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7289B1 - 보조열림기구가 구비된 미닫이 창호용 자동 록킹장치 - Google Patents

보조열림기구가 구비된 미닫이 창호용 자동 록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7289B1
KR102187289B1 KR1020190110121A KR20190110121A KR102187289B1 KR 102187289 B1 KR102187289 B1 KR 102187289B1 KR 1020190110121 A KR1020190110121 A KR 1020190110121A KR 20190110121 A KR20190110121 A KR 20190110121A KR 102187289 B1 KR102187289 B1 KR 1021872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arm member
pin
link
inter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0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에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에스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에스테크
Priority to KR1020190110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72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7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72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0025Devices for forcing the wing firmly against its seat or to initiate the opening of the wing
    • E05B17/0033Devices for forcing the wing firmly against its seat or to initiate the opening of the wing for opening on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8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 E05B65/0811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the bolts pivoting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gs

Landscapes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문 개방을 위한 창문손잡이의 조작시 창문의 록킹이 완전히 해제된 상태에서 보조열림기구의 동작이 이루어지게 하여 초기에 드는 힘을 줄일 수 있음과 동시에, 보조열림기구의 동작에 소요되는 힘을 효율적으로 작용시켜 최대한 감소시킴으로써 창문을 열 때 도움을 주는 효과와 창문 개방시 창문손잡이의 조작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보조열림기구가 구비된 미닫이 창호용 자동 록킹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보조열림기구가 구비된 미닫이 창호용 자동 록킹장치는, 하우징에 고정끝단이 일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자유롭게 설치되고, 자유끝단은 하우징 내에 삽입되는 창문닫힘위치와 창문을 창틀로부터 밀어내어 이격시키는 창문열림위치 사이에서 회전하도록 된 아암부재와, 상기 연동부재와 아암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제1 핀은 연동부재에 연결되고, 제2 핀은 아암부재에 연결되어 연동부재의 직선운동을 아암부재의 회전운동으로 연동시키는 링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핀은 연동부재와 연결된 제1 핀의 직선이동방향에서 아암부재의 회전방향쪽으로 벗어남과 동시에, 아암부재의 자유끝단과 회전중심인 일축 사이에 위치하여, 아암부재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힘을 가하도록 된 것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보조열림기구가 구비된 미닫이 창호용 자동 록킹장치{Auto Locking Device for Sliding Window with Assist Opening Unit}
본 발명은 창문을 닫는 동작에 의해 창문이 창틀에 자동적으로 록킹되어 잠기고 창문손잡이를 조작하여 창문을 여는 동작에 의해 록킹상태를 해제시켜 창문을 열 수 있도록 된 미닫이 창호용 자동 록킹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창문을 여는 동작과 연동하여 창문을 창틀로부터 이격시키도록 힘을 가함으로써 창문의 열림 동작이 더욱 쉽고 편리하게 이루어지는 보조열림기구가 구비된 미닫이 창호용 자동 록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닫이 창호는, 창틀에 창문이 직선이동하도록 설치되어 미닫이식으로 도어를 개폐하는 방식이고, 창문의 일측이 창틀에 접촉 또는 이격되는 것에 의해 개폐된다. 또한 미닫이 창호용 자동 록킹장치는 창문의 일측이 창틀에 접촉되어 닫힐 때 자동적으로 록킹되고, 창문을 열기 위해 창문손잡이를 여는 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시킬 때, 록킹상태가 해제됨으로써 창문을 열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러한 미닫이 창호용 자동 록킹장치로서, 국내 등록특허 10-1627578호의 '미닫이 창호용 자동 록킹장치의 록킹조립체'가 알려져 있다.
상기의 미닫이 창호용 자동 록킹장치는,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커(120)의 록킹홈(121)이 스트라이커(W3)에 록킹되어 창문이 잠긴 상태에서는 연동부재(140)의 걸림부(142)가 록커(120)의 걸림턱(122)에 걸림유지되어 록커(120)가 회전하지 못하게 되고, 탄성부재(160)의 탄성력은 연동부재(140)를 회전체(130)쪽, 다시 말해서 걸림부(142)를 걸림턱(122)에 걸림유지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게 되므로, 록킹되어 창문을 잠근 상태가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도 1의 (b)에서와 같이 창문을 열기 위해 창문손잡이(도시하지 않음)를 회전조작하게 되면 회전체(130)가 회전하게 되고, 이로 인해 회전체(130)의 경사돌기(132)와 연동부재(140)에 형성된 경사부(141)의 접촉에 의해 연동부재(140)는 회전체(13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직선이동하게 되므로, 연동부재(140)의 걸림부(142)는 록커(120)의 걸림턱(122)으로부터 걸림해제 된다.
따라서, 록커(120)는 토션스프링(150)의 탄성력에 의해 록킹해제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되고, 이로 인해, 록킹홈(121)이 스트라이커(W3)로부터 록킹해제 되므로, 창문을 창틀에서 이격시켜 열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미닫이 창호용 자동 록킹장치에 있어서, 최근 중대형 미닫이 창호의 경우 단열성능 향상을 위해 이전에 비해 두꺼운 유리 또는 복층 유리를 적용함에 따라 창문의 중량이 증가하고, 또한 소음 및 외기 유입 차단성능 향상을 위해 창문과 창틀 사이에 기밀수단을 설치함에 따라 기밀수단의 접촉에 의한 마찰로 창문을 밀어 여는데 더 큰 힘이 필요하게 되었으며, 이로 인해 창문 개방시 불편함이 발생하였다.
종래에도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문의 록킹해제와 연동하여 아암부재가 창틀을 밀도록 하여 창문을 열때 드는 힘을 감소시킬 수 있는 보조열림기구를 구비한 미닫이 창호용 록킹장치들이 제안된 바 있다.
예를 들면, 국내 공개특허 10-2017-0018594호의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이하, '선행기술 1'이라 함.)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문손잡이의 회전조작에 의해 회전하는 회동부재(20)와 창틀을 밀어내는 아암(30)이 상호 이맞물림된 기어이(22,31)에 의해 연동하는 열림 보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 1은 회동부재(20)와 아암(30)이 기어이(22,31)에 의해 상호 이맞물림된 것이므로, 창문손잡이의 열림 조작에 의한 회동부재(20)의 회전시 창틀의 스트라이커에 록킹되어 있는 록킹부재(40)의 록킹해제 동작과 아암(30)이 창틀을 밀어내는 회전동작이 동시에 이루어진다. 따라서 창문손잡이 조작 초기에는 록킹부재(40)의 록킹상태가 완전히 해제되지 않은 상태에서 아암(30)이 창틀을 밀게 되므로, 아암(30)의 회전 저항력이 커지게 되고, 이로써 창문 개방을 위한 창문손잡이의 초기 조작시 힘이 많이 들고, 이때의 묵직한 회전감으로 인해 창문 개방성능을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다.
또한, 국내 공개특허 10-2017-0040644호의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선행기술 2'이라 함.)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문손잡이의 회전 조작에 의해 회전하는 회동부재(20)와, 창틀을 밀어내는 돌출부재(40)와, 이들 사이에 시소 형태로 설치되어 회동부재(20)와 돌출부재(40)를 연동시키는 연결부재(30)로 이루어진 열림 보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시소 형태의 연동구조는, 회동부재(20)의 회전시 먼저 록킹부재(50)의 록킹상태를 해제시킨 후, 열림보조장치의 연결부재(30)를 동작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선행기술 1의 단점을 해소할 수 있지만, 연결부재(30)의 회전중심(O)을 기준으로 회동부재(20)에 의해 힘이 가해지는 위치까지의 제1 길이(L1)에 비하여 창틀을 미는 돌출부재(40)와 연결되는 위치까지의 제2 길이(L2)가 상대적으로 매우 길기 때문에 힘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
연결부재(30)의 회전중심(O)으로부터 제1 길이(L1)에 비하여 제2 길이(L2)가 상대적으로 길어질 수밖에 없는 이유는, 협소한 하우징(10)의 내부공간 하에서 창문손잡이의 한정된 회전각도를 이용해야 하기 때문이다.
즉, 창문손잡이는 창문의 열림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된 것으로, 회전각도를 작게 할수록 하우징 내부의 회동부재(20)의 회전각도가 작기 때문에, 록커부재(50)의 록킹 및 록킹해제 동작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없고, 창문손잡이의 회전각도를 크게 할수록 창문손잡이의 위치가 수직에서 점점 수평에 가까워지기 때문에 창문을 열기 위해 열림방향으로 힘을 주는 것이 불편하게 된다. 따라서 가장 적합한 창문손잡이의 회전각도는 수직위치에서 약 35도로 설정하고 있다.
이와 같이 설정된 창문손잡이의 회전각도를 이용하여 열림보조장치를 구성할 때 창틀을 밀어내는 이격거리는 길게 할수록 좋지만, 회동부재(20)와 이에 연동하는 연결부재(30) 등의 부품 사이즈가 커지거나 길어지기 때문에, 협소한 하우징(10)의 내부공간을 이용하여 구성 가능한 열림보조장치의 최대 이격거리는 약 30Cm이다.
이러한 조건하에서 선행기술 2와 같은 시소 형태의 연동 구조를 가지는 열림 보조장치는, 연결부재(30)의 회전중심(O)에서 회동부재(20)에 의해 힘이 가해지는 제1 길이(L1)를 짧게 설정할 수밖에 없고, 창틀과의 최대 이격거리를 유지하기 위해 연결부재(30)과 돌출부재(40)의 연결 위치인 제2 길이(L2)는 상대적으로 길어질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지렛대 원리의 반대 작용에 의해 창틀을 밀어낼 때 힘이 많이 들어 창문손잡이를 회전시켜 창문을 열 때 도움을 주는 효과가 감소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시소 형태의 연동 구조는, 연결부재(30)의 회전중심(O)을 기준으로 하여 회동부재(20)에 의해 힘이 가해지는 위치와 돌출부재(40)에 의해 창틀을 미는 위치가 양쪽에 형성됨에 따라, 열림보조장치의 길이가 길어져 창호용 자동 록킹장치의 전체 사이즈가 커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창문 개방을 위한 창문손잡이의 조작시 창문의 록킹이 완전히 해제된 상태에서 보조열림기구의 동작이 이루어지게 하여 초기에 드는 힘을 줄일 수 있음과 동시에, 보조열림기구의 동작에 소요되는 힘을 효율적으로 작용시킴으로써 창문을 열 때 도움을 주는 효과와 창문 개방시 창문손잡이의 조작감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보조열림기구의 길이를 단축시켜 장치의 전체 사이즈가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보조열림기구가 구비된 미닫이 창호용 자동 록킹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 공간을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소정각도 회전 자유롭게 설치되고 창문손잡이의 축과 결합되는 축구멍이 형성된 회전체와, 상기 하우징에 소정각도 회전 자유롭게 설치되고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창틀의 스트라이커에 록킹 또는 록킹해제되는 록커와, 상기 회전체와 록커 사이에 설치되고 회전체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여 록커의 록킹 또는 록킹해제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연동부재와, 상기 연동부재와 하우징 사이에 설치되어 연동부재가 회전체쪽으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미닫이 창호용 자동 록킹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고정끝단이 일축을 중심으로 하여 소정각도 회전 자유롭게 설치되고, 창틀과 접촉하여 미는 롤러가 설치된 자유끝단은 회전체를 향하여 배치되어, 하우징 내에 삽입되는 창문닫힘위치와 하우징 외부로 돌출되어 창문을 창틀로부터 밀어내어 이격시키는 창문열림위치 사이에서 회전하도록 된 아암부재; 및 상기 연동부재와 아암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일측의 제1 핀은 상기 연동부재에 연결되고, 타측의 제2 핀은 아암부재에 연결되어, 연동부재의 직선운동을 아암부재의 회전운동으로 연동시키는 링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아암부재와 연결되는 제2 핀은, 연동부재와 연결된 제1 핀의 직선이동방향에서 아암부재의 회전방향쪽으로 벗어남과 동시에, 아암부재의 롤러와 회전중심인 일축 사이에 위치하여, 아암부재의 롤러와 회전중심 사이에서 아암부재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힘을 가하도록 된 보조열림기구가 구비된 미닫이 창호용 자동 록킹장치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동부재에는 링크부재의 제1 핀이 연결되는 장방형의 연동지연구멍을 연동부재의 직선이동방향으로 형성하여 연동부재의 직선이동시 초기구간에서는 록커의 록킹해제 동작만 이루어지고 링크부재의 연동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며, 상기 하우징에는 링크부재의 제1 핀 및 제2 핀이 끼워져 링크부재의 운동궤적을 설정하는 제1 및 제2 링크동작유도홈을 형성하여 연동부재의 직선운동을 아암부재의 회전운동으로 연동시키는 링크부재의 동작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아암부재에는 링크부재의 운동궤적에 의해 제2 핀의 연결위치가 변화하는 것에 대응하여 장방형구멍을 형성하며, 상기 제2 링크동작유도홈은, 아암부재의 회전중심인 일축에서부터 제2 핀까지의 반경 길이가, 아암부재의 창문열림위치보다 창문닫힘위치에서 더 길게 설정하여 창틀을 밀 때 초기에 소요되는 힘을 감소시키도록 한 보조열림기구가 구비된 미닫이 창호용 자동 록킹장치에 특징이 있다.
상기의 특징적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보조열림기구의 아암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해 힘을 가하는 링크부재의 제2 핀이 아암부재의 회전중심과 자유끝단에 설치된 롤러 사이에 위치하고 힘이 가해지는 방향이 아암부재의 회전방향과 동일함에 따라, 종래의 시소 형태의 연동구조에 비하여 창틀을 밀때 소요되는 힘을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창문을 열 때 도움을 주는 효과와 창문손잡이 회전시의 조작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보조열림기구의 길이를 단축시켜 창호용 자동 록킹장치의 전체 사이즈가 커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동부재의 직선운동을 아암부재의 회전운동으로 연동시키는 링크부재의 운동궤적이 하우징에 형성한 제1 및 제2 링크동작유도홈에 의해 항상 일정하게 유도됨에 따라, 보조열림기구의 동작이 정확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져 장치의 성능 및 조작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며, 아암부재에 힘을 가하는 제2 핀의 위치가 제2 링크동작유도홈에 의해 아암부재의 회전중심으로부터 반경이 긴쪽에서 짧은쪽으로 변화되도록 설정됨에 따라 창틀을 밀때 초기에 드는 힘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어 창문을 열 때 도움을 주는 효과를 더욱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의 (a) 및 (b)는 종래예의 미닫이 창호용 자동 록킹장치를 나타낸 동작 상태도.
도 2는 열림보조장치의 선행기술 1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열림보조장치의 선행기술 2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보조열림기구가 구비된 미닫이 창호용 자동 록킹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커버를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보조열림기구가 구비된 미닫이 창호용 자동 록킹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보조열림기구가 구비된 미닫이 창호용 자동 록킹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커버를 분리한 상태의 정면도.
도 7의 (a) 및 (b)는 본 발명의 보조열림기구가 구비된 미닫이 창호용 자동 록킹장치의 동작 상태도.
도 8의 (a) 및 (b)는 본 발명의 보조열림기구가 구비된 미닫이 창호용 자동 록킹장치에서 제1 및 제2 링크동작유도홈에 의한 링크부재의 운동궤적을 나타낸 동작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열림기구가 구비된 미닫이 창호용 자동 록킹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내부 공간을 가지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 내부에 설치되는 록커(20), 회전체(30) 및 연동부재(40)를 구비한다.
하우징(10)은 창문(W1)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내부에 상기 부품들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한쪽면이 개방되어 커버(11)(도 4 참조)로 개폐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하우징(10)에 설치되는 록커(20)는, 창틀(W2)에 설치된 스트라이커(W3)(도 6 참조)와 록킹 또는 록킹해제하기 위한 구성으로, 스트라이커(W3)의 일단에 록킹 또는 록킹해제되는 록킹홈(21)이 형성되어 있고, 하우징(10)에 축지지되어 상기 록킹홈(21)이 스트라이커(W3)에 록킹되는 위치(도 7의 (a) 위치)와 록킹해제되는 위치(도 7의 (b) 위치) 사이에서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다.
록커(20)와 하우징(10) 사이에는 토션스프링(12)(도 6 참조)이 설치되어 록커(20)의 록킹홈(21)이 스트라이커(W3)로부터 록킹해제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도록 되어 있다.
회전체(30)는 창문(W1)에 설치되는 창문손잡이(도시 안됨)의 축과 결합되는 축구멍(31)이 형성되어 있고, 바깥둘레면에는 연동부재(40)를 연동시키기 위한 경사돌기(32)가 형성되어 있다.
연동부재(40)는 록커(20)와 회전체(30) 사이에 위치하여 회전체(30)의 경사돌기(32)와 일단부가 밀착하도록 설치되고, 회전체(30)의 회전에 따라 직선방향으로 연동하여 록커(20)의 작동을 제한하도록 되어 있다.
즉, 연동부재(40)는 록커(20)쪽에 록커(20)의 록킹홈(21)이 스트라이커(W3)에 록킹된 위치에서, 록커(20)에 형성한 걸림턱(22)에 걸림유지 또는 걸림해제되는 걸림부(41)를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회전체(30)의 회전조작으로 연동부재(40)가 직선이동하는 것에 의해 연동부재(40)의 걸림부(41)가 록커(20)의 걸림턱(22)에 걸림유지 또는 걸림해제되는 것에 의해 록커(20)의 작동을 제한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연동부재(40)와 하우징(10) 사이에는 상기 연동부재(40)의 걸림부(41)가 록커(20)의 걸림턱(22)에 걸림유지되는 방향, 즉 연동부재(40)가 회전체(30)쪽으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도록 탄성부재(13)가 설치되고, 탄성부재(13)는 압축코일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하우징(10) 내에 설치되는 회전체(30)의 경사돌기(32), 연동부재(40), 록커(20), 토션스프링(12) 및 탄성부재(13)는, 회전체(30)를 중심으로 하여 양쪽에 대칭되게 배치함으로써 스트라이커(W3)의 상,하 양단에서 한 쌍의 록커(20)가 록킹 및 록킹해제 되게 할 수 있고, 이로써 미닫이 창호의 록킹 성능을 더욱 견고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미닫이 창호용 자동 록킹장치는 창문(W1)을 열 때 소요되는 힘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창문손잡이의 회전 조작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보조열림기구를 구비한다.
보조열림기구는 회전체(30)를 중심으로 양쪽에 배치된 연동부재(40) 중 어느 한쪽에 위치한 연동부재(40)의 직선운동에 연동하는 아암부재(50)와 링크부재(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도 6를 기준으로 할 때 회전체(30)의 위쪽에 위치한 연동부재(40)와 연동하는 구성이 예시되어 있다.
아암부재(50)는 하우징(10) 내에 고정끝단(51)이 일축(14)을 중심으로 하여 소정각도 회전 자유롭게 설치되고, 창틀(W2)과 접촉하여 미는 롤러(52)가 설치된 자유끝단은 회전체(30)쪽을 향하여 배치되어 하우징(10) 내에 삽입되는 창문닫힘위치(도 7의 (a) 위치)와 하우징(10) 외부로 돌출하여 창틀(W2)을 밀어냄으로써 창문(W1)을 창틀(W2)로부터 소정거리 이격시키는 창문열림위치(도 7의 (b) 위치) 사이에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아암부재(50)와 하우징(10) 사이에는 아암부재(50)가 항상 창문닫힘위치로 이동하도록 힘을 가하는 코일스프링(15)을 설치하는 것이 좋다.
링크부재(60)는 연동부재(40)와 아암부재(50)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일측의 제1 핀(61)은 상기 연동부재(40)에 연결되고, 타측의 제2 핀(62)은 아암부재(50)에 연결되어 연동부재(40)의 직선운동을 아암부재(50)의 회전운동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때, 아암부재(50)와 연결되는 제2 핀(62)의 위치는 연동부재(40)에 연결되는 제1 핀(61)의 직선이동방향에서 아암부재(50)의 회전방향쪽으로 소정각도 벗어난 위치에 형성함으로써 제1 핀(61)의 직선운동시 제2 핀(62)이 아암부재(50)의 회전방향으로 이동하는 운동궤적이 만들어지도록 한다(도 7의 (b) 참조).
제2 핀(62)의 위치는 아암부재(50)의 회전중심인 일축(14)과 롤러(52) 사이에 위치시킴으로써, 일축(14)과 롤러(52) 사이에서 제2 핀(62)이 아암부재(50)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힘을 가할 수 있도록 하여 창틀(W2)을 밀때 소요되는 힘을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링크부재(60)의 제1 핀(61)이 연결되는 연동부재(40)에 장방형의 연동지연구멍(42)을 연동부재(40)의 직선이동방향으로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장방형의 연동지연구멍(42)과 제1 핀(61) 사이에 소정의 틈새(도 6 참조)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연동부재(40)의 직선이동시 초기구간에서는 록커(20)의 록킹해제 동작만 이루어지고 링크부재(60)는 연동하지 않아 보조열림기구가 동작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에는 도 8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부재(60)의 제1 핀(61) 및 제2 핀(62)이 끼워져 안내되는 장방형의 제1 및 제2 링크동작유도홈(16,17)이 형성된다.
제1 및 제2 링크동작유도홈(16,17)은 링크부재(60)의 제1 및 제2 핀(61,62)의 운동궤적을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 제1 링크동작유도홈(16)은 연동부재(40)의 직선이동방향으로 형성하고, 제2 링크동작유도홈(17)은 아암부재(50)의 회전방향으로 형성한다. 이러한 제1 및 제2 링크동작유도홈(16)은 연동부재(40)의 직선운동을 아암부재(50)의 회전운동으로 연동시키는 운동궤적이 항상 정확하고 유동없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제2 링크동작유도홈(16)의 운동궤적은, 아암부재(50)의 회전중심인 일축(14)로부터 창문닫힘위치에서의 제2 핀(62)의 반경(R1)(도 8의 (a) 위치)이 창문열림위치에서의 제2 핀(62)의 반경(R2)(도 8의 (b) 위치)보다 길게 설정한다. 이는 아암부재(50)의 회전중심인 일축(14)으로부터 반경이 길수록 아암부재(50)를 회전시키는 힘을 감소시킬 수 있어 창틀을 밀 때 초기에 드는 힘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링크부재(60)의 운동궤적에 의해 아암부재(50)에 연결되는 링크부재(60)의 제2 핀(62) 위치가 변화될 수 있고, 이를 위해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아암부재(50)에 링크부재(60)의 제2 핀(62)이 끼워져 연결되는 장방형구멍(53)을 형성하여 제2 핀(62)의 연결위치 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에서와 같이 록커(20)의 록킹홈(21)이 스트라이커(W3)에 록킹되어 창문(W1)이 잠긴 상태에서는 연동부재(40)가 회전체(30)에 근접된 상태로서, 연동부재(40)의 걸림부(41)가 록커(20)의 걸림턱(22)에 걸림유지되어 록커(20)가 회전하지 못하게 되고, 탄성부재(13)의 탄성력은 연동부재(40)를 회전체(30)쪽, 다시 말해서 걸림부(41)를 걸림턱(22)에 걸림유지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게 되므로, 창문(W1)의 록킹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보조열림기구인 링크부재(60)의 제1 핀(61)은 연동지연구멍(42)의 일측(도면에서 상측)과 접촉되어 연동부재(40)에 의해 회전체(30)쪽으로 당겨져 있는 상태이며, 아암부재(50)는 링크부재(60)의 제2 핀(62)과 코일스프링(15)에 의해 회전체(30)쪽으로 당겨져 하우징(10) 내에 삽입된 창문닫힘위치에 있게 된다.
이러한 창문닫힘상태에서, 창문(W1)을 열기 위해 창문손잡이(도시하지 않음)를 회전조작하게 되면, 도 7의 (a)에서와 같이 회전체(30)가 회전(도면의 시계방향)하게 되고, 이로 인해 회전체(30)의 경사돌기(32)가 연동부재(40)를 밀어 회전체(3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직선이동시키게 된다.
연동부재(40)가 직선이동하면, 걸림부(41)는 록커(20)의 걸림턱(22)으로부터 걸림해제되고, 록커(20)는 토션스프링(12)의 탄성력에 의해 록킹홈(21)이 스트라이커(W3)로부터 록킹해제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때, 연동부재(40)의 연동지연구멍(42)에 제1 핀(61)이 연결된 링크부재(60)는, 연동부재(40)의 직선이동 초기에는 연동하지 않는 것으로, 연동지연구멍(42)의 타측(도면에서 하측)과 제1 핀(61) 사이의 틈새에 의해 연동하는 것을 지연시킬 수 있으며, 연동지연구멍(42)의 장방형 길이를 설정하는 것에 의해 록커(20)의 록킹해제 동작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제1 핀(61)이 연동지연구멍(42)의 타측(하측)과 접촉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체(30)의 회전시 초기에는 록커(20)의 록킹해제 기능만 수행하고, 보조열림기구의 아암부재(50)는 연동하지 않음으로써 록커(20)가 완전히 록킹해제된 상태에서 보조열림기구를 동작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선행기술 1에서 록커(20)가 록킹해제되지 않은 상태에서 보조열림기구가 동작함으로써 창문(W1)을 열 때 초기에 힘이 많이 드는 문제와 이로 인한 창문손잡이의 회전시 조작감 저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어서, 도 7의 (b)에서와 같이 회전체(30)가 계속 회전하여 연동부재(40)를 더욱 직선이동시키면, 연동부재(40)의 연동지연구멍(42) 하측에 접촉된 제1 핀(61)을 이동시켜 링크부재(60)를 연동시킬 수 있고, 링크부재(60)의 제2 핀(62)은 아암부재(50)의 회전방향으로 아암부재(50)에 힘을 가하여 창문닫힘위치에서 창문열림위치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로써 아암부재(50)의 롤러(52)가 창틀(W2)을 밀어내어 창문(W1)을 소정거리 이격시키게 되므로, 사용자가 창문(W1)을 여는 동작을 도울 수 있고, 록커(20)는 토션스프링(12)에 의해 록킹위치에서 록킹해제위치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의 보조열림기구는, 아암부재(50)를 회전시키기 위한 힘이 작용하는 제2 핀(62)의 위치가 창틀(W2)을 미는 아암부재(50)의 롤러(52)와 회전중심인 일축(14) 사이에 위치하여 아암부재(50)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된다.
따라서 회전중심을 가운데 두고 양쪽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는 선행기술 2에 비하여 힘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창문(W1)을 열 때 도움 주는 효과를 높일 수 있고, 보조열림기구의 길이를 짧게 하여 창호용 자동 록킹장치의 전체 사이즈가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도 8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에 링크부재(60)의 제1 핀(61) 및 제2 핀(62)이 끼워져 링크부재(60)의 운동궤적을 설정하는 제1 및 제2 링크동작유도홈(16,17)이 형성된 것이므로, 연동부재(40)의 직선운동을 아암부재(50)의 회전운동으로 연동시키는 링크부재(60)의 운동궤적을 항상 일정하게 하여 동작을 유동없이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어 제품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아암부재(50)가 하우징(10) 내에 삽입되는 창문닫힘위치에서는 도 8의 (a)에서와 같이 링크부재(60)의 제1 핀(61)은 제1 링크동작유도홈(16)의 하단에 접촉하고, 제2 핀(62)은 제2 링크동작유도홈(17)의 좌측단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연동부재(40)가 도면의 위방향으로 직선이동하게 되면, 도 8의 (b)에서와 같이 링크부재(60)의 제1 핀(61)은 제1 링크동작유도홈(16)의 상단으로 이동하고, 링크부재(60)의 제2 핀(62)은 제2 링크동작유도홈(17)의 우측단으로 이동하므로 제2 핀(62)이 아암부재(50)를 창문닫힘위치에서 창문열림위치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제2 핀(62)이 안내되는 제2 링크동작유도홈(17)의 궤적은 아암부재(50)의 창문닫힘위치에서 아암부재(50)의 일축(14)으로부터 제2 핀(62)의 반경(R1)이 창문열림위치에서의 반경(R2)보다 길게 형성된 것이므로, 회전중심으로부터 힘을 가하는 반경이 일정한 시소 타입의 선행기술 2에 비하여 창틀을 밀 때 초기에 소요되는 힘을 감소시킬 수 있다.
반대로 창문(W1)을 닫을 때에는 아암부재(50)가 창틀(W2)에 눌려 창문열림위치에서 창문닫힘위치로 회전하게 되고, 이로써 링크부재(60)의 제2 핀(62)이 제2 링크동작유도홈(17)에 안내되어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제1 핀(61)은 제1 링크동작유도홈(16)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하여 도 8의 (a) 상태로 원위치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링크부재(60)의 운동궤적은 제1 및 제2 핀(62)이 안내되는 제1 및 제2 링크동작유도홈(16,17)에 의해 항상 일정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지므로, 보조열림기구의 연동 동작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져 제품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하우징 13 : 탄성부재
14 : 일축 16,17 : 제1 및 제2 링크동작유도홈
20 : 록커 30 : 회전체
40 : 연동부재 42 : 연동지연구멍
50 : 아암부재 51 : 고정끝단
52 : 롤러 53 : 장방형구멍
60 : 링크부재 61,62 : 제1 및 제2 핀
W1 : 창문 W2 : 창틀
W3 : 스트라이커

Claims (2)

  1. 내부 공간을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소정각도 회전 자유롭게 설치되고 창문손잡이의 축과 결합되는 축구멍이 형성된 회전체와, 상기 하우징에 소정각도 회전 자유롭게 설치되고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창틀의 스트라이커에 록킹 또는 록킹해제되는 록커와, 상기 회전체와 록커 사이에 설치되고 회전체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여 록커의 록킹 또는 록킹해제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연동부재와, 상기 연동부재와 하우징 사이에 설치되어 연동부재가 회전체쪽으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미닫이 창호용 자동 록킹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고정끝단이 일축을 중심으로 하여 소정각도 회전 자유롭게 설치되고, 창틀과 접촉하여 창틀을 미는 롤러가 설치된 자유끝단은 회전체를 향하여 배치되어, 하우징 내에 삽입되는 창문닫힘위치와 하우징 외부로 돌출되어 창문을 창틀로부터 밀어내어 이격시키는 창문열림위치 사이에서 회전하도록 된 아암부재; 및
    상기 연동부재와 아암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일측의 제1 핀은 상기 연동부재에 연결되고, 타측의 제2 핀은 아암부재에 연결되어, 연동부재의 직선운동을 아암부재의 회전운동으로 연동시키는 링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아암부재와 연결되는 제2 핀은, 연동부재와 연결된 제1 핀의 직선이동방향에서 아암부재의 회전방향쪽으로 벗어남과 동시에, 아암부재의 롤러와 회전중심인 일축 사이에 위치하여, 아암부재의 롤러와 회전중심 사이에서 아암부재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힘을 가하도록 되고,
    상기 연동부재에는 링크부재의 제1 핀이 연결되는 장방형의 연동지연구멍을 연동부재의 직선이동방향으로 형성하여 연동부재의 직선이동시 초기구간에서는 록커의 록킹해제 동작만 이루어지고 링크부재의 연동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며,
    상기 하우징에는 링크부재의 제1 핀 및 제2 핀이 끼워져 링크부재의 운동궤적을 설정하는 제1 및 제2 링크동작유도홈을 형성하여, 연동부재의 직선운동을 아암부재의 회전운동으로 연동시키는 링크부재의 동작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아암부재에는 링크부재의 운동궤적에 의해 제2 핀의 연결위치가 변화하는 것에 대응하여 장방형구멍을 형성하며,
    상기 제2 링크동작유도홈은, 아암부재의 회전중심인 일축에서부터 제2 핀까지의 반경 길이가, 아암부재의 창문열림위치보다 창문닫힘위치에서 더 길게 설정하여 창틀을 밀 때 초기에 소요되는 힘을 감소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열림기구가 구비된 미닫이 창호용 자동 록킹장치.
  2. 삭제
KR1020190110121A 2019-09-05 2019-09-05 보조열림기구가 구비된 미닫이 창호용 자동 록킹장치 KR1021872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0121A KR102187289B1 (ko) 2019-09-05 2019-09-05 보조열림기구가 구비된 미닫이 창호용 자동 록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0121A KR102187289B1 (ko) 2019-09-05 2019-09-05 보조열림기구가 구비된 미닫이 창호용 자동 록킹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7289B1 true KR102187289B1 (ko) 2020-12-04

Family

ID=73776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0121A KR102187289B1 (ko) 2019-09-05 2019-09-05 보조열림기구가 구비된 미닫이 창호용 자동 록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728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4933A (ko) * 2001-03-22 2002-10-04 이병노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KR101627578B1 (ko) * 2016-03-03 2016-06-07 이재선 미닫이 창호용 자동 록킹장치의 록킹조립체
KR20170018594A (ko) * 2015-08-10 2017-02-20 (주)엘지하우시스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4933A (ko) * 2001-03-22 2002-10-04 이병노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KR20170018594A (ko) * 2015-08-10 2017-02-20 (주)엘지하우시스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
KR101627578B1 (ko) * 2016-03-03 2016-06-07 이재선 미닫이 창호용 자동 록킹장치의 록킹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61239B2 (ja) 止めラッチを有するラッチ構成
KR101868469B1 (ko) 방향 전환이 용이한 푸쉬풀 도어락
KR101943741B1 (ko) 슬라이딩 창호용 잠금장치
TWI592560B (zh) Lock device and sliding door with the lock device
JP2001164819A (ja) 窓障子用ステ−
KR200488399Y1 (ko) 모티스 샤프트 직접 구동형 푸쉬풀 핸들을 갖는 도어락
KR101627578B1 (ko) 미닫이 창호용 자동 록킹장치의 록킹조립체
KR101467285B1 (ko) 래치볼트의 고정구조체
CN100374676C (zh) 门锁装置
KR102452891B1 (ko) 창호용 잠금장치
KR102187289B1 (ko) 보조열림기구가 구비된 미닫이 창호용 자동 록킹장치
KR102151087B1 (ko) 반자동 잠금 기능이 구비된 미닫이 창호용 핸들조립체
KR200456588Y1 (ko) 창호용 자동 잠금장치
KR100686609B1 (ko) 도어 록 장치
KR101929708B1 (ko) 창호용 그립핸들
KR101924465B1 (ko) 일체형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
KR102165867B1 (ko) 미닫이 창호용 핸들조립체
KR102172797B1 (ko) 다기능 미닫이 창호용 자동잠금장치
KR102309326B1 (ko) 록커를 이용한 보조열림기능이 구비된 미닫이 창호용 자동잠금장치
JP4686213B2 (ja) 引き戸の開き装置
JPH06307155A (ja) 窓等の開閉装置
KR101467284B1 (ko) 래치볼트 고정레버의 작동장치
KR102061739B1 (ko) 미닫이창용 핸들
KR102365845B1 (ko) 미닫이 창호의 개방 보조장치
CN111094680A (zh) 用于出入口构件的操纵器、包括该操纵器的出入口构件、系统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