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1739B1 - 미닫이창용 핸들 - Google Patents

미닫이창용 핸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1739B1
KR102061739B1 KR1020190055509A KR20190055509A KR102061739B1 KR 102061739 B1 KR102061739 B1 KR 102061739B1 KR 1020190055509 A KR1020190055509 A KR 1020190055509A KR 20190055509 A KR20190055509 A KR 20190055509A KR 102061739 B1 KR102061739 B1 KR 1020617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protrusion
case
window frame
expo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5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효순
유영봉
강태구
김지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쓰리지테크놀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쓰리지테크놀러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쓰리지테크놀러지
Priority to KR1020190055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17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1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17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8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 E05B65/0864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the bolts sliding perpendicular to the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3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00Fastening knobs or handles to lock or latch parts
    • E05B3/08Fastening the spindle to the follow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0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n which the fastener is mount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out latching action
    • E05C1/06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out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bol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09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2001/0076The handle having at least two operating positions, e.g. the bolt can be retracted by moving the handle either upwards or downw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8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 E05B2065/0805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with a handle operating in both dir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미닫이창용 핸들은 내부공간을 구비하여 창짝 프레임에 고정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 구비되어 일정 반경 내에서 회전하는 손잡이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손잡이와 연결되며 상기 손잡이의 회전력에 의해 작동되는 캠과, 상기 손잡이와 연결되고 상기 손잡이의 회전력에 의해 작동되어 창짝 프레임을 창틀 프레임으로부터 해제할 시 지렛대 역할을 하는 레버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캠과 접촉되어 상기 손잡이의 회전 종료 후 상기 손잡이의 원상복귀를 보조하는 보조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미닫이창용 핸들{Handle for sliding window}
본 발명은 미닫이창용 핸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지 오픈 기능과 자동 잠금 기능을 동시에 발휘하는 미닫이창용 핸들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내외부에는 출입 단속 및 채광을 목적으로 하는 각종의 창이 마련되고, 미닫이가 주택의 거실 및 베란다 등에 설치되는 중대형 창의 주를 이루고 있다.
이와 같은 미닫이창은 창짝 프레임에 마련되는 핸들을 파지한 상태에서 일측으로 밀거나 당길 때 창짝 프레임 하단의 롤러가 창틀 프레임의 레일에서 회전함에 따라 횡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며 개폐된다.
최근에는 단열 성능의 향상을 위하여 이전에 비해 두꺼운 유리 또는 복층 유리를 창짝 프레임에 적용하므로 창짝 프레임의 하중이 상당하고, 소음 및 외기 유입 차단 성능의 향상을 위하여 창짝 프레임과 창틀 프레임 사이에 기밀수단을 적용하므로 창짝 프레임과 기밀수단이 긴밀히 접촉하여 핸들을 파지한 상태로 밀거나 당겨 창짝 프레임을 슬라이딩시키는 것이 쉽지 않아 창짝 프레임의 개방에 불편함이 따르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미닫이 창호에는 외부인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두 개의 창짝이 겹쳐지는 중간 여밈대 부분에 잠금구가 구비되거나 창틀 프레임과 창짝이 맞닿는 부위에 핸들의 개폐 시 연동 되는 잠금장치가 구비되어 창짝을 잠금 해제시킬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창호 잠금장치는 구조가 복잡하고 이를 조립하기 위한 공정이 추가됨에 따라 제조 단가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12532호(2010.12.1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창용 핸들은 이지 오픈 기능과 자동 잠금 기능을 동시에 발휘할 수 있는 미닫이창용 핸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구조가 단순하여 제조 단가 상승을 방지할 수 있는 미닫이창용 핸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닫이창용 핸들은 내부공간을 구비하여 창짝 프레임에 고정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 구비되어 일정 반경 내에서 회전하는 손잡이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손잡이와 연결되며 상기 손잡이의 회전력에 의해 작동되는 캠과, 상기 손잡이와 연결되고 상기 손잡이의 회전력에 의해 작동되어 창짝 프레임을 창틀 프레임으로부터 해제할 시 지렛대 역할을 하는 레버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캠과 접촉되어 상기 손잡이의 회전 종료 후 상기 손잡이의 원상복귀를 보조하는 보조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캠은 일단이 상기 손잡이와 결합하고 타단이 상기 케이스에서 창짝 프레임 방향으로 노출되어 상기 손잡이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축부재와, 상기 축부재와 맞대어지고 상기 케이스에서 창짝 프레임 방향으로 노출되며 상기 축부재가 상기 손잡이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할 시 작동하는 한 쌍의 작동부재와,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고 상기 한 쌍의 작동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작동부재의 작동범위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축부재는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하는 원판 형상의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작동부재와 맞대어지는 한 쌍의 제1결합돌기와. 상기 베이스의 타면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에서 창짝 프레임 방향으로 노출되는 제1노출돌기와, 상기 베이스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보조장치와 접촉되는 접촉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작동부재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결합돌기와 맞대어지는 제2결합돌기와, 상기 제2결합돌기가 구비된 상기 본체의 일면과 이웃한 타면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부재와 결합하는 가이드돌기와, 상기 가이드돌기의 상부에서 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에서 창짝 프레임 방향으로 노출되는 제2노출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에 형성되어 상기 제2노출돌기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홈과, 상기 고정판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에서 창짝 프레임 방향으로 노출되는 제3노출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레버는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노출돌기가 끼워지는 결합부와,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부의 충격을 최소화하는 탄성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일면이 개방되고 상기 캠이 내장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과 결합하며 상기 제1노출돌기, 상기 제2노출돌기 및 상기 제3노출돌기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커버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따른 미닫이창용 핸들에 의하면, 이지 오픈 기능과 자동 잠금 기능을 동시에 발휘할 수 있다.
또한, 구조가 단순하여 제조 단가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닫이창용 핸들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미닫이창용 핸들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미닫이창용 핸들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미닫이창용 핸들의 캠이 작동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미닫이창용 핸들의 레버가 작동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닫이창용 핸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닫이창용 핸들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미닫이창용 핸들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닫이창용 핸들(10)은 창짝 프레임(20)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창짝 프레임(20)의 일측에 구비된 미닫이창용 핸들(10)은 창틀 프레임(30)과 결합한 창짝 프레임(20)이 용이하게 슬라이딩하도록 함과 동시에 잠김 기능을 발휘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미닫이창용 핸들(10)은 케이스(100), 손잡이(200), 캠(300) 및 레버(400)를 구비할 수 있다.
케이스(100)는 내부공간(110)을 구비하여 캠(300)을 내장할 수 있으며, 창짝 프레임(20)과 마주보는 일면이 창짝 프레임(20)과 맞대어져 별도의 고정부재(미도시)를 통해 창짝 프레임(20)에 고정되어 미닫이창용 핸들(10)이 창짝 프레임(20)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케이스(100)는 캠(300)이 내장가능하고 창짝 프레임(20)에 용이하게 설치 가능한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스(100)의 세부 구성은 추후에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손잡이(200)는 창짝 프레임(20)의 실내측에 위치하도록 케이스(100)의 타면 즉, 창짝 프레임(20)과 마주보는 일면과 대응되는 일면에 구비되며 일측이 캠(300)과 결합할 수 있다. 창짝 프레임(20)의 실내측에 위치한 손잡이(200)는 재실자에 의해 캠(300)과 결합한 일측을 축으로 하여 일정 반경 내에서 회전할 수 있다. 창짝 프레임(20)은 손잡이(200)가 일정 반경 내에서 회전함에 따라 창틀 프레임(30)으로부터 잠금 또는 해제될 수 있다. 그리고 손잡이(200)는 재실자가 손잡이(200)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고 회전 시 창짝 프레임(20) 또는 창틀 프레임(30)과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구조와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히다.
캠(300)은 케이스(100)의 내부공간(110)에 위치하며, 손잡이(200)와 연결될 수 있다. 손잡이(200)와 연결된 캠(300)은 손잡이(200)의 회전력에 의해 작동되어 창짝 프레임(20)이 창틀 프레임(30)으로부터 잠금 또는 해제되도록 할 수 있다. 캠(300)의 세부 구성은 추후에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레버(400)는 손잡이(200)와 연결되어 손잡이(200)의 회전력에 의해 작동되며, 재실자가 손잡이(200)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켜 창짝 프레임(20)을 창틀 프레임(30)으로부터 잠금 해제시킬 시 지렛대 역할을 하여 재실자가 용이하게 잠금 해제시킴과 동시에 창짝 프레임(20)을 쉽게 슬라이딩 되도록 할 수 있다. 레버(400)의 세부 구성은 추후에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손잡이(200)에 캠(300)과 레버(400)가 모두 연결되고 재실자에 의해 손잡이(200)가 일 방향으로 회전될 시 캠(300)이 작동하여 창짝 프레임(20)이 창틀 프레임(30)으로부터 잠금 또는 해제되고 레버(400)가 작동하여 창짝 프레임(20)을 쉽게 슬라이딩 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닫이창용 핸들(10)의 케이스(100), 캠(300) 및 레버(40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미닫이창용 핸들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미닫이창용 핸들의 캠이 작동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미닫이창용 핸들의 레버가 작동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닫이창용 핸들(10)은 내부공간(110)을 구비하여 창짝 프레임(20)에 고정되는 케이스(100), 케이스(100)의 일면에 구비되어 일정 반경 내에서 회전하는 손잡이(200), 케이스(100)의 내부공간(110)에 위치하고 손잡이(200)와 연결되며 손잡이(200)의 회전력에 의해 작동되는 캠(300) 및 손잡이(200)와 연결되고 손잡이(200)의 회전력에 의해 작동되어 창짝 프레임(20)을 창틀 프레임(30)으로부터 해제할 시 지렛대 역할을 하는 레버(400)를 구비할 수 있다.
먼저, 캠(300)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면, 캠(300)은 축부재(310), 작동부재(320) 및 가이드부재(330)를 구비할 수 있다.
축부재(310)는 일단이 손잡이(200)와 결합하고 타단이 케이스(100)에서 창짝 프레임(20) 방향으로 노출되는 형태로 구비되고, 손잡이(200)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여 작동부재(32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축부재(310)는 베이스(311), 제1결합돌기(312) 및 제1노출돌기(313)를 구비할 수 있다. 베이스(311)는 원판 형상으로 구비되어 내부공간(110)에 위치하며, 베이스(311)의 일면에는 제1결합돌기(312)가 구비되고 타면에는 제1노출돌기(313)가 구비될 수 있다.
베이스(311)의 일면에 구비되는 제1결합돌기(312)는 베이스(311)의 중심을 축으로 서로 일정거리를 유지하도록 한 쌍을 이루어 구비되며 작동부재(320)와 맞대어질 수 있다. 여기서, 한 쌍의 제1결합돌기(312)는 직삼각형 형태로 구비되는데 사면이 서로 다른 방향을 바라보도록 구비될 수 있다.
베이스(311)의 타면에 구비되는 제1노출돌기(313)는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케이스(100)에서 창짝 프레임(20) 방향으로 노출되며 노출된 제1노출돌기(313)의 일단에 레버(400)가 결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노출돌기(313)가 손잡이(200)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할 시 제1노출돌기(313)와 결합한 레버(400)도 함께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축부재(310)는 접촉돌기(31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접촉돌기(314)는 제1결합돌기(312)와 마찬가지로 베이스(311)의 일면에 구비되며 손잡이(200)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할 시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여기서, 케이스(100)의 내부공간(100)에는 접촉돌기(314)의 회전반경 내에 위치하여 접촉돌기(314)와 접촉되는 보조장치(500)가 구비될 수 있다. 보조장치(500)는 유압실린더 등 다양한 유형의 장치들이 사용될 수 있으며, 손잡이(200)의 회전이 종료된 후 원상복귀 될 시 느린 속도로 복귀되도록 함으로써 원상복귀 시 발생하는 충격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한편, 작동부재(320)는 한 쌍으로 구비되며, 제1결합돌기(312)를 통해 축부재(310)와 맞대어지고 케이스(100)에서 창짝 프레임(20) 방향으로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축부재(310)가 손잡이(200)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할 시 한 쌍의 제1결합돌기(312)에 의해 작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작동부재(320)는 본체(321), 제2결합돌기(322), 가이드돌기(323) 및 제2노출돌기(324)를 구비할 수 있다.
본체(321)에는 제2결합돌기(322), 가이드돌기(323) 및 제2노출돌기(324)가 구비되어 본체(321)를 통해 일체화될 수 있다. 그리고 본체(321)는 제2결합돌기(322), 가이드돌기(323) 및 제2노출돌기(324)가 용이하게 구비되고 케이스(100)의 내부공간(110)에 내장될 수 있는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결합돌기(322)는 본체(321)의 일면에 구비되어 제1결합돌기(312)와 맞대어질 수 있다. 이때, 제2결합돌기(322)는 제1결합돌기(312)와 마찬가지로 직삼각형 형태로 구비되는데 사면이 맞대어지는 제1결합돌기(312)의 사면과 서로 다른 방향을 바라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결합돌기(312)와 맞대어진 제2결합돌기(322)는 축부재(310)의 제1결합돌기(312)가 손잡이(200)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할 시 제1결합돌기(312)의 사면을 따라 슬라이딩 됨으로써 작동될 수 있다.
가이드돌기(323)는 제2결합돌기(322)가 구비된 본체(321)의 일면과 이웃한 타면에 구비되어 가이드부재(330)와 결합할 수 있다. 가이드돌기(323)는 가이드부재(330)에 의해 작동범위가 한정되며 한정된 작동범위 내에서 가이드 될 수 있다. 따라서, 작동부재(320)가 축부재(310)에 의해 작동될 시 일정한 방향으로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제2노출돌기(324)는 가이드돌기(323)의 상부에서 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케이스(100)에서 창짝 프레임(20) 방향으로 노출될 수 있다. 케이스(100)에서 창짝 프레임(20) 방향으로 노출된 제2노출돌기(324)는 창짝 프레임(20)이 창틀 프레임(30)에 잠금 될 시 창틀 프레임(30)에 구비되는 키퍼(40)에 삽입될 수 있다.
한편, 가이드부재(330)는 케이스(100)에 고정되고 한 쌍의 작동부재(320)와 연결되어 한 쌍의 작동부재(320)의 작동범위를 가이드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가이드부재(330)는 고정판(331), 가이드홈(332) 및 제3노출돌기(333)를 구비할 수 있다.
고정판(331)은 얇은 판 형태로 구비되며 케이스(100)의 측면에 위치하여 가이드부재(330)를 케이스(100)에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가이드홈(332)은 고정판(331)에 형성되며 작동부재(320)의 가이드돌기(323)가 위치할 수 있다. 가이드홈(332)에 위치한 가이드돌기(323)는 가이드홈(332)을 따라 이동되고 동시에 제2노출돌기(324)의 노출되는 길이가 짧아지거나 길어지도록 할 수 있다.
제3노출돌기(333)는 얇은 판 형태로 고정판(331)의 일단에 구비되며 케이스(100)에서 창짝 프레임(20) 방향으로 노출될 수 있다. 케이스(100)에서 창짝 프레임(20) 방향으로 노출된 제3노출돌기(333)는 창짝 프레임(20)이 창틀 프레임(30)에 잠금하고자 할 시 잠금 직전에 창틀 프레임(30)에 설치된 키퍼(40)와 접촉될 수 있다.
상기의 내용을 바탕으로 캠(300)의 작동원리를 살펴보면, 손잡이(200)를 일 방향으로 회전할 시 손잡이(200)의 회전력이 축부재(310)에 전달되고 축부재(310)의 제1결합돌기(312)와 작동부재(320)의 작동부재(320)의 제2결합돌기(322)를 통해 축부재(310)에 전달된 회전력이 작동부재(320)에 전달된다. 동시에 작동부재(320)의 가이드돌기(323)가 가이드부재(330)에 의해 가이드되어 제2노출돌기(324)의 노출 길이와 위치가 고정된다. 이에 따라, 손잡이(200) 또한 일 방향으로 회전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창짝 프레임(20)을 창틀 프레임(30)에 잠금하고자 할 시에는 잠금 직전에 가이드부재(330)의 제3노출돌기(333)가 키퍼(40)와 접촉하여 고정된 제2노출돌기(324) 및 손잡이(200)가 해제될 수 있다.
다음은 레버(400)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레버(400)는 손잡이(200)와 연결되어 손잡이(200)의 회전력에 의해 작동되며, 재실자가 손잡이(200)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켜 창짝 프레임(20)을 창틀 프레임(30)으로부터 잠금 해제시킬 시 지렛대 역할을 하여 재실자가 용이하게 잠금 해제시킴과 동시에 창짝 프레임(20)을 쉽게 슬라이딩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몸체부(410), 결합부(420) 및 탄성부(430)를 구비할 수 있다.
몸체부(410)는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결합부(420)는 몸체부(410)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410)의 일측에 형성된 결합부(420)에는 축부재(310)의 제1노출돌기(313)가 끼워져 캠(300)에 전달된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탄성부(430)는 몸체부(410)의 타측에 구비되고 탄성력을 구비하여 레버(400)가 지렛대 역할을 할 시 창틀 프레임(30)에 전달되는 충격을 최소화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다음은 케이스(100)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케이스(100)는 일면이 개방되고 캠(300)이 내장되는 하우징(120)과 개방된 일면에 구비되어 하우징(120)과 결합하는 커버(130)를 구비할 수 있다. 하우징(120)은 내부공간(110)을 구비하여 캠(300)이 내장될 수 있으며, 커버(130)는 제1노출돌기(313), 제2노출돌기(324) 및 제3노출돌기(333)가 관통하여 케이스(100)에 창틀 프레임(30) 방향으로 용이하게 노출되도록 하기 위한 관통홀(13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닫이창용 핸들(10)은 캠(300)과 레버(400)를 통해 손잡이(200)의 회전력으로 이지 오픈 기능과 자동 잠금 기능을 동시에 발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구조가 단순해져 제조 단가 상승을 방지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닫이창용 핸들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미닫이창용 핸들 20: 창짝 프레임
30: 창틀 프레임 40: 키퍼
100: 케이스 110: 내부공간
120: 하우징 130: 커버
131: 관통홀 200: 손잡이
300: 캠 310: 축부재
311: 베이스 312: 제1결합돌기
313: 제1노출돌기 314: 접촉돌기
320: 작동부재 321: 본체
322: 제2결합돌기 323: 가이드돌기
324: 제2노출돌기 330: 가이드부재
331: 고정판 332: 가이드홈
333: 제3노출돌기 400: 레버
410: 몸체부 420: 결합부
430: 탄성부 500: 보조장치

Claims (7)

  1. 내부공간을 구비하여 창짝 프레임에 고정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 구비되어 일정 반경 내에서 회전하는 손잡이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손잡이와 연결되며 상기 손잡이의 회전력에 의해 작동되는 캠과,
    상기 손잡이와 연결되고 상기 손잡이의 회전력에 의해 작동되어 창짝 프레임을 창틀 프레임으로부터 해제할 시 지렛대 역할을 하는 레버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캠과 접촉되어 상기 손잡이의 회전 종료 후 상기 손잡이의 원상복귀를 보조하는 보조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캠은 일단이 상기 손잡이와 결합하고 타단이 상기 케이스에서 창짝 프레임 방향으로 노출되어 상기 손잡이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축부재와, 상기 축부재와 맞대어지고 상기 케이스에서 창짝 프레임 방향으로 노출되며 상기 축부재가 상기 손잡이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할 시 작동하는 한 쌍의 작동부재와,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고 상기 한 쌍의 작동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작동부재의 작동범위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축부재는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하는 원판 형상의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작동부재와 맞대어지는 한 쌍의 제1결합돌기와, 상기 베이스의 타면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에서 창짝 프레임 방향으로 노출되는 제1노출돌기와, 상기 베이스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보조장치와 접촉되는 접촉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작동부재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결합돌기와 맞대어지는 제2결합돌기와, 상기 제2결합돌기가 구비된 상기 본체의 일면과 이웃한 타면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부재와 결합하는 가이드돌기와, 상기 가이드돌기의 상부에서 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에서 창짝 프레임 방향으로 노출되는 제2노출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에 형성되어 상기 제2노출돌기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홈과, 상기 고정판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에서 창짝 프레임 방향으로 노출되는 제3노출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창용 핸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노출돌기가 끼워지는 결합부와,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부의 충격을 최소화하는 탄성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창용 핸들.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일면이 개방되고 상기 캠이 내장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과 결합하며 상기 제1노출돌기, 상기 제2노출돌기 및 상기 제3노출돌기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커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창용 핸들.
KR1020190055509A 2019-05-13 2019-05-13 미닫이창용 핸들 KR1020617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5509A KR102061739B1 (ko) 2019-05-13 2019-05-13 미닫이창용 핸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5509A KR102061739B1 (ko) 2019-05-13 2019-05-13 미닫이창용 핸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1739B1 true KR102061739B1 (ko) 2020-01-02

Family

ID=69155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5509A KR102061739B1 (ko) 2019-05-13 2019-05-13 미닫이창용 핸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173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6470B1 (ko) * 2013-05-10 2013-07-16 김기석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
KR101924465B1 (ko) * 2017-06-27 2018-12-03 주식회사 씨에스테크 일체형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6470B1 (ko) * 2013-05-10 2013-07-16 김기석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
KR101924465B1 (ko) * 2017-06-27 2018-12-03 주식회사 씨에스테크 일체형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2529B1 (ko)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
US11168496B2 (en) Latching device and sliding door using same
US4036517A (en) Rotary door latch
KR200456588Y1 (ko) 창호용 자동 잠금장치
KR102061739B1 (ko) 미닫이창용 핸들
JP4514403B2 (ja) ラッチング機構
JP2007009549A (ja) 錠装置
KR101667352B1 (ko) 디지털 도어록의 모티스 록
TWI676732B (zh) 具備可開關式減壓用開口之門以及減壓用面板閂鎖裝置
KR20200130941A (ko) 미닫이창용 핸들
KR20090022109A (ko) 회동식 도어용 잠금장치
JP4607620B2 (ja) ラッチ錠
KR101829937B1 (ko) 개폐가능한 고정창을 갖는 리프트 슬라이딩 창호
KR20150098498A (ko) 데드볼트 지지력이 향상된 도어락 모티스
KR102187289B1 (ko) 보조열림기구가 구비된 미닫이 창호용 자동 록킹장치
KR102645560B1 (ko) 푸시열림기능을 가진 도어 잠금시스템
JP3198432B2 (ja) 室内ドア
KR102309326B1 (ko) 록커를 이용한 보조열림기능이 구비된 미닫이 창호용 자동잠금장치
US3337248A (en) Mortise lock knob locking means
TWI671457B (zh) 閂鎖裝置及其適用之滑門結構
JP2001323702A (ja) 引き違い戸の鎌錠装置
KR102076163B1 (ko) 그립형태를 갖는 무락형 핸들 조립체
JP3723052B2 (ja) 窓サッシ等の補助錠
JP2005097866A (ja) ハンドル操作による施錠装置
JPH10205195A (ja) 引き戸のロッ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