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2144A - 좌/우수 핸들 변환용 도어락 장치 - Google Patents

좌/우수 핸들 변환용 도어락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2144A
KR20230072144A KR1020210158579A KR20210158579A KR20230072144A KR 20230072144 A KR20230072144 A KR 20230072144A KR 1020210158579 A KR1020210158579 A KR 1020210158579A KR 20210158579 A KR20210158579 A KR 20210158579A KR 20230072144 A KR20230072144 A KR 202300721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door
fixing member
door lock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8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화수
Original Assignee
(주)하이원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이원플러스 filed Critical (주)하이원플러스
Priority to KR10202101585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72144A/ko
Publication of KR20230072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21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4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for alternative use on the right-hand or left-hand side of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E05B49/002Keys with mechanical characteristics, e.g. notches, perforations, opaque mar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2001/0076The handle having at least two operating positions, e.g. the bolt can be retracted by moving the handle either upwards or downw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 형태에 따라 좌수 핸들 또는 우수 핸들을 쉽게 변환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구조 개선된 좌/우수 핸들 변환용 도어락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조작 가능한 핸들이 장착된 도어 하우징, 상기 도어 하우징 내측에 위치하는 핸들 단부에 형성된 장착홈부, 상기 장착홈부에 설치되는 탄성스프링, 상기 장착홈부 내로 일부가 수용되고 탄성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는 핸들 가이드, 상기 핸들 가이드를 도어에 고정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와 결합하며, 핸들의 회전력을 래치 볼트로 전달하는 회동부재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핸들 가이드는, 상기 탄성 스프링과 일단이 접촉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타단에서 연장되는 누름편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누름편에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핸들 가이드와 상기 고정부재 간의 결합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핸들 방향을 변경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좌/우수 핸들 변환용 도어락 장치{Door lock device for left/right handle conversion}
본 발명은 도어 형태에 따라 좌수 핸들 또는 우수 핸들을 쉽게 변환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구조 개선된 좌/우수 핸들 변환용 도어락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어락 장치는 사용자가 열쇠를 소지하지 않았더라도, 키 입력이나 생체정보를 통해 잠금을 해제할 수 있고, 또한 도어가 닫히면 자동으로 잠기는 장치로서, 종래 기구적인 자물쇠에 비해 안전하고 편리하다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그 수요는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도어락 장치는 도어의 내외면에 설치되는 본체와, 도어상에 설치되는 모티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본체에는 모티스를 관통하는 작동간을 회전시키는 핸들이 마련되며, 핸들 조작을 통해 모티스의 잠금 및 해제가 이루어지게 하여 도어를 개방가능상태 또는 폐쇄상태에 있게 한다.
한편 도어는 경첩의 위치에 따라 개방 방향을 달리하게 되므로 도어락에 마련되는 핸들은 도어 개방 방향에 따라 좌수형과 우수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즉, 당겨서 여는 도어의 좌측에 경첩이 설치되는 경우 도어 우측에 좌수형 핸들을 구비하는 도어락이 설치되고, 당겨서 여는 도어의 우측에 경첩이 설치되는 경우 도어 좌측에 우수형 핸들을 구비하는 도어락이 설치된다.
종래에 이러한 도어 개방 방향에 따라 좌수형 핸들 또는 우수형 핸들을 설치하였다. 그리고 주로 도어에 핸들 설치는 도어의 시공 전에 행해지거나, 도어에 도어락을 설치한 후에 도어 방향에 맞게 핸들을 장착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종래에는 도어의 핸들 방향이 맞지 않아 다시 핸들을 바꿔 시공하는 문제가 있거나 핸들을 장착하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었다.
다시 말해 종래 도어락은 핸들의 설치 방향 변경 구조가 복잡하여 핸들의 설치 방향 변경이 번거로웠고, 핸들의 좌수 및 우수 설정에 불편함이 따르는 문제가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10-1771197호(2017. 087. 18. 좌우수 호환형 모티스 락)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좌수 핸들 또는 우수 핸들을 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시간을 절감하도록 한 좌/우수 핸들 변환용 도어락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좌/우수 핸들 변환용 도어락 장치는, 조작 가능한 핸들이 장착된 도어 하우징; 상기 도어 하우징 내측에 위치하는 핸들 단부에 형성된 장착홈부; 상기 장착홈부에 설치되는 탄성스프링; 상기 장착홈부 내로 일부가 수용되고 탄성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는 핸들 가이드; 상기 핸들 가이드를 도어에 고정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와 결합하며, 핸들의 회전력을 래치 볼트로 전달하는 회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핸들 가이드는 상기 탄성 스프링과 일단이 접촉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타단에서 연장되는 누름편을 포함하고, 상기 누름편에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핸들 가이드와 상기 고정부재 간의 결합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핸들 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재는, 제1 홈부; 상기 제1 홈부의 반대 측에 형성된 제2 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누름편이 눌러지면 상기 핸들 가이드의 몸체는 상기 제1 홈부에서 이탈한다.
상기 누름편의 가압력이 해제되면 상기 탄성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핸들 가이드의 몸체는 상기 제1 홈부 내로 수용되어 상기 핸들 가이드와 상기 고정부재는 결합한다.
상기 핸들 가이드와 상기 고정부재가 결합한 제1 모드는 상기 핸들의 회전력이 상기 회동부재에 전달되는 상태, 상기 핸들 가이드와 상기 고정부재가 결합 해제된 제2 모드는 상기 핸들의 회전력이 상기 회동부재에 전달되지 않는 상태이다.
상기 회동부재는, 래치 볼트용 샤프트가 결합하는 샤프트 결합공이 형성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좌/우수 핸들 변환용 도어락 장치에 따르면, 외부에서 작동부재를 밀어주는 힘만으로 핸들과 모티스 상호 간의 연결상태를 일시 해제시킬 수 있고, 그 상태에서 핸들을 좌수 또는 우수 방향으로 변경할 수 있어, 좌/우수 핸들 셋팅 작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락 장치의 하우징을 분해하지 않고서도 쉽게 좌수 핸들 또는 우수 핸들의 설치가 가능하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좌수형 핸들 및 우수형 핸들이 장착된 도어락 장치의 실시 예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좌/우수 핸들 변환용 도어락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좌/우수 핸들 변환용 도어락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좌/우수 핸들을 변환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 타입의 도어가 아니고, 좌수형 또는 우수형 타입으로 도어를 개방하고 폐쇄하는 모든 종류의 도어에 적용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 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좌수형 핸들 및 우수형 핸들이 장착된 도어락 장치의 실시 예 도면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어락에는 좌수형(左手形)과 우수형(右手形)이 있다. 당겨서 여는 도어에 있어서, 도어의 경첩이 좌측에 달려 있으며, 도어락과 모 티스가 우측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가 좌수형 도어락, 그 반대인 경우가 우수형 도어락이다. 도 1a가 좌수형 도어락의 예이고, 좌수형은 사용자가 왼손으로 도어를 열고 닫기 편하게 되어 있으며, 도 1b가 우수형 도어락의 예로서, 우수형은 사 용자가 오른손으로 도어를 열고 닫기 편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도어락 장치는 도어 내측에 설치되어 실내외 출입을 통제할 수 있도록 잠금 기능을 수행하는 모티스가 구비되고, 모티스는 실내외측 핸들에 의해 작동하는 래치 볼트, 도어 잠금을 유지시키는 데드 볼트, 데드 볼트의 동작을 위한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의 도어락 장치는 다양한 방법으로 출입자의 인증을 수행하면 데드 볼트의 잠금이 해제되고, 도 1a 및 도 1b에 도시한 핸들을 조작하여 래치 볼트의 잠금을 해제한 후 출입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좌/우수 핸들 변환용 도어락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좌/우수 핸들 변환용 도어락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락 장치의 외형을 형성하는 하우징(100)과, 하우징(100)의 외측 방향으로 장착된 핸들(손잡이)(200)을 포함한다.
그리고 하우징(100) 내부에는 핸들 변환용 각종 부품들이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보면, 하우징(100) 내측에 위치하는 핸들(200) 단부에 형성된 장착홈부(210), 상기 장착홈부(210)에 설치되는 탄성스프링(300), 그리고 장착홈부(210) 내로 일부가 수용되고 탄성스프링(300)의 이탈을 방지하는 핸들 가이드(400)가 포함된다.
핸들 가이드(400)는 탄성 스프링(300)과 일단이 접촉하는 몸체(410), 그리고 몸체(410)의 타단에서 연장되는 누름편(4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누름편(420)에 외력이 가해져서 핸들(200) 측으로 이동할 경우 핸들 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자유상태가 된다.
핸들 가이드(400)를 둘러싸는 고정부재(500)가 구비된다. 고정부재(500)에 핸들 가이드(400)의 몸체(410) 일부가 수용되어 서로 결합된 상태일 때, 핸들(200)을 회동시키면 래치 볼트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즉 고정부재(500)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회동부재(00), 그리고 핸들 가이드(400)와 협력하여 핸들(200)과 래치 볼트 간을 연결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고정부재(500)는 도어 내부에 고정되며, 중앙 외주면의 플랜지(510)를 기준으로 제1 홈부(520)와 제2 홈부(5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홈부(520)는 핸들 가이드(400)의 몸체(410) 일부가 수용되는 부분이다.
그리고 제2 홈부(530)에는 회동부재(600)가 수용되는 부분이다. 회동부재(600)는 일단에 제1 로드(610), 타단에 샤프트 결합공(630)이 형성된 제2 로드(620)를 포함한다. 상기 샤프트 결합공(630)에 래치 볼트용 샤프트가 결합하여 모티스의 래치 볼트와 연결되는 것이다. 그래서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래치 볼트의 잠금 상태가 해제된다.
한편 고정부재(500) 및 회동부재(600)는 중앙에 누름편(420)이 관통할 수 있도록 관통홀(부호 미도시)이 형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좌/우수 핸들을 변환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핸들을 좌수 또는 우수로 변환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본다.
도 4a는 좌수형 핸들 또는 우수형 핸들로 셋팅된 상태일 수 있다. 또는 좌수형 핸들 또는 우수형 핸들이 아니고 초기 납품 시에 핸들을 중앙에 위치시킨 상태일 수 있다.
이 경우, 탄성 스프링(300)이 팽창된 상태로 고정부재(500)의 제1 홈부(520) 내에 핸들 가이드(400)의 몸체(410) 일부가 수용된 상태이다. 따라서 핸들(200)과 고정부재(500), 회동부재(600)는 서로 연결되어 핸들(200)의 회전력을 래치 볼트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만약 핸들(200)을 좌수형 또는 우수형으로 셋팅할 경우에는 이러한 연결 상태를 끊어줄 필요가 있다. 연결이 해제된 다음에 핸들 변경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 경우, 작업자는 회동부재(600)의 제2 로드(620) 측에 마련된 샤프트 결합공(630) 내측에 돌출된 누름편(420)을 가압한다. 그러면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누름편(420)은 핸들(200) 측으로 이동하게 되며(화살표 방향), 따라서 핸들 가이드(400)의 몸체(410)도 가압력에 의해 핸들(200)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4a와 비교하면 'd' 만큼 좌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장착홈부(210) 내에 설치된 탄성 스프링(300)은 압축된다. 이러한 동작에 따라 핸들 가이드(400)의 몸체(410)는 제1 홈부(520) 내에서 이탈되고, 결론적으로 핸들(200)과 고정부재(500) 간의 연결이 끊어지게 된다.
이처럼 핸들(200)과 고정 부재(500) 간의 연결이 끊어지면 작업자는 핸들(200)을 쉽게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동시켜 변경할 수 있다.
핸들을 좌수형 또는 우수형으로 변환 완료한 후에는 누름편(420)에 가해진 가압력을 해제하면, 탄성 스프링(30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핸들 가이드(400)는 초기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핸들 가이드(400)의 몸체(410)가 다시 고정부재(500)의 제1 홈부(520) 내에 수용되고, 이에 핸들(200)과 고정부재(500)는 서로 연결된 상태가 된다. 이는 핸들 조작에 따라 래치 볼트의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핸들 가이드를 가압하는 동작만으로 핸들과 고정부재 간을 연결하거나 연결 해제할 수 있고, 작업자는 손쉽게 핸들을 좌수형 또는 우수형으로 변경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들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 및 범위에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변형, 변경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들이 가능하다는 것을 명백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인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하우징
200: 핸들
210: 장착홈부
300: 탄성 스프링
400: 핸들 가이드
410: 몸체
420: 누름편
500: 고정부재
510: 플랜지
520: 제1 홈부
530: 제2 홈부
600: 회동부재
610: 제1 로드
620: 제2 로드
630: 샤프트 결합공

Claims (5)

  1. 조작 가능한 핸들이 장착된 도어 하우징;
    상기 도어 하우징 내측에 위치하는 핸들 단부에 형성된 장착홈부;
    상기 장착홈부에 설치되는 탄성스프링; 상기 장착홈부 내로 일부가 수용되고 탄성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는 핸들 가이드;
    상기 핸들 가이드를 도어에 고정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와 결합하며, 핸들의 회전력을 래치 볼트로 전달하는 회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핸들 가이드는,
    상기 탄성 스프링과 일단이 접촉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타단에서 연장되는 누름편을 포함하고,
    상기 누름편에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핸들 가이드와 상기 고정부재 간의 결합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핸들 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수 핸들 변환용 도어락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제1 홈부;
    상기 제1 홈부의 반대 측에 형성된 제2 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누름편이 눌러지면 상기 핸들 가이드의 몸체는 상기 제1 홈부에서 이탈하는, 좌/우수 핸들 변환용 도어락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편의 가압력이 해제되면 상기 탄성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핸들 가이드의 몸체는 상기 제1 홈부 내로 수용되어 상기 핸들 가이드와 상기 고정부재는 결합하는, 좌/우수 핸들 변환용 도어락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가이드와 상기 고정부재가 결합한 제1 모드는 상기 핸들의 회전력이 상기 회동부재에 전달되는 상태,
    상기 핸들 가이드와 상기 고정부재가 결합 해제된 제2 모드는 상기 핸들의 회전력이 상기 회동부재에 전달되지 않는 상태인, 좌/우수 핸들 변환용 도어락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는, 래치 볼트용 샤프트가 결합하는 샤프트 결합공이 형성되는, 좌/우수 핸들 변환용 도어락 장치.
KR1020210158579A 2021-11-17 2021-11-17 좌/우수 핸들 변환용 도어락 장치 KR202300721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8579A KR20230072144A (ko) 2021-11-17 2021-11-17 좌/우수 핸들 변환용 도어락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8579A KR20230072144A (ko) 2021-11-17 2021-11-17 좌/우수 핸들 변환용 도어락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2144A true KR20230072144A (ko) 2023-05-24

Family

ID=86540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8579A KR20230072144A (ko) 2021-11-17 2021-11-17 좌/우수 핸들 변환용 도어락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7214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1197B1 (ko) 2016-12-19 2017-08-24 이노인스트루먼트 (차이나) 인코포레이션 좌우수 호환형 모티스 락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1197B1 (ko) 2016-12-19 2017-08-24 이노인스트루먼트 (차이나) 인코포레이션 좌우수 호환형 모티스 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45152B2 (en) Clutch driving module of a lock
EP2985397B1 (en) Mortise lock
US5809815A (en) Lever lock assembly with a burglar-proof exterior handle
US8266934B2 (en) Keyed cylinder assembly for door lock
KR20060133938A (ko) 레버형 도어록의 잠금버튼
KR200447937Y1 (ko) 강제해정 방지수단이 마련된 내측 손잡이
KR20230072144A (ko) 좌/우수 핸들 변환용 도어락 장치
KR200456588Y1 (ko) 창호용 자동 잠금장치
KR101789773B1 (ko) 스토퍼 기능을 구비한 틸트 타입 도어락
KR20180060394A (ko) 푸시풀 전환이 용이한 푸시풀 도어락
KR102159312B1 (ko) 도어락용 손잡이 조립체
US6431618B1 (en) Locking device of tailgate for vehicle
KR101952788B1 (ko) 틸트 타입 도어락
KR100786338B1 (ko) 전자도어락의 백셋
KR101771197B1 (ko) 좌우수 호환형 모티스 락
KR101037203B1 (ko) 개폐 기능이 개선된 디지털 도어록 장치
CN211173464U (zh) 插芯锁
KR100669495B1 (ko) 도어록 메카니즘
KR102023105B1 (ko) 차량용 도어 록 어셈블리
JP6853672B2 (ja) ラッチ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ドア装置
KR20230032566A (ko) 래치 볼트의 잠금 해제를 위한 핸들 고정형 도어락 장치
KR20230032581A (ko) 도어락 장치의 수동 노브 회전 구조체
KR200483631Y1 (ko) 래치회동식 도어락 모티스
EP3772562B1 (en) Door lock and door with such door lock
TWI811850B (zh) 電子圓筒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