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5858A - 슬라이드형 도어록 - Google Patents

슬라이드형 도어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5858A
KR20160145858A KR1020150081617A KR20150081617A KR20160145858A KR 20160145858 A KR20160145858 A KR 20160145858A KR 1020150081617 A KR1020150081617 A KR 1020150081617A KR 20150081617 A KR20150081617 A KR 20150081617A KR 20160145858 A KR20160145858 A KR 201601458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andle
cover
slide
latch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1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0272B1 (ko
Inventor
김경회
윤철희
Original Assignee
김경회
윤철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회, 윤철희 filed Critical 김경회
Priority to KR1020150081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0272B1/ko
Publication of KR20160145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58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0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02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065Operating modes; Transformable to different operating mod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38Sliding handles, e.g. push butt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2Casings of latch-bolt or deadbolt l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이드형 도어록에 관한 것으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건물의 현관이나 실내문(도어)에 설치되는 손잡이를 수평으로 슬라이딩 시켜서 래치볼트가 작동되게 함으로써 문(도어)을 사용자가 편리하게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한 슬라이드형 도어록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도어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커버(10)(10')와, 상기 커버(10)(10')에 각각 설치되는 손잡이(20)(20')와, 상기 커버(10)(10') 사이에 설치되며 손잡이(20)(20')에 의하여 작동하는 래치볼트(30)를 포함하는 도어록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20)(20')는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손잡이부(21)와 단부에 작동돌기가 수평으로 돌출한 작동부(22)로 형성되고, 상기 작동부(22)는 커버(10)(10')의 내측에 수평으로 형성된 가이드봉(70)에 장착되어 가이드봉(70)을 따라 수평으로 슬라이딩하도록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봉(70)에 장착한 작동부(22)의 후방에는 작동부(22)를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복귀용스프링(60)이 커버(10)(10')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커버(10)(10') 사이에 위치하며, 작동부(22)의 작동돌기(23)가 삽입되는 래치볼트(30)에는 삽입공(30a)이 천공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슬라이드형 도어록{Slide-type door lock}
본 발명은 슬라이드형 도어록에 관한 것으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건물의 현관이나 실내문(도어)에 설치되는 손잡이를 수평으로 슬라이딩 시켜서 래치볼트가 작동되게 함으로써 문(도어)을 사용자가 편리하게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한 슬라이드형 도어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출입을 통제하기 위하여 출입구에 문(도어)을 설치하며, 상기 문(도어)에는 열고 닫을 때에 이용되고 잠금(록킹)할 수 있도록 도어록이 설치된다.
이러한 도어록은, 도 1과 같이 크게 문(door)(1)의 양측에 설치되는 커버(2)와, 상기 커버에 각각 설치된 손잡이(3)와, 상기 커버의 사이에 설치되어 손잡이에 의하여 작동되는 래치볼트(4)로 구성된다.
종래의 도어록은 손잡이를 회전시켜 래치볼트가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이루어진 구조로, 문(door)을 열을 경우 손잡이를 수평축(X축)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당기거나 밀어서 문을 열게 된다.
도어록은 문에 설치되어 노출됨으로써 하나의 실내장식으로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며, 다양한 형태의 도어록이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실정에 의하여 최근에는 특허문헌 2(특허등록번호 10-0315217)와 특허문헌 3(특허등록번호 10-0294624)에서와 같이 'ㄱ'자 형태로 이루어진 손잡이가 형성된 도어록이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손잡이가 'ㄱ'자 형태로 이루어진 종래의 도어록은(도 2 참조) 'ㄱ'자 형태의 손잡이(3')를 수평축(X축)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래치볼트(4)가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이 'ㄱ'자 형태의 손잡이(3')를 수평축(X축)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래치볼트(4)가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구조인 도어록의 경우에는 문을 열기 위하여 보통 'ㄱ'자 형태의 손잡이를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수평축(X축)을 중심으로 회전을 시킨다. 그러나 이와 같이 문을 열고 닫기 위하여 'ㄱ'자 형태의 손잡이를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되면 내부에 하중이 발생하여 빠른 마모현상과 탄성부재의 탄성력 상실 등의 영향에 의하여 결합상태가 헐거워짐으로써 'ㄱ'자 형태의 손잡이가 하측으로 처짐현상이 발생하고, 이로 인하여 미관을 해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문을 열고 닫고자 'ㄱ'자 형태의 손잡이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됨으로써 도어록이 쉽게 파손되는 단점이 있으며, 사용자는 문을 열기 위하여 'ㄱ'자 형태의 손잡이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힘을 가하고 다시 앞쪽 뒤쪽으로 당기거나 밀어서 문을 열어야 하는 불편을 초래한다.
그리하여 등록특허 제10-1059753호가 개시 되었으나, 상기 구성은 손잡이를 당겨서 래치볼트를 작동시키는 구성으로 손잡이를 당길때, 문이 동시에 열리게 되므로, 사용자가 깜짝 놀라거나 문이 열리는 동시에 뒤로 발걸음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KR) 등록번호 10-0264685 (등록일자 2000년 6월 3일) (KR) 등록번호 10-0315217 (등록일자 2001년 11월 8일) (KR) 등록번호 10-0294624 (등록일자 2001년 4월 18일) (KR) 등록번호 10-1059753 (등록일자 2011년 8월 29일)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본 발명은, 도어록의 손잡이를 수평축(X축)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래치볼트를 작동시키지 않고, 타원형 손잡이를 수평으로 슬라이딩 시키면서 래치볼트가 작동하도록 이루어진 슬라이드형 도어록을 제공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손잡이를 수평으로 슬라이딩 시켜서 래치볼트가 작동되게 함으로써 도어록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는 슬라이드형 도어록을 제공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타원형 손잡이를 상부에서 하측으로 힘을 하지지 않고 수평으로 밀어주기만 해도 래치볼트가 작동되므로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문(door)을 쉽게 열고 닫을 수 있는 슬라이드형 도어록을 제공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형 도어록의 구성은 도어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커버(10)(10')와, 상기 커버(10)(10')에 각각 설치되는 손잡이(20)(20')와, 상기 커버(10)(10') 사이에 설치되며 손잡이(20)(20')에 의하여 작동하는 래치볼트(30)를 포함하는 도어록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20)(20')는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손잡이부(21)와 작동부(22)로 형성되고,
상기 작동부(22)는 커버(10)(10')의 내측에 수평으로 형성된 가이드봉(70)에 장착되어 가이드봉(70)을 따라 수평으로 슬라이딩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작동부(22)가 수평으로 슬라이딩하면서 래치볼트(30)가 작동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타원형으로 형성된 손잡이부(21)와, 상기 손잡이부(21)와 연결되어 수평으로 이루어진 가이드봉(70)에 결합하되 작동돌기(23)가 단부에 돌출된 작동부(22)로 이루어진 슬라이드형 손잡이(20)(20')와;
상기 가이드봉(70)에 장착한 작동부(22)의 후방에는 작동부(22)를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복귀용스프링(60)을 장착하여 이루어진 커버(10)(10')와;
상기 커버(10)(10') 사이에 위치하며, 작동부(22)의 작동돌기(23)가 삽입되는 삽입공(30a)이 형성된 래치볼트(30)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손잡이(20)(20')의 작동부(22)에는 잠금용 홈(25)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10)(10') 사이에는 회전하여 잠금용 홈(25)에 삽입되거나 분리되는 잠금핀(43)이 형성된 잠금장치(4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래치볼트(30)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외주면에 작동돌기(23)가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구(31a)가 형성되고,
일측에는 단부를 막는 막음핀(34)이 설치되는 하우징(31)과, 상기 하우징(31)의 내측에 수용되며, 관통구(31a)를 통하여 삽입된 작동돌기(23)가 삽입되도록 관통홀(32a)이 형성된 작동축(32)과, 상기 하우징(31)의 내측에 수용되어 작동축(32)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스프링(3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형 도어록은, 손잡이를 수평으로 슬라이딩 하게 되면 래치볼트가 작동하면서 도어를 개폐할 수 있으므로 보다 용이하게 도어를 열고 닫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형 도어록은, 손잡이를 수평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서 래치볼트가 작동되게 함으로써, 그 구조가 간단하여 내구성을 가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형 도어록은, 잠금장치가 손잡이에 일체로 형성되지 않음으로써 손잡이의 구조가 간단하여 내구성을 가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실시중에 있는 도어록의 측면도.
도 2는 종래의 실시중에 있는 'ㄱ' 형태의 손잡이를 X축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래치볼트를 작동시키는 구조의 도어록의 부분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슬라이드형 도어록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슬라이드형 도어록의 커버 및 손잡이에 대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인 슬라이드형 도어의 커버 내부에 작동부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인 슬라이드형 도어록의 래치볼트에 대한 분리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인 슬라이드형 도어록의 잠금장치에 대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과 도 4와 같이 본 발명인 슬라이드형 도어록은 크게 문(door)의 양측면에 설치되는 커버(10, 10')와, 상기 커버에 설치되는 손잡이(20, 20')와, 상기 커버(10, 10')의 내부에 장착된 가이드봉(70)을 따라 수평이동하는 손잡이(20, 20')의 작동부(22)에 의해 작동하는 래치볼트(30)와, 상기 슬라이드형 손잡이(20, 20')가 가이드봉(70)을 중심으로 슬라이딩 하지 못하도록 하여 래치볼트(30)가 작동하지 않도록 하는 잠금장치(40)와, 가이드봉(70)을 따라 수평으로 슬라이딩하는 손잡이(20, 20')의 작동부(22)를 원위치(상태)로 복귀시키는 복귀용스프링(60)으로 구성된다.
이하,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커버(10, 10')는 문을 사이에 두고 결합볼트(B)를 이용하여 일체 형태로 문에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커버(10, 10')에는 슬라이드형 손잡이(20, 20')의 손잡이부(21)와 연결된 작동부(22)가 외측에서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홀(11)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11)을 통하여 삽입된 작동부(22)는 커버(10, 10')의 내측에 수평으로 장착된 가이드봉(70)에 장착되어 수평이동할 수 있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봉(70)은 커버(10, 10')의 내주면에 서로 대향하여 돌출한돌출턱(13)에 장착하여 고정핀(14)으로 고정되게 구성한다.
따라서 가이드봉(70)을 커버(10, 10')의 삽입홀(11)을 통해 삽입된 작동부(22)에 천공된 가이드봉삽입홀(22a)에 삽입한 후, 가이드봉(70)을 돌출턱(13)에 고정하여 고정핀(14)으로 고정하면 된다.
그리고 잠금장치(40)를 설치할 수 있도록 커버(10, 10')에 잠금장치용 홀(15)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부(22)의 후방에는 복귀용 스프링(60)의 일측을 장착하고, 타측은 커버(10, 10')의 내측에 장착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작동부(22)의 단부에는 작동돌기(23)가 형성되어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슬라이드형 손잡이(20, 20')는 커버(10,10')에 설치되어 가이드봉(70)을 따라 수평이동하면서 래치볼트(30)를 수평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슬라이드형 손잡이(20, 20')는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 손잡이부(21)와, 상기 커버(10, 10')의 삽입홀(11)로 삽입되는 작동부(22)로 이루어지고, 상기 작동부(22)에는 가이드봉삽입홀(22a)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커버(10, 10')의 내측에 장착되는 가이드봉(70)을 삽입하여 지지한다.
또한, 작동부(22)의 단부에는 수평을 돌출한 작동돌기(23)가 형성되고, 작동부(22)의 후방에는 복귀용 스프링(60)의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은 커버(10, 10')의 내측면에 결합하여 고정된다.
상기 슬라이드형 손잡이(20, 20')의 각각에 연결되는 작동부(22)의 단부에는 작동돌기(23)가 형성되되, 작동돌기(23)의 일부분은 상, 하로 겹치도록 설치된다.
도 3과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래치볼트(30)는 커버(10, 10')의 사이에 설치되고, 슬라이드형 손잡이(20, 20')와 연결된 작동부(22)의 단부에 돌출된 작동돌기(23)에 의하여 작동하는 것으로, 래치볼트(30)는 원통형태로 형성되어 외주면에 작동돌기(23)가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구(31a)가 형성되고, 일측에는 단부를 막는 막음핀(34)이 설치되는 하우징(31)과, 상기 하우징(31)의 내측에 수용되며, 관통구(31a)를 통하여 삽입된 작동돌기(23)가 삽입되도록 관통홀(32a)이 형성된 작동축(32)과, 상기 하우징(31)의 내측에 수용되어 작동축(32)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스프링(33)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래치볼트(30)는 막음핀(34)이 하우징(31)의 단부을 막고, 하우징(31) 내측으로 탄성스프링(33)과 작동축(32)을 삽입하여 조립하고, 관통구(31a)와 관통홀(32a)로 이루어진 삽입공(30a)으로 작동돌기(23)가 삽입되도록 하여 도 4와 같이 슬라이드형 손잡이(20, 20')가 가이드봉(70)을 따라 수평이동한다.
도 4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잠금장치(40)는 슬라이드형 손잡이(20, 20')가 가이드봉(70)을 따라 수평이동하는 것을 제어하는 것으로, 외부에서 키를 이용하여 잠금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키뭉치(41)와, 내부에서 잠금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레버(42)와, 슬라이드형 손방이(20, 20')에 형성된 잠금용홈(25)에 삽입되는 이격되게 설치된 잠금핀(43)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잠금장치(40)는 도 10과 같이 키뭉치(41) 또는 레버(42)를 이용하여 잠금핀(43)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잠금핀(43)을 중심으로 정/역회전하여 잠금용 홈(25)에 삽입되거나 이탈되어 슬라이드형 손잡이(20, 20')의 회전을 제어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인 슬라이드형 도어록은의 작동상태는,
문을 사이에 두고 양 측면에 설치되는 커버(10, 10')의 내부에 설치된 가이드봉(70)을 따라 수평이동하도록 설치된 슬라이드형 손잡이(20, 20')의 손잡이부(21)를 도 4 내지 도 5와 같이 수평으로 슬라이딩 하면, 상기 슬라이드형 손잡이(20, 20')는 가이드봉(70)을 따라 작동부(22)에 형성된 작동돌기(23)를 수평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작동돌기는 작동축(32)을 수평이동하면 문을 개방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슬라이드형 손잡이(20, 20')의 손잡이부(21)에 가한 힘을 제거하는 경우에는, 복귀용 스프링(60)에 의하여 손잡이(20, 20')는 다시 가이드봉(70)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원상태 복귀되며, 래치볼트(30)의 작동축(32) 또한 탄성스프링(33)에 의하여 원상태로 복귀된다.
이러한 상태로 작동되는 본 발명인 슬라이드형 도어록은, 사용자가 손잡이(20, 20')의 손잡이부(21)를 수평이동시킴으로써 래치볼트(30)가 작동하여 문을 열(OPEN) 수가 있다.
10, 10' : 커버 11 : 삽입홀
13. 돌출턱 14. 고정핀
15, 잠금장치용 홀 20, 20' : 손잡이
21 : 손잡이부 22 : 작동부
23 : 작동돌기 22a. 가이드봉삽입홀
25 : 잠금용 홈 30 : 래치볼트
30a. 삽입공 31. 하우징
31a. 관통구 32. 작동축
32a. 관통홀 33. 탄성스프링
34. 막음핀
40 : 잠금장치 41. 키뭉치
42. 레버 43. 잠금핀
60 : 복귀용 스프링 70. 가이드봉

Claims (3)

  1. 도어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커버(10)(10')와, 상기 커버(10)(10')에 각각 설치되는 손잡이(20)(20')와, 상기 커버(10)(10') 사이에 설치되며 손잡이(20)(20')에 의하여 작동하는 래치볼트(30)를 포함하는 도어록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20)(20')는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손잡이부(21)와 단부에 작동돌기가 수평으로 돌출한 작동부(22)로 형성되고,
    상기 작동부(22)는 커버(10)(10')의 내측에 수평으로 형성된 가이드봉(70)에 장착되어 가이드봉(70)을 따라 수평으로 슬라이딩하도록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봉(70)에 장착한 작동부(22)의 후방에는 작동부(22)를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복귀용스프링(60)이 커버(10)(10')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커버(10)(10') 사이에 위치하며, 작동부(22)의 작동돌기(23)가 삽입되는 래치볼트(30)에는 삽입공(30a)이 천공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도어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20)(20')의 작동부(22)에는 잠금용 홈(25)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10)(10') 사이에는 회전하여 잠금용 홈(25)에 삽입되거나 분리되는 잠금핀(43)이 형성된 잠금장치(40)를 더 포함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도어록.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볼트(30)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외주면에 작동돌기(23)가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구(31a)가 형성되고,
    일측에는 단부를 막는 막음핀(34)이 설치되는 하우징(31)과, 상기 하우징(31)의 내측에 수용되며, 관통구(31a)를 통하여 삽입된 작동돌기(23)가 삽입되도록 관통홀(32a)이 형성된 작동축(32)과, 상기 하우징(31)의 내측에 수용되어 작동축(32)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스프링(33)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도어록.
KR1020150081617A 2015-06-10 2015-06-10 슬라이드형 도어록 KR1016902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1617A KR101690272B1 (ko) 2015-06-10 2015-06-10 슬라이드형 도어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1617A KR101690272B1 (ko) 2015-06-10 2015-06-10 슬라이드형 도어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5858A true KR20160145858A (ko) 2016-12-21
KR101690272B1 KR101690272B1 (ko) 2016-12-28

Family

ID=57724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1617A KR101690272B1 (ko) 2015-06-10 2015-06-10 슬라이드형 도어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0272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4685B1 (ko) 1998-01-15 2000-09-01 서정윤 도어록 장치
JP2000265733A (ja) * 1999-03-16 2000-09-26 Sumitomo Forestry Co Ltd 引手構造
KR100294624B1 (ko) 1999-04-01 2001-07-12 이병노 레버형 도어록 장치
KR100315217B1 (ko) 1998-05-26 2002-02-19 김재규 도어록
KR100877570B1 (ko) * 2008-07-29 2009-01-07 주식회사 디에스윈 창문 자동 잠금 장치
KR20090004201U (ko) * 2007-10-31 2009-05-07 황봉식 축사용 도어 잠금장치
KR101059753B1 (ko) 2011-02-22 2011-08-29 최명락 당김형 도어록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4685B1 (ko) 1998-01-15 2000-09-01 서정윤 도어록 장치
KR100315217B1 (ko) 1998-05-26 2002-02-19 김재규 도어록
JP2000265733A (ja) * 1999-03-16 2000-09-26 Sumitomo Forestry Co Ltd 引手構造
KR100294624B1 (ko) 1999-04-01 2001-07-12 이병노 레버형 도어록 장치
KR20090004201U (ko) * 2007-10-31 2009-05-07 황봉식 축사용 도어 잠금장치
KR100877570B1 (ko) * 2008-07-29 2009-01-07 주식회사 디에스윈 창문 자동 잠금 장치
KR101059753B1 (ko) 2011-02-22 2011-08-29 최명락 당김형 도어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0272B1 (ko) 2016-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9753B1 (ko) 당김형 도어록
KR101188995B1 (ko) 도어락
KR101601189B1 (ko) 푸시풀 도어락 어셈블리
KR101916103B1 (ko) 잠금장치를 포함한 창호용 그립 손잡이
EP2985397A1 (en) Mortise lock
KR101191925B1 (ko) 푸쉬타입의 레버형 도어록
KR101868469B1 (ko) 방향 전환이 용이한 푸쉬풀 도어락
KR100921200B1 (ko) 도어락
KR100865185B1 (ko) 도어록장치
KR101690272B1 (ko) 슬라이드형 도어록
KR101936332B1 (ko) 푸시풀형 도어 잠금장치
KR101302684B1 (ko) 잠금장치가 구비된 당김형 도어록
JP4127712B2 (ja) 扉用ロックハンドル装置
KR200322505Y1 (ko) 도어록 잠금장치
KR101610932B1 (ko)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
KR100778539B1 (ko) 푸쉬-풀-푸쉬 도어록 장치
KR100716026B1 (ko) 푸쉬버튼식 창문용 잠금장치
KR101958223B1 (ko) 사물함 도어 개폐장치
KR20170066195A (ko) 푸쉬 풀 도어락
KR101916098B1 (ko) 그립 방식의 손잡이
KR200430219Y1 (ko) 레치볼트로만 작동되는 모티스 락
KR101756863B1 (ko)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KR102286550B1 (ko) 안전용 출입문장치
KR200455331Y1 (ko) 그립형 개폐 장치
KR101572628B1 (ko) 래치볼트의 고정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