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2311B1 -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 - Google Patents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2311B1
KR102002311B1 KR1020150119272A KR20150119272A KR102002311B1 KR 102002311 B1 KR102002311 B1 KR 102002311B1 KR 1020150119272 A KR1020150119272 A KR 1020150119272A KR 20150119272 A KR20150119272 A KR 20150119272A KR 102002311 B1 KR102002311 B1 KR 1020023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delete delete
pivoting member
window frame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9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4250A (ko
Inventor
양성만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50119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2311B1/ko
Publication of KR20170024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42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2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23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21/00Arrangements or combinations of wing fastening, securing, or holding devices, not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main group; Locking ki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006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surface on which the fastener is mount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7/00Accessories for wing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or movable
    • E05Y2600/30Adjustable or movab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otion
    • E05Y2600/31Linear motion
    • E05Y2600/312Horizontal mo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0Additional functions
    • E05Y2800/102Additional wing mov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Abstract

본 발명은 창짝프레임의 개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부몸체와, 중간몸체와, 하부몸체로 분할 형성되되, 각각의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중간몸체의 내부 공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부재; 상기 회동부재에 인접 설치되어 상기 회동부재 회동에 의해 회동하여 상기 중간몸체 외측으로 노출되는 일단부가 인접하는 창틀프레임의 내측면 측으로 돌출되는 아암; 상기 상부몸체 및 상기 하부몸체의 내부 공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회동부재 회동에 의해 회동하여 잠금 상태로부터 해제되는 록킹부재; 상기 상부몸체와, 상기 중간몸체와, 상기 하부몸체에 각각 결합하여 상기 상부몸체와, 상기 중간몸체와, 상기 하부몸체의 내부 공간 개방을 차단하는 커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OPEN AUXILIARY DEVICE FOR SLIDING WINDOW}
본 발명은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핸들 회동에 의해 록킹부재가 회동하여 잠금 상태로부터 해제될 뿐만 아니라 아암이 회동하여 이에 의해 창틀프레임으로부터 창짝프레임이 개방 방향으로 이격됨으로써 창짝프레임의 개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내외부에는 출입 단속 및 채광을 목적으로 하는 각종의 창이 마련된다.
이때, 창은 개폐 방식에 따라 미닫이식 또는 여닫이식 또는 고정식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미닫이식의 창, 즉 미닫이창이 주택의 거실 및 베란다 등에 설치되는 중대형 창의 주를 이루고 있다.
이와 같은 미닫이창은 창짝프레임에 마련되는 핸들을 파지한 상태에서 일측으로 밀거나 당길 때 창짝프레임 하단의 롤러가 창틀프레임의 레일에서 회전함에 따라 횡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며 개폐된다.
한편, 최근 중대형 미닫이창의 경우 단열 성능의 향상을 위하여 이전에 비해 두꺼운 유리 또는 복층 유리를 창짝프레임에 적용하므로 창짝의 하중이 상당할 뿐만 아니라 소음 및 외기 유입 차단 성능의 향상을 위하여 창짝프레임과 창틀프레임 사이에 기밀수단을 적용하므로 창짝프레임과 기밀수단이 긴밀히 접촉하여 핸들을 파지한 상태로 밀거나 당겨 창짝프레임을 슬라이딩시키는 것이 쉽지 않아 창짝프레임의 개방에 불편함이 따르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문제를 해소하고자 대한민국 공개실용 제20-2010-0012532호(공개일 : 2010.12.17.) 등의 기술이 제안된바 있다.
상기 대한민국 공개실용 제20-2010-0012532호는, 잠금장치를 구동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손잡이에 결합된 피니언과 기어 결합되는 랙이 형성된 슬라이드 바에 열림장치용 랙을 형성하고, 열림장치용 랙의 전방으로 문틀프레임에서 문짝프레임이 떨어지게 하는 열림장치를 설치하되, 열림장치는 레일홈에 내입된 상태에서 문짝프레임에 고정되는 바디와, 바디에 아암 핀(arm pin)으로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며, 슬라이드 바에 형성된 열림장치용 랙과 치합되는 피니언돌기가 수개 형성된 아암(arm)과, 아암의 선단에 조립되는 롤러와, 아암이 바디 내측에 위치되게 탄성 지지하도록 바디에 고정된 상태에서 아암의 수직부에 접하도록 설치한 리프 스프링(leaf spring)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상기 대한민국 공개실용 제20-2010-0012532호는, 문짝프레임에 마련된 손잡이를 회동시킬 때 손잡이와 함께 아암이 회동하여 문틀프레임으로부터 문짝프레임을 이격시키므로 중대형 미닫이창호의 개방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 대한민국 공개실용 제20-2010-0012532호는, 손잡이에 의해 구동되는 잠금장치와 열림장치가 각각 구비되므로 그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 및 설치에 번거로움이 따랐을 뿐만 아니라 잠금장치의 해제 작동 선행 후 열림장치를 작동시킬 수밖에 없어 열림장치 작동에 이르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이유로 해당분야에서는 구조가 간소화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열림장치 작동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는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의 개발을 시도하고 있으나, 현재까지는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종래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에서 손잡이에 의해 구동되는 잠금장치와 열림장치가 각각 구비됨에 따라 그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 및 설치에 번거로움이 따랐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에서 손잡이에 의해 구동되는 잠금장치와 열림장치가 각각 구비됨에 따라 잠금장치의 해제 작동 선행 후 열림장치를 작동시킬 수밖에 없어 열림장치 작동에 이르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었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는, 상부몸체와, 중간몸체와, 하부몸체로 분할 형성되되, 각각의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중간몸체의 내부 공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부재; 상기 회동부재에 인접 설치되어 상기 회동부재 회동에 의해 회동하여 상기 중간몸체 외측으로 노출되는 일단부가 인접하는 창틀프레임의 내측면 측으로 돌출되는 아암; 상기 상부몸체 및 상기 하부몸체의 내부 공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회동부재 회동에 의해 회동하여 잠금 상태로부터 해제되는 록킹부재; 상기 상부몸체와, 상기 중간몸체와, 상기 하부몸체에 각각 결합하여 상기 상부몸체와, 상기 중간몸체와, 상기 하부몸체의 내부 공간 개방을 차단하는 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창틀프레임의 내측면에 인접하는 창짝프레임 일측의 내부에 장착된다.
상기 하우징은 나사 체결에 의해 상기 창짝프레임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상부몸체와, 상기 중간몸체와, 상기 하부몸체는 종방향으로 이어지는 지지바의 결합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상기 회동부재는 중심에 핸들의 중심축이 삽입되는 통공을 구비한다.
상기 통공은 다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동부재는 외주면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의 기어이를 구비한다.
상기 아암은 상기 중간몸체 내측에 위치하는 일단부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어이를 구비한다.
상기 아암은 상기 중간몸체 외측으로 노출되는 일단부에 롤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롤러는 외주면에 'U'형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암은 상기 중간몸체 내측에 위치하는 일단부가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에 의해 상기 중간몸체 외측으로 노출되는 일단부가 돌출 상태로부터 이전 상태로 자동 복귀한다.
상기 록킹부재 각각은 상기 회동부재 회전에 의한 가동부재의 상승에 의해 스토퍼와의 물림이 해제됨에 따라 잠금 상태로부터 해제된다.
상기 가동부재는 상기 회동부재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기어이의 일부와 맞물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방홈을 구비한다.
상기 가동부재는 상단부 및 하단부에 측방향으로 돌출된 돌기를 구비한다.
상기 가동부재는 중간부에 상기 아암이 관통되는 장홈을 구비한다.
상기 가동부재는 중간부가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에 의해 상승 상태로부터 이전 상태로 자동 복귀한다.
상기 스토퍼 각각은 상단이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에 의해 상기 록킹부재와의 물림이 해제된 상태로부터 이전 상태로 자동 복귀한다.
상기 록킹부재 각각은 상기 상부몸체 및 상기 하부몸체 내측에 위치하는 일단부가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에 의해 해제 상태로부터 이전 상태로 자동 복귀한다.
상기 커버 중 상기 중간몸체와 결합하는 상기 커버는 상기 회동부재의 중심에 구비되는 통공과 연통하는 개방구를 구비한다.
상기 커버는 나사 체결에 의해 상기 상부몸체와, 상기 중간몸체와, 상기 하부몸체에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는, 하우징에 해제 가능한 록킹부재 및 창틀프레임 내측면 측으로 돌출 가능한 아암이 함께 마련되는바, 잠금장치와 열림장치를 별도로 마련하는 것에 비해 구조가 간소화되므로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는 회동부재 회전에 의해 록킹부재의 해제와 아암의 돌출이 동시에 진행되므로 잠금장치의 작동과 열림장치의 작동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에 비해 열림장치 작동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가 적용된 창짝프레임이 폐쇄된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가 적용된 창짝프레임이 개방된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에서 회동부재의 회동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에서 아암의 돌출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에서 록킹부재의 해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에서 가동부재의 상승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에서 스토퍼의 물림 해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A)는 하우징(10)과, 회동부재(20)와, 아암(30)과, 록킹부재(40)와, 커버(50)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0)은, 상부몸체(10a)와, 중간몸체(10b)와, 하부몸체(10c)로 분할 형성되되, 각각의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0)이 분할 형성되면서 각각의 내부에 공간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상부몸체(10a) 및 상기 하부몸체(10c) 각각에 상기 록킹부재(40)를 설치함에 따라 상기 록킹부재(40)의 2중 설치가 가능하고, 상기 중간몸체(10b)를 통해 상기 회동부재(20)의 설치가 가능하다.
이와 같은 상기 하우징(10)은 상기 창틀프레임(100)의 내측면에 인접하는 창짝프레임(200) 일측의 내부에 장착된다.
상기 하우징(10)이 상기 창짝프레임(200) 일측의 내부에 장착됨으로써 상기 창짝프레임(200)의 일측에 장착되는 핸들(300)의 중심축(310)이 상기 하우징(10) 내에 설치되는 상기 회동부재(20)와 결합함에 따라 상기 핸들(300) 회동에 의해 상기 회동부재(20)의 회동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은 나사(도면상 미도시) 체결에 의해 상기 창짝프레임(200)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이 나사 체결에 의해 상기 창짝프레임(200)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창짝프레임(200)으로부터 상기 하우징(10)의 분리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상기 하우징(10)과 상기 창짝프레임(200)의 결합 상태가 견고히 유지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몸체(10a)와, 상기 중간몸체(10b)와, 상기 하부몸체(10c)는 종방향으로 이어지는 지지바(11)의 결합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상기 상부몸체(10a)와, 상기 중간몸체(10b)와, 상기 하부몸체가(10c) 상기 지지바(11)의 결합에 의해 서로 연결됨으로써 취급이 용이하다.
이때, 상기 지지바(11)의 결합은 그 결합 상태를 견고히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면 통상의 어떠한 결합 방법을 따르더라도 무방하며, 그 예로는 나사 체결 또는 리벳팅이 될 수 있다.
상기 회동부재(20)는 상기 중간몸체(10b)의 내부 공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은 상기 회동부재(20)는 중심에 상기 핸들(300)의 상기 중심축(310)이 삽입되는 통공(21)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동부재(20)가 상기 통공(21)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통공(21)에 상기 핸들(300)의 상기 중심축(310)을 삽입시킴에 따라 상기 핸들(300)과 상기 회동부재(20)가 연결되어 상기 핸들(300) 회동에 의해 상기 회동부재(20)의 회동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통공(21)은 사각형 등의 다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공(21)이 다각형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핸들(300)의 상기 중심축(310)을 다각형 형태로 형성하여 상기 통공(21)에 삽입하게 되면 상기 핸들(300) 회동시 상기 통공(21) 내에서 상기 중심축(310)의 공회전이 방지되므로 상기 핸들(300) 회동에 의해 상기 회동부재(20)가 원활히 회동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부재(20)는 외주면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의 기어이(22)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동부재(20)가 상기 기어이(22)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기어이(22)의 일부와 아래에서 설명하는 상기 아암(30) 일단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기어이(31)가 치합된 상태에서 상기 회동부재(20)가 회동함에 따라 상기 아암(30)의 회동이 가능하다.
상기 아암(30)은 상기 회동부재(20)에 인접 설치되어 상기 회동부재(20) 회동에 의해 회동하여 상기 중간몸체(10b) 외측으로 노출되는 일단부가 인접하는 상기 창틀프레임(100)의 내측면 측으로 돌출된다.
이와 같은 상기 아암(30)은 상기 중간몸체(10b) 내측에 위치하는 일단부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어이(31)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암(30)이 상기 기어이(31)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기어이(31)가 상기 회동부재(20)의 상기 기어이(22)와 치합함에 따라 상기 회동부재(20) 회동에 의해 상기 아암(30)의 회동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아암(30)은 상기 중간몸체(10b) 외측으로 노출되는 일단부에 롤러(3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아암(30)이 상기 롤러(32)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아암(30)의 일단이 상기 창틀프레임(100) 내측면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창틀프레임(100)의 내측면과 접촉할 때 상기 롤러(32) 회전에 의해 상기 창틀프레임(100)의 손상이 방지된다.
여기서, 상기 롤러(32)는 외주면에 'U'형 홈(32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롤러(32)에 상기 'U'형 홈(32a)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U'형 홈(32a)에 상기 창틀프레임(100)의 내측면에 마련되는 레일(110)이 수용됨에 따라 상기 아암(30)과 상기 창틀프레임(100) 내측면의 접촉이 안정된다.
그리고 상기 아암(30)은 상기 중간몸체(10b) 내측에 위치하는 일단부가 탄성부재(33)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암(30)이 상기 탄성부재(33)에 의해 탄성 지지됨으로써 상기 아암(30) 일단부가 상기 창틀프레임(100)의 내측면 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부재(33)의 탄성이 상기 아암(30)에 미침에 따라 상기 아암(30)의 일단부가 돌출 이전 상태로 자동 복귀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33)의 탄성은 상기 핸들(300) 회동에 의해 상기 회동부재(20) 및 상기 아암(30)에 미치는 외력에 비해 미미하므로 상기 회동부재(20) 및 상기 아암(30)에 외력이 미치지 않는 상태, 즉 상기 핸들(300)이 회전 이전 상태로 전환될 때부터 미회동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에만 작용하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 록킹부재(40)는 상기 상부몸체(10a) 및 상기 하부몸체(10c)의 내부 공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회동부재(20) 회동에 의해 회동하여 잠금 상태로부터 해제된다.
이와 같은 상기 록킹부재(40) 각각은 상기 회동부재(20) 회동에 의한 가동부재(60)의 상승에 의해 스토퍼(70)와의 물림이 해제됨에 따라 잠금 상태로부터 해제된다.
따라서, 상기 회동부재(20) 미회동시 상기 가동부재(60)가 하강된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스토퍼(70)는 상기 록킹부재(40)에 물리므로 상기 록킹부재(40)의 잠금 상태가 유지된다.
이때, 상기 록킹부재(40) 각각은 잠금 상태에서 선단의 고리부(41)가 상기 창틀프레임(100)의 내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스트라이커(120)에 삽입되므로 상기 창짝프레임(200)의 개방이 차단되는 것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록킹부재(40) 각각은 상기 상부몸체(10a) 및 상기 하부몸체(10c) 내측에 위치하는 일단부가 탄성부재(42)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록킹부재(40) 각각의 일단부가 상기 탄성부재(42)에 의해 탄성 지지됨으로써 상기 록킹부재(40)가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부재(42)의 탄성이 상기 록킹부재(40)에 미침에 따라 상기 록킹부재(40)가 해제 이전의 상태로 자동 복귀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42)의 탄성은 상기 핸들(300) 회동에 의해 상기 회동부재(20) 및 상기 록킹부재(40)에 미치는 외력에 비해 미미하므로 상기 회동부재(20) 및 상기 록킹부재(40)에 외력이 미치지 않는 상태, 즉 상기 핸들(300)이 회동 이전 상태로 전환될 때부터 미회동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에만 작용하는 것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가동부재(60)는 상기 회동부재(20)의 상기 기어이(22) 일부와 맞물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방홈(61)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동부재(60)가 상기 개방홈(61)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회동부재(20)의 상기 기어이(22) 일부가 상기 개방홈(61)에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회동부재(20)가 회동함에 따라 상기 가동부재(60)가 하강된다.
그리고 상기 가동부재(60)는 상단부 및 하단부에 측방향으로 돌출된 돌기(63)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동부재(60)가 상기 돌기(63)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가동부재(60) 상승시 상기 돌기(63)가 인접하는 상기 스토퍼(70)를 들어올림에 따라 상기 스토퍼(70)와 상기 록킹부재(40)의 물림이 해제된다.
그리고 상기 가동부재(60)는 중간부에 상기 아암(30)이 관통되는 장홈(64)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동부재(60)가 상기 장홈(64)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아암(30)은 상기 장홈(64) 내에서 회동하게 되므로 상기 아암(30) 회동시 상기 가동부재(60)에 의한 간섭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가동부재(60)는 중간부가 탄성부재(62)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동부재(60) 중간부가 상기 탄성부재(62)에 의해 탄성 지지됨으로써 상기 가동부재(60)가 상승한 상태에서 상기 탄성부재(62)의 탄성이 상기 가동부재(60)에 미침에 따라 상기 가동부재(60)가 상승 상태로부터 이전 상태로 자동 복귀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62)의 탄성은 상기 핸들(300) 회동에 의해 상기 회동부재(20) 및 상기 가동부재(60)에 미치는 외력에 비해 미미하므로 상기 회동부재(20) 및 상기 가동부재(60)에 외력이 미치지 않는 상태, 즉 상기 핸들(300)이 회동 이전 상태로 전환될 때부터 미회동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에만 작용하는 것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70) 각각은 상단이 탄성부재(71)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토퍼(70) 각각의 상단이 상기 탄성부재(71)에 의해 탄성 지지됨으로써 상기 스토퍼(70)가 상기 록킹부재(40)와의 물림이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부재(71)의 탄성이 상기 스토퍼(70)에 미침에 따라 상기 스토퍼(70)가 상기 록킹부재(40)와의 물림이 해제된 상태로부터 이전 상태로 자동 복귀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71)의 탄성은 상기 핸들(300) 회동에 의해 상기 회동부재(20)와, 상기 가동부재(60)와, 상기 스토퍼(70)에 미치는 외력에 비해 미미하므로 상기 회동부재(20)와, 상기 가동부재(60)와, 상기 스토퍼(70)에 외력이 미치지 않는 상태, 즉 상기 핸들(300)이 회동 이전 상태로 전환될 때부터 미회동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에만 작용하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 커버(50)는, 상기 상부몸체(10a)와, 상기 중간몸체(10b)와, 상기 하부몸체(10c)에 각각 결합하여 상기 상부몸체(10a)와, 상기 중간몸체(10b)와, 상기 하부몸체(10c)의 내부 공간 개방을 차단한다.
상기 커버(50)가 상기 상부몸체(10a)와, 상기 중간몸체(10b)와, 상기 하부몸체(10c)의 내부 공간 개방을 차단함으로써 상기 상부몸체(10a)와, 상기 중간몸체(10b)와, 상기 하부몸체(10c)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상기 회동부재(20)와, 상기 아암(30)과, 상기 록킹부재(40) 등의 이탈 및 손상이 방지된다.
이와 같은 상기 커버(50) 중 상기 중간몸체(10b)와 결합하는 상기 커버(50)는 상기 회동부재(20)에 구비되는 상기 통공(21)과 연통하는 개방구(51)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몸체(10b)와 결합하는 상기 커버(50)가 상기 개방구(51)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핸들(300)의 상기 중심축(310)이 상기 개방구(51)를 거쳐 상기 통공(21)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핸들(300) 회동에 의해 상기 회동부재(20)의 회동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커버(50)는 나사(도면부호 미표시) 체결에 의해 상기 상부몸체(10a)와, 상기 중간몸체(10b)와, 상기 하부몸체(10c)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50)가 나사 체결에 의해 상기 상부몸체(10a)와, 상기 중간몸체(10b)와, 상기 하부몸체(10c)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상부몸체(10a)와, 상기 중간몸체(10b)와, 상기 하부몸체(10c)로부터 상기 커버(50)의 분리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그 결합 상태가 견고히 유지된다.
본 발명에 의한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A)가 적용된 상기 창짝프레임(200)의 개방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하우징(10)은 상기 창틀프레임(100)의 내측면에 인접하는 상기 창짝프레임(200) 일측의 내부에 장착되는바, 상기 창짝프레임(200)의 일측에 설치되는 상기 핸들(300)의 상기 중심축(310)이 상기 중간몸체(10b) 내부에 설치되는 상기 회동부재(20)의 상기 통공(21)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핸들(300)을 파지하여 회동시킴으로써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부재(20)의 회동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회동부재(20)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기어이(22)가 형성되고, 상기 기어이(22)의 일부는 상기 중간몸체(10b) 내에 설치되는 상기 아암(30) 일단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상기 기어이(31)와 치합한다.
따라서, 상기 회동부재(20)의 회동에 의해 상기 아암(30)이 회동하게 되는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암(30)에서 상기 중간몸체(10b) 외부로 노출된 일단부가 상기 창틀프레임(100)의 내측면 측으로 돌출되므로 상기 아암(30)과 상기 창틀프레임(100) 접촉시의 반력에 의해 상기 창짝프레임(200)이 상기 창틀프레임(100)으로부터 개방 방향으로 이격된다.
이와 같은 상기 창틀프레임(100)으로부터 상기 창짝프레임(200)의 이격 과정에서 상기 핸들(300)을 밀거나 당겨 상기 창짝프레임(200)을 개방 방향으로 진행시키게 되면 비교적 적은 힘으로도 상기 창짝프레임(200)의 횡방향 슬라이딩이 가능하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창짝프레임(200)이 간단히 개방된다.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상부몸체(10a) 및 상기 하부몸체(10c)에는 상기 록킹부재(40)가 설치되는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창짝프레임(200)이 폐쇄되어 상기 록킹부재(40)가 잠긴 상태, 즉 상기 록킹부재(40) 선단의 고리부(41)가 상기 창틀프레임(100) 내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상기 스트라이커(120)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창짝프레임(200)의 횡방향 슬라이딩이 불가하므로 상기 창짝프레임(200)이 개방될 수 없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상기 회동부재(20) 외주면의 상기 기어이(22)는 일부가 상기 아암(30) 외주면의 상기 기어이(31)와 치합할 뿐만 아니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일부가 상기 상부몸체(10a)로부터 상기 하부몸체(10c)에 이르도록 설치되는 상기 가동부재(60)의 상기 개방홈(61)에 맞물린다.
따라서, 상기 회동부재(20) 회동에 의해 상기 아암(30)이 회동됨에 동시에 상기 가동부재(60)가 상승하고, 상기 가동부재(60) 상승에 의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부 및 하부의 상기 스토퍼(70)가 상승하며, 상기 스토퍼(70)의 상승에 의해 상기 스토퍼(70)와 상기 록킹부재(40)의 물림이 해제되는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록킹부재(40)가 잠금 상태로부터 해제될 수 있어 상기 록킹부재(40)에 의한 간섭 없이 상기 창짝프레임(200)이 원활히 개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미닫이창의 개방에 관하여만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예일 뿐 본 발명에 의한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A)를 미닫이문에 적용하는 경우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A)는, 상기 하우징(10)에 해제 가능한 상기 록킹부재(40) 및 상기 창틀프레임(100) 내측면 측으로 돌출 가능한 상기 아암(30)이 함께 마련되는바, 잠금장치와 열림장치를 별도로 마련하는 것에 비해 구조가 간소화되므로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해질 수 있고, 상기 회동부재(20) 회동에 의해 상기 록킹부재(40)의 해제와 상기 아암(30)의 돌출이 동시에 진행되므로 잠금장치의 작동과 열림장치의 작동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에 비해 열림장치 작동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므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경은 이하 청구범위 기재에 의하여 정의되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하우징 10a : 상부몸체
10b : 중간몸체 10c : 하부몸체
11 : 지지바 20 : 회동부재
21 : 통공 22 : 기어이
30 : 아암 31 : 기어이
32 : 롤러 32a : 'U'형 홈
33 : 탄성부재 40 : 록킹부재
41 : 고리부 42 : 탄성부재
50 : 커버 51 : 개방구
60 : 가동부재 61 : 개방홈
62 : 탄성부재 63 : 돌기
64 : 장홈 70 : 스토퍼
71 : 탄성부재 100 : 창틀프레임
110 : 레일 120 : 스트라이커
200 : 창짝프레임 300 : 핸들
310 : 중심축 A :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

Claims (20)

  1. 상부몸체와, 중간몸체와, 하부몸체로 분할 형성되되, 각각의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중간몸체의 내부 공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복수의 기어이가 외주면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회동부재;
    상기 회동부재에 인접 설치되며, 중간몸체 내측에 위치하는 일단부 외주면에 회동부재의 기어이와 치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어이 및 상기 중간몸체 외측으로 노출되는 일단부에 구비되고, 외주면에 홈이 형성된 롤러가 마련되는 아암;
    상기 상부몸체 및 상기 하부몸체의 내부 공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회동부재 회동에 의해 회동하여 잠금 상태로부터 해제되는 록킹부재;
    상기 상부몸체와, 상기 중간몸체와, 상기 하부몸체에 각각 결합하여 상기 상부몸체와, 상기 중간몸체와, 상기 하부몸체의 내부 공간 개방을 차단하는 커버; 및
    상부몸체로부터 하부몸체에 이르도록 설치되며, 아암이 관통되는 장홈 및 회동부재의 기어이 일부와 맞물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방홈을 구비하는 가동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부재가 회동함에 따라 회동부재의 기어이 일부에 치합된 아암의 기어이에의해 아암이 회동하여 인접하는 창틀프레임의 내측면에 마련되는 레일 측으로 롤러가 돌출되며 창틀프레임의 레일이 롤러의 홈에 수용되고, 가동부재의 개방홈에 맞물린 회동부재의 기어이 일부에 의해 가동부재가 상승하며,
    록킹부재는 가동부재의 상승에 의해 스토퍼와의 물림이 해제됨에 따라 잠금상태로부터 해제되고,
    아암, 가동부재, 스토퍼, 록킹부재는 각각의 탄성부재에 의해 해제 상태로부터 이전상태로 자동 복귀되는 것인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창틀프레임의 내측면에 인접하는 창짝프레임 일측의 내부에 장착되는 것인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몸체와, 상기 중간몸체와, 상기 하부몸체는 종방향으로 이어지는 지지바의 결합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인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는 중심에 핸들의 중심축이 삽입되는 통공을 구비하는 것인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재는 상단부 및 하단부에 측방향으로 돌출된 돌기를 구비하는 것인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50119272A 2015-08-25 2015-08-25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 KR1020023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9272A KR102002311B1 (ko) 2015-08-25 2015-08-25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9272A KR102002311B1 (ko) 2015-08-25 2015-08-25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4250A KR20170024250A (ko) 2017-03-07
KR102002311B1 true KR102002311B1 (ko) 2019-07-23

Family

ID=58411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9272A KR102002311B1 (ko) 2015-08-25 2015-08-25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231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0859B1 (ko) 2020-06-12 2021-06-28 최병도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의 후크 작동구조
KR20210154666A (ko) * 2020-06-12 2021-12-21 최병도 미닫이 창호의 개방 보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2891B1 (ko) * 2019-07-17 2022-10-12 (주)에스알 창호용 잠금장치
KR102593029B1 (ko) * 2019-12-18 2023-10-23 (주)엘엑스하우시스 창호용 핸들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KR102310548B1 (ko) * 2020-03-24 2021-10-07 이병노 미닫이문의 자동 열림장치
KR102449824B1 (ko) * 2020-07-31 2022-09-30 주식회사 쓰리지테크놀러지 리프트 슬라이딩 방식의 잠금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9014Y1 (ko) * 2005-12-02 2006-02-22 이판대 창문용 자동잠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4018U (ko) * 2007-03-16 2008-09-19 주식회사 대현상공 미닫이문용 자동 열림장치
KR200455185Y1 (ko) * 2009-06-09 2011-08-23 주식회사 대현상공 손잡이 연동식 미닫이문용 열림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9014Y1 (ko) * 2005-12-02 2006-02-22 이판대 창문용 자동잠금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0859B1 (ko) 2020-06-12 2021-06-28 최병도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의 후크 작동구조
KR20210154666A (ko) * 2020-06-12 2021-12-21 최병도 미닫이 창호의 개방 보조장치
KR102365845B1 (ko) 2020-06-12 2022-02-22 최상운 미닫이 창호의 개방 보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4250A (ko) 2017-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2311B1 (ko)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
KR20170027987A (ko)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
KR20190025864A (ko)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
KR102052529B1 (ko)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
KR101915448B1 (ko)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
KR100907641B1 (ko) 장착된 상태 그대로 역전이 가능한 래치볼트를 구비한 모티스 잠금장치
KR101744888B1 (ko) 창문의 잠금장치
KR20130011871A (ko) 외장형 자동개폐식 창문
ITMI20110136A1 (it) Serramento motorizzato
KR200414222Y1 (ko) 창문용 크레센트
KR101998840B1 (ko)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
KR101407021B1 (ko) 문 고정장치
KR200479683Y1 (ko) 초기 개폐 기능을 갖는 미닫이문용 잠금장치
KR200216904Y1 (ko) 창문 개폐장치
CN205422313U (zh) 一种密封窗
KR100797158B1 (ko) 여닫기가 용이한 고층건물용 창구조물
KR101023680B1 (ko) 냉장고 도어의 힌지장치
KR200382598Y1 (ko) 자동 개폐 창문
CN107237560B (zh) 一种用于副锁门的副锁装置
JP2004353378A (ja) 戸先錠解除機構付き開口部装置
KR200418943Y1 (ko)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KR200452139Y1 (ko) 미닫이창문용 잠금장치
KR200416483Y1 (ko) 윗 열기와 여닫이 겸용 시스템창호의 세팅수단
ITMI20012059A1 (it) Dispositivo di slocco di persiana a battenti trascinati meccanicamente
CN218493438U (zh) 钩锁机构、推拉门结构及推拉窗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