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9824B1 - 리프트 슬라이딩 방식의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리프트 슬라이딩 방식의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9824B1
KR102449824B1 KR1020200096046A KR20200096046A KR102449824B1 KR 102449824 B1 KR102449824 B1 KR 102449824B1 KR 1020200096046 A KR1020200096046 A KR 1020200096046A KR 20200096046 A KR20200096046 A KR 20200096046A KR 102449824 B1 KR102449824 B1 KR 1024498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coupled
frame
rod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6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5696A (ko
Inventor
이상도
유영봉
김지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쓰리지테크놀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쓰리지테크놀러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쓰리지테크놀러지
Priority to KR1020200096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9824B1/ko
Publication of KR202200156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56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9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98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1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vertic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2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vertic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50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more than one kind of movement
    • E06B3/52Wings requiring lifting before op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76Transmission of human force
    • E05Y2201/68Handles, cr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1Toothed gearing
    • E05Y2201/716Pin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리프트 슬라이딩 방식의 잠금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리프트 슬라이딩 방식의 잠금장치는, 창짝의 측면에 결합되고, 상하방향으로 긴 프레임; 프레임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로드; 프레임에 결합되고, 로드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어박스; 프레임에 결합되고, 후크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후크박스; 및 후크가 선택적으로 걸리도록 창틀에 결합되는 캐치박스를 포함하고, 후크는 로드의 상하방향 이동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창호가 잠긴 상태에서 창짝을 들어올리더라도, 창짝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이루어지는 리프트 슬라이딩 방식의 잠금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리프트 슬라이딩 방식의 잠금장치{LIFT-SLIDING TYPE LOCKING DEVICE}
본 발명은 리프트 슬라이딩 방식의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슬라이딩 방식 창호의 문짝을 문틀에 고정하도록 이루어지는 리프트 슬라이딩 방식의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호는 건축물에 창과 문의 통칭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창호가 설치되는 틀을 창호틀이라 한다. 이러한 창호 중에서 베란다 도어나 기타 창 등에 주로 사용하는 미닫이문은 안내레일이 구비된 창호틀에 로울러가 장착된 창문을 설치하여, 안내레일을 따라 창문을 밀어 개폐할 수 있는 미닫이식과 방음성, 다열성 등을 더욱 향상시킨 리프트 슬라이딩 방식 시스템창호가 있다.
특히 리프트 슬라이딩 방식 시스템창호는 창호를 개방하기 위해 손잡이를 회전시키는 경우, 창짝이 레일로부터 일정거리 들어 올려져 조용하고 부드럽게 열린다. 그리고 닫힌 상태에서는 창짝과 밀착되어 기밀성, 단열성, 방음성 및 수밀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리프트 슬라이딩 방식 시스템창호는 거실 분합문이나 발코니 창 등 비교적 대형 창호에 사용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455556호(이하 '선행문헌1')는 슬라이딩 방식 내부 창문의 개폐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선행문헌1의 내부 창문은 개구를 형성하는 창틀, 창유리를 지지하며 창틀에 슬라이딩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창문틀, 및 창문틀의 슬라이딩 개폐를 잠금 및 잠금 해제하기 위한 개폐장치를 포함한다.
개폐장치는 창문틀 일측에 마련된 손잡이의 회동조작에 따라, 창문틀이 창틀의 레일로부터 상향 이격된 상태로 슬라이딩되도록 하거나, 창문틀이 창틀의 레일에 밀착되어 슬라이딩되지 못하도록 한다.
개폐장치는 창문틀의 일측에 설치되는 손잡이의 회동조작에 따라 상하 이동하는 리프트유닛, 창문틀의 하부에 마련되어 창문틀을 슬라이딩 이동시키며 리프트유닛의 작동에 따라 창문틀을 창틀의 레일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슬라이딩유닛을 포함하고 있다.
리프트유닛은 창틀을 향하는 창문틀의 수직지지부재의 내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슬라이딩유닛을 작동시키는 리프트바, 창문틀 측부에 설치되어 손잡이의 회동 조작에 따라 리프트바를 상하 방향으로 작동시키는 기어부를 포함한다.
리프트바는 그 하단부가 리프트암에 의해 슬라이딩유닛에 연결되어 있다. 기어부의 피니언이 회전하면 랙이 상하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리프트바가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슬라이딩유닛은 창틀의 레일에 접촉하는 롤러, 창문틀 하부에 결합되어 롤러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창문틀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창문의 잠금해제 상태에서는 손잡이가 아래쪽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이때 창문틀 지지부재는 롤러로부터 위쪽으로 이격되어, 창문틀이 창틀의 레일로부터 상향 이격된 상태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창문의 잠금 상태에서는 손잡이가 위쪽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이때 창문틀 지지부재는 아래쪽으로 이동하여 롤러에 밀착되어, 창문틀이 창틀의 레일에 밀착되면서 그 자중에 의해 슬라이딩될 수 없다.
그리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990918호(이하 '선행문헌2')는 슬라이드형 연동도어 모티스를 개시하고 있다.
선행문헌2의 슬라이드형 연동도어 모티스는 후크형상의 걸쇠부와 이를 회전시키는 기어부를 형성하여 걸쇠부의 회전작용으로 연동도어를 잠그거나 해제할 수 있다.
그리고 선행문헌2의 슬라이드형 연동도어 모티스는 걸쇠부의 일측에 탄성적으로 이동되는 볼고정구를 형성하고, 본체커버의 내측에 볼고정구가 안착되는 한 쌍의 위치홈을 형성하여 걸쇠부를 정해진 위치만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슬라이딩 방식 창호는 창문틀을 레일에서 들어올려서 창문틀이 창틀에서 이탈될 수 있다. 그러나 선행문헌2의 슬라이드형 연동도어 모티스는, 걸림턱이 캐치의 구멍 아래쪽에 형성됨에 따라, 걸쇠가 걸림턱에 걸린 상태에서 도어를 들어올리면, 걸쇠가 걸림턱에서 빠져나오면서 도어가 창호틀에서 이탈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걸쇠가 걸림턱에 걸린 상태에서 도어를 반복적으로 밀면, 걸쇠기어의 회전축이 점점 헐거워지고, 결과적으로 걸쇠기어와 연결기어의 맞물림이 헐거워지게 된다. 따라서 선행문헌2의 슬라이드형 연동도어 모티스는, 걸쇠가 걸림턱에 걸린 상태에서 도어를 반복적으로 밀면, 걸쇠기어와 연결기어의 맞물림이 헐거워져 핸들의 회전력이 걸쇠까지 제대로 전달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455556호 (등록일: 2011.09.05)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990918호 (등록일: 2019.06.13)
본 발명의 목적은, 창호가 잠긴 상태에서 창짝을 들어올리더라도, 창짝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이루어지는 리프트 슬라이딩 방식의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창호가 잠긴 상태에서 창짝을 반복적으로 밀더라도, 손잡이의 회전력이 후크까지 제대로 전달되도록 이루어지는 리프트 슬라이딩 방식의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창짝의 측면에 결합되고, 상하방향으로 긴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로드;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로드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어박스;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고, 후크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후크박스; 및 상기 후크가 선택적으로 걸리도록 창틀에 결합되는 캐치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후크는 상기 로드의 상하방향 이동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방식의 잠금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후크박스는,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후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하우징; 및 상기 로드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후크를 회전시키는 전달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후크는,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축부; 및 상기 축부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기어 이를 형성하는 기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달부재는 상기 기어부와 맞물리는 래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후크는 상기 캐치박스에 걸리도록 상기 축부에서 연장되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로드에 상기 걸림부가 통과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달부재는 상기 래크부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에 상기 관통홀과 연결되는 통과홀과,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복수의 돌출부가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결합부 및 상기 래크부는 상기 후크의 회전구간의 양방향 경계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후크는,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축부; 및 상기 축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캐치박스에 걸리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캐치박스는 상기 걸림부가 통과하는 입구를 형성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입구의 위쪽에서 상기 캐치박스에 걸리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로드의 상하방향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창짝을 승강시키는 리프트부재가 상기 창짝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창짝은 상기 로드가 하강하면서 상기 창틀에 안착되며, 상기 입구의 상하방향 폭이 감소하도록, 상기 걸림부는 상기 로드가 하강하면서 상기 캐치박스에 걸리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캐치박스는, 상기 창틀에 결합되는 케이싱; 상기 걸림부가 걸리는 캐치부재; 및 상기 케이싱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캐치부재와 나사결합된 볼트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볼트부재를 회전시키면, 상기 캐치부재와 상기 후크의 거리가 조절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걸림부는 입구의 위쪽에서 캐치박스에 걸림으로써, 창호가 잠긴 상태에서 창짝을 들어올리더라도, 창짝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이루어지는 리프트 슬라이딩 방식의 잠금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후크가 로드의 상하방향 이동에 연동하여 회전함으로써, 창호가 잠긴 상태에서 창짝을 반복적으로 밀더라도, 손잡이의 회전력이 후크까지 제대로 전달되도록 이루어지는 리프트 슬라이딩 방식의 잠금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슬라이딩 방식의 잠금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리프트 슬라이딩 방식의 잠금장치의 기어박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리프트 슬라이딩 방식의 잠금장치의 후크박스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리프트 슬라이딩 방식의 잠금장치의 잠금해제상태에서 후크박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리프트 슬라이딩 방식의 잠금장치의 잠금상태에서 후크박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리프트 슬라이딩 방식의 잠금장치는, 창호가 잠긴 상태에서 창짝을 들어올리더라도, 창짝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리프트 슬라이딩 방식의 잠금장치는, 창호가 잠긴 상태에서 창짝을 반복적으로 밀더라도, 손잡이의 회전력이 후크까지 제대로 전달되도록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슬라이딩 방식의 잠금장치(10)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리프트 슬라이딩 방식의 잠금장치(10)의 기어박스(3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리프트 슬라이딩 방식의 잠금장치(10)의 후크박스(400)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리프트 슬라이딩 방식의 잠금장치(10)의 잠금해제상태에서 후크박스(4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리프트 슬라이딩 방식의 잠금장치(10)의 잠금상태에서 후크박스(4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에 직각좌표계가 도시되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위해 방향을 설명함에 있어 직각좌표계를 이용하고자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슬라이딩 방식의 잠금장치(10)는 슬라이딩 방식 창호(1)의 창문(2)을 창틀(3)에 고정하도록 이루어진다.
도 1은 슬라이딩 방식 창호(1)의 일 예로서, 베란다 도어나 기타 창 등에 주로 사용하는 미닫이문을 도시하고 있다. 창호(1)는 창문(2;샤시부) 및 창틀(3;프레임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은 창틀(3)의 하부 틀(sill)을 도시하고 있다. 창문(2)은 글라스(2A)와 창짝(2B)을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슬라이딩 방식의 잠금장치(10)는 프레임(100), 로드(200), 기어박스(300), 후크박스(400), 캐치박스(500) 및 리프트부재(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프레임(100)은 상하방향으로 긴 형태를 형성한다. 프레임(100)은 창짝(2B)의 측면부(style)에 결합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0)의 평단면은 'ㄷ'자 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프레임(100)은 창짝(2B)의 측면부(style)에 볼트 또는 리벳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200)는 프레임(100)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로드(200)는 프레임(100)의 안쪽에 삽입된다.
프레임(100)의 안쪽에는 로드(200)의 상하방향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101)이 형성될 수 있다. 레일(101)은 프레임(100)의 안쪽에서 X방향(-X방향)으로 돌출된다. 레일(101)은 상하방향으로 긴 형태를 형성한다. 따라서 레일(101)은 로드(200)의 상하방향 이동을 제외한 로드(200)의 유동을 구속한다.
로드(200)에 복수의 관통홀(201)이 형성된다. 관통홀(201)들은 세로방향으로 긴 형태를 형성한다.
관통홀(201)들은 제1 관통홀(201A) 및 제2 관통홀(201B)을 포함할 수 있다. 후술할 걸림부(433)는 제1 관통홀(201A)을 통과하여 캐치박스(500)의 입구(521)로 진입할 수 있다. 제2 관통홀(201B)은 제1 관통홀(201A)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200)의 하단부에 링크부(210)가 형성된다. 링크부(210)는 리프트부재(600)에 연결되는 부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박스(300)는 로드(20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이다. 기어박스(300)는 케이스(310), 회전체(320), 리프터(330) 및 연결부재(3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케이스(310)는 프레임(100)에 결합된다. 케이스(310)는 프레임(100)에 볼트 또는 리벳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면부호 H1은 볼트 또는 리벳이 삽입되는 구멍을 의미한다.
케이스(310)에 안내장공(311)이 형성된다. 안내장공(311)은 세로방향으로 긴 형태를 형성한다. 회전체(320)는 케이스(310)에 X방향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회전체(320)에 손잡이(미도시)가 결합된다.
리프터(330)는 로드(200)에 결합된다. 연결부재(340)는 회전체(320)와 리프터(330)를 연결한다. 연결부재(340)의 양단부에 핀이 X방향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은 제1 핀(341) 및 제2 핀(342)을 포함한다.
제1 핀(341)은 회전체(320)와 연결부재(340)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한다. 제2 핀(342)은 연결부재(340)와 리프터(330)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한다. 제2 핀(342)은 안내장공(311)에 삽입된다. 따라서, 회전체(320)가 회전하면, 제2 핀(342)은 안내장공(311)을 따라 세로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2는 제2 핀(342)이 안내장공(311)의 최하부에 위치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상태에서 회전체(320)가 시계방향으로 180도 돌면, 제2 핀(342)이 안내장공(311)의 최상부까지 상승(도 2의 점선 참조)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손잡이를 양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리프터(330) 및 로드(200)는 케이스(310)를 기준으로 제2 핀(342)의 상하방향 이동거리(D1)만큼 상승하거나 하강하게 된다.
제2 핀(342)이 안내장공(311)의 최하부에서 최상부까지 상승하면, 후크(430)는 창호(1)의 잠금상태(도 5 참조)에서 잠금해제상태(도 4 참조)로 90도 회전하게 된다.
제2 핀(342)이 안내장공(311)의 최상부에서 최하부까지 하강하면, 후크(430)는 창호(1)의 잠금해제상태(도 4 참조)에서 잠금상태(도 5 참조)로 90도 회전하게 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박스(400)는 하우징(410), 전달부재(420) 및 후크(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우징(410)은 프레임(100)에 결합된다. 하우징(410)은 프레임(100)에 볼트 또는 리벳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면부호 H2 및 H3는 볼트 또는 리벳이 삽입되는 구멍을 의미한다.
하우징(410)은 제1 하우징(411) 및 제2 하우징(412)을 포함한다.
제1 하우징(411)과 제2 하우징(412)은 복수의 결합부재(413)에 의해 결합된다. 결합부재(413)들은 볼트 또는 리벳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부호 H4는 결합부재(413)가 삽입되는 구멍을 의미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430)는 축부(431), 기어부(432) 및 걸림부(4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축부(431)는 X방향 축을 기준으로 하우징(4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면부호 H5는 축부(431)의 양단부가 하우징(410)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구멍을 의미한다.
기어부(432)는 축부(431)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의 기어 이를 형성한다. 후크(430)는 창호(1)의 잠금해제상태(도 4 참조)와 잠금상태(도 5 참조) 사이에서 90도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기어부(432)는 대략 90도 각도의 부채꼴 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기어 이는 3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위해 후크(430)의 잠금해제상태에서 잠금상태로의 회전을 '제1 회전'으로 지칭하고, 후크(430)의 잠금상태에서 잠금해제상태로의 회전을 '제2 회전'으로 지칭하고자 한다.
걸림부(433)는 캐치박스(500)에 Y방향으로 걸리는 부분으로서, 축부(431)로부터 연장된다. 걸림부(433)는 캐치박스(500)에 걸리도록 (XY 평면상에서) 구부러진 형태를 형성한다.
전달부재(420)는 후크(430)를 회전시키는 구성이다. 전달부재(420)는 로드(20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후크(430)는 로드(200)의 상하방향 이동에 연동하여 회전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달부재(420)는 결합부(421) 및 래크부(4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결합부(421)는 로드(200)에 결합되는 부분이다. 결합부(421)에 통과홀(421A) 및 돌출부가 형성된다. 통과홀(421A)은 -Y방향으로 개방된 형태를 형성한다. 후술할 걸림부(433)는 통과홀(421A)을 통과하여 캐치박스(500)의 입구(521)로 진입할 수 있다.
돌출부는 통과홀(421A)의 둘레를 따라 복수로 구비된다. 돌출부들은 통과홀(421A)의 둘레에서 -Y방향으로 돌출된다. 돌출부들은 관통홀(201)에 삽입된다. 이때 통과홀(421A)은 제1 관통홀(201A)에 연결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들은 제1 돌출부(B1), 제2 돌출부(B2) 및 제3 돌출부(B3)를 포함한다.
결합부(421)는 돌출부들을 통해 로드(200)에 결합된다. 제1 돌출부(B1), 제2 돌출부(B2) 및 제3 돌출부(B3)는 관통홀(201)에 억지 끼워 맞춤(interference fit)될 수 있다.
제1 돌출부(B1)는 통과홀(421A)의 둘레 최상단에 형성된다. 제1 돌출부(B1)의 상면은 제1 관통홀(201A)의 상단부 내면에 밀착된다. 제2 돌출부(B2)는 통과홀(421A)의 둘레 최하단에 형성된다.
제2 돌출부(B2)의 상면은 제2 관통홀(201B)의 상단부 내면에 밀착된다. 제3 돌출부(B3)는 통과홀(421A)의 가장자리 좌측 및 우측에 각각 형성된다. 제3 돌출부(B3)들의 측면은 제1 관통홀(201A)의 좌측 및 우측 내면에 밀착된다.
래크부(422)는 결합부(421)에 결합된다. 결합부(421)에는 오목한 부분(이하 '오목부')이 형성되고, 래크부(422)에는 볼록한 부분(이하 '볼록부')이 형성된다. 볼록부와 오목부는 Y방향(수평방향)으로 끼워맞춤 결합된다. 볼록부와 오목부는 억지 끼워 맞춤(interference fit)될 수 있다.
래크부(422)는 기어부(432)와 맞물리는 복수의 삽입홀(422A)을 형성한다. 삽입홀(422A)들은 세로방향으로 배치된다. 삽입홀(422A)들은 기어부(432)의 기어 이와 동일한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전달부재(420)가 로드(20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 래크부(422)의 상하방향 운동은 기어부(432)의 회전운동으로 전환된다. 후크(430)는 전달부재(420)에 의해 잠금해제상태에서 잠금상태로의 제1 회전(도 5 참조)을 하거나, 잠금상태에서 잠금해제상태로의 제2 회전(도 4 참조)을 하게 된다.
래크부(422)는 삽입홀(422A)들의 하부에 격벽(422B)을 형성한다. 격벽(422B)은 후크(430)의 제2 회전시 걸림부(433)의 회전구간의 경계(도 4 참조)를 형성한다. 제1 돌출부(B1)의 저면은 후크(430)의 제1 회전시 걸림부(433)의 회전구간의 경계(도 5 참조)를 형성한다. 따라서 결합부(421) 및 래크부(422)는 후크(430)의 회전구간의 양방향 경계를 형성한다.
손잡이를 통해 외력이 반복적으로 인가되는 기어박스(300)는 파손의 위험성이 높다. 창호(1)가 잠긴 상태에서 창짝(2B)을 반복적으로 밀면, 후크(430)에 외력이 인가된다. 후크(430)에 인가된 외력은 전달부재(420), 하우징(410), 로드(200) 및 프레임(100)으로 전달된다.
이때, 하우징(410), 로드(200) 및 프레임(100)으로 전달되는 외력의 방향은 로드(200)의 이동방향과 대략 직각을 형성한다. 따라서 후크(430)에 인가된 외력은 기어박스(300)로 전달되지 않는다.
한편, 창호(1)가 잠긴 상태에서 창짝(2B)을 강제로 들어올리면, 후크(430)에 제2 회전방향으로 외력이 인가된다. 이때 후크(430)에 인가된 외력은 전달부재(420)와 하우징(410)으로 전달한다.
특히 기어부(432)의 기어 이와 래크부(422)의 접촉면으로 전달된다. 결합부(421)와 래크부(422)는 억지 끼워 맞춤(interference fit)될 수 있다. 따라서 후크(430)에 인가된 외력이 일정수준을 초과하면, 결합부(421)와 래크부(422)가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후크(430)에 인가된 외력에 의한 기어박스(300) 및 로드(200)의 파손이 차단된다. 결과적으로 후크(430)에 외력이 반복적으로 가해지더라도, 기어박스(300), 로드(200) 및 전달부재(420)의 소성변형이 방지됨으로써, 손잡이의 회전력이 후크(430)까지 제대로 전달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치박스(500)는 후크(430)가 선택적으로 걸리는 구성이다. 캐치박스(500)는 케이싱(510), 캐치부재(520) 및 볼트부재(5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케이싱(510)은 창틀(3)의 측면 틀(jamb)에 결합된다. 케이싱(510)은 창틀(3)에 볼트 또는 리벳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치부재(520)는 걸림부(433)가 걸리는 구성이다. 캐치부재(520)는 케이싱(510)의 안쪽에 구비된다. 캐치부재(520)는 걸림부(433)가 통과하는 입구(521)를 형성한다. 후크(430)의 제1 회전시 걸림부(433)는 입구(521)를 통과한 다음 입구(521)의 위쪽에서 캐치부재(520)에 걸리게 된다.
볼트부재(530)는 케이싱(51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볼트부재(530)는 한 쌍으로 구비된다. 볼트부재(530)들은 캐치부재(520)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쪽에 배치된다. 캐치부재(520)의 상면 및 하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볼트부재(530)는 캐치부재(520)의 상면 및 하면에 형성된 나사산을 통해 캐치부재(520)와 나사결합된다.
볼트부재(530)의 헤드는 노출된다. 볼트부재(530)를 회전시키면, 캐치부재(520)의 Y방향 위치가 조절된다. 따라서 볼트부재(530)를 회전시키면, 캐치부재(520)와 후크(430)의 거리가 조절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트부재(600)는 로드(200)의 상하방향 이동에 연동하여 창짝(2B)을 승강시키는 구성이다. 리프트부재(600)는 창짝(2B)의 하부에 결합된다.
로드(200)의 하단부에 링크부(210)가 형성된다. 링크부(210)는 리프트부재(600)에 연결되는 부분이다. 로드(200)가 상승하면, 창짝(2B)이 창틀(3)로부터 상승한다. 로드(200)가 하강하면, 창짝(2B)이 창틀(3)에 안착된다.
리프트부재(600)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753571호 시스템창호 개폐장치에 개시된 바와 같이 널리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의 구조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잡이를 양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후크(430)는 문짝의 상하방향 이동거리(D2)만큼 상승하거나 하강하게 된다.
제2 핀(342)이 안내장공(311)의 최하부에서 최상부까지 상승하면, 로드(200)는 제2 핀(342)과 함께 상승한다.
이때, 후크(430)는 창호(1)의 잠금상태에서 잠금해제상태로의 제2 회전(도 4 참조)을 하고, 이와 동시에 창짝(2B)은 창틀(3)의 하부 틀(sill)로부터 상승한다. 따라서 잠금상태에서 잠금해제상태로의 전환시 축부(431)는 D2만큼 상승하게 된다.
제2 핀(342)이 안내장공(311)의 최상부에서 최하부까지 하강하면, 로드(200)는 제2 핀(342)과 함께 하강한다.
이때, 후크(430)는 창호(1)의 잠금해제상태에서 잠금상태로의 제1 회전(도 5 참조)을 하고, 이와 동시에 창짝(2B)은 창틀(3)의 하부 틀(sill)에 안착된다. 따라서 잠금해제상태에서 잠금상태로의 전환시 축부(431)는 D2만큼 하강하게 된다.
잠금해제상태에서 걸림부(433)는 축부(431)의 아래쪽에 위치한다. 후크(430)가 잠금해제상태에서 잠금상태로 회전하면, 걸림부(433)는 상승하게 된다. 즉, 축부(431)로부터 걸림부(433) 하단까지의 세로방향 거리는 잠금상태보다 잠금해제상태에서 멀다.
따라서 로드(200)가 하강하면서 걸림부(433)가 캐치박스(500)에 걸리게 되면, 입구(521)의 상하방향 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입구(521)의 상하방향 폭이 짧아지면, 캐치박스(500)의 세로방향 길이가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캐치박스(500)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걸림부는 입구의 위쪽에서 캐치박스에 걸림으로써, 창호가 잠긴 상태에서 창짝을 들어올리더라도, 창짝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이루어지는 리프트 슬라이딩 방식의 잠금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후크가 로드의 상하방향 이동에 연동하여 회전함으로써, 창호가 잠긴 상태에서 창짝을 반복적으로 밀더라도, 손잡이의 회전력이 후크까지 제대로 전달되도록 이루어지는 리프트 슬라이딩 방식의 잠금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잠금장치
100 : 프레임 400 : 후크박스
101 : 레일 410 : 하우징
200 : 로드 411 : 제1 하우징
201 : 관통홀 412 : 제2 하우징
201A : 제1 관통홀 413 : 결합부재
201B : 제2 관통홀 420 : 전달부재
210 : 링크부 421 : 결합부
300 : 기어박스 421A : 통과홀
310 : 케이스 B1 : 제1 돌출부
311 : 안내장공 B2 : 제2 돌출부
320 : 회전체 B3 : 제3 돌출부
330 : 리프터 422 : 래크부
340 : 연결부재 422A : 삽입홀
341 : 제1 핀 422B : 격벽
342 : 제2 핀 430 : 후크
500 : 캐치박스 431 : 축부
510 : 케이싱 432 : 기어부
520 : 캐치부재 433 : 걸림부
521 : 입구 600 : 리프트부재
530 : 볼트부재
1 : 창호
2 : 창문
2A : 글라스
2B : 창짝
3 : 창틀

Claims (9)

  1. 창짝의 측면에 결합되고, 상하방향으로 긴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로드;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로드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어박스;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고, 후크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후크박스; 및
    상기 후크가 선택적으로 걸리도록 창틀에 결합되는 캐치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후크는 상기 로드의 상하방향 이동에 연동하여 회전하며,
    상기 후크박스는,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후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하우징; 및
    상기 로드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후크를 회전시키는 전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후크는,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축부; 및
    상기 축부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기어 이를 형성하는 기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달부재는 상기 기어부와 맞물리는 래크부를 포함하며,
    상기 후크는 상기 캐치박스에 걸리도록 상기 축부에서 연장되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로드에 상기 걸림부가 통과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방식의 잠금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부재는 상기 래크부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에 상기 관통홀과 연결되는 통과홀과,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복수의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방식의 잠금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 및 상기 래크부는 상기 후크의 회전구간의 양방향 경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방식의 잠금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는,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축부; 및
    상기 축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캐치박스에 걸리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캐치박스는 상기 걸림부가 통과하는 입구를 형성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입구의 위쪽에서 상기 캐치박스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방식의 잠금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의 상하방향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창짝을 승강시키는 리프트부재가 상기 창짝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창짝은 상기 로드가 하강하면서 상기 창틀에 안착되며,
    상기 입구의 상하방향 폭이 감소하도록, 상기 걸림부는 상기 로드가 하강하면서 상기 캐치박스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방식의 잠금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치박스는,
    상기 창틀에 결합되는 케이싱;
    상기 걸림부가 걸리는 캐치부재; 및
    상기 케이싱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캐치부재와 나사결합된 볼트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볼트부재를 회전시키면, 상기 캐치부재와 상기 후크의 거리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방식의 잠금장치.
KR1020200096046A 2020-07-31 2020-07-31 리프트 슬라이딩 방식의 잠금장치 KR1024498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6046A KR102449824B1 (ko) 2020-07-31 2020-07-31 리프트 슬라이딩 방식의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6046A KR102449824B1 (ko) 2020-07-31 2020-07-31 리프트 슬라이딩 방식의 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5696A KR20220015696A (ko) 2022-02-08
KR102449824B1 true KR102449824B1 (ko) 2022-09-30

Family

ID=80251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6046A KR102449824B1 (ko) 2020-07-31 2020-07-31 리프트 슬라이딩 방식의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9824B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824206A1 (de) * 1978-06-02 1979-12-06 Gretsch Unitas Gmbh Schiebe-kipp-tuer oder -fenster
JPH0932371A (ja) * 1995-07-13 1997-02-04 Miwa Lock Co Ltd 引戸調整用受け装置
JP4632497B2 (ja) 2000-08-22 2011-02-16 Nec液晶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液晶表示装置
KR102002311B1 (ko) * 2015-08-25 2019-07-23 (주)엘지하우시스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
KR101887640B1 (ko) * 2016-07-04 2018-08-13 안건형 창호의 자동 록킹장치
KR101990918B1 (ko) 2018-05-23 2019-06-19 김기철 슬라이드형 연동도어 모티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5696A (ko) 2022-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35882B2 (en) Flush-mounting multipoint locking system
US9540866B2 (en) Security window applied to single window
US20090066093A1 (en) Window latch
KR200433867Y1 (ko) 미닫이창문용 잠금장치
KR100873334B1 (ko) 현수식 교실출입문 및 그 교실출입문의 제작 방법
KR20170081886A (ko)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
KR20080086599A (ko) 창문설치구조
KR102449824B1 (ko) 리프트 슬라이딩 방식의 잠금장치
US20040262929A1 (en) Window lock for a sash window assembly
US7694461B2 (en) Shutter assembly with latch mechanism and catch plate
KR20110004368U (ko) 리프트 슬라이딩식 시스템창호용 잠금장치의 기어박스
KR200460525Y1 (ko) 미닫이식 시스템창호용 잠금장치의 기어박스
KR20210106399A (ko) 도어 개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
KR20220000692U (ko) 현관문용 안전고리
KR101139676B1 (ko) 창문잠금장치
JP2004036381A (ja) ドア又は窓の障子装置
KR20110017519A (ko) 여닫이문의 잠금장치
KR20230138632A (ko) 고정블럭을 이용한 스윙도어용 잠금장치
JPS634795Y2 (ko)
KR102284723B1 (ko) 폴딩 도어용 잠금장치
KR102372715B1 (ko) 리프팅창호의 후크타입 잠금장치
KR200402849Y1 (ko) 미닫이창문용 잠금장치
KR102044162B1 (ko) 여닫이 창호 및 미닫이 창호가 결합된 복합 창호 시스템
GB2584112A (en) Locking mechanism
CN209429792U (zh) 一种门窗插销结构及使用该插销结构的门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