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1197B1 - 좌우수 호환형 모티스 락 - Google Patents

좌우수 호환형 모티스 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1197B1
KR101771197B1 KR1020160173816A KR20160173816A KR101771197B1 KR 101771197 B1 KR101771197 B1 KR 101771197B1 KR 1020160173816 A KR1020160173816 A KR 1020160173816A KR 20160173816 A KR20160173816 A KR 20160173816A KR 101771197 B1 KR101771197 B1 KR 1017711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jection
ratchet
dead
actuating
rot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3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양일
Original Assignee
이노인스트루먼트 (차이나) 인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노인스트루먼트 (차이나) 인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이노인스트루먼트 (차이나) 인코포레이션
Priority to KR10201601738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11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1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11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8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16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with the handles on opposite sides moving independent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의 잠금 및 해정을 제공하는 모티스 락에 관한 것이자, 특히 좌수형 및 우수형 손잡이 모두를 호환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손잡이의 시계 방향 회전과 반시계 방향 회전 모두의 회전에 대해서 잠금이 해제되어, 하우징의 분리 없이도 좌수 및 우수 손잡이의 적용이 가능한 좌우수 호환형 모티스 락에 관한 것으로, 데드볼트, 그리고 래치볼트, 그리고 도어의 손잡이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캠부재와, 각각 상기 캠부재의 일 방향 및 타 방향 회동 시에 상기 데드볼트를 후진시키고 상기 래치볼트의 잠금을 해제하는 제1 및 제2해정수단을 포함하는 좌우수 호환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좌우수 호환형 모티스 락{MORTISE LOCK}
본 발명은 도어의 잠금 및 해정을 제공하는 모티스 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좌수형 및 우수형 손잡이 모두를 호환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손잡이의 시계 방향 회전과 반시계 방향 회전 모두의 회전에 대해서 잠금이 해제되어, 하우징의 분리 없이도 좌수 및 우수 손잡이의 적용이 가능한 좌우수 호환형 모티스 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의 잠금 및 해정을 제공하는 모티스 락은 도어의 1차 잠금에 관여하는 데드볼트와, 도어의 2차 잠금에 관여하여 래치볼트로 구성된다.
따라서 모티스 락은 도어의 잠금 장치로써 데드볼트가 구동되고, 핸들의 조작에 의해 래치볼트가 구동되면서 도어의 잠금 및 해정이 진행되게 된다.
최근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핸들의 조작에 의한 래치볼트의 구동은 종래의 일반적인 방식인 회동식 핸들을 비롯하여, 푸시-풀(Push-Pull) 방식과 같이 원 스텝 방식 핸들 등, 다양화되고 있다.
종래의 회동식 핸들은 좌수형(左手形)과 우수형(右手形)이 있는데, 이러한 분류는 핸들의 회동 방향에 따른 것으로, 푸시-풀 방식에서는 미는 동작과 당기는 동작의 차이로 매칭될 수 있다.
종래에는 좌수형 또는 우수형 손잡이를 사용 목적이나 사용처에 맞추어 각각 구비하였는데, 사용하는 도중에 사용 목적이 등이 변경되어 좌수형에서 우수형으로 또는 우수형에서 좌수형으로 변경해야 할 필요성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등록특허 제10-1109112호(2012년01월17일)[디지털 도어록의 좌수형 및 우수형 전환 제어 장치 및 방법](종래기술1), 등록특허 제10-1328392호(2013년11월06일)[좌수 및 우수 전환이 용이한 디지털 도어록 및 그 제어 방법](종래기술2) 등이 안출되었다.
종래기술1에는 좌수형 및 우수형의 전환을 제어하는 회로적인 장치가 제시되어 있고, 종래기술2에는 좌수 및 우수 전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제어 방법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1과 2 모두 좌수 및 우수 전환에 따른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스가 전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주된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단지 모티스 락의 설치 방향성을 제거하여 좌수형으로 설치하거나 또는 우수형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있을 뿐, 사용하는 도중에 필요에 따라 좌수형 또는 우수형으로 전환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불편함을 가지고 있다.
이에 사용 도중에도 용이하게 좌수형 또는 우수형으로의 변환이 가능한, 즉 좌우수 호환형 모티스 락의 필요성이 재고되는 바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도어의 손잡이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캠부재의 일 방향(반시계 방향) 회전과 타 방향(시계 방향) 회전 모두에서 데드볼트 및 래치볼트의 잠금이 해제될 수 있도록 하는 좌우수 호환모듈을 통해, 하우징의 분리 없이도 좌수 및 우수 손잡이의 적용이 가능하고, 나아가 좌수에서 우수로 또는 우수에서 좌수로의 변환이 가능한 좌우수 호환형 모티스 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본 발명은 캠부재의 일방 회전에 따른 잠금 해제를 주관하는 제1해정수단과 캠부재의 타방 회전에 따른 잠금 해제를 주관하는 제2해정수단으로 이루어진 좌우수 호환모듈의 구체적인 구조를 제시함으로써, 좌수형 또는 우수형 손잡이의 선택적 적용 가능, 손잡이 회전의 방향성 제거, 용이한 좌우수 전환 효과를 제공하며, 이를 위한 구성의 복잡도를 경감시켜 제조 비용 절감, 불량 및 고장 발생률 감소의 효과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은
데드볼트, 그리고 래치볼트, 그리고 도어의 손잡이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캠부재와, 각각 상기 캠부재의 일 방향 및 타 방향 회동 시에 상기 데드볼트를 후진시키고 상기 래치볼트의 잠금을 해제하는 제1 및 제2해정수단을 포함하는 좌우수 호환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해정수단은 회동에 의해 상기 데드볼트를 후진시키는 데드구동캠과, 상기 캠부재에서 상기 데드볼트 측으로 돌출된 제1구동돌기와, 상기 제1구동돌기에 걸림 결합되어 함께 회동하여 상기 데드구동캠을 회동시키는 제1연동부재를 포함하는 제1데드해정부 및, 회동에 의해 상기 래치볼트의 잠금을 해제하는 래치잠금부재와, 상기 캠부재에서 상기 래치볼트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래치잠금부재를 회동시키는 제2구동돌기를 포함하는 제1래치해정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2해정수단은 회동에 의해 상기 데드볼트를 후진시키는 데드구동캠과, 상기 캠부재에서 상기 데드볼트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데드구동캠을 회동시키는 제1구동돌기를 포함하는 제2데드해정부 및, 회동에 의해 상기 래치볼트의 잠금을 해제하는 래치잠금부재와, 상기 캠부재에서 상기 래치볼트 측으로 돌출된 제3구동돌기와, 일단이 상기 래치잠금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제3구동돌기에 의해 회동되는 제2연동부재를 포함하는 제2래치해정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제1연동부재는 상기 데드볼트의 인접 위치에 상호 축결합된 제1 및 제2걸림체로 구성되되, 상기 제1걸림체는 상기 제2걸림체보다 상기 캠부재 측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걸림체는 상기 제1구동돌기와 접촉하고, 상기 제2걸림체는 상기 데드구동캠에서 일 측으로 돌출 구비된 연장돌기부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 및 특징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도어의 손잡이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캠부재의 일 방향(반시계 방향) 회전과 타 방향(시계 방향) 회전 모두에서 데드볼트 및 래치볼트의 잠금이 해제될 수 있도록 하는 좌우수 호환모듈을 통해, 도어의 손잡이를 좌수형 및 우수형 모두 적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나의 손잡를 구비한 상태에서 시계 또는 반시계 어느 방향으로 회전시켜도 도어의 개방이 가능하게 구비할 수도 있고(회전 방향성 제거), 손잡이에 결합되는 샤프트(S)에 좌수형 손잡이나 우수형 손잡이를 결합하여 좌우수 전환이 가능하기 때문에 모티스 락의 분해 없이도 좌우수 전환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외형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내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동작 과정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도어의 잠금 및 해정을 제공하는 모티스 락에 관한 것이자, 특히 좌수형 및 우수형 손잡이 모두를 호환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손잡이의 시계 방향 회전과 반시계 방향 회전 모두의 회전에 대해서 잠금이 해제되어, 하우징의 분리 없이도 좌수 및 우수 손잡이의 적용이 가능한 좌우수 호환형 모티스 락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좌우수 호환형 모티스 락(이하 본 장치(M))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는 손잡이와 연동된 캠부재(C300)의 회동에 따른 해정에 초점을 맞추어 설명하고 있는데, 이는 도어의 손잡이를 반드시 회동형 손잡이로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푸시-풀(Push-Full) 도어와 같이 밀고 당기는 하나의 동작만으로 개방되는 도어 역시 직선운동이 회전운동으로 변환되어 캠부재(C300)에 작용하는 것인 바, 다양한 손잡이의 개방 동작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손잡이는 일반적으로 외측 손잡이와 내측 손잡이 모두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내측 손잡이로 특정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조립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장치(M)는 크게 하우징(10)과, 핸들에 결합되는 샤프트(S)와, 그리고 데드볼트(1), 래치볼트(2) 및 좌우수 호환모듈(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하우징(10)과 샤프트(S), 데드볼트(1)와 래치볼트(2)는 모티스 락의 기본적인 구성으로, 하우징(10)은 내부 구성을 보호하고, 샤프트(S)는 핸들의 조작을 좌우수 호환모듈(300)의 캠부재(C300)에 전달하고, 데드볼트(1)는 전후진에 의해 도어의 1차 잠금 또는 해정을 제공하고, 래치볼트(2)는 손잡이의 회동에 의해 2차 잠금 또는 해정을 제공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하우징(10)과 샤프트(S), 그리고 데드볼트(1)와 래치볼트(2)는 일반적인 구성으로 볼 수 있으며, 본 발명만의 구체적인 데드볼트(1)와 래치볼트(2)에 관한 내용은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인 바, 먼저 본 발명의 핵심 특징인 좌우수 호환모듈(300)에 관한 설명 이후에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로써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핵심 특징인 좌우수 호환모듈(30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의 손잡이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캠부재(C300), 각각 캠부재(C300)의 일 방향 및 타 방향 회동 시에 데드볼트(1)를 후진시키고 래치볼트(2)의 잠금을 해제하는 제1 및 제2해정수단(310)(3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캠부재(C300)는 도어의 손잡이와 연동하여 회전하는데, 손잡이에 결합된 샤프트(S)와 캠부재(C300)가 결합됨으로써 손잡이와 캠부재(C300)는 연동 회전하게 되는 것으로,
샤프트(S)의 축방향으로 양측에 구비되고, 래칫(20)의 제한부재(60)를 작동시키는 제1작동부재(43)와 제2작동부재(53),
상기 제1작동부재(43)와 상기 제2작동부재(53) 사이에 구비되어, 데드볼트(D)를 작동시키는 제3작동부재(54)로 구성되되,
상기 제1작동부재(43)는 단독 회전하고, 상기 제2, 제3작동부재(53)(54)는 상기 제1작동부재(43)와 별개로 함께 회전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작동부재(43)와 상기 제2작동부재(53)는, 래치볼트(2) 측으로 돌출되어 래치잠금부재(314)를 회동시키는 제2구동돌기(315)와, 래치볼트(2) 측으로 돌출되어 제2연동부재(317)를 회동시키는 제3구동돌기(316)를 포함하고,
상기 제3작동부재(54)는 데드볼트(1) 측으로 돌출되어 데드구동캠(311) 또는 제1연동부재(313)를 회동시키는 제1구동돌기(312)를 포함한다.
제1해정수단(310)은 캠부재(C300)의 일 방향 회동 시에 데드볼트(1)를 후진시키고 래치볼트(2)의 잠금을 해제하는 기능부(기능을 기준으로 한 분류)로, 여기에서 일 방향이라 함은 첨부된 도면을 기준으로 했을 때, 반시계방향인 것으로 특정하기로 한다.
제2해정수단(320)은 캠부재(C300)의 타 방향 회동 시에 데드볼트(1)를 후진시키고 래치볼트(2)의 잠금을 해제하는 기능부로, 여기에서 타 방향이라 함은 첨부된 도면을 기준으로 했을 때. 시계방향인 것으로 특정하기로 한다.
상기 구성 및 특징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도어의 손잡이를 좌수형으로 구비하여 반시계방향(캠부재(C300) 기준)으로 회전시키면 제1해정수단(310)의 작용에 의해 데드볼트(1)와 래치볼트(2)가 해정되어 도어가 개방되고, 도어의 손잡이를 우수형으로 구비하여 시계방향(캠부재(C300) 기준)으로 회전시키면 제2해정수단(320)의 작용에 의해 데드볼트(1)와 래치볼트(2)가 해정되어 도어가 개방된다.
따라서 도어의 손잡이를 좌수형 및 우수형 모두 적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나의 손잡이를 구비한 상태에서 시계 또는 반시계 어느 방향으로 회전시켜도 도어의 개방이 가능하게 구비할 수도 있고(회전 방향성 제거), 특히 도 1에서 확인 가능한 바와 같이, 손잡이에 결합되는 샤프트(S)에 좌수형 손잡이나 우수형 손잡이를 결합하여 좌우수 전환이 가능하기 때문에 모티스 락의 분해 없이도 좌우수 전환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핵심 특징인 좌우수 호환모듈(300)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 및 특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해정수단(310)은 캠부재(C300)의 일 방향 회동 시 데드볼트(1)의 해정에 관여하는 제1데드해정부(310A) 및 캠부재(C300)의 일 방향 회동 시 래치볼트(2)의 해정에 관여하는 제1래치해정부(310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데드해정부(310A)는 회동에 의해 데드볼트(1)를 후진시키는 데드구동캠(311)과, 캠부재(C300)에서 데드볼트(1) 측으로 돌출된 제1구동돌기(312)와, 제1구동돌기(312)에 걸림 결합되어 함께 회동하여 데드구동캠(311)을 회동시키는 제1연동부재(313)를 포함한다.
또한 제1래치해정부(310B)는 회동에 의해 래치볼트(2)의 잠금을 해제하는 래치잠금부재(314)와, 캠부재(C300)에서 래치볼트(2) 측으로 돌출되어 래치잠금부재(314)를 회동시키는 제2구동돌기(315)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1해정수단(310)은, 손잡이의 조작에 의해 제2, 제3작동부재(53)(54)가 일 방향(반시계)으로 회동하면, 제3작동부재(54)의 제1구동돌기(312)가 제1연동부재(313)를 회동시키고, 회동된 제1연동부재(313)가 데드구동캠(311)을 회동시켜 데드볼트(1)를 후진시킴으로써 데드볼트(1)를 해정함과 동시에, 제2작동부재(53)의 제2구동돌기(315)가 래치잠금부재(314)를 회동시켜 래치볼트(2)의 잠금을 해제하며, 손잡이의 조작에 의해 제1 작동부재(43)가 일 방향으로 회동하면, 상기 제2 작동부재(53)의 작동과 동일한 방식으로 래치볼트(2)의 잠금이 해제된다.
여기에서 래치잠금부재(314)의 회동에 의해 래치볼트(2)가 해정되는 과정은 본 발명의 핵심 특징에서 벗어난 것으로, 이하에서 별도로 다루기로 한다.
다음으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해정수단(320)은 캠부재(C300)의 타 방향 회동 시 데드볼트(1)의 해정에 관여하는 제2데드해정부(320A) 및 캠부재(C300)의 타 방향 회동 시 래치볼트(2)의 해정에 관여하는 제2래치해정부(320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데드해정부(320A)는 회동에 의해 상기 데드볼트(1)를 후진시키는 데드구동캠(311)과, 캠부재(C300)에서 데드볼트(1) 측으로 돌출되어 데드구동캠(311)을 회동시키는 제1구동돌기(312)를 포함한다.
또한 제2래치해정부(320B)는 회동에 의해 상기 래치볼트(2)의 잠금을 해제하는 래치잠금부재(314)와, 캠부재(C300)에서 래치볼트(2) 측으로 돌출된 제3구동돌기(316)와, 일단이 래치잠금부재(314)에 결합되고 제3구동돌기(316)에 의해 회동되는 제2연동부재(317)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2해정수단(320)은, 손잡이의 조작에 의해 제2, 제3작동부재(53)(54)가 타 방향(시계)으로 회동하면 제3작동부재(54)의 제1구동돌기(312)가 데드구동캠(311)을 회동시키고, 회동된 데드구동캠(311)에 의해 데드볼트(1)가 후진됨으로써 해정됨과 동시에, 제2연동부재(317)의 밀림돌기부(317c)가 제2작동부재(53)의 제3구동돌기(316)에 밀려 회동하여, 제2연동부재(317)의 제2회동축(317b)에 결합된 래치잠금부재(314)가 함께 회동되면서 래치볼트(2)의 잠금을 해제하며, 손잡이에 의해 제1작동부재(54)가 타 방향으로 회동하면, 상기 제2 작동부재(53)의 작동과 동일한 방식으로 래치볼트(2)의 잠금이 해제된다.
역시 래치잠금부재(314)의 회동에 의해 래치볼트(2)가 해정되는 과정은 이하에서 별도로 다루기로 한다.
상기한 제1해정수단(310)과 제2해정수단(320)은 별도로 각각 구비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한 구성들의 동작 및 기능(일 방향 또는 타 방향 회동)에 따라 구분한 것이다.
이에 따라, 본 장치(M)는 캠부재(C300)가 일방 또는 타방 어느 방향으로 회전하여도 데드볼트(1) 및 래치볼트(2)의 잠금이 해제되기 때문에, 좌수형 또는 우수형 손잡이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고, 회전의 방향성 제거를 통한 사용편의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으며, 특히 손잡이의 좌우수를 전환하여 적용하고자 할 때 모티스 락의 분해 없이도 좌우수 전환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갖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동작 과정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를 참고하여 본 장치(M)의 동작 과정을 정리하면서, 본 장치(M)의 구성 및 특징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장치(M)는 제1연동부재(313)가 데드볼트(1)의 인접 위치에 상호 축결합된 제1 및 제2걸림체(313a)(313b)로 구성되되, 제1걸림체(313a)는 제2걸림체(313b)보다 캠부재(C300) 측으로 배치되며, 제1걸림체(313a)는 제3작동부재(54)의 제1구동돌기(312)와 접촉하고, 제2걸림체(313b)는 데드구동캠(311)에서 일 측으로 돌출 구비된 연장돌기부(311a)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장치(M)는 제2연동부재(317)가 하부에 구비된 제1회동축(317a)과, 래치잠금부재(314)와의 결합 부위에 형성된 제2회동축(317b)과, 후방으로 돌출된 밀림돌기부(317c)로 구성되되, 밀림돌기부(317c)는 제1작동부재(43) 및 제2작동부재(53)의 제3구동돌기(316)와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인 제1해정수단(310)의 동작을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도 4 [A]와 같이 데드볼트(1) 및 래치볼트(2)가 잠금 되어 있는 상태에서 손잡이의 조작을 통해 캠부재(C300)가 일 방향(반시계)으로 회전하면, 도 4 [B]와 같이 제1구동돌기(312) 역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걸림체(313a)를 밀어서 제1연동부재(313)를 회전시키고, 이에 회동된 제1연동부재(313)의 제2걸림체(313b)가 데드구동캠(311)의 연장돌기부(311a)를 밀어서 데드구동캠(311)을 회전시킨다. 이 후 위에서 설명(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한 설명)한 바와 같은 과정을 거쳐 데드볼트(1)의 후진 및 래치볼트(2)의 잠금 해제가 이루어진다.
또한 보다 구체적인 제2해정수단(320)의 동작을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도 4 [A]의 상태에서 손잡이의 조작을 통해 캠부재(C300)가 타 방향으로 회전하면, 도 4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부재(C300)의 제3구동돌기(316)가 제2연동부재(317)의 밀림돌기부(317c)를 밀게 되면 제1회동축(317a)을 중심으로 제2연동부재(317)가 회동하게 되고, 이 때 제2회동축(317b)을 중심으로 하여 래치잠금부재(314)와 제2연동부재(317)가 축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래치잠금부재(314)가 회동하면서 래치볼트(2)의 잠금이 해제된다. (위에서 설명(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한 설명)한 바와 같은 과정을 거쳐 데드볼트(1)의 후진이 이루어진다.)
상기 구성 및 특징으로 이루어진 본 장치(M)는 좌수형 또는 우수형 손잡이의 선택적 적용 가능, 손잡이 회전의 방향성 제거, 용이한 좌우수 전환 효과를 제공하며, 이를 위한 구성의 복잡도를 경감시켜 제조 비용 절감, 불량 및 고장 발생률 감소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인 래치볼트(2)의 구조에 대해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볼트(2)는 전방 헤드부(21)와 후방 몸체부(22)와 측면 날개부(24)로 이루어진 래칫(20), 그리고 래칫(20)을 모티스 락 외부로 탄성 지지하는 가압부재(30) 및, 상기한 래치잠금부재(314)로써 동작하는 제한부재(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2를 참고하여 래치볼트(2)의 일 구성인 래칫(20)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래칫(20)의 헤드부(21)는 모티스 락 외부로 노출되어 도어의 잠금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서로 대향하여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연결되는 제1사면부(21a)와 제2 사면부(21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래칫(20)의 몸체부(22)는 헤드부(21)의 후방으로 일체로 연결된 구성으로, 헤드부(21)의 제1사면부(21a)와 제2사면부(21b)에 각각 대응하여 사면부(21a)(21b)들의 각 후단부에서 내측 중앙을 향해 직각으로 연결되어 형성된 제1피가압면(23a)과 제2피가압면(23b)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제1 및 제2피가압면(23a)(23b)으로 이루어진 피가압부(23)는, 몸체부(22)의 후면 중앙 일부가 전방 측으로 함몰 형성되어, 래칫(20)의 몸체부(22)는 피가압부(22)를 중앙에 두고 몸체부(22)의 양측에 날개부(24)가 후방으로 돌출되는 형태가 된다.
다음으로, 래칫(20)의 날개부(24)는 몸체부(22)의 일 측면 또는 양 측면에 구비된 구성으로, 이 날개부(24)에는 래칫(20)의 전후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된 걸림부(24a)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걸림부(24a)에 제한부재(60)의 구속돌기(61)가 삽입됨으로써, 도어의 잠금 상태에서 걸림부(24a)와 구속돌기(61)의 걸림 구조로 인해 래칫(20)의 회동이 제한된다. 또한 도어의 개폐 시 구속돌기(61)를 따라 걸림부(24a)가 슬라이딩되어 래칫(20)의 전후진이 안내되게 된다.
이러한 걸림부(24a)는 구속돌기(61)와 암수 결합되어 걸림 구조를 갖으면서 슬라이딩 가능한 형태이면 족하고, 도면에서는 날개부(24)의 양 측면에 돌기들로 형성된 걸림부(24a)를 확인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볼트(2)의 일 구성인 가압부재(30)는 래칫(20)의 후방, 보다 엄밀하게는 래칫(20)의 날개부(24)들 사이로 수용되어 배열되는 가압체(31), 모티스 내부에 고정 결합된 지지체(32), 가압체(31)와 지지체(32) 사이에 구비되어 가압체(31), 즉 래칫(20)이 모티스 외부로 전진하도록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각 구성 별로, 먼저 가압체(31)는 모티스 내부의 래칫(20) 후방, 피가압부(23)에 접촉하도록 배열되어, 래칫(20)과 함께 전후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러한 가압체(31)는 상하면에 가압체(31)의 전후진을 안내하는 안내돌기(31b)가 구비되어 하우징(10)의 안내홈에 슬라이딩 결합되며, 후면에 탄성체(35)의 고정을 위한 제1끼움돌기(31c)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지지체(32)는 가압체(31) 후방 측에 고정되어 입설된 받침부(33)와, 받침부(33)의 일 측단부에서 전방 측으로 절곡되어 래칫(20)의 몸체부(22) 일 측면 또는 양 측면을 덮는 위치까지 연장 연결된 측벽부(34)로 구성된다.
또한 지지체(32)는 탄성체(35)의 고정을 위해, 받침부(33)의 전면에 제1끼움돌기(31c)에 대응하는 제2끼움돌기(미도시)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측벽부(34)에 걸림부(24a)에 대응하는 삽입홈(34a)이 전후 소정 길이를 갖도록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탄성체(35)는 후단이 받침부(33)에 지지되고, 전단이 가압체(31)를 가압하여, 래칫(20)을 모티스 외부로 탄성 지지하는 것으로, 코일스프링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탄성체(35)의 전단 개구부에 제1끼움돌기(31c)가 끼워지고, 탄성체(35)의 후단 개구부에 제2끼움돌기(미도시)가 끼워져 탄성력을 발휘하도록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볼트(2)의 일 구성이며, 상기한 래치잠금부재(314)인 제한부재(60)는 래칫(20)의 회동을 스토핑하면서 래칫(20)의 전후진을 가이드하는 구성으로,
래칫(20)과 샤프트들 사이에 회동축으로 축설되어, 상기 제1 작동부재(43) 또는 제2 작동부재(53)에 의해 상하 회동을 하도록 구비되며,
래칫(20)의 측면에 배열된 제한부재(60)의 전단부 내측면에 구속돌기(61)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후단부에 회동 플레이트(60a)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상기에서는 기능에 주목하여 래치잠금부재(314)로 명명하였고, 이하에서는 동작에 주목하여 제한부재(60)로 명명하나, 둘은 동일한 구성이다.)
이러한 제한부재(60)는 도어의 잠금 상태에서는, 구속돌기(61)가 삽입홈(34a)으로 삽입되면서 측벽부(34)를 통과하여 래칫(20)의 걸림부(24a)에 걸림 결합되어, 래칫(20)의 회동을 스토핑하며, 이 상태에서 래칫(20)의 전후진이 이루어지는 경우 구속돌기(61)와 걸림부(24a)의 슬라이딩 결합 구조로 인해 래칫(20)의 전후진이 안내된다.
또한 손잡이의 조작에 의해 제2, 제3작동부재(53)(54)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작동부재(53)의 제2작동부재(53)의 제2구동돌기(315)가 회동 플레이트(60a)를 눌러 제한부재(60)의 전단부가 래칫(20) 반대 방향으로 상향 회동하여 구속돌기(61)가 삽입홈(34a)에 걸치듯이 빠지면서 걸림부(24a)와의 걸림이 해제되어, 래칫(20)의 회동이 가능해지고.
손잡이의 조작에 의해 제2, 제3작동부재(53)(54)가 타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작동부재의 제3구동돌기(316)가 밀림돌기부(317c)를 밀어 제2 연동부재(317)가 하향 회동하면서, 제2회동축(317b)이 회동 플레이트(60a)를 눌러, 제한부재(60)의 전단부가 래칫(20) 반대 방향으로 상향 회동하여 구속돌기(61)가 삽입홈(34a)에 걸치듯이 빠지면서 걸림부(24a)와의 걸림이 해제되어, 래칫(20)의 회동이 가능해진다.(상기한 래치볼트(2)의 잠금 해제 동작)
상기 구성 및 특징으로 이루어진 래치볼트(2)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면,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는, 탄성체(35)의 탄성력에 의해 래칫(20)이 전진 가압되어, 모티스 외부로 노출된 헤드부(21)가 문틀에 설치된 스트라이크(St)의 걸림공 내부로 내삽된다.
이 상태에서는, 제2사면부(21b)가 스트라이크(St)에 면접하므로. 제2사면부(21b)와 직각으로 연결된 제2피가압면(23b)에 가압체(31)의 전면이 면 접촉하면서 래칫(20)을 전방으로 가압하여 탄성 지지한다.
이렇게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는, 제한부재(60)에 의해 래칫(20)의 회동이 제한을 받게 되어, 손잡이의 동작을 이용해 제한부재(60)의 구속을 풀지 않는 한, 래칫(20)이 회동하지 않아 도어가 열리지 않는다.
도어의 닫힘 상태에서, 손잡이를 조작하여 도어를 개방하는 경우, 제한부재(60)의 구속이 해제되고, 이에 헤드부(21)의 제2사면부(21b)가 스트라이크(St)에 접촉하여, 래칫(20)이 회동한 후, 이 상태에서 경사지게 배열된 제2사면부(21b)가 스트라이크(St)에 눌려, 래칫(20)이 모티스 내부로 인입됨에 따라, 헤드부(21)가 스트라이크(St)의 걸림공에서 이탈하여 도어의 개방이 완료된다.
이렇게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는, 래칫(20)의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면서, 제1사면부(21a)와 직각으로 연결된 제1피가압면(23a)에 가압체(31)의 전면이 면 접촉하면서 래칫(20)을 전방으로 가압하여 탄성 지지하게 되며, 도어 개방에 의해 제2사면부(21b)와 스트라이크(St)의 접촉이 해제되면, 가압체(31)의 전면이 래칫(20)의 제1피가압면(23a)을 가압하여, 래칫(20)이 회동한 상태 그대로, 모티스 외부로 인출된다.
이때 도어 개방 후 손잡이에서 손을 놓게 되면, 제한부재(60)가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구속돌기(61)가 삽입홈(34a)으로 삽입되나, 래칫(20)의 회동에 의해 걸림부(24a)와 구속돌기(61)가 사선방향으로 어긋나게 배열되므로, 구속돌기(61)는 걸림부(24a)에 걸림 결합되지 않게 된다.
이어서, 도어를 닫게 되면, 모티스 외부로 노출된 헤드부(21)의 제1사면부(21a)가 스트라이크(St)에 접촉하여, 래칫(20)이 회동하게 되며, 이때 래칫(20)의 원위치 복귀에 따라, 걸림부(24a)와 구속돌기(61)의 방향이 일치하게 되어, 구속돌기(61)가 걸림부(24a)에 걸림 결합된다.
이렇게 래칫(20)이 원위치로 회동 복귀하면, 래칫(20)의 회동에 따른 방향 전환이 다시 이루어져, 제2사면부(21b)가 모티스의 측벽과 평행하게 배열되므로, 제2사면부(21b)와 직각으로 연결된 제2피가압면(23b)에 가압체(31)의 전면이 다시 면 접촉하면서 래칫(20)을 전방으로 가압하여 탄성 지지한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M: 본 장치(모티스 락)
1: 데드볼트 2: 래치볼트
300: 좌우수 호환모듈 C300: 캠부재
310: 제1해정수단
310A; 제1데드해정부 310B: 제1래치해정부
311: 데드구동캠 311a: 연장돌기부
312: 제1구동돌기 313: 제1연동부재
313a: 제1걸림체 313b: 제2걸림체
314: 래치잠금부재 315: 제2구동돌기
320: 제2해정수단
320A: 제2데드해정부 320B: 제2래치해정부
316: 제3구동돌기 317: 제2연동부재
317a: 제1회동축 317b: 제2회동축
317c: 밀림돌기부

Claims (4)

  1. 데드볼트(1);
    래치볼트(2);
    도어의 손잡이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캠부재(C300)와, 각각 상기 캠부재(C300)의 일 방향 및 타 방향 회동 시에 상기 데드볼트(1)를 후진시키고 상기 래치볼트(2)의 잠금을 해제하는 제1 및 제2해정수단(310)(320)을 포함하는 좌우수 호환모듈(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캠부재(C300)는,
    래칫(20)의 제한부재(60)를 작동시키는 제1작동부재(43)와 제2작동부재(53),
    상기 제1작동부재(43)와 상기 제2작동부재(53) 사이에 구비되어, 데드볼트(D)를 작동시키는 제3작동부재(54)로 구성되되,
    상기 제1작동부재(43)는 단독 회전하고, 상기 제2, 제3작동부재(53)(54)는 상기 제1작동부재(43)와 별개로 함께 회전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작동부재(43)와 상기 제2작동부재(53)는, 래치볼트(2) 측으로 돌출되어 래치잠금부재(314)를 회동시키는 제2구동돌기(315)와, 래치볼트(2) 측으로 돌출되어 제2연동부재(317)를 회동시키는 제3구동돌기(316)를 포함하고,
    상기 제3작동부재(54)는 데드볼트(1) 측으로 돌출되어 데드구동캠(311) 또는 제1연동부재(313)를 회동시키는 제1구동돌기(312)를 포함하고,
    상기 제1해정수단(310)은,
    회동에 의해 상기 데드볼트(1)를 후진시키는 데드구동캠(311)과, 상기 제1구동돌기(312)와, 상기 제1구동돌기(312)에 걸림 결합되어 함께 회동하여 상기 데드구동캠(311)을 회동시키는 제1연동부재(313)를 포함하는 제1데드해정부(310A) 및,
    회동에 의해 상기 래치볼트(2)의 잠금을 해제하는 래치잠금부재(314)와, 상기 제2구동돌기(315)를 포함하는 제1래치해정부(310B)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해정수단(320)은
    회동에 의해 상기 데드볼트(1)를 후진시키는 데드구동캠(311)과, 상기 제1구동돌기(312)를 포함하는 제2데드해정부(320A) 및,
    회동에 의해 상기 래치볼트(2)의 잠금을 해제하는 래치잠금부재(314)와, 상기 제3구동돌기(316)와, 일단이 상기 래치잠금부재(314)에 걸림 결합되고 상기 제3구동돌기(316)에 의해 회동되는 제2연동부재(317)를 포함하는 제2래치해정부(320B)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연동부재(313)는
    상기 데드볼트(1)의 인접 위치에 상호 축결합된 제1 및 제2걸림체(313a)(313b)로 구성되되,
    상기 제1걸림체(313a)는 상기 제2걸림체(313b)보다 상기 캠부재(C300) 측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걸림체(313a)는 상기 제1구동돌기(312)와 접촉하고,
    상기 제2걸림체(313b)는 상기 데드구동캠(311)에서 일 측으로 돌출 구비된 연장돌기부(311a)에 접촉하고,

    상기 제2연동부재(317)는, 하부에 구비된 제1회동축(317a)과, 래치잠금부재(314)와의 결합 부위에 형성된 제2회동축(317b)과, 후방으로 돌출된 밀림돌기부(317c)로 구성되되, 밀림돌기부(317c)는 제3구동돌기(316)와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래치볼트(2)를 형성하는 래칫(20)의 회동을 스토핑하는 상기 래치잠금부재(314)로써 제한부재(60)는, 래칫(20)과 샤프트들 사이에 회동축으로 축설되어, 상기 제1 작동부재(43) 또는 제2 작동부재(53)에 의해 상하 회동을 하도록 구비되며,
    래칫(20)의 측면에 배열된 전단부의 내측면에서 돌출된 구속돌기(61)와, 후단부에 구비된 회동 플레이트(60a)로 이루어져,
    도어의 잠금 상태에서는, 상기 구속돌기(61)가 래칫(20)의 걸림부(24a)에 걸림 결합되어, 래칫(20)의 회동을 스토핑하며,

    손잡이에 의해 제2, 제3작동부재(53)(54)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3작동부재(54)의 제1구동돌기(312)가 제1연동부재(313)를 회동시키고, 회동된 제1연동부재(313)가 데드구동캠(311)을 회동시켜 데드볼트(1)가 후진됨과 동시에, 제2작동부재(53)의 제2구동돌기(315)가 회동 플레이트(60a)를 눌러 제한부재(60)의 전단부가 래칫(20)의 반대 방향으로 상향 회동하여 구속돌기(61)가 걸림부(24a)에서 걸림이 해제되어, 래칫(20)의 회동이 가능해지고,
    손잡이에 의해 제2, 제3작동부재(53)(54)가 타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3작동부재(54)의 제1구동돌기(312)가 데드구동캡(311)을 회동시켜 데드볼트(1)가 후진됨과 동시에, 제2작동부재(53)의 제3구동돌기(316)가 밀림돌기부(317c)를 밀어 제2 연동부재(317)가 하향 회동하면서, 제2회동축(317b)이 회동 플레이트(60a)를 눌러, 제한부재(60)의 전단부가 래칫(20)의 반대 방향으로 상향 회동하여 구속돌기(61)가 걸림부(24a)에서 걸림이 해제되어, 래칫(20)의 회동이 가능해지며,
    손잡이에 의해 제1작동부재(43)가 일 방향 또는 타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2작동부재(53)의 작동과 동일한 방식으로 구속돌기(61)가 걸림부(24a)에서 걸림이 해제되어, 래칫(20)의 회동이 가능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락.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60173816A 2016-12-19 2016-12-19 좌우수 호환형 모티스 락 KR1017711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3816A KR101771197B1 (ko) 2016-12-19 2016-12-19 좌우수 호환형 모티스 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3816A KR101771197B1 (ko) 2016-12-19 2016-12-19 좌우수 호환형 모티스 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1197B1 true KR101771197B1 (ko) 2017-08-24

Family

ID=59758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3816A KR101771197B1 (ko) 2016-12-19 2016-12-19 좌우수 호환형 모티스 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119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3822A (ko) * 2021-10-15 2023-04-24 주식회사 직방 도어락 모티스
KR20230072144A (ko) 2021-11-17 2023-05-24 (주)하이원플러스 좌/우수 핸들 변환용 도어락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3822A (ko) * 2021-10-15 2023-04-24 주식회사 직방 도어락 모티스
KR102645709B1 (ko) * 2021-10-15 2024-03-11 주식회사 직방 도어락 모티스
KR20230072144A (ko) 2021-11-17 2023-05-24 (주)하이원플러스 좌/우수 핸들 변환용 도어락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51466B1 (en) Dual lock assembly with a direction-changeable latch bolt
EP2985397B1 (en) Mortise lock
CN108252574B (zh) 锁具的滑动致动器总成
US8079238B2 (en) Lock device
US20160340931A1 (en) Clutch driving module of a lock
EP3135842B1 (en) Lock device equipped with opening support mechanism, and sliding door including lock device equipped with opening support mechanism
KR101771197B1 (ko) 좌우수 호환형 모티스 락
AU2016314778B2 (en) A mechanism for transmitting a torque applied to a handle and a method for operating a mechanism for transmitting a torque applied to a handle
EP3619380B1 (en) A handle assembly for a window or door leaf
KR101598958B1 (ko) 래치볼트 방향 설정 자동 변환 기능을 갖는 모티스락
KR101767495B1 (ko) 양방향 열림 동작이 가능한 안티패닉 모티스락
JP2005146844A (ja) 多点ロック
KR101598961B1 (ko) 설치가 용이한 범용 디지털 도어록용 모티스락
KR101383289B1 (ko) 푸쉬-풀 구조의 도어락의 내부 강제잠금 구조체
TW202020281A (zh) 基於單次控制之鎖栓長距傳動之鎖閘結構
KR101695847B1 (ko) 일시 열림 조작 기능을 겸한 트리거 레버를 이용한 래치볼트의 좌, 우수 전환기능을 갖는 디지털 도어락용 모티스
CN113302371B (zh) 具有高度灵活用途的闭门锁
KR20170066195A (ko) 푸쉬 풀 도어락
KR101853049B1 (ko) 패닉 기능 및 래치볼트의 인입 제한 기능을 구비한 모티스
KR200478346Y1 (ko) 래치볼트의 좌우수 전환 구조체
KR102405668B1 (ko) 푸시풀 타입의 레버 잠금장치
KR101962436B1 (ko) 클러치 구조를 갖는 모티스의 회전 조립체
KR100628955B1 (ko) 도어록 메카니즘
JP2007120139A (ja) 開き戸の施解錠機構
KR101771195B1 (ko) 모티스용 래칫의 인출입 연결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