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5845B1 - 미닫이 창호의 개방 보조장치 - Google Patents

미닫이 창호의 개방 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5845B1
KR102365845B1 KR1020200072434A KR20200072434A KR102365845B1 KR 102365845 B1 KR102365845 B1 KR 102365845B1 KR 1020200072434 A KR1020200072434 A KR 1020200072434A KR 20200072434 A KR20200072434 A KR 20200072434A KR 102365845 B1 KR102365845 B1 KR 1023658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door
rotor
fram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2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4666A (ko
Inventor
최병도
오영길
최상운
Original Assignee
최상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상운 filed Critical 최상운
Priority to KR1020200072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5845B1/ko
Publication of KR20210154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46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5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58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0025Devices for forcing the wing firmly against its seat or to initiate the opening of the wing
    • E05B17/0033Devices for forcing the wing firmly against its seat or to initiate the opening of the wing for opening on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3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8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 E05B65/0811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the bolts pivoting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0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parallel to the surface on which the fastener is mounted
    • E05C1/006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parallel to the surface on which the fastener is mounted parallel to the wing edg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8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 E05C1/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 E05C1/16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the handle or member moving essentially in a plan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wing or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닫이 창호의 개방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성에 있어서, 창짝 또는 문짝에 매립 설치되는 잠금장치에 내설된 로터에 원호상의 가압돌기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가압돌기에 의해 연동하는 전진블록이 가이드를 통해 전진하는 과정에서 로터 회전과 동시에 1단계로는 창틀 또는 문틀 프레임의 측면돌부에 설치된 스트라이커로부터 잠금 전진블록이 전진하여 전진블록이 한 쌍의 회동아암이 회전하면서 창틀 또는 문틀 프레임의 측면돌부를 밀쳐 냄으로서 창문이나 도어가 손쉽게 개방될 수 있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구성이 지극히 단순하고 간단하여 제조시 원가를 크게 절감할 수 있고, 작동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면서도 고장이 없어 신뢰성이 극대화되는 등의 많은 효과가 따른다.

Description

미닫이 창호의 개방 보조장치{Open auxliary device for sliding window}
본 발명은 미닫이 창호의 창짝에 매립 장착되어 레버핸들과 연동하면서 록킹(locking)되어 있는 창문 또는 도어를 개방할 때, 록킹 해제와 동시에 미닫이 도어 또는 창문을 순간적으로 밀어냄으로써, 창문이나 도어의 개방시 힘이 들지 않아 보다 쉽게 개방할 수 있게 한 미닫이 창호 개방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각종 건축물의 내외부에는 출입단속 및 채광을 목적으로 하는 각종의 창이 설치되게 된다.
이때, 창은 개폐 방식에 따라 미닫이식 또는 여닫이식 또는 고정식으로 구분 될 수 있으며, 미닫이식의 창, 즉 미닫이창이 주택의 거실 및 베란다 등에 설치되는 중대형 창의 주를 이루고 있다.
이와 같은 미닫이창은 창짝프레임에 마련되는 핸들을 파지한 상태에서 일 측으로 밀거나 당길 때 창짝프레임 하단의 롤러가 창틀프레임의 레일에서 회전함에 따라 횡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며 개폐된다.
한편, 최근 중대형 미닫이창의 경우 단열 성능의 향상을 위하여 이전에 비해 두꺼운 유리 또는 복층 유리를 창짝프레임에 적용하므로 창짝의 하중이 상당할 뿐만 아니라 소음 및 외기 유입 차단 성능의 향상을 위하여 창짝프레임과 창틀프레임 사이에 기밀수단을 적용하므로 창짝프레임과 기밀수단이 긴밀히 접촉하여 핸들을 파지한 상태로 밀거나 당겨 창짝프레임을 슬라이딩시키는 것이 쉽지 않아 창짝프레임의 개방에 불편함이 따르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문제를 해소하고자 특허문헌1에서 보는 바와 같은 대한민국 공개실용 제20-2010-0012532호(공개일 : 2010.12.17.) 등의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은, 잠금장치를 구동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손잡이에 결합된 피니언과 기어 결합되는 랙이 형성된 슬라이드 바에 열림장치용 랙을 형성하고, 열림장치용 랙의 전방으로 문틀프레임에서 문짝프레임이 떨어지게 하는 열림장치를 설치하되, 열림장치는 레일홈에 내입된 상태에서 문짝프레임에 고정되는 바디와, 바디에 아암 핀(arm pin)으로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며, 슬라이드 바에 형성된 열림장치용 랙과 치합되는 피니언돌기가 수개 형성된 아암(arm)과, 아암의 선단에 조립되는 롤러와, 아암이 바디 내측에 위치되게 탄성 지지하도록 바디에 고정된 상태에서 아암의 수직부에 접하도록 설치한 리프 스프링(leaf spring)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특허문헌1은, 문짝프레임에 마련된 손잡이를 회동시킬 때 손잡이와 함께 아암이 회동하여 문틀프레임으로부터 문짝프레임을 이격시키므로 중대형 미닫이창호의 개방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었다.
그러나, 특허문헌1은 손잡이에 의해 구동되는 잠금장치와 열림장치가 각각 구비되므로 그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 및 설치에 번거로움이 따랐을 뿐만 아니라 열림 장치의 해제 작동 선행 후 열림장치가 작동시킬 수밖에 없어 열림장치 작동에 이르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위와 같은 특허문헌1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발명으로 특허등록 제10-2052529호(특허문헌2)를 비롯해 특허등록 제10-2024764호(특허문헌3), 특허등록 제10-2002311호(특허문헌4), 그리고 특허공개 공개번호 제10-2019-0117420호(특허문헌5)가 있다.
상기한 특허문헌2~특허문헌5는 잠금장치의 내부 소정위치에 레버핸들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동하도록 구성된 아암을 설치하되, 상기 아암의 선단에는 롤러를 설치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특허문헌2~특허문헌5는 레버핸들을 잡아 돌릴 때 반대방향으로 아암도 화전하면서 창틀 또는 문틀의 측면돌부에 닿아 창짝 또는 문짝을 밀어내도록 구성되어 있어 아암의 회동거리와 창짝 또는 문짝이 측면돌부로부터 이탈되는 시점까지의 길이를 감안하면 아암의 길이가 상당히 길게 형성될 수밖에 없고, 또 구성이 제법 복잡해짐은 물론 잠금장치의 부피가 커지고 제조원가 또한 과다하게 소요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따를 수밖에 없다.
001. 대한민국 공개실용 제20-2010-0012532호(2010.12.17.공개) 00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52529호(2019.11.29.등록) 003.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2024764호(2019.09.18.등록) 004.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2002311호(2019.07.16.등록) 005.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19-0117420호(2019.10.16.공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제반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 특히 창짝 또는 문짝에 매립 설치되는 키퍼에 내설된 로터에 원호상의 가압돌기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가압돌기에 의해 연동하는 전진블록이 가이드를 통해 전진하는 과정에서 로터 회전과 동시에 1단계로는 창틀 또는 문틀 프레임의 측면돌부에 설치된 스트라이커로부터 잠금 해제시키고 2단계로 전진블록이 더 전진하여 한 쌍의 회동 아암을 회전시켜 창틀 또는 문틀 프레임의 측면돌부를 밀쳐 냄으로서 창문이나 도어가 쉽게 개방될 수 있게 하는 미닫이 창호용 개방 보조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창짝 또는 문짝의 프레임(F)에 매립 설치되어 외부에서 조립 장착되는 레버핸들(L)에 의해 잠금 또는 해정 기능을 하는 원 포인트 또는 투 포인트 잠금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의 본체(1) 내부에 장착되며 일 측에 원호상의 가압돌기(21)가, 타측에는 잠금쇠(6')(6")를 개폐시키는 해정용 로드바(7)에 구비된 이송돌부(71)를 작동시키도록 경사면(22')을 가진 작동편(22)이 구비된 로터(2);
후미에 상기 로터(2)의 가압돌기(21)가 끼워져 작용하는 작용홈(31') 및 정지턱(31")을 가진 작용부(31)와, 상기 작용홈(31')의 연장선상에 원호상의 안착홈(32)이 구비되고 선단 양측에는 후술하는 한 쌍의 회동아암(4)(4')을 밀어 내도록 된 한 쌍의 밀편(33)(33')이 구비되며, 상기 밀편(33)과 밀편(33') 사이는 밀편(33)(33')의 작용에 의해 회동아암(4)(4')이 직각방향으로 작용하였을 때 힌지(h) 결합된 회동아암(4)(4')의 후미 지지부(41)가 끼워져 안착 지지됨으로서 수직으로 세워져 있던 한 쌍의 회동아암(4)(4')이 수평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창짝이나 문짝(d) 개방 시 힘들이지 않고 쉽게 열수 있도록 유도하며, 이때 상기 회동아암(4)(4')이 오므려들어 제어되게 함과 동시에 후진시 회동아암(4)(4')을 본래의 위치로 원복시키는 작용을 하는 스토퍼(34)가 선단에 구비된 전진블록(3);
상기 전진블록(3)이 정확하게 수평방향으로 전후진하면서 회동아암(4)(4')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유도하는 가이드(5);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동아암(4)(4') 선단에 마찰 구동하는 롤러(도시하지 않음)를 더 설치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닫쳐 있던 창짝 또는 문짝(d)을 개방하기 위해 레버핸들(L)을 잡아 돌리면 로터(2)가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시간차에 의해 회전초기에는 잠금쇠(6')(6")를 먼저 해정시키게 되고, 뒤이어 전진블록(3)을 밀어 전진블록(3)에 구비된 한 쌍의 밀편(33)(33')이 한 쌍의 회동아암(4)(4')을 강제로 밀어 오므림에 따라 회동아암(4)(4')이 회전하면서 오므려지는 과정에서, 창틀 또는 문틀의 프레임(F)에 구비된 측면돌부(f1)에 마찰되면서 강하게 밀어줌으로서, 그 반작용에 의해 창짝 또는 문짝(d)이 개방되게 한 것으로, 레버핸들(L)을 잡아당겨 한 쌍의 회동아암(4)(4')을 작동시킬 때 한 쌍의 밀편(33)(33')이 구비된 전진블록(3)이 한 쌍의 회동아암(4)(4')을 밀어 회전시키는 구성이기에 회동아암(4)(4')이 더욱 강력하게 작용할 수 있어 창짝 또는 문짝 개방시 힘이 훨씬 덜 들 수밖에 없고, 또 구성이 지극히 단순하고 간단하여 제조시 원가를 크게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작동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면서도 고장이 없어 신뢰성이 극대화되는 등의 많은 효과가 따른다.
도1~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도1은 본 발명의 보조 개방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잠금장치(키퍼)의 정면예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보조 개방장치가 설치된 상태에서 덮개를 덮은 잠금장치(키퍼)의 정면예시시도이며,
도3은 본 발명의 보조 개방장치가 설치된 잠금장치(키퍼)의 분해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보조 개방장치를 분해한 잠금장치(키퍼)의 요부 분해사시도,
도5A~도5C는 본 발명의 보조 개방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잠금장치(키퍼)의 정면예시도로, 도5A는 작동전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5B는 작동 중인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5C는 작동하여 개방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6A~도6B는 본 발명의 보조 개방장치의 요부확대 작용상태도이고,
도7은 본 발명의 보조 개방장치가 구성된 잠금장치와 핸들조립체의 조립된 구성의 일부를 절개한 사시도.
도8은 본 발명의 보조 개방장치가 구성된 잠금장치와 핸들조립체의 조립된 구성의 일부를 절개한 요부확대사시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덮개를 제거한 본체의 요부확대 정면예시도.
본 발명은 투 포인트, 또는 원 포인트 잠금이 이루어지는 잠금장치의 본체(1) 내부에 설치되는 로터(2)의 구조를 개량하고, 상기 로터(2)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전진블록(3)과, 상기 전진블록(3)이 전진하는 과정에서 전진초기에는 한 쌍의 잠금쇠(6')(6")를 해정시키고, 뒤이어 더 전진하면 회동아암(4)(4')이 회전하여 창틀이나 문틀 프레임(F)에 구비된 측면돌부(f1)를 강하게 밀게 됨에 따라 그 반작용에 의해 창짝 또는 문짝(d)을 개방시키도록 된 회동아암(4)(4')이 레버핸들(L)을 잡아 돌릴 때 함께 연동하도록 구성함으로서, 중량이 많이 나가고 개방이 힘들었던 창짝 또는 문짝(d)을 가볍게 개방시킬 수 있게 한 미닫이 창호의 개방 보조장치이다.
한편, 첨부된 도면에는 본 발명의 개방보조장치 외에 잠금식별장치(9)도 표현되어 있고, 또 후크(6') 또는 후트(6")가 잠금부(6)도 구성되어 있지만, 상기 잠금 식별장치(9)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있어서 있든 없든 관계없고, 또 잠금부(6)의 구성도 도면에 표현된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 할 것이다.
또한, 잠금장치 본체(1)와 잠금부(6)는 첨부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격되게 구성할 수도 있지만, 본체(1)와 잠금부(6)를 한 동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주지된 바와 같이 원 포인트 또는 투 포인트 잠금장치는, 사각축공(23)을 가진 로터(2)와, 상기 로터(2)의 회전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송되면서 잠금쇠(6')를 해정시키는 해정용 슬라이드바(7)로 이루어진 본체(1), 그리고 슬라아드바(7)에 의해 해정되는 잠금쇠(6')(6")가 설치된 한 쌍의 잠금부(6)로 구성되어 중대형의 창짝이나 문짝(d)의 프레임 내부에 매립 설치된다.
또 창짝 또는 문짝(d) 내부에 매립 설치된 잠금장치는 창짝 또는 문짝(d)외부에 장착되는 레버핸들(L)과 연동되어, 레버핸들(L)을 잡아 돌리면서 개방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밀거나 당기면 해정과 더불어 창짝 또는 문짝(d)을 개방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투 포인트 잠금장치가 장착되는 창짝 또는 문짝(d)의 경우는 앞에서도 언급하였던 바와 같이 중량이 많이 나가는데다가 방음이나 단열 등 기밀유지를 위해 설치된 모헤어 등의 방음 및 차음부재에 의해 개방시 힘이 많이 들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필연적으로 따른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이 중량이 많이 나가 개방시 힘이 많이 들 수밖에 없었던 창호에 설치하여 가볍게 창짝이나 문짝을 개방할 수 있게 하기 위한 미닫이 창호의 개방 보조장치로서, 이하 첨부도면 도1~도8에 의거하여 구성 및 작용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개방 보조장치는 상기 잠금장치의 본체(1) 내부에 장착되며, 구조가 개량된 로터(2)와, 상기 로터(2)와 연동되며 로터(2)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면서 1차적으로 잠금쇠(6')(6") 해정 후 2차적으로는 창짝 또는 문짝(d)의 이지오픈을 유도하는 전진블록(3), 그리고 상기 전진블록(3)의 전진에 의해 회동하면서 창틀 또는 문틀 프레임(F)의 측면돌부(f1)를 밀어 내듯이 작용하며, 그 반작용에 의해 창짝 또는 문짝(d)의 이지오픈이 가능하게 하는 한 쌍의 회동아암(4)(4') 및 상기 회동아암(4)(4')과 힌지 결합되고 전진블록(3)이 전후진할 때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도하는 가이드(5)로 구성된다.
상기 로터(2)는 타 측에 잠금쇠(6')(6')를 개폐시키는 해정용 슬라이드바(7)에 구비된 이송돌부(71)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경사면(22')을 가진 작동편(22)이 구비되고, 일 측에는 마치 유아용 젖병에 구비된 꼭지 모양의 가압돌기(21)가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해정용 슬라이드바(7)와 연동하는 가압돌기(21)의 구조나 형태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구성들만 하더라도 매우 다양하며, 이송돌부(71) 또한 도9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경사면(71')을 가지도록 형성하는 등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작동편(22)이나 이송돌부(71)는 도면 및 명세서에 기재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 할 것이다.
상기 전진블록(3)은, 후미에 상기 로터(2)의 가압돌기(21)가 끼워져 작용하는 작용홈(31')과, 레버핸들(L)로 로터(2)를 회전시킬 때 스토퍼의 작용을 하는 정지턱(31")을 가진 작용부(31), 그리고 작용홈(31')의 연장선상에 로터(2) 직경과 대응하는 원호상의 안착홈(32)이 구비되고 선단 양측에는 한 쌍의 회동아암(4)(4')을 밀어 내어 오므릴 수 있도록 된 한 쌍의 밀편(33)(33')과 홈(35)이 구비된다.
따라서 로터(2)의 회동에 의해 가압돌기(21)가 전진블록(3)을 전진시키게 되면, 상기 밀편(33)(33')이 상하방향으로 펼쳐져 있던 회동아암(4)(4')의 바깥면 하측을 밀어 오므리게 되고, 오므려지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회전아암(4)(4') 선단이 창틀 또는 문틀 프레임(F)의 측면돌부(f1)를 밀어내듯이 작용하는 과정에서 그 반작용에 의해 창짝 또는 문짝이 힘들이지 않고 개방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밀편(33)(33')의 전진에 의해 회전아암(4)(4')이 오므려질 때 회전아암(4)(4')의 지지부(41)는 자연스럽게 홈(35)에 끼워지게 되며 오므려진 회동아암(4)(4')은 스토퍼(34)에 의해 지지되게 된다.
한편, 로터(2)가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오게 되면 작용홈(31')에 끼워져 있던 가압돌기(21)에 의해 전진블록(3)이 후진하게 되고, 이때 전진블록(3)과 일체로 형성된 스토퍼(34)도 당연히 함께 후진하게 되는데, 상기 스토퍼(34)는 후진하는 과정에서 오므려져 있던 한 쌍의 회동아암(4)(4')의 내측에 형성된 가이드부(43(43')에 자연스럽게 작용하게 되면서 회동아암(4)(4')을 본래의 위치로 복귀시키게 된다. 따라서 회동아암(4)(4')이나 전진블록(3)에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가 없어도 무리 없이 작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가이드(5)는 전진블록(3)이 정확하게 수평방향으로 전 후진되도록 유도함과 동시에 회동아암(4)(4')과 힌지(h) 조립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레버핸들(L)로 로터(2)를 회전시키면 전진블록(3)이 가이드(5)를 따라 전진하면서 가이드(5) 선단 측에 힌지(h) 조립된 회동아암(4)(4')을 오므리게 되고, 상기 회동아암(4)(4')이 오므려지는 초기 단계에서 먼저 잠금쇠(6')(6")를 해정시킨 뒤, 이어서 회동아암(4)(4') 끝이 창짝이나 문짝 프레임(F)의 측면돌부(f1)에 작용하여 밀어내게 됨으로서 그 반작용에 의해 창짝 또는 문짝(d)을 힘들이지 않고 가볍게 개방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회동아암(4)(4') 선단에 마찰 구동하는 롤러(도시하지 않음)를 더 설치할 수도 있다.
미설명부호 1c는 본체커버이고, 6c는 잠금부커버이며, 8은 스트라이커, 9는 잠금 식별장치, 72는 괘정돌기, 73은 해정편, 74, 74', 92는 압축스프링, 91은 감지블록, 93은 식별판 회전축, M은 마운트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미닫이 창호의 이지오픈 보조장치로서, 가압돌기(21)는 형상이나 모양을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고, 특히 작동편(22)은 해정용 슬라이드바(7)의 구성에 대응하여 변화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그 권리범위에 있어 전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 할 것이기에 발명의 목적과 사상의 범위 안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 : 본체 2 : 로터 3 : 전진블록
4, 4' : 회동아암 5 : 가이드 6 : 잠금부
6', 6" : 잠금쇠 7 : 해정용 슬라이드바 21 : 가압돌기
22 : 작동편 22' : 경사면 23 : 사각축공
31 : 작용부 31' : 작용홈 31" : 정지턱
32 : 안착홈 33, 33' : 밀편 34 : 스토퍼
35 : 홈 41 : 지지부 43, 43' : 가이드부
71 : 이송돌부 F : 문틀 프레임 f1 : 측면돌부
h : 힌지 L : 레버핸들

Claims (2)

  1. 잠금장치의 본체(1) 내부에 장착되며 일 측에 원호상의 가압돌기(21)가, 타 측에는 잠금쇠(6')(6")를 개폐시키는 해정용 로드바(7)에 구비된 이송돌부(71) 또는 경사면(71a)을 가진 이송돌부(71')를 작동시키도록 경사면(22')을 가진 작동편(22)이 구비된 로터(2);
    후미에 상기 로터(2)의 가압돌기(21)가 끼워져 작용하는 작용홈(31')과, 로터(2)에 의해 가압돌기(21)가 전진블록(3)을 전진시킬 때 한정된 거리만큼만 전진할 수 있게끔 유도하는 정지턱(31")으로 이루어진 작용부(31), 그리고 상기 작용홈(31')의 연장선상에 원호상의 안착홈(32)이 구비되고 선단 양측에는 후술하는 한 쌍의 회동아암(4)(4')을 밀어 내도록 된 한 쌍의 밀편(33)(33')이 구비되며, 상기 밀편(33)과 밀편(33') 사이는 밀편(33)(33')의 작용에 의해 회동아암(4)(4')이 직각방향으로 작용하였을 때 힌지(h) 결합된 회동아암(4)(4')의 후미 지지부(41)가 끼워져 안착 지지됨으로서 수직으로 세워져 있던 한 쌍의 회동아암(4)(4')이 수평방향으로 90°로 회동하면서 창짝이나 문짝(d) 개방 시 힘들이지 않고 쉽게 열수 있도록 유도하며, 이때 상기 회동아암(4)(4')이 오므려들어 정확하게 90°위치에서 제어되게 함과 동시에 후진시 회동아암(4)(4')을 본래의 위치로 원복시키는 작용을 하는 스토퍼(34)가 선단에 구비된 전진블록(3);
    상기 전진블록(3)이 정확하게 수평방향으로 전후진하면서 회동아암(4)(4')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유도하는 가이드(5)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창호의 개방 보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아암(4)(4') 선단에 마찰 구동하는 롤러를 더 설치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창호의 개방 보조장치.
KR1020200072434A 2020-06-12 2020-06-12 미닫이 창호의 개방 보조장치 KR1023658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2434A KR102365845B1 (ko) 2020-06-12 2020-06-12 미닫이 창호의 개방 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2434A KR102365845B1 (ko) 2020-06-12 2020-06-12 미닫이 창호의 개방 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4666A KR20210154666A (ko) 2021-12-21
KR102365845B1 true KR102365845B1 (ko) 2022-02-22

Family

ID=79165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2434A KR102365845B1 (ko) 2020-06-12 2020-06-12 미닫이 창호의 개방 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584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2311B1 (ko) 2015-08-25 2019-07-23 (주)엘지하우시스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0311A (ko) 2000-06-23 2002-01-05 안재문 인터넷 접속 및 정보검색용 정보바
KR200455185Y1 (ko) 2009-06-09 2011-08-23 주식회사 대현상공 손잡이 연동식 미닫이문용 열림장치
KR102024764B1 (ko) 2015-09-03 2019-09-24 (주)엘지하우시스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
KR102052529B1 (ko) 2016-01-05 2019-12-05 (주)엘지하우시스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
KR20190117420A (ko) 2019-09-27 2019-10-16 주식회사 세한이엔지 보조 열림기능을 갖춘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2311B1 (ko) 2015-08-25 2019-07-23 (주)엘지하우시스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4666A (ko) 2021-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71392B2 (en)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lift-up sliding doors and windows
US8182002B2 (en) Multipoint door lock system with header and sill lock pins
JP6961239B2 (ja) 止めラッチを有するラッチ構成
AU2017228059B2 (en) Latch arrangement having a handle
ATE339574T1 (de) Schloss für türen oder klappen an fahrzeugen
NZ556675A (en) A latch
KR20100023482A (ko) 창호 시스템 및 창호 시스템용 창문개폐모듈
CN108005489B (zh) 一种智能锁
EP1891292B1 (en)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lift-up sliding doors and windows
KR102365845B1 (ko) 미닫이 창호의 개방 보조장치
KR200479683Y1 (ko) 초기 개폐 기능을 갖는 미닫이문용 잠금장치
KR20210066762A (ko) 도어 개방이 용이한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
US20120169071A1 (en) Motorized system for latching and unlatching casement windows
CN108005488B (zh) 一种具有联动开门功能的智能锁
KR102480070B1 (ko) 창호 개방 보조장치를 구비한 슬라이드 창호용 키퍼
US7788851B2 (en) Window drive mechanism
KR20210106399A (ko) 도어 개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
US20030029091A1 (en) Pivot-tilt mechanism for a door or window
KR102187289B1 (ko) 보조열림기구가 구비된 미닫이 창호용 자동 록킹장치
KR20240006390A (ko) 개방 보조기구가 구비된 슬라이드 창호용 키퍼
KR20240000316A (ko) 개방 보조기구를 가진 슬라이드 창호용 키퍼
KR102270859B1 (ko)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의 후크 작동구조
US11927038B2 (en) Locking device for window or door and method of operating thereof
KR102645560B1 (ko) 푸시열림기능을 가진 도어 잠금시스템
KR101822625B1 (ko) 문 닫힘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도어락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