후면 커버를 제거한 잠금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후면 레버를 회전시키기 전 개폐 유니트의 후면 커버를 나타낸 내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후면 레버를 회전시킨 후 개폐 유니트의 후면 커버를 나타낸 내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폐 유니트의 후면 커버를 제거한 제1 도어 열림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폐 유니트의 후면 커버를 제거한 제2 도어 열림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메인 도어 210 : 통풍구
220 : 센터 프레임 240 : 방충망
250 : 서브 도어 300 : 개폐 유니트
330 : 좌우이동 프레임 380 : 푸시 로드
600 : 상하이동 프레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 어셈블리의 전면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 어셈블리의 후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어셈블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경첩(110)에 의해 문틀(100)에 장착된 메인 도어(200)와, 상기 메인 도어(200)에 형성한 통풍구(210) 및 상기 메인 도어(200)에 내장된 개폐 유니트(300)를 포함한다.
상기 통풍구(210)는 메인 도어가 닫혀있는 상태에서도 안팎을 통해 자연풍이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한 부분이다. 상기 통풍구(210)의 중앙에는 센터 프레임(220)이 설치되며, 상기 통풍구(210)의 상하측단과 센터 프레임(220) 사이에는 다수개의 창살(230)이 설치된다. 상기 센터 프레임(220) 내부에는 수평 방향으로 장공을 형성한다. 상기 센터 프레임(220) 상하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프레임(222)이 설치된다. 상기 장공은 개폐 유니트(300)에 설치된 푸시 로드(380)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이 된다. 상기 장공의 출구를 통해 푸시 로드(380)의 단부가 문틀(100)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다.
또한, 상기 통풍구(210)의 메인 도어(200) 안쪽 방향에는 방충망(240)이 부착되며, 상기 통풍구(210)에는 메인 도어(200)와 힌지(260)로 연결된 서브 도어(250)가 메인 도어(200)의 후면 방향에 설치된다. 상기 방충망(240)은 서브 도어(250)가 열려 있더라도 통풍구(210)를 통해 벌레 등이 들어오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서브 도어(250)에는 도어 개폐를 위한 도어 레버(270)가 설치된다. 상기 서브 도어(250)의 힌지(260)와 도어 레버(270)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좌측 또는 우측에 설치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폐 유니트의 전면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폐 유니트의 후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폐 유니트의 후면 커버를 제거한 잠금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후면 레버를 회전시키기 전 개폐 유니트의 후면 커버를 나타낸 내측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후면 레버를 회전시킨 후 개폐 유니트의 후면 커버를 나타낸 내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폐 유니트의 후면 커버를 제거한 제1 도어 열림 상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폐 유니트의 후면 커버를 제거한 제2 도어 열림 상태도이다.
상기 개폐 유니트(300)는 도 3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301), 전면 레버(302), 키 박스(303), 조작부(304), 링크(320), 좌우 이동 프레임(330), 프레임 스프링(340), 힌지 슬리브(350), 절곡 아암(360), 아암 스프링(370), 푸시 로드(380), 로킹 로드 박스(500), 상하이동 프레임(600) 및 후면 커버(401)를 구비한다.
상기 하우징(301)은 개폐 유니트(300)의 외형을 형성하며, 내부의 내장물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우징(301)은 일측면에 걸쇠홀(305)을 형성하고, 타측면에는 푸시 로드홀(306)을 형성하며, 내측면에는 스프링 고정부(307)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301)은 다수개의 가이드 핀(630, 632, 634)을 가진다.
상기 전면 레버(302)는 사용자가 도어(200)를 열기 위해 회전시키는 수단이며, 상기 전면 레버(302)의 작동으로 인해 걸쇠(331)가 돌출하거나 삽입됨으로써 도어의 개폐가 이루어진다. 상기 전면 레버(302)는 하우징(301)에 설치된 샤프트(308)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키 박스(303)는 별도의 키 삽입을 통해 도어의 개폐를 통제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로킹 로드 박스(500) 일측에 설치된다. 상기 키 박스(303)는 도어 키 조작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키 로드(312)와, 상기 로킹 로드(510)가 관통하는 로드 홀을 가지며, 상기 키 로드(312)의 상부에 설치된 로드 플레이트(314)를 가진다. 상기 조작부(304)는 키 사용없이 미리 기억된 숫자의 배열을 통해 도어의 개폐를 통제하는 수단이다.
상기 링크(320)는 전면 레버(302)와 좌우 이동 프레임(330)이 연동하도록 하는 연결 부재이다. 상기 링크(320)는 하측단에 링크 돌기(322)를 구비하며 샤프트(308)에 부착되어 있어 상기 전면 레버(302)의 회전에 의해 연동된다.
상기 좌우 이동 프레임(330)은 하우징(301) 내에서 전면 레버(302)의 회전에 따라 좌우로 이동하는 부재이다. 상기 좌우 이동 프레임(330)은 도어 잠금시 하우징(301)의 걸쇠홀(305)을 통해 돌출하는 걸쇠(331)와, 상기 하우징(301)에 고정된 가이드 나사(332)가 삽입된 장공 모양의 가이드 홀(333)과, 상기 링크 돌기(322)가 삽입된 장공 모양의 링크 홀(335)을 구비한 링크 가이드(335)와, 일측에걸림홀(336)을 가진다.
상기 프레임 스프링(340)은 좌우 이동 프레임(330)이 이동한 후 원래 상태로 복원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프레임 스프링(340)은 좌우 이동 프레임(330)과 스프링 고정부(307)에 양단이 고정된다.
상기 힌지 슬리브(350)는 상기 하우징(301)의 내측면 적소에 설치되며 스프링 고정편(352)이 관통하여 장착된다. 상기 힌지 슬리브(350)는 절곡 아암(360)의 회전 중심이 된다.
상기 절곡 아암(360)은 푸시 로드(380)의 눌림 상태에 따라 좌우 이동 프레임의 이동을 단속하는 부재이다. 상기 절곡 아암(360)은 힌지 슬리브(350)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며 상측단과 하측단이 분리되어 상호 절곡되고, 상기 상측단에는 도어 열림시 상기 좌우 이동 프레임(330)의 걸림홀(336)에 걸리는 아암 돌기(361)를 형성한다. 상기 절곡 아암(360)의 하측단에는 엘보우(390)가 장착된다. 상기 엘보우(390)는 힌지 나사(392)에 의해 장착된다.
상기 아암 스프링(370)은 절곡 아암(360)이 회전 후 원래 상태로 복원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아암 스프링(370)은 양단이 상기 절곡 아암(360)과 스프링 고정편(352)에 각각 고정된다.
상기 푸시 로드(380)는 도어를 닫게 되면 푸시 로드홀(306)을 통해 돌출해 있던 단부가 문틀(100)에 눌려 삽입됨으로써 절곡 아암(360) 및 좌우 이동 프레임(330)의 연동에 의해 걸쇠(331)가 돌출하게 하는 부재이다. 상기 푸시 로드(380)는 일단이 상기 푸시 로드홀(306)을 통해 돌출하며, 타단은 상기 절곡 아암(360)의 하측단과 힌지 결합된다. 상기 푸시 로드(380)는 타단에 나사부(382)를 형성한다. 상기 나사부(382)에는 고정 나사(384) 두 개를 삽입하여 상기 절곡 아암(360)의 하측단에 부착된 엘보우(360)와 푸시 로드(380)를 상호 연결한다.
상기 로킹 로드 박스(500)는 상기 좌우 이동 프레임(330)에 형성된 프레임 홀(337) 하측에 설치된다. 상기 로킹 로드 박스(500)는 도어 키 또는 버튼 조작에 의해 프레임 홀(337)에 삽입되는 로킹 로드(510)와, 상기 로킹 로드(510)의 외주면에 부착된 로드 링(520)과, 상기 로드 링(520)과 로킹 로드 박스(500)의 상면에 지지된 로킹 로드 스프링(530)을 가진다.
상기 상하이동 프레임(600)은 후면 커버(401)에 설치된 후면 레버(410)의 조작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부재이다. 상기 상하이동 프레임(600)은 상기 로킹 로드(510)가 관통하는 구멍을 가지며 상기 로드 링(520)에 의해 지지되는 누름판(610)과, 상기 하우징(301)의 가이드 핀(630, 632, 634)이 각각 삽입되는 다수개의 상하이동 가이드홀(620, 622, 624)과, 후면 방향으로 돌출 형성한 경사부(640)를 가진다. 제2 프레임 스프링(650)은 양단이 각각 상기 가이드 핀(632)과 경사부(640)에 지지되도록 상하이동 프레임(600)에 설치된다.
상기 후면 커버(401)는 상기 하우징(301)의 후면에 부착된다. 상기 후면 커버(401)에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후면 레버(410)가 설치되며, 상기 후면 레버(410)에는 상기 후면 레버(410)의 회전과 연동하여 회전함으로써 상기 좌우이동 프레임(330)을 일측으로 밀어내는 해제 플레이트(420)와, 누름시 상기 경사부(640)와 접하는 버튼 로드(414)와 일체로 형성된 해제 버튼(412)이 설치된다. 상기 버튼 로드(414)에는 버튼 로드의 원위치 복귀를 위한 로드 스프링(416)이 설치된다. 상기 해제 플레이트(420)의 배면에 돌출한 돌기(422)와 후면 커버 일측에 돌출한 스프링 고정턱(440) 사이에는 플레이트 스프링(450)이 설치되어 해제 플레이트(420)의 원위치 복귀를 위한 탄성력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후면 커버(430)에는 해제 플레이트(420)의 측단과 접하는 플레이트 지지턱(430)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토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 유니트의 작동 과정을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전면 레버를 회전하기 전의 개폐 유니트 내부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걸쇠(331)가 하우징(301)의 걸쇠홀(305)을 통해 돌출하여 있어 메인 도어(200)는 잠겨 있는 상태이다.
이때, 사용자가 키 박스에 키를 삽입하여 도어 잠김 상태를 해제하고 전면 레버(302)를 회전시키면, 도 8에서와 같이 전면 레버(302)와 연동되어 회전하는 링크(32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어, 상기 링크(320)가 회전함에 따라 링크 돌기(322)가 링크 홀(335)에 삽입되어 있는 링크 가이드(334)가 링크 돌기(322)에 밀려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링크 가이드(334)와 일체로 형성된 좌우 이동 프레임(330)도 좌측으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절곡 아암(360)은 아암 스프링(370)의 탄성력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절곡 아암(360)의 아암 돌기(361)가 좌우 이동 프레임(330)의 돌기 지지면(337)을 따라 이동하여 걸림홀(336)에 삽입되면, 상기 좌우 이동 프레임(330)은 이동을 멈추게 되고 걸쇠(331) 역시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어, 메인 도어(200)가 닫히면서 푸시 로드(380)의 단부가 문틀에 의해 눌려지면서, 상기 푸시 로드(380)와 연결된 절곡 아암(360)이 다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걸림홀(336)에 걸려 있던 아암 돌기(361)가 이탈하게 되고, 상기 좌우 이동 프레임(330)은 프레임 스프링(340)의 복원력에 의해 다시 우측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상기 걸쇠(331)가 다시 걸쇠홀(305)을 통해 돌출하게 되어 도어(200)는 잠김 상태가 된다.
한편, 도 5와 같이 개폐 유니트가 잠금 상태에 있을 때 사용자가 해제 버튼(412)을 누름과 동시에 후면 레버(410)를 회전시키면, 도 7과 같이 버튼 로드(414)가 돌출하면서 해제 플레이트(420)가 회전한다. 이때, 상기 버튼 로드(414)는 상하이동 프레임(600)의 경사부(640)를 누르게 되므로, 상기 상하이동 프레임(600)이 하향 이동하면서 누름판(610)이 로킹 로드(510)의 로드 링(520)을 누르게 되고, 이로인해 상기 로킹 로드(510)가 아래로 이동한다. 즉, 상기 로킹 로드(510)에 의해 좌우 이동이 불가능하던 좌우 이동 프레임(330)이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어, 상기 해제 플레이트(420)가 좌우 이동 프레임(330)의 리브(339)를 좌측으로 밀어내면서 좌우 이동 플레임(330)이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좌우 이동 프레임(330)에 부착된 걸쇠(331)가 문틀에서부터 이탈하면서 메인 도어(200)는 열림 상태가 된다.
또한, 도 5와 같이 개폐 유니트가 잠금 상태에 있을 때 사용자가조작부(304)의 버튼을 조작하여 도어 해제 상태로 전환시키면, 키 박스(303)의 키 로드(312)가 하강한다. 이때, 상기 키 로드(312)의 상부에 부착되어 있던 로드 플레이트(314)도 같이 하강하면서, 상기 로킹 로드(510)의 로드 링(520)을 누르게 되고, 이로인해 상기 로킹 로드(510)가 아래로 이동한다. 즉, 상기 로킹 로드(510)에 의해 좌우 이동이 불가능하던 좌우 이동 프레임(330)이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어, 사용자가 전면 레버(302)를 회전시키면, 좌우 이동 프레임(330)이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좌우 이동 프레임(330)에 부착된 걸쇠(331)가 문틀에서부터 이탈하면서 메인 도어(200)는 열림 상태가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풍구 및 개폐 유니트를 구비한 도어 어셈블리는 도어를 닫을 상태에서도 도어 안팎으로 통풍이 가능하므로 온도 조절은 물론 자연풍에 의한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풍구 및 개폐 유니트를 구비한 도어 어셈블리는 도어를 열고 난 후 별도로 도어 잠금을 위한 조치를 취하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도어가 잠김 상태로 복귀하게 함으로써 높은 보안성 및 편리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도어 어셈블리에 있어서,
    문틀에 설치된 메인 도어와;
    상기 메인 도어 상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 도아가 담힘과 동시에 상기 메인 도어를 잠금 상태로 복귀시키는 개폐 유니트와;
    상기 메인 도어의 전후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통풍구와;
    상기 통풍구에 설치된 다수개의 창살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구 및 개폐 유니트를 구비한 도어 어셈블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풍구에는 메인 도어와 힌지로 연결된 서브 도어가 메인 도어의 후면 방향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구 및 개폐 유니트를 구비한 도어 어셈블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창살과 서브 도어 사이에는 방충망을 추가로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구 및 개폐 유니트를 구비한 도어 어셈블리.
  4. 도어 어셈블리에 있어서,
    일측면에는 걸쇠홀을 형성하고 타측면에는 푸시로드홀을 형성하며 내측면에 돌출한 스프링 고정부를 가진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전면 레버와;
    하측단에 링크 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전면 레버의 회전에 의해 연동되는 링크와;
    상기 하우징 내에는 도어 잠금시 상기 걸쇠홀을 통해 돌출하는 걸쇠와, 상기 하우징에 고정된 가이드 나사가 삽입된 장공 모양의 가이드 홀과, 상기 링크 돌기가 삽입된 장공 모양의 링크 홀을 구비한 링크 가이드와, 일측에 걸림홀을 가진 좌우 이동 프레임과;
    상기 좌우 이동 프레임과 스프링 고정부에 양단이 고정된 제1 프레임 스프링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설치되며 스프링 고정편이 장착된 힌지 슬리브와;
    상기 힌지 슬리브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며 상측단과 하측단이 상호 절곡되고 상측단에는 도어 열림시 상기 걸림홀에 걸리는 아암 돌기를 형성한 절곡 아암과;
    양단이 상기 절곡 아암과 스프링 고정편에 고정된 아암 스프링과;
    일단은 상기 푸시로드홀을 통해 돌출하며 타단은 상기 절곡 아암의 하측단과 힌지 결합되어 도어가 닫힐 때 돌출된 일단이 삽입되는 푸시 로드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개폐 유니트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유니트를 구비한 도어 어셈블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로드는 타단에 나사부를 형성하고, 상기 나사부에는 고정 나사를 삽입하여 상기 절곡 아암의 하측단에 부착한 엘보우와 푸시 로드를 상호 연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유니트를 구비한 도어 어셈블리.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이동 프레임에 형성된 프레임 홀과;
    상기 프레임 홀 하측에 설치된 로킹 로드 박스와;
    상기 로킹 로드 박스에는 도어 키 또는 버튼 조작에 의해 프레임 홀에 삽입되는 로킹 로드와;
    상기 로킹 로드의 외주면에 부착된 로드 링과;
    상기 로드 링과 로킹 로드 박스의 상면에 지지된 로킹 로드 스프링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유니트를 구비한 도어 어셈블리.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로드 박스 일측에 설치된 키 박스와;
    상기 키 박스에는 도어 키 조작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키 로드와;
    상기 로킹 로드가 관통하는 로드 홀을 가지며 상기 키 로드의 상부에 설치된 로드 플레이트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유니트를 구비한 도어 어셈블리.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형성한 다수개의 가이드 핀과;
    상기 로킹 로드가 관통하는 구멍을 가지며 상기 로드 링에 의해 지지되는 누름판과, 상기 가이드 핀이 각각 삽입되는 다수개의 상하이동 가이드홀과, 돌출 형성한 경사부를 가진 상하 이동 프레임과;
    양단이 각각 상기 가이드 핀과 경사부에 지지된 제2 프레임 스프링과;
    상기 하우징의 후면에 부착되는 후면 커버와;
    상기 후면 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후면 레버와;
    상기 후면 레버의 회전과 연동하여 회전함으로써 상기 좌우이동 프레임을 일측으로 밀어내는 해제 플레이트와;
    상기 후면 레버에는 누름시 상기 경사부와 접하는 버튼 로드와 일체로 형성된 해제 버튼이 추가로 설치된 개폐 유니트를 구비한 도어 어셈블리.
KR1020000012692A 2000-03-14 2000-03-14 통풍구 및 개폐 유니트를 구비한 도어 어셈블리 KR1003625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2692A KR100362514B1 (ko) 2000-03-14 2000-03-14 통풍구 및 개폐 유니트를 구비한 도어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2692A KR100362514B1 (ko) 2000-03-14 2000-03-14 통풍구 및 개폐 유니트를 구비한 도어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1223A KR20010091223A (ko) 2001-10-23
KR100362514B1 true KR100362514B1 (ko) 2002-11-23

Family

ID=19654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2692A KR100362514B1 (ko) 2000-03-14 2000-03-14 통풍구 및 개폐 유니트를 구비한 도어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25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52433A (zh) * 2012-09-12 2013-01-02 昆山西马克动力机械有限公司 门板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7942B1 (ko) * 2011-08-16 2012-02-29 류혜진 출입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23115U (ko) * 1988-05-26 1989-12-02 김점석 보조문이 장치된 현관문
KR980003397U (ko) * 1997-10-15 1998-03-30 박 정 혜 건축물의 현관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23115U (ko) * 1988-05-26 1989-12-02 김점석 보조문이 장치된 현관문
KR980003397U (ko) * 1997-10-15 1998-03-30 박 정 혜 건축물의 현관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52433A (zh) * 2012-09-12 2013-01-02 昆山西马克动力机械有限公司 门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1223A (ko) 2001-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55946B2 (en) Mortise lock having double locking function
KR101086277B1 (ko) 슬라이딩 도어용 자동잠금장치
KR20160052486A (ko)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
US20040089033A1 (en) Door lock structure
US2742309A (en) Sliding door latch
KR20070068640A (ko) 자동잠김 기능을 갖는 전기정
KR100996594B1 (ko) 강제해정수단이 구비된 데드볼트 전자잠금장치
KR100362514B1 (ko) 통풍구 및 개폐 유니트를 구비한 도어 어셈블리
KR200489898Y1 (ko) 방충망용 잠금장치
KR20100024649A (ko) 창호용 잠금장치
CN101666028B (zh) 用于洗衣机的封闭盖的锁定装置
KR20000065346A (ko) 배전반용 핸들
KR100315217B1 (ko) 도어록
KR0139218Y1 (ko) 전자석을 이용한 도어 개폐장치
KR20010068298A (ko) 개방된 미닫이 문의 잠금장치
JP2001323701A (ja) シャッター用施錠装置
KR200218009Y1 (ko) 미닫이 창문의 자동잠금장치
US20240032224A1 (en) Multi-door electrical equipment enclosure with cable door interlock
JP4106946B2 (ja) 建築用シャッター装置における施錠装置
JP2004257177A (ja) シャッターの錠装置及びその錠装置を備えたシャッター
KR102605895B1 (ko) 원터치 자동열림 루버 시스템
KR100326971B1 (ko) 창문 잠금장치
KR200179028Y1 (ko) 창문 잠금장치
JP3129583B2 (ja) 回路遮断器の操作機構
JP2001132286A (ja) 開き扉の把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