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3029B1 - 창호용 핸들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 Google Patents

창호용 핸들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3029B1
KR102593029B1 KR1020190169802A KR20190169802A KR102593029B1 KR 102593029 B1 KR102593029 B1 KR 102593029B1 KR 1020190169802 A KR1020190169802 A KR 1020190169802A KR 20190169802 A KR20190169802 A KR 20190169802A KR 102593029 B1 KR102593029 B1 KR 1025930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handle
window
lock button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9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8081A (ko
Inventor
김준우
Original Assignee
(주)엘엑스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엑스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엑스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90169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3029B1/ko
Priority to JP2022537180A priority patent/JP7423784B2/ja
Priority to DE112020006149.3T priority patent/DE112020006149T5/de
Priority to CN202080087435.8A priority patent/CN114829721B/zh
Priority to PCT/KR2020/013657 priority patent/WO2021125520A1/en
Publication of KR20210078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80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3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30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9/00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 E05C9/04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with two sliding bars moved in opposite directions when fastening or unfast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3/00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 E05B13/002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locking the handle
    • E05B13/004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locking the handle by locking the spindle, follower,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3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0025Devices for forcing the wing firmly against its seat or to initiate the opening of the wing
    • E05B17/0033Devices for forcing the wing firmly against its seat or to initiate the opening of the wing for opening on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25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glass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8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 E05C1/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 E05C1/16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the handle or member moving essentially in a plan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wing or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호용 핸들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창호용 핸들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Handle assembly for system window and system window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창호용 핸들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에 관한 것이다.
종래 창호용 핸들은 사용자가 창짝을 닫을 때 잠금 기능이 자동으로 구현됨에 따라 작동 편의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수동으로 개폐가 가능한 창호용 핸들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회전축을 갖는 핸들, 핸들의 회전축이 삽입되는 하우징, 핸들의 회전축이 삽입되며, 회전축과 함께 회전 가능하게 하우징 내부에 배치된 기어부, 하우징에 마련된 잠금 버튼, 잠금 버튼이 눌릴 때, 잠금 버튼에 의해 제1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마련된 스토퍼 및 잠금 버튼이 눌리지 않은 상태에서,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스토퍼가 제1 방향으로 이동 시, 하우징 외부로 돌출되도록 마련되며, 스토퍼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핸들 회전 시, 하우징 내부로 이동되도록 마련된 후크부를 포함하는, 창호용 핸들 조립체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스트라이커를 포함하는 창틀 프레임, 창틀 프레임에 개폐 가능하게 장착된 창짝 프레임, 및 창짝 프레임에 장착된 핸들 조립체를 포함하는 창호가 제공된다. 여기서, 핸들 조립체는, 회전축을 갖는 핸들, 핸들의 회전축이 삽입되는 하우징, 핸들의 회전축이 삽입되며, 회전축과 함께 회전 가능하게 하우징 내부에 배치된 기어부, 하우징에 마련된 잠금 버튼, 잠금 버튼이 눌릴 때, 잠금 버튼에 의해 제1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마련된 스토퍼, 및 잠금 버튼이 눌리지 않은 상태에서,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스토퍼가 제1 방향으로 이동 시, 하우징 외부로 돌출되어 스트라이커에 삽입되도록 마련되며,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핸들 회전 시, 스토퍼가 스트라이커에서 이탈되어 하우징 내부로 이동되도록 마련된 후크부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와 관련된 창호용 핸들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핸들에 의해 잠금 / 열림이 구현되는 창호에서, 수동으로 개폐가 필요한 부위에 적용됨으로써, 소비자로 하여금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창호용 핸들 조립체의 일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들이다.
도 3 및 도 4는 잠금 버튼이 눌리지 않은 상태의 창호용 핸들 조립체의 요부 도면들이다.
도 5 및 도 6은 잠금 버튼이 눌린 상태의 창호용 핸들 조립체의 요부 도면들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창호용 핸들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들이다.
도 9 및 도 10은 창호용 핸들 조립체의 열림 상태의 요부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1 및 도 12는 창호용 핸들 조립체의 닫힘 상태의 요부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핸들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 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창호용 핸들 조립체(1)의 일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들이다.
또한, 도 3 및 도 4는 잠금 버튼이 눌리지 않은 상태의 창호용 핸들 조립체의 요부 도면들이고, 도 5 및 도 6은 잠금 버튼이 눌린 상태의 창호용 핸들 조립체의 요부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창호용 핸들 조립체(1)는 핸들(12), 하우징(2, 3), 기어부(50), 잠금 버튼(100), 스토퍼(20), 및 후크부(40)를 포함한다.
상기 창호용 핸들 조립체(1)는 창호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창호는 하나 이상의 입면을 갖는 창틀 프레임 및 하나 이상의 창짝 프레임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창틀 프레임은, 벽체의 개구부에 장착되며, 하나 이상의 스트라이커(180)를 포함한다. 창틀 프레임에는 하나 이상의 창짝 프레임이 장착된다.
또한, 상기 창짝 프레임은 창틀 프레임 내 특정 위치에 고정되도록 장착될 수도 있고, 창틀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도 있다. 또한, 창짝 프레임은, 창틀 프레임에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며, 하나 이상의 유리를 지지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핸들 조립체(1)는 창짝 프레임에 장착된다. 사용자는 핸들 조립체(1)를 이용하여, 창짝 프레임을 이동시킬 수 있으며, 창짝 프레임에 이동에 따라, 창짝 프레임은 창틀 프레임에 대하여 열림(개방) 상태 또는 닫힘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핸들 조립체(1)는 회전축(130)을 갖는 핸들(120) 및 핸들(120)의 회전축(130)이 삽입되는 하우징(2, 3)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2, 3)은 2개의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1 케이스(2) 및 제2 케이스(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케이스(2) 및 제2 케이스(3)는 하나 이상의 부품을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또한, 핸들(120)의 회전축(130)은 제1 케이스(2)를 관통하여 제2 케이스(3)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제1 케이스(2)는 스탠드 커버(160), 스탠드 커버(160)에 장착되는 스탠드(150) 및 스탠드(150)에 결합되는 스탠드 하부 커버(90)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케이스(3)는 스탠드 하부 커버(90)와 연결되는 케이싱(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케이스(2) 내에는 핸들(120)의 회전을 지지하기 위하여, 핸들(120)의 회전축(130)이 삽입되는 라쳇(ratchet)부(170) 및 핸들 스프링(190)이 각각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핸들 조립체(1)는 핸들(120)의 회전축(130)이 삽입되며, 회전축(130)과 함께 회전 가능하게 하우징(2, 3) 내부에 배치된 기어부(50) 및 하우징(2, 3)에 마련된 잠금 버튼(100)을 포함한다.
본 문서에서, 잠금 버튼(100)이 눌릴 때라는 의미는, 제1 케이스(2) 외부로 노출(또는 돌출)된 잠금 버튼(100)의 일 단부를 사용자가 가압하여 누르는 경우를 의미하며, 잠금 버튼(100)은 핸들(120)의 회전에 따라 일 단부가 눌리기 전의 초기 위치로 다시 이동(복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핸들 조립체(1)는 잠금 버튼(100)이 눌릴 때, 잠금 버튼에 의해 제1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마련된 스토퍼(20)를 포함한다. 스토퍼(20)는 하우징(2, 3) 내에 배치되며, 구체적으로, 제2 케이스(3)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스토퍼(20)는 제2 케이스(3) 내에 제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고, 제1 방향은 예를 들어, 수평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잠금 버튼(100)은 사용자가 조작하기 위한 일 단부가 제1 케이스(2) 외부로 노출되도록 마련되고, 일 단부의 반대방향의 타 단부가 제1 케이스(2)를 통과하여, 제2 케이스(3) 내부까지 연장되며, 제2 케이스(3) 내부에 배치된 스토퍼(200)에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핸들 조립체(1)는 잠금 버튼(100)이 눌리지 않은 상태에서, 하우징(2, 3) 내부에 위치하고, 스토퍼(20)가 제1 방향으로 이동 시, 하우징(2, 3) 외부로 돌출되도록 마련되며, 스토퍼(20)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핸들(120) 회전 시, 하우징(2, 3) 내부로 이동되도록 마련된 후크부(40)를 포함한다. 상기 후크부(40)는 제2 케이스 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상기 후크부(40)는 제2 케이스 내에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후크부(40)는 제2 케이스 내에서 상승 및 하강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창호용 핸들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들이고, 도 9 및 도 10은 창호용 핸들 조립체의 열림 상태의 요부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며, 도 11 및 도 12는 창호용 핸들 조립체의 닫힘 상태의 요부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또한, 잠금 버튼(100)이 눌린 상태에서, 핸들(120)이 창호의 개방(열림) 방향으로 회전 시, 기어부(50)의 회전에 의해 후크부(40)가 하우징(2, 3) 내부로 이동되고, 후크부(40)가 하우징(2, 3) 내부로 이동될 때, 스토퍼(20)가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이동되며, 잠금 버튼(100)이 하우징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창짝 프레임이 창틀 프레임 상에서 닫힘 위치로 이동한 후, 잠금 버튼(100)이 눌린 상태에서, 핸들(120)이 창호의 개방(열림) 방향으로 회전 시, 기어부(50)의 회전에 의해 후크부(40)가 제2 케이스(3) 내부로 이동(하강)되고, 후크부(40)가 제2 케이스(3) 내부로 이동(하강)될 때, 스토퍼(200)가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이동되며, 잠금 버튼(100)이 제1 케이스(2) 외부로 돌출되어, 눌리기 전 초기 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방향은 제1 방향의 반대방향일 수 있다.
또한, 핸들 조립체(1)는 후크부(40)를 탄성 지지하는 제1 탄성부재(7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제1 탄성부재(70)는 스프링일 수 있으며, 제1 탄성부재(70)는 후크부(40)가 하우징 내부로 이동될 때 압축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 탄성부재(70)는 후크부(40)가 제2 케이스(3) 내부로 하강될 때 압축되도록 제2 케이스(3)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핸들 조립체(1)는 잠금 버튼(100)이 눌릴 때, 스토퍼(200)가 제1 방향으로 이동되고, 후크부(40)가 제1 탄성부재(70)의 복원력에 의해 이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기어부(50)에 회전에 따라 후크부(40)가 이동되도록, 기어부(50) 및 후크부(40)는 적어도 일부 영역이 맞물려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기어부(50)는 외주에 하나 이상의 돌기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돌기부가 후크부(40)와 맞물리도록 배치됨으로써, 핸들(120) 회전 시 핸들(120)의 회전축(130)에 의해 기어부(50)가 함께 회전되고, 그 결과 후크부(40)가 이동(제2 케이스 내로 하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핸들 조립체(1)는 스토퍼(20)를 탄성 지지하는 제2 탄성부재(30)를 추가로 포함하며, 제2 탄성부재(30)는 스프링일 수 있고, 제2 탄성부재(30)는 스토퍼(200)가 제1 방향으로 이동될 때 압축되도록 하우징 내에 마련될 수 있다. 즉, 제2 탄성부재(30)는 스토퍼(20)가 제1 방향으로 이동될 때 압축되도록 제2 케이스(3)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핸들(120)이 창호의 개방 방향으로 회전될 때, 스토퍼(20)는 제2 탄성부재(30)의 복원력에 의해 제2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핸들(120)이 창호의 개방 방향으로 회전될 때, 핸들(120)의 회전축(130)에 의해 기어부(50)가 함께 회전되고, 그 결과 후크부(40)가 이동(제2 케이스 내로 하강)될 수 있으며, 후크부(40)가 하강 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20)는 제2 탄성부재(30)의 복원력에 의해 제2 방향으로 이동되고, 일부 영역이 제2 케이스(3) 내로 하강된 후크부(40)의 상승을 억제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핸들 조립체(1)는 핸들(120)이 창호의 개방 방향으로 회전될 때, 창틀 프레임 측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된 아암(6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암(60)은 창짝 프레임의 열림(개방)을 위하여, 핸들이 개방방향으로 회전될 때, 창짝 프레임 측으로 돌출되며, 일 단부가 창짝 프레임을 밀어내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핸들(120)의 회전 및 기어부(50)에 회전에 따라 아암(60)이 회전되도록, 기어부(50) 및 아암(60)은 적어도 일부 영역이 맞물려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스토퍼(20) 및 잠금 버튼(100)은 서로 접촉하는 면이 각각 경사면(2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잠금 버튼(100)이 눌리면, 경사면 간의 접촉에 따라 스토퍼(20)가 제1 방향으로 이동된다. 또한, 핸들(120)의 회전에 따라, 후크부(40)가 제2 케이스(3) 내로 하강될 때, 스토퍼(20)가 제2 방향으로 이동되면, 경사면 간의 접촉에 따라 잠금 버튼(100)의 일 단부가 제2 케이스(2) 외부로 돌출 복원된다.
한편, 창틀 프레임에는 2개의 스트라이커(180, 상부 스트라이커, 하부 스트라이커)가 배치될 수 있으며, 하부 스트라이커에 잠금 될 수 있도록, 핸들 조립체(1)는 로드부(8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핸들(120)이 회전되면, 기어부(50)가 회전되고, 기어부(50)의 회전에 따라 후크부(40)가 하강되고, 로드부(80)가 함께 하강되며, 상부 스크라이커에서 후크부(40)가 이탈되고, 하부 스트라이커에서 로드부(80)가 이탈됨으로써, 창호가 열림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창짝 프레임이 이동되어 닫힘 상태가 될 때, 잠금 버튼(100)을 누르면, 스토퍼(20)가 제1 방향으로 이동되고, 제1 탄성부재(70)의 복원력에 의해 후크부(40)가 상승하여 상부 스트라이커(180)에 삽입되고, 로드부(80)가 함께 상승하여 하부 스트라이커(180)에 잠길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창호는, 하나 이상의 스트라이커를 포함하는 창틀 프레임, 창틀 프레임에 개폐 가능하게 장착된 창짝 프레임 및 창짝 프레임에 장착된 핸들 조립체(1)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핸들 조립체(1)는, 회전축(130)을 갖는 핸들(120), 핸들(120)의 회전축(130)이 삽입되며, 회전축과 함께 회전 가능하게 하우징 내부에 배치된 기어부(50), 하우징(2, 3)에 마련된 잠금 버튼(100), 잠금 버튼(100)이 눌릴 때, 잠금 버튼에 의해 제1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마련된 스토퍼(20) 및 잠금 버튼(100)이 눌리지 않은 상태에서, 하우징(2, 3) 내부에 위치하고, 스토퍼(20)가 제1 방향으로 이동 시, 하우징(2, 3) 외부로 돌출되어 스트라이커(180)에 삽입되도록 마련되며,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핸들(120) 회전 시, 스토퍼(20)가 스트라이커(180)에서 이탈되어 하우징(2, 3) 내부로 이동되도록 마련된 후크부(40)를 포함한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 핸들 조립체
20: 스토퍼
40: 후크부
50: 기어부
60: 아암
80: 로드부
100: 잠금 버튼
120: 핸들
130: 회전축

Claims (11)

  1. 회전축을 갖는 핸들;
    핸들의 회전축이 삽입되는 하우징;
    핸들의 회전축이 삽입되며, 회전축과 함께 회전 가능하게 하우징 내부에 배치된 기어부;
    하우징에 마련된 잠금 버튼;
    하우징 내에 잠금 버튼과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잠금 버튼이 눌릴 때, 잠금 버튼에 의해 제1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마련된 스토퍼; 및
    잠금 버튼이 눌리지 않은 상태에서,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스토퍼가 제1 방향으로 이동 시, 하우징 외부로 돌출되도록 마련되며, 스토퍼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핸들 회전 시, 하우징 내부로 이동되도록 마련된 후크부를 포함하며,
    잠금 버튼이 눌린 상태에서, 핸들이 창호의 개방방향으로 회전 시, 기어부의 회전에 의해 후크부가 하우징 내부로 하강되고, 후크부가 하우징 내부로 하강될 때, 스토퍼가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이동되는, 창호용 핸들 조립체.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후크부를 탄성 지지하는 제1 탄성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며,
    제1 탄성부재는 후크부가 하우징 내부로 이동될 때 압축되도록 마련된, 창호용 핸들 조립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잠금 버튼이 눌릴 때, 스토퍼가 제1 방향으로 이동되고, 후크부가 제1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이동되도록 마련된, 창호용 핸들 조립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스토퍼를 탄성 지지하는 제2 탄성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며,
    제2 탄성부재는 스토퍼가 제1 방향으로 이동될 때 압축되도록 마련된, 창호용 핸들 조립체.
  6. 제 5 항에 있어서,
    핸들이 창호의 개방 방향으로 회전될 때, 스토퍼는 제2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이동되도록 마련된, 창호용 핸들 조립체.
  7. 제 1 항에 있어서,
    기어부에 회전에 따라 후크부가 이동되도록, 기어부 및 후크부는 적어도 일부 영역이 맞물려 배치된, 창호용 핸들 조립체.
  8. 제 1 항에 있어서,
    핸들이 창호의 개방 방향으로 회전될 때, 창틀 프레임 측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된 아암을 추가로 포함하는, 창호용 핸들 조립체.
  9. 제 8 항에 있어서,
    기어부에 회전에 따라 아암이 회전되도록, 기어부 및 아암은 적어도 일부 영역이 맞물려 배치된, 창호용 핸들 조립체.
  10. 제 1 항에 있어서,
    스토퍼 및 잠금 버튼은 서로 접촉하는 면이 각각 경사면을 포함하는, 창호용 핸들 조립체.
  11. 하나 이상의 스트라이커를 포함하는 창틀 프레임;
    창틀 프레임에 개폐 가능하게 장착된 창짝 프레임; 및
    창짝 프레임에 장착된 핸들 조립체를 포함하며,
    핸들 조립체는, 회전축을 갖는 핸들;
    핸들의 회전축이 삽입되는 하우징;
    핸들의 회전축이 삽입되며, 회전축과 함께 회전 가능하게 하우징 내부에 배치된 기어부;
    하우징에 마련된 잠금 버튼;
    하우징 내에 잠금 버튼과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잠금 버튼이 눌릴 때, 잠금 버튼에 의해 제1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마련된 스토퍼; 및
    잠금 버튼이 눌리지 않은 상태에서,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스토퍼가 제1 방향으로 이동 시, 하우징 외부로 돌출되어 스트라이커에 삽입되도록 마련되며,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핸들 회전 시, 스토퍼가 스트라이커에서 이탈되어 하우징 내부로 이동되도록 마련된 후크부를 포함하며,
    잠금 버튼이 눌린 상태에서, 핸들이 창호의 개방방향으로 회전 시, 기어부의 회전에 의해 후크부가 하우징 내부로 하강되고, 후크부가 하우징 내부로 하강될 때, 스토퍼가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이동되는, 창호.
KR1020190169802A 2019-12-18 2019-12-18 창호용 핸들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KR1025930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9802A KR102593029B1 (ko) 2019-12-18 2019-12-18 창호용 핸들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JP2022537180A JP7423784B2 (ja) 2019-12-18 2020-10-07 建具用ハンドル組立体およびこれを含む建具
DE112020006149.3T DE112020006149T5 (de) 2019-12-18 2020-10-07 Griffanordnung für Systemfenster und Systemfenster, das diese umfasst
CN202080087435.8A CN114829721B (zh) 2019-12-18 2020-10-07 用于系统窗户的把手组件和包括该把手组件的系统窗户
PCT/KR2020/013657 WO2021125520A1 (en) 2019-12-18 2020-10-07 Handle assembly for system window and system window compri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9802A KR102593029B1 (ko) 2019-12-18 2019-12-18 창호용 핸들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8081A KR20210078081A (ko) 2021-06-28
KR102593029B1 true KR102593029B1 (ko) 2023-10-23

Family

ID=76477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9802A KR102593029B1 (ko) 2019-12-18 2019-12-18 창호용 핸들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7423784B2 (ko)
KR (1) KR102593029B1 (ko)
CN (1) CN114829721B (ko)
DE (1) DE112020006149T5 (ko)
WO (1) WO20211255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8257B1 (ko) * 2023-08-11 2024-01-24 (주)에스알 잠금방지 버튼형 핸들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3126Y1 (ko) 2007-08-31 2009-01-13 이재선 발코니창의 자동 잠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09997B (en) * 1996-02-10 1998-09-30 Plus Plan Handle for windows or doors
KR200182736Y1 (ko) * 2000-01-07 2000-05-15 최완식 창문의 버튼식 잠금장치
US20070200370A1 (en) 2006-01-20 2007-08-30 Reithmeyer Joseph G Gliding door latch assembly with anti-activation mechanism
JP4917936B2 (ja) 2006-09-29 2012-04-18 アイシン機工株式会社 錠装置
KR100878593B1 (ko) * 2007-09-21 2009-01-15 주식회사 협진산업 창문 자동잠금장치
DE112009000459B4 (de) * 2008-03-21 2012-10-04 Lg Hausys, Ltd. Digitale Verriegelungsvorrichtung für Fenster und Türen
US8931812B1 (en) * 2011-03-22 2015-01-13 Peter Hauber Multi-point sliding door latch
KR101292418B1 (ko) * 2011-11-24 2013-08-01 주식회사 대현상공 수평밀착형 창호의 오동작 방지 핸들
KR20140000485U (ko) * 2012-07-13 2014-01-22 주식회사 대현상공 미닫이 창문용 잠금장치
KR102002311B1 (ko) * 2015-08-25 2019-07-23 (주)엘지하우시스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
JP2018204319A (ja) 2017-06-05 2018-12-27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リッドロック機構およびコンソールボックス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3126Y1 (ko) 2007-08-31 2009-01-13 이재선 발코니창의 자동 잠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507967A (ja) 2023-02-28
CN114829721A (zh) 2022-07-29
WO2021125520A1 (en) 2021-06-24
JP7423784B2 (ja) 2024-01-29
CN114829721B (zh) 2024-03-08
DE112020006149T5 (de) 2022-11-03
KR20210078081A (ko) 2021-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1021B1 (ko) 창호 잠금장치
US2480688A (en) Door control mechanism
KR20160052486A (ko)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
EP2330270A2 (en) Side hung and bottom hung double-opening window, structure, and control device thereof
KR102593029B1 (ko) 창호용 핸들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KR20180006213A (ko) 잠금키가 구비된 폴딩도어용 핸들장치
KR100803906B1 (ko) 손잡이 당김용 미닫이문의 잠금 해제장치
GB2101192A (en) Securing devices for closures
JP4686213B2 (ja) 引き戸の開き装置
KR102147046B1 (ko) 푸쉬 및 완충 기능이 구비된 슬라이딩 도어 잠금 장치
KR20000065346A (ko) 배전반용 핸들
CN210013600U (zh) 锁定机构及门窗结构
JP4005954B2 (ja) スイッチボックス
US3041098A (en) Latch assembly for surface-mounted doors
JP4220540B2 (ja) 錠装置および建具
CN106785630B (zh) 连接器防护外壳
KR101902494B1 (ko) 미닫이 도어의 이중 잠금장치
JPH112057A (ja) 扉体のロック装置
US3112943A (en) Catch construction
JPH0421989Y2 (ko)
US3321227A (en) Latch for sliding door
KR101396396B1 (ko) 특수도어 핸들잠금장치
KR101458924B1 (ko) 도어용 잠금장치
CN218293171U (zh) 锁芯盖组件、门锁及钥匙
KR100250911B1 (ko) 도어정의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