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6195A - 푸쉬 풀 도어락 - Google Patents

푸쉬 풀 도어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6195A
KR20170066195A KR1020160057583A KR20160057583A KR20170066195A KR 20170066195 A KR20170066195 A KR 20170066195A KR 1020160057583 A KR1020160057583 A KR 1020160057583A KR 20160057583 A KR20160057583 A KR 20160057583A KR 20170066195 A KR20170066195 A KR 201700661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locking
main body
door
slid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7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경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프원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프원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프원테크
Publication of KR20170066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61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22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operated by a pulling or pushing action perpendicular to the front plate, i.e. by pulling or pushing the wing itsel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푸쉬 풀 도어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손잡이를 밀거나 당기는 동작만으로 도어를 해정할 수 있어 양손을 사용하지 못하더라도 용이하게 도어를 여닫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구조를 단순하게 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구조가 견고하여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쉽게 파손되지 않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푸쉬 풀 도어락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어의 전후면에 설치되는 본체부와, 도어의 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잠금 및 해정을 제어하는 잠금부와, 상기 본체부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잠금부를 동작시키는 작동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부는 도어의 전면 및 후면에 고정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으로 돌출되는 손잡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푸쉬 풀 도어락{push-pull doorlock}
본 발명은 푸쉬 풀 도어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손잡이를 밀거나 당기는 동작만으로 도어를 해정할 수 있어 양손을 사용하지 못하더라도 용이하게 도어를 여닫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구조를 단순하게 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구조가 견고하여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쉽게 파손되지 않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푸쉬 풀 도어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락에는 레버 형태의 내외측 핸들이 구비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도어락을 나타내는 구성도로서, 도 1과 같이 종래의 도어락은 내측핸들(1)을 회전시켜 도어(D)의 데드볼트(2)를 작동시킴으로써 도어(D)의 잠금해체가 이루어지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종래의 도어락은 데드볼트(2)의 잠금상태를 해정하기 위해 문이 열리는 방향과 수직방향의 힘을 가한 상태에서 도어(D)가 개방되는 방향으로의 추가적인 힘을 가해야 하므로 사용자들에게 사용상의 불편함을 야기하였다(신속하고 직관적인 작동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데드볼트가 해정되는 소위 '푸쉬-풀 타입'(Push-Pull type)의 도어락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푸쉬-풀 타입의 도어락은 도 2 및 도 3에 도 시된 바와 같은 한국등록특허 제10-0873402호에 기재된 기술이 제안되었는데, 그 기술적 특징은 커버부재(15)에 의해 밀폐된 실내측 및 실외측 도어락 바디(1a,1b)와 결합되며, 힌지 결합된 상단을 지점으로 하단의 푸시(Push)와 당김(Pull) 작용이 병용되도록 이루어진 혼용적 구조의 작동레버(60)와; 상기 실내외측 도어락 바디(1a,1b)의 일측에 각각 힌지 결합되며, 작동레버(60)의 하단과 결합되어 상기 작동레버(60) 작동 시 상,하로 회동되는 연결회동체(20)와; 상기 연결회동체(20)의 일측에 결합된 상태로 실내외측 도어락 바디(1a,1b)의 내측에 설치되며, 연결회동체(20)와 대응되어 직선왕복운동을 하는 슬라이드부재(30)와; 상기 슬라이드부재(30)의 일측과 연결된 상태로 실외측 도어락 바디(1a,1b)의 내측에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실내외측 도어락 바디(1a,1b) 사이에 설치된 잠금장치용 모티스(100)와 연결되며, 슬라이드부재(30)와 대응되어 회동하면서 상기 모티스(100)의 락킹 해제를 위해 모티스(100) 내의 구동부를 작동시키는 구동회동체(40a)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한국등록특허 제10-0873402호에 기재된 기술은 푸시 풀 방식을 사용하여 용이하게 도어를 여닫을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그 작동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비용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각 연결구조가 견고하지 못하여 쉽게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에 고정되는 전후면에 고정되는 본체부와 상기 도어의 잠금 및 해제를 제어하는 잠금부와 상기 잠금부를 작동하도록 본체부의 내측에 구비되는 작동부로 이루어져, 본체부를 형성하는 손잡이를 밀거나 당기는 동작만으로 잠금부를 해정하도록 하여 양손을 사용하지 못하더라도 용이하게 도어를 여닫을 수 있도록 하는 푸쉬 풀 도어락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어의 잠금 및 해정을 제어하는 잠금부를 동작시키는 작동부를 손잡이에 형성되는 제어 작동바의 회전에 의해 상하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부재와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내측에 구비되어 슬라이딩 부재의 제2기어에 대응되는 제1기어가 구비되는 기어부재가 잠금부를 작동시키는 잠금작동바와 연결되어, 단순하면서도 견고한 구조로 형성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장시간 사용에도 파손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작동하도록 하는 푸쉬 풀 도어락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어의 전후면에 설치되는 본체부와, 도어의 잠금 및 해정 작용을 수행하는 잠금부와, 상기 잠금부를 제어하는 작동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부는 도어의 전면 및 후면에 고정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으로 돌출되는 손잡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손잡이는 중심부가 본체의 내측에 힌지결합되는 제어 작동바와, 본체의 외측으로 돌출된 제어 작동바의 단부에 형성되는 레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작동부는 본체의 내측에 고정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일측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제어 작동바에 의해 이동하는 슬라이딩부재와, 상기 잠금부를 제어하되 잠금부의 일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이동에 의해 회전하는 잠금 작동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잠금 작동바에는 상기 고정판 및 슬라이딩부재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되, 일측에는 제1기어가 형성되는 기어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재에는 상기 기어부재가 삽입되는 수용공이 형성되되 내주면에는 상기 제1기어에 대응되도록 제2기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고정판의 양측에는 슬라이딩공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양측에는 상기 슬라이딩공에 삽입되는 연결편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편의 단부에는 제2작동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작동홈에는 연결봉의 양단부가 삽입되며, 상기 제어 작동바의 단부에는 연결봉의 중심부가 삽입되는 제1작동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판의 일측에는 상기 슬라이딩부재가 이동가능하게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가이드커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의 단부에는 제어 작동바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한 쌍의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에는 레버의 상부와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삽입되며, 상기 지지부재는 스프링에 의해 레버 방향으로 탄성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잠금부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측에 구비되어 작동부에 의해 전후 이동하는 걸림쇠 제어바와, 상기 걸림쇠 제어바의 단부에 연결되는 이동바와, 상기 이동바의 전단에 힌지결합되는 걸림쇠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바의 단부에는 제1고정돌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걸림쇠의 내측에 상기 제1고정돌부가 삽입되는 제1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에 고정되는 전후면에 고정되는 본체부와 상기 도어의 잠금 및 해제를 제어하는 잠금부와 상기 잠금부를 작동하도록 본체부의 내측에 구비되는 작동부로 이루어져, 본체부를 형성하는 손잡이를 밀거나 당기는 동작만으로 잠금부를 해정하도록 하여 양손을 사용하지 못하더라도 용이하게 도어를 여닫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어의 잠금 및 해정을 제어하는 잠금부를 동작시키는 작동부를 손잡이에 형성되는 제어 작동바의 회전에 의해 상하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부재와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내측에 구비되어 슬라이딩 부재의 제2기어에 대응되는 제1기어가 구비되는 기어부재가 잠금부를 작동시키는 잠금작동바와 연결되어, 단순하면서도 견고한 구조로 형성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장시간 사용에도 파손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작동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 도어락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푸시풀 도어락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의 푸시풀 도어락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푸쉬 풀 도어락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푸쉬 풀 도어락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푸쉬 풀 도어락의 작동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푸쉬 풀 도어락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푸쉬 풀 도어락의 슬라이딩부재 및 기어부의 연결관계를 보여주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푸쉬 풀 도어락의 잠금부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푸쉬 풀 도어락의 잠금부의 횡단면도이다.
도 11의 (a)는 잠금부의 종단면도이고, (b)는 이동바가 후부로 이동한 상태의 상티도이고, (c)는 걸림쇠가 회전한 상태의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푸쉬 풀 도어락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푸쉬 풀 도어락의 부분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푸쉬 풀 도어락의 작동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푸쉬 풀 도어락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푸쉬 풀 도어락의 슬라이딩부재 및 기어부의 연결관계를 보여주는 부분 확대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푸쉬 풀 도어락의 잠금부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푸쉬 풀 도어락의 잠금부의 횡단면도이고, 도 11의 (a)는 잠금부의 종단면도이고, (b)는 이동바가 후부로 이동한 상태의 상티도이고, (c)는 걸림쇠가 회전한 상태의 상태도이다.
본 발명은 푸쉬 풀 도어락에 관한 것으로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도어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설치되는 본체부(200)와 도어의 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잠금 및 해정 작용을 하는 잠금부(400)와 상기 본체부(200)의 내측에 구비되어 잠금부(400)를 제어하는 작동부(30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본체부(200)는 도어의 전면 및 후면에 고정되는 본체(210)와 상기 본체(210)의 일측으로 돌출되는 손잡이(240)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손잡이(240)는 본체(21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제어 작동바(260)와 상기 본체(210)의 외측으로 돌출된 제어 작동바(260)의 단부에 구비되는 레버(25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어 작동바(260)는 본체(210)의 내측에서 중심부가 힌지결합됨으로써, 상기 손잡이(240)의 레버(250)를 밀거나 당기는 동작만으로 상기 작동부(300)가 작동하여 잠금부(400)가 해정됨으로써, 양손에 물건을 들고 있는 등 손을 사용하지 못 하는 상황이라도 용이하게 도어를 열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제어 작동바(260)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부에 회전공(262)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공(262)에는 회전축(264)이 삽입되며, 상기 회전축(264)은 본체(210)의 내측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제어 작동바(260)는 회전축(26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사용자가 레버(250)의 단부를 당기거나 밀게 되면 상기 회전축(260)을 중심으로 제어 작동바(260)가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부(300)는 본체(210)의 내측에 고정되는 고정판(310)과 상기 고정판(310)의 일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슬라이딩부재(330)와 상기 잠금부(400)의 일측으로 돌출되는 잠금 작동바(35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부재(330)는 제어 작동바(260)에 의하여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며, 상기 잠금 작동바(350)는 잠금부(400)를 제어하여 잠금 및 해정을 조절하게 되는데, 상기 잠금 작동바(350)는 슬라이딩부재(330)의 이동에 의해 회전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잠금 작동바(350)는 고정판(310) 및 슬라이딩부재(330)를 관통하도록 구비되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작동바(350)의 중심부에는 일측에 제1기어(362)가 형성되는 기어부재(360)가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딩부재(330)의 중심부에는 상기 기어부재(360)가 삽입되도록 수용공(336)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336)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1기어(362)에 대응되도록 제2기어(338)가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제어 작동바(260)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부재(330)가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하게 되면, 수용공(336)에 형성된 제2기어(338)와 기어부재(360)의 제1기어(362)에 의해 잠금 작동바(350)가 회전하게 되고, 잠금 작동바(350)의 회전에 의해 잠금부(400)의 단부로 돌출되는 걸림쇠(410)가 잠금부(400)의 내측으로 이동함으로써, 도어가 해정되게 된다.
이때, 상기 잠금부(400)의 세부 구성은 이미 공지된 사항이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고정판(310)은 양측에 형성되는 플랜지에 볼트 등을 사용하여 본체(210)의 내측에 고정되는데, 상기 고정판(310)의 양측에는 상하 방향으로 장공 형상으로 슬라이딩공(312)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부재(330)의 양측에는 상기 슬라이딩공(312)에 삽입되도록 연결편(332)이 레버(250)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연결편(332)의 단부에는 제2작동홈(334)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2작동홈(334)에는 원기둥 형상의 연결봉(340)의 양단부가 각각 삽입되고, 상기 제어 작동바(260)의 단부에는 상기 연결봉(340)의 중심부가 삽입되도록 제1작동홈(266)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 작동바(260)가 회전축(264)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제1작동훔(266)에 삽입된 연결봉(340)이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하게 되고, 그에 따라 연결봉(340)의 양단부가 삽입된 제2작동홈(334)이 형성된 연결편(332)이 슬라이딩공(312)를 따라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하게 되며, 그에 따라 연결편(332)이 형성되는 슬라이딩부재(330)가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부재(330)와 기어부재(360)의 작용에 의해 잠금부(400)가 해정되게 된다.
한편, 상기 고정판(310)의 일측에는 가이드커버(320)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가이드커버(320)와 고정판(310) 사이에 상기 슬라이딩부재(330)가 위치하게 되며, 상기 가이드커버(320)의 중심부에는 상기 슬라이딩부재(330)가 이동가능하게 수용되는 수용공간(322)이 형성된다.
물론, 상기 잠금 작동바(350)는 상기 가이드커버(320), 슬라이딩부재(330), 고정판(310)을 순서대로 관통하여, 한 쌍의 연결편(332)의 사이에 위치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레버(250)가 위치하는 본체(210)의 단부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작동바(26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한 쌍의 수용홈(220)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220)에는 지지부재(230)가 삽입되며, 상기 지지부재(230)는 수용홈(220)의 내측에 구비되는 스프링(235)에 의해 레버(250) 방향으로 탄성지지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재(230)는 레버(250)의 상부와 하부를 각각 탄성 지지하게 되어, 사용자가 레버(250)의 단부를 당기거나 밀어서 도어를 개방한 후, 레버(250)를 당기거나 미는 힘을 제거하게 되면 지지부재(230)를 지지하는 스프링(235)의 탄성력에 의해 레버(250)가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게 된다.
이때, 상기 레버(250)가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게 되면 제어작동바(260)역시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게 되며, 그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부재(330) 역시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게 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재(330)에 형성된 제2기어(338)에 의해 제1기어(362)가 형성되는 기어부재(360) 역시 원래의 방향으로 회전하여, 잠금 작동바(350) 또한 원래의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잠금부(400)의 걸림쇠(410)가 돌출되어 도어가 잠금되게 된다.
한편, 상기 잠금부(400)는 도 9 내지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의 전단에 설치판(420)이 구비되어 도어의 측면에 고정설치되는데, 상기 잠금쇠(410)는 설치판(420)에 형성되는 인출공(422)을 통하여 인출됨으로써, 도어를 고정하거나 해정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잠금부(400)에는 상기 잠금쇠(410)와 연결되는 이동바(430)가 구비되고, 상기 이동바(430)를 전후로 이동시키는 걸림쇠 제어바(450)가 구비되는데, 상기 걸림쇠 제어바(450)를 작동시키기 위한 구성은 이미 공지된 사항이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잠금쇠(410)에는 상기 이동바(430)가 삽입되는 수용홈(414)이 형성되는데, 상기 이동바(430)의 단부에는 힌지축(440)이 구비되고, 상기 잠금쇠(410)에 형성된 수용홈(414)의 양측에는 힌지축(440)이 삽입되는 힌지공(41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힌지공(412)은 장공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힌지축(440)을 포함한 이동바(430)가 일정간격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상기 이동바(430)의 단부에는 고정돌부(432)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414)은 단면이 반원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에는 상기 제1고정돌부(432)가 삽입되는 제1고정홈(416)이 형성된다.
그래서,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걸림쇠 제어바(450)가 이동바(430)를 밀어주면, 힌지축(440)이 장공 형상의 힌지공(412)를 따라 전부로 이동하여 제1고정돌부(432)가 수용홈(414)의 제1고정홈(416)에 삽입되어 걸림쇠(410)는 힌지축(430)을 중심으로 회전이 되지 않기 때문에 도어는 잠금상태가 된다.
또한, 제1고정돌부(432)의 단부에는 제2고정돌부(434)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1고정홈(416)에는 상기 제2고정돌부(434)가 삽입되는 제2고정홈(417)이 형성되어, 제1고정돌부(432)가 제1고정홈(416)에 삽입될 때, 제2고정돌부(434)가 제2고정홈(417)에 삽입되어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어 임의로 걸림쇠(410)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손잡이(240)를 밀거나 당겨서 잠금부(400)를 구성하는 걸림쇠 제어바(450)를 후부로 이동시킬 경우, 걸림쇠 제어바(450)의 단부에 연결되는 이동바(430)가 후부로 이동하면서 걸림쇠(410) 역시 후부로 이동하여 도어의 잠금상태가 해정되게 된다.
이때, 상기 손잡이(240)를 밀거나 당기는 과정에서 완전히 당기거나 밀지 않고 일부만 밀거나 당기게 되더라도 상기 걸림쇠 제어바(450)이 일정거리 후부로 이동하게 되고, 그에 따라 이동바(430) 역시 후부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동바(430)의 단부에 구비되는 힌지축(440)은 걸림쇠(410)에 형성되는 장공 형상의 힌지공(412)를 따라 후부로 이동하게 되면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바(430)의 제1,2고정돌부(432,434)가 제1,2고정홈(416.417)에서 인출되어, 걸림쇠(410)는 도 11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축(440)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됨으로써, 걸림쇠(410)의 일측면이 경사지게 되어 도어를 당기거나 미는 힘에 의해 걸림쇠 제어바(450)나 이동바(430)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미도시)의 힘을 극복하여 걸림쇠(410)가 후부로 이동하여 도어가 안정적으로 열리게 된다.
따라서, 손잡이(240)를 밀거나 당기는 과정에서 걸림쇠(410)가 회전가능하게 됨으로써, 당기거나 미는 과정에서 걸림쇠(410)에 가해지는 힘을 해소할 수 있어, 도어의 내구성을 더욱 높여주게 된다.
한편, 상기 걸림쇠(410)의 후부에는 양측으로 제1걸림턱(418)이 형성되어 걸림쇠(410)가 일정 거리 이상 인출공(422)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걸림턱(418)의 일측에는 걸림홈(419)이 더 형성되고, 상기 이동바(430)의 양측에는 상기 걸림홈(419)에 대응되도록 제2걸림턱(436)이 돌출형성된다.
그래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제1,2고정돌부(432,434)가 제1,2고정홈(416,417)에 삽입될 경우, 상기 걸림홈(419)에 제2걸림턱(436)이 지지되어 걸림쇠(410)가 임의로 회전하는 것을 보다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푸쉬 풀 도어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손잡이를 밀거나 당기는 동작만으로 도어를 해정할 수 있어 양손을 사용하지 못하더라도 용이하게 도어를 여닫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구조를 단순하게 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구조가 견고하여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쉽게 파손되지 않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푸쉬 풀 도어락에 관한 것이다.
200 : 본체부 210 : 본체
220 : 수용홈 230 : 지지부재
235,375 : 스프링 240 : 손잡이
250 : 레버 260 : 제어 작동바
300 : 작동부 310 : 고정판
320 : 가이드커버 330 : 슬라이딩부재
340 : 연결봉 350 : 잠금 작동바
360 : 기어부재
400 : 잠금부 410 : 걸림쇠

Claims (10)

  1. 도어의 전후면에 설치되는 본체부와,
    도어의 잠금 및 해정 작용을 수행하는 잠금부와,
    상기 잠금부를 제어하는 작동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 풀 도어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도어의 전면 및 후면에 고정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으로 돌출되는 손잡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 풀 도어락.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중심부가 본체의 내측에 힌지결합되는 제어 작동바와,
    본체의 외측으로 돌출된 제어 작동바의 단부에 형성되는 레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 풀 도어락.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본체의 내측에 고정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일측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제어 작동바에 의해 이동하는 슬라이딩부재와,
    상기 잠금부를 제어하되 잠금부의 일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이동에 의해 회전하는 잠금 작동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 풀 도어락.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작동바에는 상기 고정판 및 슬라이딩부재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되, 일측에는 제1기어가 형성되는 기어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재에는 상기 기어부재가 삽입되는 수용공이 형성되되 내주면에는 상기 제1기어에 대응되도록 제2기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 풀 도어락.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의 양측에는 슬라이딩공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양측에는 상기 슬라이딩공에 삽입되는 연결편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편의 단부에는 제2작동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작동홈에는 연결봉의 양단부가 삽입되며,
    상기 제어 작동바의 단부에는 연결봉의 중심부가 삽입되는 제1작동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 풀 도어락.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의 일측에는 상기 슬라이딩부재가 이동가능하게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가이드커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 풀 도어락.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단부에는 제어 작동바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한 쌍의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에는 레버의 상부와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삽입되며,
    상기 지지부재는 스프링에 의해 레버 방향으로 탄성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 풀 도어락.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측에 구비되어 작동부에 의해 전후 이동하는 걸림쇠 제어바와,
    상기 걸림쇠 제어바의 단부에 연결되는 이동바와,
    상기 이동바의 전단에 힌지결합되는 걸림쇠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 풀 도어락.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바의 단부에는 제1고정돌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걸림쇠의 내측에 상기 제1고정돌부가 삽입되는 제1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걸림턱의 일측에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바의 양측에는 상기 걸림홈에 대응되도록 제2걸림턱이 돌출형되며,
    상기 잠금쇠에는 상기 이동바가 삽입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바의 단부에는 힌지축이 구비되며, 상기 잠금쇠의 수용홈의 양측에는 힌지축이 삽입되는 힌지공이 장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 풀 도어락.
KR1020160057583A 2015-12-03 2016-05-11 푸쉬 풀 도어락 KR2017006619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171148 2015-12-03
KR1020150171148 2015-12-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6195A true KR20170066195A (ko) 2017-06-14

Family

ID=59218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7583A KR20170066195A (ko) 2015-12-03 2016-05-11 푸쉬 풀 도어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6619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8469B1 (ko) 2017-08-02 2018-06-18 전병화 방향 전환이 용이한 푸쉬풀 도어락
KR101982007B1 (ko) 2018-08-21 2019-05-24 전병화 개선된 구조의 래치유닛을 갖는 실내 도어용 푸쉬풀 도어락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8469B1 (ko) 2017-08-02 2018-06-18 전병화 방향 전환이 용이한 푸쉬풀 도어락
KR101982007B1 (ko) 2018-08-21 2019-05-24 전병화 개선된 구조의 래치유닛을 갖는 실내 도어용 푸쉬풀 도어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46371B2 (ja) ハンドルを有するラッチ構成
KR101868469B1 (ko) 방향 전환이 용이한 푸쉬풀 도어락
KR101601189B1 (ko) 푸시풀 도어락 어셈블리
JP6537409B2 (ja) 開放支援機構付き錠装置及び開放支援機構付き錠装置を備えた引戸
KR101467285B1 (ko) 래치볼트의 고정구조체
KR20170066195A (ko) 푸쉬 풀 도어락
KR101598958B1 (ko) 래치볼트 방향 설정 자동 변환 기능을 갖는 모티스락
JP4823874B2 (ja) 電気錠
KR101370517B1 (ko) 푸쉬-풀 도어락의 강제해정 방지 구조체
KR101598961B1 (ko) 설치가 용이한 범용 디지털 도어록용 모티스락
KR101663162B1 (ko) 로테이터블 래치볼트를 갖는 도어락
KR101771197B1 (ko) 좌우수 호환형 모티스 락
KR101943733B1 (ko) 슬라이딩 창호용 그립형 잠금장치
KR20190028581A (ko) 푸쉬풀 도어 잠금장치
JP4173016B2 (ja) プッシュ・プル錠
KR101467284B1 (ko) 래치볼트 고정레버의 작동장치
KR200295259Y1 (ko) 모티스 록킹장치
JP3733173B2 (ja) 扉の係止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両開き扉の係止装置
KR102362325B1 (ko) 안전 손잡이 잠금 장치
KR20180024584A (ko) 디지털 푸쉬 풀 도어락
KR102076163B1 (ko) 그립형태를 갖는 무락형 핸들 조립체
JP5368963B2 (ja) 錠前
KR101924717B1 (ko) 슬라이딩 창호용 그립형 잠금장치
KR200418854Y1 (ko) 도어록 메카니즘
KR101942920B1 (ko) 도어 잠금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