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3105B1 - 차량용 도어 록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차량용 도어 록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3105B1
KR102023105B1 KR1020180070270A KR20180070270A KR102023105B1 KR 102023105 B1 KR102023105 B1 KR 102023105B1 KR 1020180070270 A KR1020180070270 A KR 1020180070270A KR 20180070270 A KR20180070270 A KR 20180070270A KR 102023105 B1 KR102023105 B1 KR 1020231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oor lock
rod
joint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0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프라코
삼보에이앤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프라코, 삼보에이앤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프라코
Priority to KR1020180070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31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31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31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05B79/12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using connecting rods
    • E05B79/16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using connecting rod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linking the rods to other lock parts, e.g. to le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056Locks with adjustable or exchangeable lock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44Burglar prevention, e.g. protecting against opening by unauthorised too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05B79/12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using connecting rods
    • E05B79/14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using connecting rods the rods being linked to each o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05B79/2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using flexible connections, e.g. Bowden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차량용 도어 록 어셈블리가 개시된다. 개시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록 어셈블리는 차량의 도어에 도어 록 몸체를 통해 장착되는 것으로서, ⅰ)키 홀을 가지며 도어 록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키 실린더와, ⅱ)키 실린더의 단부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조인트 하우징과, ⅲ)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조인트 하우징에 핀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도어 래치부와 연결되는 조인트 로드와, ⅳ)조인트 로드의 핀 결합 단부 측에 구비되며, 도어 래치부의 위치에 따라 조인트 로드의 축 방향 위치를 가변하는 로드 위치 가변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도어 록 어셈블리 {DOOR LOCK ASSEMBLY OF VEHICLE}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차량용 도어 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키 실린더와 연결되는 조인트 로드의 연결 구조를 개선한 차량용 도어 록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도어 록 장치는 사용자가 키를 사용하여 수동으로 도어를 록(lock) 또는 언록(unlock)하거나 리모컨을 이용하여 원거리에서 도어의 록 또는 언록 상태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도어 록 장치가 언록된 상태에서, 도어 핸들을 잡아당기면, 도어 핸들에 연결된 로드 또는 케이블이 당겨지면서 래치가 해제되어 도어가 열리게 된다.
최근에는 사용자가 리모컨을 휴대한 상태에서 도어 외부의 별도 스위치를 조작하거나 도어 핸들을 조작하는 것만으로 도어의 록 상태를 자동 해제시키는 전자식 도어 록 장치가 널리 적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전자식 도어 록 장치라 하더라도, 장치 자체의 고장이나 리모컨 배터리의 방전, 또는 차량의 메인 배터리의 방전 등으로 전자식 도어 록 장치를 사용할 수 없는 비상시의 경우에는 키를 사용하여 수동으로 도어의 록 또는 언록 작동을 수행해야 한다.
이에 따라, 차량의 도어에는 사용자가 키를 사용하여 도어의 록 또는 언록 작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키 조작에 연동하는 수동식 도어 록 어셈블리가 구비되며, 이는 도어 핸들의 측방에 위치되어 키홀에 키를 삽입하여 조작하는 것으로, 도어의 록 또는 언록 작동을 이룰 수 있다.
종래 기술의 일 예에 따른 도어 록 어셈블리는 키 홀에 꽂힌 키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키 실린더와, 그 키 실린더와 연결되게 구비되며 도어의 래치부와 직접 연결되는 로드로 구성된다.
종래 기술의 도어 록 어셈블리는 도어의 래치부와 키 실린더를 로드로 직접 연결하는 키 실린더 직결식 래치 구조로서,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6-0088213호(2006. 08. 04 공개)의 선행기술문헌에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도어 록 어셈블리는 키 실린더의 키 홀에 키를 꽂아 키 실린더를 회전시키면, 이 회전력이 로드를 통해 래치부의 키 레버를 회동시키고, 그 키 레버의 회동방향에 따라 래치부의 록 또는 언록 작동을 이룰 수 있다.
한편, 종래 기술에서는 차량의 상이한 사양(차종)에 따라 도어 래치부의 장착 위치 또한 서로 상이하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도어 래치부의 장착 위치에 관계 없이 동일한 길이의 로드를 사용하여 도어 래치부와 키 실린더를 연결하게 되면, 예를 들어, 도어 래치부의 키 레버에 대한 로드의 매칭 면적이 작은 경우, 로드의 헛돎으로 도어 래치부의 록 상태를 해제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서는 서로 다른 사양의 차종에 따라 장착 위치가 상이한 도어 래치부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로드를 제작하고, 그 로드를 통해 도어 래치부와 키 실린더를 연결하고 있다. 이에 종래 기술에서는 여러 차종에 따라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로드를 제작하는데 따른 제작 비용이 증가하고, 로드의 생산성이 저하될 수 있다는 내포하고 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차종 별로 상이한 도어 래치부의 장착 위치에 관계없이 동일한 길이의 로드를 공용으로 사용하여 조인트 로드와 도어 래치부를 직접 연결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도어 록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록 어셈블리는, 차량의 도어에 도어 록 몸체를 통해 장착되는 것으로서, ⅰ)키 홀을 가지며 상기 도어 록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키 실린더와, ⅱ)상기 키 실린더의 단부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조인트 하우징과, ⅲ)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상기 조인트 하우징에 핀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도어 래치부와 연결되는 조인트 로드와, ⅳ)상기 조인트 로드의 핀 결합 단부 측에 구비되며, 상기 도어 래치부의 위치에 따라 상기 조인트 로드의 축 방향 위치를 가변하는 로드 위치 가변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도어 록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로드 위치 가변유닛은 상기 핀이 관통하며 상기 조인트 로드의 핀 결합 단부에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슬롯 홀과, 상기 조인트 로드의 핀 결합 단부와 상기 키 실린더의 단부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도어 록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일측 단이 상기 키 실린더의 단부에 지지되고, 다른 일측 단이 상기 조인트 로드의 핀 결합 단부에 지지되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도어 록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의 다른 일측 단은 상기 조인트 로드의 핀 결합 단부에 돌출되게 구비된 스프링 지지돌기에 끼워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도어 록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하우징은 축 방향 양단이 개방된 실린더 타입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도어 록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핀은 상기 슬롯 홀을 관통하며, 상기 조인트 하우징에 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도어 록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키 실린더의 단부에 대응하는 상기 조인트 하우징의 일측 단에는 상기 스프링을 지지하는 지지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도어 록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로드의 축 방향 위치에 따른 작동 각도를 동일하게 유지하기 위해, 상기 조인트 로드는 상기 핀 결합 단부에서 상기 도어 래치부의 결합 단 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경사 면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는 차종 별로 상이한 도어 래치부의 장착 위치에 따라 로드 위치 가변유닛을 통하여 조인트 로드의 축 방향 위치를 가변할 수 있으며, 조인트 로드의 위치 가변에도 신뢰성 있는 작동 각도 규제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차종 별로 상이한 도어 래치부의 장착 위치에 관계없이 동일한 길이의 조인트 로드를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종래 기술과 달리 여러 차종에 따라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로드를 제작하는데 따른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로드의 생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그 외에 본 발명의 실시 예로 인해 얻을 수 있거나 예측되는 효과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예측되는 다양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될 상세한 설명 내에서 개시될 것이다.
이 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함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한 도면에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록 어셈블리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록 어셈블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록 어셈블리를 도시한 결합 단면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록 어셈블리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록 어셈블리에 적용되는 조인트 로드의 변형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구성의 명칭을 제1, 제2 등으로 구분한 것은 그 구성이 동일한 관계로 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하기의 설명에서 반드시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유닛", "...수단", "...부", "...부재"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하는 포괄적인 구성의 단위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록 어셈블리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결합 단면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록 어셈블리(100)는 사용자의 키 조작에 연동하며 차량 도어의 록 또는 언록 작동을 수행하는 수동식의 도어 록 장치이다. 예를 들면, 상기 도어 록 어셈블리(100)는 도어의 외측에 장착되며, 아웃터 도어 핸들의 측방에 배치된다.
하지만,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차량의 도어에 설치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되며, 다양한 종류 및 용도의 도어 록 장치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도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이하에서는 도어 록 어셈블리(100)에서 전체적인 길이 방향(즉, 로드의 길이 방향)을 축 방향으로 정의하고, 그 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높이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정의하며, 상측을 향하는 부분을 상단부, 상부 및 상단으로 정의하고, 하측을 향하는 부분을 하단부, 하부 및 하단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더 나아가, 하기에서의 "단(일측 단 또는 다른 일측 단)"은 어느 한쪽의 끝으로 정의될 수 있고, 그 끝을 포함하는 일정 부분(일측 단부 또는 다른 일측 단부)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도어 록 어셈블리(100)는 기본적으로, 도어 록 몸체(10), 키 실린더(20), 조인트 하우징(30), 그리고 조인트 로드(4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에서 도어 록 몸체(10)는 차량의 도어에 장착되는 장착 브라켓으로 구비된다. 상기 키 실린더(20)는 도어 록 몸체(10)에 장착되는 키 뭉치로서, 키가 꽂혀지는 키 홀(21)을 형성하며, 도어 록 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키 실린더(20)는 키 홀(21)에 삽입된 키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키 실린더(20)는 키 홀(21)에 맞는 키가 꽂혀져, 그 꽂힌 키를 사용자가 파지하여 회동시키면 회동되고, 맞지 않는 키를 키 홀(21)에 삽입하여 회동하면 작동되지 않는 것이다.
이러한 키 실린더(20)의 구성은 당 업계에 널리 알려진 공지 기술의 도어 록 장치용 키 실린더 어셈블리로 이루어지므로, 본 명세서에서 그 구성의 더욱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조인트 하우징(30)은 키 실린더(20)의 단부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그 키 실린더(20)와 함께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예를 들면, 상기 조인트 하우징(30)은 축 방향 양단이 개방된 실린더 타입으로 구비된다. 더 나아가, 상기 키 실린더(20)의 단부에 대응하는 조인트 하우징(30)의 일측 단에는 지지 홀(31)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조인트 하우징(30)은 각종 돌기, 리브, 플랜지, 블록, 칼라 등과 같은 부속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부속 요소들은 조인트 하우징(30)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기능 등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 상기한 부속 요소들을 조인트 하우징(30)으로 통칭한다.
그리고, 상기 조인트 로드(40)는 당 업계에서 "작동 로드" 라고도 하는데, 조인트 하우징(30)에 장착되고, 키 실린더(20)의 회전에 의하여 조인트 하우징(30)과 함께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차량의 도어 구비된 도어 래치부(1)와 직접 연결된다.
한편, 상기 도어 래치부(1)는 도어 스트라이커를 물어 고정하는 것으로서, 조인트 로드(40)와 연결되며, 도어를 록 및 언록하여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게 된다. 상기 도어 래치부(1)는 조인트 로드(40)와 결합하는 키 레버(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도어 래치부(1)는 키 실린더(20)의 키 홀(21)에 키를 꽂아 그 키 실린더(20)를 회전시키면, 이 회전력이 조인트 로드(40)를 통하여 키 레버에 전달되면서 그 키 레버의 회전방향에 따라 도어의 록 또는 언록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키 레버는 도어 스트라이커를 물어 도어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며, 내부에 조인트 로드(40)가 결합되어 그 조인트 로드(40)의 회전에 의해 도어의 록 언록을 수행할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래치부(1)는 도어의 인너 패널에 설치되는 노브에 의해서도 그 록과 언록이 이루어져 차량의 실내에서 도어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바, 차량의 도어 록 장치에 구비되는 공지 기술의 도어 래치 어셈블리로 구비되며, 차량의 도어에 대해 차량의 상이한 사양(차종)에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 장착되고 있다.
다른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조인트 로드(40)는 도어 래치부(1)의 장착 위치에 관계없이 설정된 길이(이른 바, 다 차종에 공용으로 사용 가능한 동일한 길이)로 구비된다. 예를 들면, 상기 조인트 로드(40)는 조인트 하우징(30)과 도어 래치부(1) 사이의 이격 거리가 최대인 차종을 기준으로, 그 최대 이격 거리에 대응하는 설정된 길이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조인트 로드(40)는 조인트 하우징(30)에 핀(41)을 통해 회동(틸팅의 의미)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핀(41)은 조인트 하우징(30)의 로드 결합 단부 측에 조인트 로드(40)의 단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바, 조인트 하우징(30)의 다른 일측 단에 축 방향의 수직한 방향으로 조인트 로드(40)의 단부를 관통하여 고정되게 설치된다.
상기에서 조인트 로드(40)를 핀(41)을 통하여 조인트 하우징(30)에 회동 가능하게 구성하는 이유는, 차종에 따라 도어 래치부(1)의 장착 위치가 서로 상이하므로, 그 도어 래치부(1)의 장착 위치에 대응하여 핀(41)을 중심으로 조인트 로드(40)를 회동시키며 도어 래치부(1)에 용이하게 결합시키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록 어셈블리(100)는 차종 별로 상이한 도어 래치부(1)의 장착 위치에 관계없이 동일한 길이의 조인트 로드(40)를 공용으로 사용하여 그 조인트 로드(40)와 도어 래치부(1)를 직접 연결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도어 록 어셈블리(100)는 차종 별로 상이한 도어 래치부(1)의 장착 위치에 따라 조인트 로드(40)의 축 방향 위치를 가변하기 위한 로드 위치 가변유닛(70)을 더 포함하고 있다.
상기에서 조인트 로드(40)의 축 방향 위치 가변이라 함은 차종 별로 상이한 도어 래치부(1)의 장착 위치에 대응하여 조인트 로드(40) 자체의 위치가 축 방향을 따라 변경됨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로드 위치 가변유닛(70)은 조인트 로드(40)의 핀 결합 단부 측 즉, 조인트 로드(40)의 도어 래치부(1)와 연결되는 단부의 반대 단부 측에 구비된다. 이러한 로드 위치 가변유닛(7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슬롯 홀(71)과 탄성부재(81)를 포함한다.
상기 슬롯 홀(71)은 조인트 로드(40)의 핀 결합 단부에 축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장공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슬롯 홀(71)은 조인트 하우징(30)의 다른 일측 단에 고정 설치되는 핀(41)이 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관통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핀(41)이 관통하는 슬롯 홀(71)을 조인트 로드(40)의 단부에 형성함에 따라, 그 조인트 로드(40)는 핀(41)에 지지된 상태로 슬롯 홀(71)의 구간만큼 축 방향으로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탄성부재(81)는 조인트 로드(40)의 축 방향 이동을 지지하며, 도어 래치부(1)에 대한 조인트 로드(40)의 설정된 결합력을 인가하고, 조인트 로드(40)의 축 방향 유동에 따른 그 조인트 로드(40)와 조인트 하우징(30) 간의 충격 이음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탄성부재(81)는 조인트 로드(40)의 핀 결합 단부와 키 실린더(20)의 단부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탄성부재(81)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일측 단이 키 실린더(20)의 단부에 지지되고, 다른 일측 단이 조인트 로드(40)의 핀 결합 단부에 지지되는 스프링(83)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상기 스프링(83)은 코일 스프링으로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83)의 일측 단부는 위에서 언급한 바 있는 조인트 하우징(30)의 지지 홀(31)에 끼워지며, 그 지지 홀(31)에 안정되게 지지된 상태로 키 실린더(20)의 단부를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83)의 다른 일측 단부는 조인트 로드(40)의 핀 결합 단부에 돌출되게 구비된 스프링 지지돌기(45)에 끼워지며, 그 조인트 로드(40)의 핀 결합 단부를 지지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록 어셈블리(100)의 작용을 앞서 개시한 도면들 및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록 어셈블리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차량의 상이한 사양(차종)에 따라 조인트 하우징(30)과 도어 래치부(1) 사이의 이격 거리가 최대인 경우, 스프링(83)은 키 실린더(20)의 단부와 조인트 로드(40)의 핀 결합 단부 사이에서 이완된 상태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조인트 로드(40)의 핀 결합 단부는 조인트 하우징(30)의 다른 일측 단부 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핀(41)은 조인트 로드(40)의 핀 결합 단부 측에서 슬롯 홀(71)의 일측을 지지하고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조인트 로드(40)는 슬롯 홀(71)을 통하여 핀(41)에 지지된 상태로, 도어 래치부(1) 측으로 축 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키 실린더(20)의 단부와 조인트 로드(40)의 핀 결합 단부 사이에서의 스프링(83)을 이완시킨 상태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조인트 로드(40)는 차종에 따라 도어 래치부(1)의 장착 위치가 서로 상이하므로, 그 도어 래치부(1)의 장착 위치에 대응하여 핀(41)을 중심으로 회동된 상태로 도어 래치부(1)의 키 레버에 결합된 상태에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상이한 사양(차종)에 따라 조인트 하우징(30)과 도어 래치부(1) 사이의 이격 거리가 최대 이격 거리보다 작은 경우, 스프링(83)은 키 실린더(20)의 단부와 조인트 로드(40)의 핀 결합 단부 사이에서 일정 구간 압축된 상태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조인트 로드(40)의 핀 결합 단부는 조인트 하우징(30)의 일측 단부 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핀(41)은 조인트 로드(40)의 핀 결합 단부 측에서 슬롯 홀(71)의 다른 일측을 지지하고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조인트 로드(40)는 슬롯 홀(71)을 통하여 핀(41)에 지지된 상태로, 그 슬롯 홀(71)의 구간 범위 내에서 키 실린더(20) 측으로 축 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키 실린더(20)의 단부와 조인트 로드(40)의 핀 결합 단부 사이에서의 스프링(83)을 압축한 상태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조인트 로드(40)는 도어 래치부(1)의 장착 위치에 대응하여 핀(41)을 중심으로 회동된 상태로 도어 래치부(1)의 키 레버에 결합된 상태에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키 실린더(20)의 키 홀(21)에 키를 꽂아 그 키 실린더(20)를 회전시킨다. 그러면 상기 키 실린더(20)의 회전력이 조인트 하우징(30)과 조인트 로드(40)를 통하여 도어 래치부(1)의 키 레버에 전달되면서 그 키 레버의 회전 방향에 따라 도어의 록 또는 언록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록 어셈블리(100)에 의하면, 차종 별로 상이한 도어 래치부(1)의 장착 위치에 따라 로드 위치 가변유닛(70)을 통하여 조인트 로드(40)의 축 방향 위치를 가변할 수 있으며, 조인트 로드(40)의 위치 가변에도 신뢰성 있는 작동 각도 규제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차종 별로 상이한 도어 래치부(1)의 장착 위치에 관계없이 동일한 길이의 조인트 로드(40)를 공용으로 사용하며 그 조인트 로드(40)와 도어 래치부(1)를 직접 연결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종래 기술과 달리, 여러 차종에 따라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로드를 제작하는데 따른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로드의 생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록 어셈블리에 적용되는 조인트 로드의 변형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록 어셈블리(100)에 적용되는 조인트 로드(40)는 변형 예로서, 핀 결합 단부에서 도어 래치부(1: 이하 도 3 참조)의 결합 단 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경사 면(91)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경사 면(91)은 조인트 로드(40)의 핀 결합 단부에서 도어 래치부(1)의 결합 단 측으로 갈수록 단면 직경이 점차 증가하는 테이퍼 면으로 구비된다.
따라서, 본 변형 예에서는 차종 별로 상이한 도어 래치부(1)의 장착 위치에 따라 로드 위치 가변유닛(70)을 통하여 조인트 로드(40)의 축 방향 위치를 가변할 때, 조인트 로드(40)의 축 방향 위치에 따른 작동 각도를 동일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차종에 따라 조인트 하우징(30)과 도어 래치부(1) 사이의 최대 이격 거리 내에서 조인트 로드(40)의 축 방향 위치를 로드 위치 가변유닛(70)을 통하여 가변할 때, 경사 면(91)이 조인트 하우징(30)의 다른 일측 단에 간섭되면서 조인트 로드(40)의 축 방향 위치에 따른 작동(회동) 각도를 동일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이로써, 본 변형 예에서는 차종 별로 상이한 도어 래치부(1)의 장착 위치에 따른 조인트 로드(40)의 위치 가변에도 조인트 로드(40)의 신뢰성 있는 작동 각도 규제가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명세서에서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해하는 당 업자는 동일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도어 래치부
10: 도어 록 몸체
20: 키 실린더
21: 키 홀
30: 조인트 하우징
31: 지지 홀
40: 조인트 로드
41: 핀
45: 지지돌기
70: 로드 위치 가변유닛
71: 슬롯 홀
81: 탄성부재
83: 스프링
91: 경사 면

Claims (7)

  1. 차량의 도어에 도어 록 몸체를 통해 장착되는 도어 록 어셈블리로서,
    키 홀을 가지며 상기 도어 록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키 실린더;
    상기 키 실린더의 단부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조인트 하우징;
    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상기 조인트 하우징에 핀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도어 래치부와 연결되는 조인트 로드; 및
    상기 조인트 로드의 핀 결합 단부 측에 구비되며, 상기 도어 래치부의 위치에 따라 상기 조인트 로드의 축 방향 위치를 가변하는 로드 위치 가변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로드 위치 가변유닛은 상기 핀이 관통하며 상기 조인트 로드의 핀 결합 단부에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슬롯 홀과, 상기 조인트 로드의 핀 결합 단부와 상기 키 실린더의 단부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부재로서 일측 단이 상기 키 실린더의 단부에 지지되고, 다른 일측 단이 상기 조인트 로드의 핀 결합 단부에 지지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조인트 하우징은 축 방향 양단이 개방된 실린더 타입으로 구비되고, 상기 핀은 상기 슬롯 홀을 관통하며 상기 조인트 하우징에 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고정되고, 상기 키 실린더의 단부에 대응하는 상기 조인트 하우징의 일측 단에는 상기 스프링을 지지하는 지지 홀이 형성되는 차량용 도어 록 어셈블리.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의 다른 일측 단은,
    상기 조인트 로드의 핀 결합 단부에 돌출되게 구비된 스프링 지지돌기에 끼워지는 차량용 도어 록 어셈블리.
  5. 삭제
  6. 삭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로드의 축 방향 위치에 따른 작동 각도를 동일하게 유지하기 위해, 상기 조인트 로드는 상기 핀 결합 단부에서 상기 도어 래치부의 결합 단 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경사 면을 형성하는 차량용 도어 록 어셈블리.
KR1020180070270A 2018-06-19 2018-06-19 차량용 도어 록 어셈블리 KR1020231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0270A KR102023105B1 (ko) 2018-06-19 2018-06-19 차량용 도어 록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0270A KR102023105B1 (ko) 2018-06-19 2018-06-19 차량용 도어 록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3105B1 true KR102023105B1 (ko) 2019-09-20

Family

ID=68067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0270A KR102023105B1 (ko) 2018-06-19 2018-06-19 차량용 도어 록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31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53873B2 (ja) 2020-07-29 2024-03-21 株式会社アルファ シリンダ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28860B2 (ja) * 2013-06-04 2016-11-2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28860B2 (ja) * 2013-06-04 2016-11-2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53873B2 (ja) 2020-07-29 2024-03-21 株式会社アルファ シリンダ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51085B2 (en) Passive entry side door latch release system
US8662545B2 (en) Vehicle door latch apparatus
JPH05214864A (ja) 自動車用ドアロック装置
US5666834A (en) Anti-theft mechanism for a vehicle door lock device
EP3699005A1 (en) Automobile door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JP2014198939A (ja) ドアアウトサイドハンドル装置の組付構造
KR102023105B1 (ko) 차량용 도어 록 어셈블리
US7159907B2 (en) Jam-resistant door latch assembly for vehicles
KR100303367B1 (ko) 자동차용 도어래치 어셈블리
KR100351359B1 (ko) 도난방지구조를 갖춘 차량용 도어
CN115075663B (zh) 用于进入门的防盗贯通棘爪
KR102127881B1 (ko) 차량용 도어 록 어셈블리
KR102139053B1 (ko) 도어 록 키홀 커버 일체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KR100444089B1 (ko) 차량의 슬라이딩 사이드도어 잠금장치
KR200252713Y1 (ko) 슬라이딩 도어용 리모트 콘트롤
KR102593961B1 (ko) 자동차용 도어 잠금 장치
US20050156436A1 (en) Trunk lid latch assembly for vehicle
US20220112744A1 (en) Gate latch
CN111485773B (zh) 一种车门锁把手结构和具有其的车辆
KR200162196Y1 (ko) 도난방지를 위한 도어 잠금장치
KR100395690B1 (ko) 자동차의 도어 록킹장치
JPS58757Y2 (ja) 自動車の扉遠隔操作装置
KR100204963B1 (ko) 차량용 인사이드 도어 핸들
KR0140681Y1 (ko) 자동차의 후드록 래치 구조
KR100204964B1 (ko) 차량용 인사이드 도어 핸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