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5217B1 - 도어록 - Google Patents

도어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5217B1
KR100315217B1 KR1019980046660A KR19980046660A KR100315217B1 KR 100315217 B1 KR100315217 B1 KR 100315217B1 KR 1019980046660 A KR1019980046660 A KR 1019980046660A KR 19980046660 A KR19980046660 A KR 19980046660A KR 100315217 B1 KR100315217 B1 KR 1003152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ink
door lock
switch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6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7768A (ko
Inventor
김재규
Original Assignee
김재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규 filed Critical 김재규
Publication of KR19990007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77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52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52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53Handles or handle attachments facilitating operation, e.g. by children or burdened pers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5/00Alarm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22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operated by a pulling or pushing action perpendicular to the front plate, i.e. by pulling or pushing the wing itsel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현관이나 실내도어 등에 설치되어 도어의 개폐를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도어개폐시 음(音)을 발생시켜 사람의 출입을 알 수 있고, 무단침입을 감행하려고 하는 자에게 경고를 주어 침입자를 퇴치할 수 있게 한 도어록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도어의 일측에 설치되면서 그 내부에 래치볼트(50)와 연결되는 링크수단(11)이 설치되고, 상기 링크수단(11)(11')과 연동되게 가이드링크(11e)(11e')가 설치된 본체(10)(10')와; 상기 본체(10)(10')의 양측으로 설치되면서 본체(10)(10')의 가이드링크(11e)(11e')를 동작시키는 손잡이수단(20); 등으로 구성 특징이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가이드링크(11e)(11e')에 랙기어(11j)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링크(11e)(11e')와 대응되는 링크수단(11)(11')에 래치볼트(50)를 동작시킬 수 있는 톱니바퀴와 같은 작동기어(13e)가 설치된 특징이 있고,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체(10)(10')의 적소에 손잡이(20)와 대응되는 제1스위치(45)가 설치되고, 키뭉치에 의해 동작되는 잠금장치(30)의 적소에 제2스위치(47)가 설치된 다음, 상기 도어(70)의 적소에 각 스위치(45)(47)의 작동에 따라 스피커(43a)(43b)로부터 각기 다른 음향이 발생되는 경고음발생장치(40)가 설치된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도어록
본 발명은 도어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현관이나 실내도어 등에 설치되어 도어의 개폐를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도어개폐시 음(音)을 발생시켜 사람의 출입을 알 수 있고 무단침입을 감행하려고 하는 자에게 경고를 주어 침입자를 퇴치할 수 있게 한 도어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도어록은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9)의 내.외측에 설치되는 손잡이(1)와 커버(3)의 내측으로 연결관(2)이 설치되고, 상기 커버(3)의 전면에 연결판(4)이 결착되며, 상기 도어(9)의 내부에 손잡이(1)와 연동 가능하게 록킹본체(5)가 설치된 것으로, 상기 손잡이(1)를 회전시키게 되면 록킹본체(5)와 연결된 래치볼트(미도시)가 문틀에 형성된 걸림홈으로부터 이탈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도어록은 손잡이(1)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재차 힘을 가하여 도어를 개방시키는 구조이기 때문에 물건을 들어 양손이 자유롭지 못한 사람이거나 어린이, 또는 장애인들이 도어를 개방시키기가 극히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상기 도어록이 잠겨있지 않을 시에는 도어가 보이지 않는 곳에서 사람의 출입상태를 전혀 알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어록의 손잡이를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밀거나 당겼을 때 도어가 개폐되도록 하므로서 물건을 들어 양손이 자유롭지 못한 사람이거나 어린이, 또는 장애인들이 도어를 용이하게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한 도어록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도어록의 손잡이를 밀거나 당겼을 때 도어에 장착된 전자음이 발생되도록 하므로서 도어가 보이지 않는 곳에서도 사람의 출입상태를 감지할 수 있게 함은 물론, 무단침입을 감행하려고 하는 자에게 경고를 주어 침입자를 퇴치할 수 있게 한 도어록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도어록의 요부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이 설치된 개요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의 요부 단면도,
도 4는 도 2의 요부를 발췌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도 4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
도 7은 도 4의 요부 평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요부 단면도,
도 9는 경고음발생장치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0':본체 11,11':링크수단
11e,11e':가이드링크 11j:랙기어
13e:작동기어 20:손잡이수단
30:잠금장치 40:경고음발생장치
43a:외부스피커 43b:내부스피커
45:제1스위치 47:제2스위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도어의 일측에 설치되면서 그 내부에 래치볼트와 연결되는 링크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링크수단과 연동되게 가이드링크가 설치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양측으로 설치되면서 본체의 가이드링크를 동작시키는 손잡이수단; 등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가이드링크에 랙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링크와 대응되는 링크수단에 래치볼트를 동작시킬 수 있는 톱니바퀴, 또는 작동기어가 설치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또, 상기 본체의 적소에 손잡이와 대응되는 제1스위치가 설치되고, 키뭉치에 의해 동작되는 잠금장치의 적소에 제2스위치가 설치된 다음, 상기 도어의 적소에 각 스위치의 작동에 따라 스피커로부터 각기 다른 음향이 발생되는 경고음발생장치가 설치된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이 설치된 개요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어록은 크게 나누어 래치볼트(50)와 대응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를 동작시키는 손잡이수단(20)과, 상기 손잡이수단(20)의 개폐를 제어하는 잠금장치(30)와; 상기 손잡이수단(20)의 동작시 음향이 발생되는 경고음발생장치(40)등으로 구분된다.
먼저, 상기 본체(10)는 그 내부에 래치볼트(50)의 연결부(51)와 결합되는 링크수단(11)이 설치되는데, 상기 링크수단(11)은 래치볼트(50)의 연결부(51)와 결합되는 피스톤부(11a)가 설치되고, 상기 피스톤부(11a)에 제1가변링크(11b)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가변링크(11b)에는 일측이 고정핀(11d)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운동되는 제2가변링크(11c)가 설치되고, 상기 제2가변링크(11c)에는 직선운동을 하는 가이드링크(11e)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링크(11e)가 도 3과 같이 직선운동을 하게 되면 가이드링크(11e)의 돌기부(11f)에 제2가변링크(11c)의 걸림핀(11g)이 걸려 제2가변링크(11c)가 당겨지게 되며, 상기 제2가변링크(11c)는 제1가변링크(11b)를 당겨 피스톤부(11a)를 당기므로서 래치볼트(50)를 동작시키게 된다.
상기 본체(10)의 가이드링크(11e)와 대응되는 손잡이수단(20)은 도 3과 같이 본체(10)의 양측에 손잡이(21)가 각각 설치되는데, 상기 손잡이(21)는 힌지축(22)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본체(10)와 결합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23)의 단부 일측방으로 소정길이의 누름돌기(25)가 각각 형성되어 이의 단부가 가이드링크(11e)의 걸림핀(11h)과 각각 대응되는데, 도 3 및 도 4와 같이 도어(70)의 내측면에 설치된 손잡이(21)를 당겼을 때 지지부(23)이 회전하면서 도어(70)의 내측면과 근접된 누름돌기(25)가 가이드링크(11e)의 걸림핀(11h)을 압박하여 링크수단(11)을 동작시키게 하고, 상기 링크수단(11)은 피스톤부(11a)를 동작시켜 래치볼트(50)를 당김으로서 도어(70)가 개방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21)의 지지부(23)에는 스프링부재(26)가 설치되어 손잡이수단(20)의 복귀가 용이해지며, 상기 손잡이(21)는 일단에 체결공이 형성됨과 동시에 또 다른 일단에 체결부가 형성된 결합봉이 결합된 것이다.
한편, 상기 본체(10)의 일측에 잠금장치(30)가 설치되는데, 상기 잠금장치(30)는 도 4와 같이 본체(10)의 일측에 힌지축(32)으로서 회동가능하게 작동레버(31)가 설치되고, 상기 작동레버(31)의 일단이 도어록의 커버(12)에 형성된 안내공(12a)으로 통해 도어(70)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작동레버(31)의 또 다른 일단은 가이드링크(11e)와 대응되어 작동레버(31)를 젖혔을 때 이의 일단이 가이드링크(11e)를 밀어 지지부(23)의 누름돌기(25)를 가이드링크(11e)의 걸림핀(11h)과 분리시키므로서 외부에서 도어(70)를 개방시키지 못하게 된다.
또한, 상기 작동레버(31)의 힌지부(33)에 걸림홈(34)을 형성한 다음, 상기 본체(10)의 적소에 스프링(36)에 의해 탄설되는 걸림돌기(35)를 설치하여 가이드링크(11e)를 후퇴시켰을 때 작동레버(31)의 걸림홈(34)이 걸림돌기(35)에 걸리게 하므로서 인장된 스프링부재(11i)의 복원력에 의해 가이드링크(11e)가 원위치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링크(11e)의 적소에 걸림핀(11r)이 형성되어 작동레버(31)의 중간부분이 걸리게 되는데, 상기 작동레버(31)를 당겨 외부에서 도어(70)를 개방시킬 수 없도록 한 상태에서 도어(70)의 손잡이(21)를 내부에서 밀었을 때 걸림핀(11r)에 의해 작동레버(31)가 자동적으로 해제되면서 도어(70)가 개방된다.
한편, 본체(10)의 일측에 외부에서 열쇠를 이용하는 잠금수단(36)을 설치한 다음, 상기 잠금수단(36)의 회전링크(37)를 작동레버(31)에 대응시켜 상기 회전링크(37)를 회전시켰을 때 도 4와 같이 작동레버(31)의 걸림홈(34)이 걸림돌기(35)에 걸리게 하여 외부에서 도어(70)를 개방시키지 못하게 한다.
상기 손잡이수단(20)의 동작시 음향이 발생되는 경고음발생장치(40)는 도어(70) 적소의 설치부(71)에 하우징(41)이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41)의 내부에 전자회로기판(42)과 외.내부스피커(43a)(43b), 그리고 음향의 크기를 조절하는 볼륨스위치(44b)가 연결 설치되는데, 도 3 및 도 9의 회로도와 같이 상기 도어(70)의 내측방으로 설치되는 내부스피커(43b)는 지지부(23)의 누름돌기(25)에 의해 동작되는 제1스위치(45)와 연결되고, 상기 도어(70)의 외측방에 설치되는 외부스피커(43a)는 작동레버(31)와 근접되는 본체(10)의 적소에 설치된 제2스위치(47)와 연결되는 한편, 상기 하우징(41)의 내부에 건전지장착실(46)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도어(70)의 내측에 설치되는 내부스피커(43b)와 상기 도어(70)의외측방에 설치되는 외부스피커(43a)의 음향을 달리 설정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도어(70)의 외측방에 설치되는 외부스피커(43a)의 음향을 다소 크게하여 침입자에게 경고를 할 수 있게 함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로서, 본체(10')의 내부에 래치볼트(50)와 결합되는 링크수단(11')이 설치되고, 상기 링크수단(11')은 래치볼트(50)의 연결부와 결합되는 피스톤부(11a')가 설치되고, 상기 피스톤부(11a')에 제1가변링크(11b')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가변링크(11b')에는 일측이 고정핀(11d')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운동되는 제2가변링크(11c')가 설치되고, 상기 제2가변링크(11c')에는 직선운동을 하는 가이드링크(11e')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링크(11e')가 직선운동을 하게 되면 가이드링크(11e')의 돌기부(11f')에 제2가변링크(11c')의 걸림핀(11g')이 걸려 제2가변링크(11c')가 고정핀(11d)을 축으로 회전하게 되며, 상기 제2가변링크(11c')는 제1가변링크(11b')를 당겨 피스톤부(11a')를 당기므로서 래치볼트(50)를 동작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23)의 누름돌기(25)일측에 경고음발생장치(40)의 제1스위치(45)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일측에 키와 회전레버에 의해 도어(70)를 개폐시키는 잠금장치(30')가 설치되는데, 상기 잠금장치(30')는 도 7과 같이 본체(10')의 일측에 힌지축(32')으로서 회동가능하게 작동레버(31')가 설치되고, 상기 작동레버(31')의 일단에 도어록의 커버(12')에 형성된 안내공(12a')을 통해도어(70) 외부로 출몰되게 작동구(31a')가 형성되며, 상기 작동레버(31')의 하부에 키뭉치(38)의 회전돌기(38a)와 대응되는 홈부(31b')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돌기에 이의 복귀를 용이하게 하는 스프링부재(38b)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작동레버(31')의 일측에 경고음발생장치(40)의 제2스위치(47)가 설치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요부 단면도로서, 가이드링크(11e)에 랙기어부(11j)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10)내에 랙기어부(11j)와 대응되는 톱니바퀴 형상의 작동기어(13e)가 형성되며, 상기 작동기어(13e)에 소정길이의 고정링크(13c)와 함께 고정핀(13d)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링크(13c)에 피스톤부(11a)와 연결되는 작동링크(13g)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3에서, 내.외부에서 도어(70)를 개방시키고자 하면, 손잡이(21)를 당기거나 누르게 되는데, 이때 지지봉(23)이 회전하면서 도어(70)의 내측면과 근접된 누름돌기(25)가 가이드링크(11e)의 걸림핀(11h)을 압박하여 링크수단(11)을 동작시키게 되고, 상기 링크수단(11)은 피스톤부(11a)를 동작시켜 래치볼트(50)를 당김으로서 도어(70)가 개방된다.
이때, 지지봉(23)의 누름돌기(25)가 동작되면서 본체(10)에 설치된 제1스위치(45)가 눌러져 외부스피커(43a)를 통해 경고음이 발생되며, 볼륨스위치(44)를 이용하여 음향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체(10)의 일측에 힌지축(32)으로서 회동가능하게 작동레버(31)가 설치되고, 상기 작동레버(31)의 일단이 도어록의 커버(12)에 형성된 안내공(12a)으로 통해 도어(70)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작동레버(31)의 또 다른 일단은 가이드링크(11e)와 대응되어 작동레버(31)를 젖혔을 때 이의 일단이 가이드링크(11e)를 밀어 지지부(23)의 누름돌기(25)를 가이드링크(11e)의 걸림핀(11h)과 분리시키므로서 외부에서 도어(70)를 개방시키지 못하게 된다.
또한, 상기 작동레버(31)의 힌지부(33)에 걸림홈(34)을 형성한 다음, 상기 본체(10)의 적소에 스프링(36)에 의해 탄설되는 걸림돌기(35)를 설치하여 가이드링크(11e)를 후퇴시켰을 때 작동레버(31)의 걸림홈(34)이 걸림돌기(35)에 걸리게 하므로서 인장된 스프링부재(11i)의 복원력에 의해 가이드링크(11e)가 원위치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링크(11e)의 적소에 걸림핀(11r)이 형성되어 작동레버(31)의 중간부분이 걸리게 되는데, 상기 작동레버(31)를 당겨 외부에서 도어(70)를 개방시킬 수 없도록 한 상태에서 도어(70)의 손잡이(21)를 내부에서 밀었을 때 걸림핀(11r)에 의해 작동레버(31)가 자동적으로 해제되면서 도어(70)가 개방된다.
도 5 및 도 6에서, 내.외부에서 도어(70)를 개방시키고자 하면, 손잡이(21)를 당기거나 누르게 되는데, 이때 도어(70)의 내측면과 근접된 누름돌기(25)가 가이드링크(11e')의 걸림핀(11g')을 압박하여 링크수단(11')을 동작시키게 되고, 상기 링크수단(11')은 피스톤부(11a')를 동작시켜 래치볼트(50)를 당김으로서 도어(70)가 개방된다.
이때, 지지봉(23')의 누름돌기(25')가 동작되면서 본체(10')에 설치된 제1스위치(45')가 눌러져 스피커부재(43')를 통해 경고음이 발생되며, 볼륨스위치(44')를 이용하여 음향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0') 일측에 키나 회전레버를 동작시키게 되면, 도 7과 같이 키뭉치(38)의 회전돌기(38a)가 회전하면서 작동레버(31') 일측의 작동구(31a')가 도어(70)의 외측방으로 돌출되어 문이 폐쇄된다.
또한, 상기 도어(70)의 잠금장치(30)는 잠그지 않은 상태에서 도어(70) 외측부의 손잡이(21)에 의해 지지봉(23)의 누름돌기(25)가 동작하면서 본체(10')에 설치된 제1스위치(45)가 작동하여 내부스피커(43b)를 통해 음을 발생하게 되며, 상기 도어(70)의 잠금장치(30)를 잠그게 되면, 제2스위치(47)가 작동이 된 상태에서 외측부의 손잡이(21)를 작동시켰을 때 지지봉(23)의 누름돌기(25)가 동작하여 제1스위치(45)를 작동시켜 도어(70) 외측부의 외부스피커(43a)를 통해 경고음이 발생되며, 음선택스위치(44a)를 이용하여 음향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도 8에서, 내.외부에서 도어(70)를 개방시키고자 하면, 손잡이(21)를 당기거나 누르게 되는데, 이때 지지봉(23)이 회전하면서 도어(70)의 내측면과 근접된 누름돌기(25')가 가이드링크(11e')를 동작시키게 되며, 상기 가이드링크(11e')는 그 일측의 랙기어부(11j)와 대응되는 톱니바퀴 형상의 작동기어(13e)를 동작시키게 되며, 상기 작동기어(13e)는 링크수단(11)의 피스톤부(11a)를 동작시켜 래치볼트(50)를 당김으로 도어(70)가 개방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도어록의 손잡이(20)를 일방향으로 밀거나 당겼을 때 도어(70)가 개폐되도록 하므로서 물건을 들어 양손이 자유롭지 못한 사람이거나 어린이, 또는 장애인들이 도어를 용이하게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도어록의 손잡이(20)를 밀거나 당겼을 때 도어(70)에 장착된 전자음이 발생되도록 하므로서 도어(70)가 보이지 않는 곳에서도 사람의 출입상태를 감지할 수 있게 함은 물론, 무단침입을 감행하려고 하는 자에게 경고를 주어 침입자를 퇴치할 수 있게 한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 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Claims (2)

  1. 도어의 일측에 설치되면서 그 내부에 래치볼트(50)를 동작시킬 수 있는 작동기어(13e)로 된 링크수단(11)이 설치되고, 상기 링크수단(11)(11')과 연동되게 랙기어(11j)가 형성된 가이드링크(11e)(11e')가 설치된 본체(10)(10')와;
    상기 본체(10)(10')의 양측으로 설치되면서 본체(10)(10')의 가이드링크(11e)(11e')를 동작시키는 손잡이수단(20); 등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10')의 적소에 손잡이(20)와 대응되는 제1스위치(45)가 설치되고, 키뭉치에 의해 동작되는 잠금장치(30)의 적소에 제2스위치(47)가 설치된 다음, 상기 도어(70)의 적소에 각 스위치(45)(47)의 작동에 따라 스피커(43a)(43b)로부터 각기 다른 음향이 발생되는 경고음발생장치(4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KR1019980046660A 1998-05-26 1998-10-31 도어록 KR1003152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8730 1998-05-26
KR1998008730 1998-05-26
KR2019980008730U KR19990041747U (ko) 1998-05-26 1998-05-26 건물에 있어서 걸림부가 있는 여닫이 문의 손잡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7768A KR19990007768A (ko) 1999-01-25
KR100315217B1 true KR100315217B1 (ko) 2002-02-19

Family

ID=3753155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8730U KR19990041747U (ko) 1998-05-26 1998-05-26 건물에 있어서 걸림부가 있는 여닫이 문의 손잡이
KR1019980046660A KR100315217B1 (ko) 1998-05-26 1998-10-31 도어록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8730U KR19990041747U (ko) 1998-05-26 1998-05-26 건물에 있어서 걸림부가 있는 여닫이 문의 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9990041747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5858A (ko) 2015-06-10 2016-12-21 김경회 슬라이드형 도어록
KR101693561B1 (ko) 2015-08-20 2017-01-17 최명락 푸쉬 앤 풀 도어록
KR20170027554A (ko) 2015-09-02 2017-03-10 최문선 도어록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8145B1 (ko) * 2008-04-21 2009-11-24 유동길 여닫이 도어의 풀링용 손잡이와 이를 구비한 여닫이 도어
US20120079770A1 (en) * 2009-06-23 2012-04-05 Yoo Dong Gil Kevin Pulling knob, pushing knob, and hinged door having the sam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5858A (ko) 2015-06-10 2016-12-21 김경회 슬라이드형 도어록
KR101693561B1 (ko) 2015-08-20 2017-01-17 최명락 푸쉬 앤 풀 도어록
KR20170027554A (ko) 2015-09-02 2017-03-10 최문선 도어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1747U (ko) 1999-12-27
KR19990007768A (ko) 1999-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06471A (en) Emergency exit lock system for doors
US6123386A (en) Dual action rear gate door handle assembly
US4027907A (en) Security chain lock for doors
US5590917A (en) High security push-to-exit pedestrian door control
US4280725A (en) Safety closure system
US5901590A (en) Interior door lock assembly with a safety device
US6434985B1 (en) Security grille locking system
US3851325A (en) Lock and alarm
KR100315217B1 (ko) 도어록
KR200489898Y1 (ko) 방충망용 잠금장치
KR200333141Y1 (ko) 방범용 창문커버
JP2007092407A (ja) 開閉ドア
KR19990042176U (ko) 도어록
JP3101018B2 (ja) 筐体の開閉装置
KR100994344B1 (ko) 도어록 장치
KR100263981B1 (ko) 도어 잠금 장치
US3677219A (en) Lock with key activating alarm mechanism
JP2005068775A (ja) スイッチボックス
RU2067659C1 (ru) Запо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100422190B1 (ko) 자물쇠뭉치의 좌,우 선택설치가 용이한 전자식도어록장치
KR19980065803A (ko) 록킹부의 방향 교환이 용이한 도어의 언록킹 장치
JP7343165B2 (ja) 補助錠
CN209780452U (zh) 适于安装在用于能够由紧急杆打开的应急门的锁上的闩
KR200282709Y1 (ko) 도어락 장치
JPH02108775A (ja) 金庫扉の施錠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