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5709B1 - 도어락 모티스 - Google Patents

도어락 모티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5709B1
KR102645709B1 KR1020210137060A KR20210137060A KR102645709B1 KR 102645709 B1 KR102645709 B1 KR 102645709B1 KR 1020210137060 A KR1020210137060 A KR 1020210137060A KR 20210137060 A KR20210137060 A KR 20210137060A KR 102645709 B1 KR102645709 B1 KR 1026457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atch
link
deadbolt
latch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7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53822A (ko
Inventor
정재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직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직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직방
Priority to KR1020210137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5709B1/ko
Publication of KR20230053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38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5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57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8Mortise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065Operating modes; Transformable to different operating modes
    • E05B63/0069Override systems, e.g. allowing opening from inside without the key, even when locked from outsid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안티 패닉 기능이 가능한 도어락 모티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의 실내측에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외부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도어를 잠금 해제 또는 잠금하는 데드볼트; 상기 하우징의 내·외부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도어를 걸림 해제 또는 걸림하는 래치볼트; 상기 데드볼트의 이동을 제어하는 데드볼트 작동링크; 상기 래치볼트의 이동을 제어하는 래치볼트 작동링크; 상기 도어의 실내측 핸들 조작을 통해 작동되어 상기 데드볼트 작동링크 및 상기 래치볼트 작동링크를 매개로 상기 데드볼트 및 상기 래치볼트를 이동시켜 상기 도어의 잠금 및 걸림을 해제하는 실내측 작동키; 상기 도어의 실외측 핸들 조작을 통해 작동되는 실외측 작동키; 및 상기 데드볼트에 의한 상기 도어의 잠금시 상기 실외측 작동키를 구속하고, 상기 데드볼트에 의한 상기 도어의 잠금 해제시 상기 실외측 작동키의 작동에 의해 상기 래치볼트 작동링크와 연동되어 상기 래치볼트의 도어 걸림을 해제하는 래치연동링크;를 포함하는, 도어락 모티스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도어락 모티스 {Door-Lock Mortise}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실외측 핸들이 당겨지는 등 데드볼트에 의한 도어의 잠금 상태에서도 안티 패닉 기능이 가능한 도어락 모티스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도어락은 도어 내측에 설치되어 실내외 출입을 통제할 수 있도록 잠금기능을 수행하는 모티스와 상기 모티스 동작을 위해 도어의 실내·외에 각각 설치되어 모티스의 동작을 조작하는 실내·외측 핸들을 포함한다.
위와 같은 모티스는 실내·외측 핸들에 의해 작동하는 래치볼트, 도어의 잠금을 유지시키는 데드볼트, 상기 데드볼트의 동작을 위한 전동 또는 수동식 구동수단을 포함하는데, 실외에서 도어를 개방할 때 기계식 키, 비밀번호, 지문 등을 이용해 데드볼트를 동작시킴으로써 잠금을 해제한 후, 실내·외측 핸들을 조작하여 래치볼트의 걸림을 해제함으로써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한편, 화재 등의 위급한 상황에서 도어를 신속히 열고 실외로 탈출해야 하는 경우 데드볼트를 별도로 해제하는 것은 신속한 탈출에 방해가 되기 때문에 실내측 핸들의 조작만으로 래치볼트와 데드볼트를 동시에 열리도록 한 소위 '안티 패닉(anti panic)' 기능이 탑재된 디지털 도어락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안티 패닉 기능이 탑재된 디지털 도어락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도어락 모티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고, 도 2는 도 1의 좌수형 실외측 조작키를 제거한 상태에서 실내측 조작키를 작동하여 데드볼트에 의한 도어의 잠금 해제를 나타낸 모식도이며, 도 3a는 도 1에서 좌수형 실외측 핸들이 당겨진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상태에서 실내측 조작키 작동에도 래치볼트 연동링크가 구속되어 안티 패닉 기능이 작동하지 못하는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 디지털 도어락(10)은, 하우징(11)과, 상기 하우징(11)의 내외로 이동되면서 도어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는 데드볼트(12)와, 상기 하우징(11)의 외부로 탄력적으로 돌출되어 도어를 닫힘 상태로 유지시키는 래치볼트(13)와, 상기 데드볼트(12)의 이동을 제어하는 데드볼트 작동링크(14)와, 상기 래치볼트(13)의 이동을 제어하는 래치볼트 작동링크(15)와, 실외측 핸들 조작을 통해 작동되는 실외측 작동키(16a, 16b)와, 실내측 핸들 조작을 통해 작동되는 실내측 작동키(17)와, 상기 래치볼트 작동링크(14)의 작동을 구속하는 풀림방지핀(1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래치볼트(13)는 상기 하우징(11)에 구비된 래치서포터(13a)에 탄력적으로 돌출 가능하게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래치볼트(13)는 도어의 열림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데드볼트(12)에 의한 도어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실외측 작동키(16a or 16b) 또는 상기 실내측 작동키(17)를 작동시키면 상기 래치볼트 작동링크(15)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래치볼트(13)와의 상호 걸림이 해제되며, 이때 상기 도어를 열게 되면 도어 틀에 구비된 스트라이크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래치볼트(13)가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래치서포터(13a) 내부로 인입함으로써 상기 도어의 걸림이 해제되어 도어를 열 수 있다.
이후, 상기 도어가 닫힘 방향으로 회동되면 도어 틀에 구비된 스트라이크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래치볼트(13)가 역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래치서포터(13a) 내부로 인입함으로써 상기 도어를 닫을 수 있으며,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래치볼트(13)는 상기 래치서포터(13a) 외부로 탄력적으로 인출 걸림되어 상기 도어의 닫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의 닫힘 상태가 소정 시간 지나면 상기 데드볼트(12)는 자동으로 상기 하우징(11)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도어를 잠글 수 있다. 이때, 상기 데드볼트(12)가 상기 하우징(11) 외부로 돌출되면서 상기 데드볼트(12)에 돌출 형성된 가압부(12a)가 상기 풀림방지핀(18)을 상기 래치볼트 작동링크(15) 측으로 가압 이동시키며, 이에 따라 상기 래치볼트 작동링크(15)는 상기 실외측 작동키(16a, 16b)의 조작에도 상기 래치볼트(13)에 의한 도어의 닫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도어락 모티스는 전술한 안티 패닉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 데드볼트(12)에 의한 도어의 잠금시 실내측 핸들의 조작만으로 상기 데드볼트(12)의 잠금 해제와 상기 래치볼트(13)의 걸림 해제를 동시에 수행하여 도어를 신속하게 열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도어의 잠금 상태에서 실내측 핸들을 조작하여 상기 실내측 작동키(17)를 작동시키면, 상기 실내측 작동키(17)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데드볼트 작동링크(14)를 매개로 상기 데드볼트(12)를 상기 하우징(11) 내부로 인입시켜 도어의 잠금을 해제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풀림방지핀(18)은 상기 가압부(12a)의 간섭에서 벗어나면서 상부로 탄력적으로 상승하게 되어 상기 래치볼트 작동링크(15)의 작동 제한 즉, 구속을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내측 작동키(17)의 시계방향 회전으로 상기 래치볼트 작동링크(15)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켜 상기 래치볼트(13)의 이동 제한을 해제하고, 이에 상기 래치볼트(13)에 의한 도어의 걸림을 해제함으로써 도어를 열 수 있다.
그러나, 종래 도어락 모티스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먼저, 도 3a를 참조하면, 상기 데드볼트(12)에 의한 도어의 잠금 상태에서 실외측 핸들에 물건을 걸어두거나 실외측 핸들을 당기는 등의 조작에 의해 상기 실외측 작동키(16a or 16b)가 작동될 경우, 상기 래치볼트 작동링크(15)가 상기 풀림방지핀(18)에 밀착 구속된 상태로 회동이 제한됨으로써 상기 하우징(11) 내부로 상기 래치볼트(13)의 인입이 불가하여 도어의 걸림 상태를 해제할 수 없게 된다.
그러므로,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래치볼트 작동링크(15)의 회동이 제한된 상태에서 실내측 핸들을 조작하여 상기 실내측 작동키(17)를 작동하더라도 상기 래치볼트 작동링크(15)를 움직일 수 없기 때문에 상기 래치볼트(13)의 이동 제한을 해제할 수 없으며, 이에 따라 상기 래치볼트(13)에 의한 도어의 걸림을 해제할 수 없어 도어를 열 수가 없다. 결국, 종래 도어락 모티스는 실내측 핸들 조작에 의한 안티 패닉 기능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10386호 (2009.07.27.)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실외측 핸들 조작시에도 실내측 핸들 조작에 의한 안티 패닉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도어락 모티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의 실내측에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외부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도어를 잠금 해제 또는 잠금하는 데드볼트; 상기 하우징의 내·외부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도어를 걸림 해제 또는 걸림하는 래치볼트; 상기 데드볼트의 이동을 제어하는 데드볼트 작동링크; 상기 래치볼트의 이동을 제어하는 래치볼트 작동링크; 상기 도어의 실내측 핸들 조작을 통해 작동되어 상기 데드볼트 작동링크 및 상기 래치볼트 작동링크를 매개로 상기 데드볼트 및 상기 래치볼트를 이동시켜 상기 도어의 잠금 및 걸림을 해제하는 실내측 작동키; 상기 도어의 실외측 핸들 조작을 통해 작동되는 실외측 작동키; 및 상기 실외측 작동키의 작동에 의해 상기 래치볼트 작동링크와 연동되어 상기 래치볼트의 도어 걸림을 해제하는 래치연동링크;를 포함하는, 도어락 모티스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데드볼트에 의한 상기 도어의 잠금시 상기 실외측 작동키를 구속하고, 상기 데드볼트에 의한 상기 도어의 잠금 해제시 상기 래치볼트의 도어 걸림을 해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도어락 모티스는, 상기 데드볼트에 의한 상기 도어의 잠금시 상기 래치연동링크를 구속하는 구속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속유닛은, 상기 데드볼트의 도어 잠금시 상기 래치연동링크 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래치연동링크를 구속하고 상기 데드볼트의 도어 잠금 해제시 상기 래치연동링크의 반대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래치연동링크의 구속을 해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래치볼트 작동링크는, 상기 실내측 작동키에 의한 작동시 상기 래치연동링크와 간섭없이 작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래치볼트 작동링크 및 상기 래치연동링크는 동일한 작동축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래치연동링크는, 상기 실외측 작동키에 의한 작동시 상기 래치볼트 작동링크를 연동시키도록 상기 래치볼트 작동링크의 일측을 지지하는 래치연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내측 작동키는, 상기 실내측 핸들에 의한 작동시, 상기 데드볼트 작동링크를 작동시키는 데드작동부와 상기 래치볼트 작동링크를 작동시키는 래치작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외측 작동키는, 상기 도어의 회전축 위치에 대응하여 우수형 실외측 핸들과 연결되는 우수형 작동키와 좌수형 실외측 핸들과 연결되는 좌수형 작동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실내측 작동키는 상기 우수형 작동키 및 상기 좌수형 작동키 사이에 상호 작동 간섭없이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도어락 모티스는,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래치볼트의 이동을 탄력 지지하는 래치서포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도어락 모티스는,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데드볼트의 이동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자동제어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데드볼트에 의한 도어의 잠금시 실외측 핸들에 물건을 걸어두거나 실외측 핸들을 당기는 등의 조작을 할 경우에도 실내측 핸들 조작만으로 도어를 열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실외측 핸들의 조작 유무에 상관없이 실내측 핸들만으로 안티 패닉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소비자의 안전성과 제품의 경쟁력 및 만족성을 향상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도어락 모티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
도 2는 도 1의 좌수형 실외측 조작키를 제거한 상태에서 실내측 조작키를 작동하여 데드볼트에 의한 도어의 잠금 해제를 나타낸 모식도
도 3a는 도 1에서 좌수형 실외측 핸들이 당겨진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
도 3b는 도 3a의 상태에서 실내측 조작키 작동에도 래치볼트 연동링크가 구속되어 안티 패닉 기능이 작동하지 못하는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모티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
도 5a는 도 4의 래치볼트의 작동 관련 주요 구성 요소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b는 도 5a의 결합 사시도
도 5c는 도 5b의 정면도
도 5d는 도 5b의 저면측 사시도
도 6은 도 4에서 좌수형 실외측 핸들이 당겨진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
도 7은 도 6의 상태에서 실내측 조작키 작동에 의한 안티 패닉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개시되는 실시예들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개시되는 실시예들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이하,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모티스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모티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고, 도 5a 내지 도 5d는 도 4의 래치볼트의 작동 관련 주요 구성 요소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들로서, 도 5a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5c는 도 5b의 정면도이고, 도 5d는 도 5b의 저면측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도 4에서 좌수형 실외측 핸들이 당겨진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이고, 도 7은 도 6의 상태에서 실내측 조작키 작동에 의한 안티 패닉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4 내지 도 5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모티스(100)는, 크게 도어의 실내측에 구비되는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110)의 내·외부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도어를 잠금 해제 또는 잠금하는 데드볼트(120)와, 상기 하우징(110)의 내·외부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도어를 걸림 해제 또는 걸림하는 래치볼트(130)와, 상기 데드볼트(120)의 이동을 제어하는 데드볼트 작동링크(140)와, 상기 래치볼트(130)의 이동을 제어하는 래치볼트 작동링크(150)와, 상기 도어의 실내측 핸들 조작을 통해 작동되어 상기 데드볼트 작동링크(140) 및 상기 래치볼트 작동링크(150)를 매개로 상기 데드볼트(120) 및 상기 래치볼트(130)를 이동시켜 상기 도어의 잠금 및 걸림을 해제하는 실내측 작동키(170)와, 상기 도어의 실외측 핸들 조작을 통해 작동되는 실외측 작동키(161 or 162), 및 상기 데드볼트(120)에 의한 상기 도어의 잠금시 상기 실외측 작동키(161 or 162)를 구속하고 상기 데드볼트(120)에 의한 상기 도어의 잠금 해제시 상기 실외측 작동키(161 or 162)의 작동에 의해 상기 래치볼트 작동링크(150)와 연동되어 상기 래치볼트(130)의 도어 걸림을 해제하는 래치연동링크(19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도어락 모티스(100)는, 상기 데드볼트(120)에 의한 상기 도어의 잠금시 상기 래치연동링크(190)를 구속하는 구속유닛(18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속유닛(180)은, 상기 데드볼트(120)에 의한 도어의 잠금시 상기 래치연동링크(190) 측으로 이동하여 래치연동링크(190)의 움직임을 구속하고 상기 데드볼트(120)에 의한 도어의 잠금 해제시 상기 래치연동링크(190)의 반대측으로 이동하여 래치연동링크(190)의 구속을 해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구속유닛(180)은 상기 하우징(110)에 고정된 구속서포터(185)에 탄력적으로 구비되어 상기 데드볼트(120)의 내측으로 연장된 데드몸체(121)에 형성된 가압부(121a)에 의해 탄성 압축되는 핀(pin) 구조를 개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데드볼트(120)에 의한 도어의 잠금시 상기 래치연동링크(190)의 움직임을 구속하고 상기 데드볼트(120)에 의한 도어의 잠금 해제시 상기 래치연동링크(190)의 구속을 해제하도록 상기 데드볼트(120)의 이동과 연동되는 다양한 형태의 구속부재가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래치볼트 작동링크(150)는 상기 실내측 작동키(170)에 의한 작동시 상기 래치연동링크(190)와 간섭없이 작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래치볼트 작동링크(150) 및 상기 래치연동링크(190)는 동일한 작동축(155)에 연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실외측 작동키(161 or 162)에 의한 작동시 상기 래치연동링크(190)와 함께 상기 래치볼트 작동링크(150)를 연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래치연동링크(190)에 래치연동부(195)를 돌출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래치연동부(195)는 상기 래치연동링크(190)의 하부 일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래치볼트 작동링크(150)의 하부 일측을 밀착 지지할 수 있으며, 이에 상기 래치연동링크(190)의 회동시 상기 래치볼트 작동링크(150)는 함께 회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래치연동링크(190)의 일측에는 구속걸림부(195)가 형성되어, 상기 데드볼트(120)에 의한 도어의 잠금시 상기 구속걸림부(195)가 상기 구속유닛(180)에 밀착 걸림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래치연동링크(190)의 움직임 즉, 회동과 함께 상기 래치볼트 작동링크(150)의 회동을 구속하여 상기 실외측 핸들 조작에 의한 상기 래치볼트(130)의 움직임을 구속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데드볼트(120)에 의한 도어의 잠금시 상기 실외측 핸들을 조작하여 상기 실외측 작동키(161 or 162)를 작동시키더라도 상기 래치연동링크(190)와 함께 상기 래치볼트 작동링크(150)의 움직임을 함께 구속함으로써 상기 래치볼트(130)에 의한 도어의 걸림을 해제할 수 없다. 또한, 상기 데드볼트(120)에 의한 도어의 잠금 해제시 상기 실외측 핸들을 조작하여 상기 실외측 작동키(161 or 162)를 작동시키면 상기 래치연동링크(190)와 함께 상기 래치볼트 작동링크(150)의 움직임을 구속 해제함으로써 상기 래치볼트(130)에 의한 도어의 걸림을 해제하여 도어를 열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실외측 작동키(161 or 162)는 도어의 회전축 위치 즉 도어 틀에 도어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경첩의 위치에 대응하여 우수형 실외측 핸들과 연결되는 우수형 작동키(161)와 좌수형 실외측 핸들과 연결되는 좌수형 작동키(16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도어의 우측에 경첩이 설치되는 경우 우수형 작동키(161)에 우수형 실외측 핸들이 연결 설치되고, 도어의 좌측에 경첩이 설치되는 경우 좌수형 작동키(162)에 좌수형 실외측 핸들이 연결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우수형 작동키(161)와 좌수형 작동키(162)는 상호 일체로 작동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실내측 작동키(170)는 상기 우수형 작동키(161) 및 상기 좌수형 작동키(162)의 사이에 상호 작동 간섭없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실내측 작동키(170)는 실내측 핸들의 조작에 의해서만 작동되고, 상기 실외측 작동키(161 or 162)는 해당되는 실외측 핸들의 조작에 의해서만 작동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실내측 작동키(170)는 상기 실내측 핸들에 의한 작동시 상기 데드볼트 작동링크(140)를 작동시키는 데드작동부(171)와 상기 래치볼트 작동링크(150)를 작동시키는 래치작동부(17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데드볼트 작동링크(140)의 일측은 상기 데드몸체(121)의 일측에 연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데드볼트 작동링크(140)의 작동에 의해 상기 데드볼트(120)가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로 인입되거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데드볼트(120)에 의한 도어의 잠금 상태에서는 상기 구속유닛(180)에 의하여 상기 래치연동링크(190)의 움직임이 구속된 상태이기 때문에,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실외측 핸들에 물건을 걸어두거나 실외측 핸들을 당기는 등의 조작에 의해 상기 실외측 작동키(161 or 162)를 작동하더라도 상기 래치연동링크(190)의 구속과 함께 상기 래치볼트 작동링크(150)가 구속되어 상기 래치볼트(130)의 걸림에 의한 도어의 닫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도 6의 상태에서 상기 실내측 핸들의 조작에 의해 상기 실내측 작동키(170)를 작동시키면, 상기 데드작동부(171)에 의해 상기 데드볼트 작동링크(140)가 회동되어 상기 데드볼트(120)가 상기 하우징(110) 내부로 인입되어 도어의 잠금이 해제되며, 아울러 상기 래치작동부(172)에 의해 상기 래치연동링크(190)의 구속과 상관없이 상기 래치볼트 작동링크(150)가 회동되어 상기 래치볼트(130)의 걸림 구속이 해제됨으로써 도어를 열어 안티 패닉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도어락 모티스(100)는, 상기 하우징(110)에 구비되어 상기 래치볼트(130)의 이동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래치서포터(13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래치서포터(135)는 상기 래치볼트(130)와 하나의 유닛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110)에 동시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도어락 모티스(100)는, 상기 하우징(110)에 구비되어 상기 데드볼트(120)의 이동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자동제어유닛(125)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자동제어유닛(125)은 상기 데드몸체(121)의 일측에 연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동되면서 상기 데드볼트(120)를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로 인입시키거나 외부로 인출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자동제어유닛(125)은 상기 데드볼트 작동링크(140)의 일측에 연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도어락 모티스
110 : 하우징
120 : 데드볼트
121 : 데드몸체
121a : 가압부
125 : 자동제어유닛
130 : 래치볼트
135 : 래치서포터
140 : 데드볼트 작동링크
150 : 래치볼트 작동링크
155 : 작동축
161 : 우수형 실외측 작동키
162 : 좌수형 실외측 작동키
170 : 실내측 작동키
171 : 데드작동부
172 : 래치작동부
180 : 구속유닛
185 : 구속서포터
190 : 래치연동링크
191 : 구속걸림부
195 : 래치연동부

Claims (11)

  1. 도어의 실내측에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외부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도어를 잠금 해제 또는 잠금하는 데드볼트;
    상기 하우징의 내·외부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도어를 걸림 해제 또는 걸림하는 래치볼트;
    상기 데드볼트의 이동을 제어하는 데드볼트 작동링크;
    상기 래치볼트의 이동을 제어하는 래치볼트 작동링크;
    상기 도어의 실내측 핸들 조작을 통해 작동되어 상기 데드볼트 작동링크 및 상기 래치볼트 작동링크를 매개로 상기 데드볼트 및 상기 래치볼트를 이동시켜 상기 도어의 잠금 및 걸림을 해제하는 실내측 작동키;
    상기 도어의 실외측 핸들 조작을 통해 작동되는 실외측 작동키; 및
    상기 실외측 작동키의 작동에 의해 상기 래치볼트 작동링크와 연동되어 상기 래치볼트의 도어 걸림을 해제하는 래치연동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래치볼트 작동링크는, 상기 실내측 작동키에 의한 작동시 상기 래치연동링크와 간섭없이 작동되며,
    상기 래치볼트 작동링크 및 상기 래치연동링크는 동일한 작동축에 연결되는, 도어락 모티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데드볼트에 의한 상기 도어의 잠금시 상기 래치연동링크를 구속하는 구속유닛을 포함하는, 도어락 모티스.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구속유닛은,
    상기 데드볼트의 도어 잠금시 상기 래치연동링크 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래치연동링크를 구속하고, 상기 데드볼트의 도어 잠금 해제시 상기 래치연동링크의 반대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래치연동링크의 구속을 해제하는, 도어락 모티스.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래치연동링크는, 상기 실외측 작동키에 의한 작동시 상기 래치연동링크와 상기 래치볼트 작동링크를 연동시키도록 상기 래치볼트 작동링크의 일측을 지지하는 래치연동부를 포함하는, 도어락 모티스.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내측 작동키는,
    상기 실내측 핸들에 의한 작동시, 상기 데드볼트 작동링크를 작동시키는 데드작동부와 상기 래치볼트 작동링크를 작동시키는 래치작동부를 포함하는, 도어락 모티스.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실외측 작동키는,
    상기 도어의 회전축 위치에 대응하여 우수형 실외측 핸들과 연결되는 우수형 작동키와 좌수형 실외측 핸들과 연결되는 좌수형 작동키를 포함하며, 상기 실내측 작동키는 상기 우수형 작동키 및 상기 좌수형 작동키 사이에 상호 작동 간섭없이 구비되는, 도어락 모티스.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래치볼트의 이동을 탄력 지지하는 래치서포터를 포함하는, 도어락 모티스.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데드볼트의 이동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자동제어유닛을 포함하는, 도어락 모티스.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래치연동링크는, 상기 데드볼트에 의한 상기 도어의 잠금시 상기 실외측 작동키를 구속하고, 상기 데드볼트에 의한 상기 도어의 잠금 해제시 상기 래치볼트의 도어 걸림을 해제하는, 도어락 모티스.
KR1020210137060A 2021-10-15 2021-10-15 도어락 모티스 KR1026457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7060A KR102645709B1 (ko) 2021-10-15 2021-10-15 도어락 모티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7060A KR102645709B1 (ko) 2021-10-15 2021-10-15 도어락 모티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3822A KR20230053822A (ko) 2023-04-24
KR102645709B1 true KR102645709B1 (ko) 2024-03-11

Family

ID=86141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7060A KR102645709B1 (ko) 2021-10-15 2021-10-15 도어락 모티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570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1196B1 (ko) * 2016-12-19 2017-08-24 이노인스트루먼트 (차이나) 인코포레이션 패닉 기능을 구비한 모티스
KR101771197B1 (ko) * 2016-12-19 2017-08-24 이노인스트루먼트 (차이나) 인코포레이션 좌우수 호환형 모티스 락
KR101878463B1 (ko) * 2017-12-20 2018-07-13 (주)이노인스트루먼트 데드볼트 작동 시 부하가 발생하지 않는 모티스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0386B1 (ko) 2007-12-21 2009-08-04 시명순 데드볼트와 래치볼트를 동시에 해제하는 모티스
KR102288624B1 (ko) * 2017-06-22 2021-08-10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도어록 모티스
KR102024775B1 (ko) * 2017-12-05 2019-09-24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스윙형 래치볼트가 구비된 모티스 조립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1196B1 (ko) * 2016-12-19 2017-08-24 이노인스트루먼트 (차이나) 인코포레이션 패닉 기능을 구비한 모티스
KR101771197B1 (ko) * 2016-12-19 2017-08-24 이노인스트루먼트 (차이나) 인코포레이션 좌우수 호환형 모티스 락
KR101878463B1 (ko) * 2017-12-20 2018-07-13 (주)이노인스트루먼트 데드볼트 작동 시 부하가 발생하지 않는 모티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3822A (ko) 2023-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78034B2 (en) Locking arrangement for a hinged panel
EP0606605B1 (en) Latching apparatus for double doors
US6019402A (en) Vehicle door latch with double lock
KR102288624B1 (ko) 도어록 모티스
JP2006336454A (ja) 二重ロック機能を有するモルティスロック
EP0769599B1 (en) Vehicle door latch assembly
KR101986613B1 (ko) 슬라이딩 도어용 도어락장치
KR102645709B1 (ko) 도어락 모티스
US6007115A (en) Door lock assembly
EP2171187B1 (en) Lock for reinforced doors and the like comprising a selector
US20130219793A1 (en) Door locking assemblies and arrangements
KR102670960B1 (ko) 도어락 모티스
KR100825447B1 (ko) 전자식 도어록의 비상시 록킹 해정장치
EP1113134A2 (en) Lock mechanism
KR102580808B1 (ko) 도어락 모티스
US20240076908A1 (en) Multi-lock comprising a keyless lock for closures
WO2010067384A1 (en) Double keyhole lock, particularly for the security of residential uses
KR101018454B1 (ko) 안티패닉 회동방지 조립체
KR101127548B1 (ko) 도어록 잠금장치 및 이를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
KR200438043Y1 (ko) 도어용 핸들 장치
EP3461976B1 (en) Improved door locking mechanism
KR20230032585A (ko) 핸들 고정형 도어락용 래치볼트 해정 구조체
WO2022054026A1 (en) Lock
EP1497518B1 (en) Locking mechanism
EP1231343A2 (en) Deadbolt type lock mechan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