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5668B1 - 푸시풀 타입의 레버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푸시풀 타입의 레버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5668B1
KR102405668B1 KR1020200078942A KR20200078942A KR102405668B1 KR 102405668 B1 KR102405668 B1 KR 102405668B1 KR 1020200078942 A KR1020200078942 A KR 1020200078942A KR 20200078942 A KR20200078942 A KR 20200078942A KR 102405668 B1 KR102405668 B1 KR 1024056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ever
lock
push
latch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8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1083A (ko
Inventor
백창목
Original Assignee
백창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창목 filed Critical 백창목
Priority to KR1020200078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5668B1/ko
Publication of KR202200010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10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5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56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22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operated by a pulling or pushing action perpendicular to the front plate, i.e. by pulling or pushing the wing itsel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D) 상에 잠금이 용이하게 형성되는 푸시풀(Push Pull) 타입의 도어 레버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D) 상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파지한 상태로 밀거나 당김에 의해 도어(D)의 개방이 가능하게 회전하는 가압판(11)을 구비하는 레버부(10); 상기 도어(D) 상에 삽설되어 전방에 문틈의 요홈에 삽설과 이탈이 가능하게 회전되는 래치헤드(21)와 래치헤드(21)의 이동을 차단하여 도어(D)를 폐쇄하는 잠금바(22)를 구비하는 래치볼트(20); 및 상기 레버부(10) 상에 래치볼트(20)의 잠금바(22)를 가압하여 도어(D)의 폐쇄를 조절하게 레버부(10)의 외부에 회전 가능하게 노출되는 잠금레버(31)와, 잠금레버(31) 상에 장착되어 함께 일정 각도 회전이 가능하게 돌부(33)를 가지는 회전체(34)와, 회전체(34) 상에 장착되어 함께 회전하는 회전축(35)과, 회전축(35) 상에 장착되어 래치볼트(20)의 잠금바(22)를 밀어 도어(D)를 폐쇄하게 가압바(36)를 가압하게 가압부(38)가 일체로 형성되거나 캠(37)이 회전축(35)으로부터 편심되게 회전되는 캠(37)을 구비하는 잠금수단(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푸시풀 타입의 레버 상에 별도의 잠금장치를 형성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진되고, 보다 빠른 잠금이 가능 기능이 발휘되면서 면밀한 고정력을 발휘할 수 있으면서 도어의 두께에 한정되지 않아 다양한 도어에 장착과 사용이 가능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푸시풀 타입의 레버 잠금장치{Push Pull Type Door Lock Device}
본 발명은 푸시풀 타입의 레버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푸시풀 타입의 레버 상에 별도의 잠금장치를 형성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진되고, 보다 빠른 잠금이 가능 기능이 발휘되면서 면밀한 고정력을 발휘할 수 있으면서 도어의 두께에 한정되지 않아 다양한 도어에 장착과 사용이 가능할 수 있는 푸시풀 타입의 레버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푸시풀 레버(Push-pull lever)는 레버를 회전시켜 도어를 개방하거나 닫는 구성이 아닌 밀거나 당김에 의해 도어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푸시풀 레버는 밀고 당기는 구성을 통해 편의성이 증진되는 장점을 지니고 있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푸시풀 레버를 잠그기 위해서는 복잡한 잠금 구성을 통해 사용해왔기 때문에 사용자는 불편함을 초래하였다.
일예로, 한국 등록특허 제1115064호에 따르면, '내측 및 실외측 바디에 설치된 작동레버와 연결되어 이를 당기거나 밀때 상하 직선운동하는 실내측 및 실외측동력전환부재와; 동력전환부재와 걸림되어 회전유동되는 실내측 및 실외측 회동체와; 실내측 및 실외측 회동체에 각 단이 삽입된 메인작동로드와; 도어 개폐용 데드볼트와 래치볼트를 구비하고, 실내측 및 실외측 바디 사이에 끼워지며, 도어에 내장되는 모티스하우징과; 메인작동로드 동작시 데드볼트를 개폐하는 데드볼트작동로드와; 데드볼트와 연결되고, 데드볼트작동로드가 수직하게 삽입된 작동편과; 작동편의 일부와 걸림되며, 모티스하우징에 내장된 제1회동체와; 탄성적으로 유동되며, 제1회동체와 걸림되는 가압편과; 탄성부재로 결속되어 유동시 항상 가압편을 후퇴시키도록 연결되며, 분리된 한 쌍이 일정반경 내에서 회전하도록 모티스하우징에 축고정된 제1,2작동유도체와; 제1,2작동유도체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어 회전유동시 둘 중 어느 하나를 누르는 누름편을 구비한 제2회동체와; 제2회동체에 구비된 작동돌기와 다단 걸림되게 접촉하며, 일단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유동하는 다단작동편과; 다단작동편의 후단과 걸림되고 탄성 지지되며, 래치볼트와 연결된 슬라이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풀형 도어락.'을 제시한다.
하지만, 푸시풀형 도어락은 잠금 구성이 아주 복잡하게 형성됨에 따라 비용의 부담을 가져오고, 간편하게 잠금을 실행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 다른예로, 한국 등록특허 제1404510호에 따르면, '도어록을 구성하는 공지의 래치어셈블리의 양측으로 돌출되는 레버샤프트와 결합 되어 레버의 푸시 또는 풀에 의하여 레버샤프트를 정,역 회전시켜 래치볼트를 래치하우징으로 진입시켜 도어프레임에 고정된 래치플레이트에 형성되는 래치볼트홀을 벗어나 도어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레버샤프트와 내측이 결합 되고 래치하우징을 유지하면서 도어 양면에 밀착 고정되는 마감플레이트 외부로 노출된 레버코어에 회전 가능하면서 축 중심방향으로 유동하지 않게 결합 되는 기어브라켓과; 상기 기어브라켓의 외부로 노출된 레버코어의 끝단에 고정하는 구동베벨기어와; 상기 기어브라켓의 외측부에서 레버샤프트의 축중심에 대한 직각방향으로 설치되고 레버와 연결되는 원동축과; 상기 레버의 밀고 당김에 의하여 정,역회전하면서 구동베벨기어와 맞물려 구동베벨기어를 정,역회전시키도록 원동축에 고정되는 원동베벨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을 제시한다.
하지만, 이러한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은 베벨기어의 방식을 통해 잠금과 해지를 시행하여 복잡한 구성을 지니고 있어 따라 비용의 부담을 가져오고, 잠금의 편의성이 부족한 문제가 발생한다.
한국 등록특허 제1115064호 "푸시풀형 도어락" 한국 등록특허 제1404510호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근본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푸시풀 타입의 레버 상에 별도의 잠금장치를 형성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진되고, 보다 빠른 잠금이 가능 기능이 발휘되면서 면밀한 고정력을 발휘할 수 있으면서 도어의 두께에 한정되지 않아 다양한 도어에 장착과 사용이 가능할 수 있는 푸시풀 타입의 레버 잠금장치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어 상에 잠금이 용이하게 형성되는 푸시풀 타입의 도어 레버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 상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파지한 상태로 밀거나 당김에 의해 도어의 개방이 가능하게 회전하는 가압판을 구비하는 레버부; 상기 도어 상에 삽설되어 전방에 문틈의 요홈에 삽설과 이탈이 가능하게 회전되는 래치헤드와 래치헤드의 이동을 차단하여 도어를 폐쇄하는 잠금바를 구비하는 래치볼트; 및 상기 레버부 상에 래치볼트의 잠금바를 가압하여 도어의 폐쇄를 조절하게 레버부의 외부에 회전 가능하게 노출되는 잠금레버와, 잠금레버 상에 장착되어 함께 일정 각도 회전이 가능하게 돌부를 가지는 회전체와, 회전체 상에 장착되어 함께 회전하는 회전축과, 회전축 상에 장착되어 래치볼트의 잠금바를 밀어 도어를 폐쇄하게 가압바를 가압하게 가압부가 일체로 형성되거나 캠이 회전축으로부터 편심되게 회전되는 캠을 구비하는 잠금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잠금수단의 캠은 도어의 두께에 따라 조절이 가능하게 회전축을 수용하는 장홈을 갖는 조절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푸시풀 타입의 레버 상에 별도의 잠금장치를 형성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진되고, 보다 빠른 잠금이 가능 기능이 발휘되면서 면밀한 고정력을 발휘할 수 있으면서 도어의 두께에 한정되지 않아 다양한 도어에 장착과 사용이 가능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a와 1b는 본 발명에 따른 푸시풀 타입의 레버 잠금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푸시풀 타입의 레버 잠금장치의 분해된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a와 3b는 본 발명에 따른 푸시풀 타입의 레버 잠금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사시확대도
도 4a와 4b는 본 발명에 따른 푸시풀 타입의 레버 잠금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a와 5d는 본 발명에 따른 푸시풀 타입의 레버 잠금장치의 작동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와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어(D) 상에 잠금이 용이하게 형성되는 푸시풀(Push Pull) 타입의 도어 레버장치에 관련되며, 레버부(10), 래치볼트(20), 잠금수단(30)을 주요 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레버부(10)는 상기 도어(D) 상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파지한 상태로 밀거나 당김에 의해 도어(D)의 개방이 가능하게 회전하는 가압판(11)을 구비한다. 레버부(10)는 사용자가 도어(D)를 회전시켜 개방하거나 폐쇄하기 위하여 파지가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레버부(10)는 회전이 가능한 가압판(11)을 구비한 상태로 밀거나 당기는 형태로 도어(D)의 개방이 가능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래치볼트(20)는 상기 도어(D) 상에 삽설되어 전방에 문틈의 요홈에 삽설과 이탈이 가능하게 이동하는 래치헤드(21)와 래치헤드(21)의 이동을 차단하여 도어(D)를 폐쇄하는 잠금바(22)를 구비한다. 래치볼트(20)는 도어(D)의 내부에 삽설된 상태로 문틈에 형성된 요홈(미도시)으로 삽설되는 래치헤드(21)가 형성되어 도어(D)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러한 래치볼트(20)의 래치헤드(21)에 이동을 조절하여 제한하기 위하여 별도의 쐐기(미도시)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쐐기를 막아 차단하는 잠금바(22)를 구비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잠금수단(30)은 상기 레버부(10) 상에 래치볼트(20)의 잠금바(22)를 가압하여 도어(D)의 폐쇄를 조절한다. 잠금수단(30)은 상술한 레치볼트(20)의 잠금바(22)를 가압함에 따라 래치볼트(20)에 래치헤드(21)의 이동을 방지하여 도어(D)의 이동을 폐쇄하여 조절하게 된다.
이때, 상기 잠금수단(30)은 레버부(10)의 외부에 회전 가능하게 노출되는 잠금레버(31)와, 잠금레버(31) 상에 장착되어 함께 일정 각도 회전이 가능하게 돌부(33)를 가지는 회전체(34)와, 회전체(34) 상에 장착되어 함께 회전하는 회전축(35)과, 회전축(35) 상에 장착되어 래치볼트(20)의 잠금바(22)를 밀어 도어(D)를 폐쇄하게 가압바(36)를 가압하는 캠(37)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레버부(10)의 측면에 별도의 잠금레버(31)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형성되고, 사용자가 잠금레버(31)를 파지하여 회전시키기 용이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잠금레버(31)의 내측으로 장착되는 회전체(34)가 일정 각도 회전이 가능하게 돌부(3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잠금레버(31)의 회전 반경이 제한되어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회전체(34) 상에 장착되는 회전축(35) 상에 캠(37)을 삽설하여 사용자가 잠금레버(31)를 회전하게 되면 캠(37) 또한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캠(37)은 잠금레버(31)와 함께 회전하게 됨으로 회전과 함께 잠금바(22)와 서로 맞물려 대응되는 가압바(36)를 가압하여 가압바(36)를 통해 래치볼트(20)의 잠금바(22)를 눌러주게 됨으로 래치볼트(20)의 래치헤드(21)를 고정하여 도어(D)를 폐쇄하게 된다.
또한, 상기 잠금수단(30)의 캠(37)은 회전을 통해 래치볼트(20)의 잠금바(22)를 가압하게 일측에 가압부(38)가 일체로 형성되거나 캠(37)이 회전축(35)으로부터 편심되게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잠금수단(30)의 캠(37)은 상술한 바와 같이 가압바(36)를 통해 가압하여 래치볼트(20)의 잠금바(22)를 눌러주게 되는데 캠(37)이 가압바(36)를 근접하여 가압하기 위해서는 먼저, 일측에 가압부(38)가 돌출된 형태로 일체로 형성하여 가압부(38)가 가압바(36)를 밀어주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캠(37) 자체가 편심 형태로 회전함에 따라 가압바(36)를 밀어 래치볼트(20)의 잠금바(22)를 눌러 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잠금수단(30)의 캠(37)은 도어(D)의 두께에 따라 조절이 가능하게 회전축(35)을 수용하는 장홈(39a)을 갖는 조절부(39)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조절부(39)는 측면으로 형성된 장홈(39a)을 형성함에 따라 장홈(39a)으로 삽설되는 회전축(35)을 통해 캠(37)의 위치가 도어(D)의 두께에 따라 함께 이동하여 조절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다양한 도어(D)에도 설치하여 사용이 가능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푸시풀 타입의 레버 상에 별도의 잠금장치를 형성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진되고, 보다 빠른 잠금이 가능 기능이 발휘되면서 면밀한 고정력을 발휘할 수 있으면서 도어의 두께에 한정되지 않아 다양한 도어에 장착과 사용이 가능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레버부 11: 가압판
20: 래치볼트 21: 래치헤드
22: 잠금바 30: 잠금수단
31: 잠금레버 33: 돌부
34: 회전체 35: 회전축
36: 가압바 37: 캠
38: 가압부 39: 조절부
39a: 장홈 D: 도어

Claims (3)

  1. 도어(D) 상에 잠금이 용이하게 형성되는 푸시풀(Push Pull) 타입의 도어 레버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D) 상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파지한 상태로 밀거나 당김에 의해 도어(D)의 개방이 가능하게 회전하는 가압판(11)을 구비하는 레버부(10);
    상기 도어(D) 상에 삽설되어 전방에 문틈의 요홈에 삽설과 이탈이 가능하게 이동하는 래치헤드(21)와 래치헤드(21)의 이동을 차단하여 도어(D)를 폐쇄하는 잠금바(22)를 구비하는 래치볼트(20); 및
    상기 레버부(10) 상에 래치볼트(20)의 잠금바(22)를 가압하여 도어(D)의 폐쇄를 조절하게 레버부(10)의 외부에 회전 가능하게 노출되는 잠금레버(31)와, 잠금레버(31) 상에 장착되어 함께 일정 각도 회전이 가능하게 돌부(33)를 가지는 회전체(34)와, 회전체(34) 상에 장착되어 함께 회전하는 회전축(35)과, 회전축(35) 상에 장착되어 래치볼트(20)의 잠금바(22)를 밀어 도어(D)를 폐쇄하게 가압바(36)를 가압하게 가압부(38)가 일체로 형성되거나 캠(37)이 회전축(35)으로부터 편심되게 회전되는 캠(37)을 구비하는 잠금수단(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풀 타입의 레버 잠금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수단(30)의 캠(37)은 도어(D)의 두께에 따라 조절이 가능하게 회전축(35)을 수용하는 장홈(39a)을 갖는 조절부(39)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풀 타입의 레버 잠금장치.
KR1020200078942A 2020-06-29 2020-06-29 푸시풀 타입의 레버 잠금장치 KR1024056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8942A KR102405668B1 (ko) 2020-06-29 2020-06-29 푸시풀 타입의 레버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8942A KR102405668B1 (ko) 2020-06-29 2020-06-29 푸시풀 타입의 레버 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083A KR20220001083A (ko) 2022-01-05
KR102405668B1 true KR102405668B1 (ko) 2022-06-07

Family

ID=79348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8942A KR102405668B1 (ko) 2020-06-29 2020-06-29 푸시풀 타입의 레버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566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9546B1 (ko) * 2016-10-25 2018-04-17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푸시-풀 타입 도어락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5064B1 (ko) 2010-02-23 2012-02-28 윤자호 푸시풀형 도어락
KR101404510B1 (ko) 2013-12-11 2014-06-10 동성산업 주식회사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9546B1 (ko) * 2016-10-25 2018-04-17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푸시-풀 타입 도어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083A (ko) 2022-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85397B1 (en) Mortise lock
KR101868469B1 (ko) 방향 전환이 용이한 푸쉬풀 도어락
KR20060113227A (ko) 방향 전환이 가능한 도어 락 백세트
US20080022729A1 (en) Improvements in locks
BR9714542A (pt) Arranjos de lingueta para portas automotivas ou outros fechamentos
US6247342B1 (en) Lock with latch bolt for door or window
US7213426B2 (en) Storm door mortise lock that prevents lockout
US7607704B2 (en) Push-pull latch bolt mechanism
KR102405668B1 (ko) 푸시풀 타입의 레버 잠금장치
US11319735B1 (en) Sliding-door latch
US20030075930A1 (en) Adjustable latch slidable mechanism for tubular door locks
JP2005146844A (ja) 多点ロック
KR101767495B1 (ko) 양방향 열림 동작이 가능한 안티패닉 모티스락
KR101771197B1 (ko) 좌우수 호환형 모티스 락
KR101695847B1 (ko) 일시 열림 조작 기능을 겸한 트리거 레버를 이용한 래치볼트의 좌, 우수 전환기능을 갖는 디지털 도어락용 모티스
AU2019229347A1 (en) Magnetic Door Latch Mechanism and Assembly
KR101890318B1 (ko) 스윙형 래치볼트 조립체
KR101737035B1 (ko)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
KR102331577B1 (ko) 푸시앤풀타입 도어 록킹장치
US20230063848A1 (en) Magnetic door latch and lock mechanisms
KR102187289B1 (ko) 보조열림기구가 구비된 미닫이 창호용 자동 록킹장치
KR102566531B1 (ko) 슬라이딩 도어의 잠금장치
KR102318630B1 (ko) 도어록용 래치 어셈블리
AU2003203786B2 (en) A Lock for a Casement Window
US20220112744A1 (en) Gate lat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