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1886A -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 - Google Patents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1886A
KR20170081886A KR1020160000879A KR20160000879A KR20170081886A KR 20170081886 A KR20170081886 A KR 20170081886A KR 1020160000879 A KR1020160000879 A KR 1020160000879A KR 20160000879 A KR20160000879 A KR 20160000879A KR 20170081886 A KR20170081886 A KR 201700818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lower movable
window frame
movable member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0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2529B1 (ko
Inventor
이석호
배철호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600008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2529B1/ko
Publication of KR20170081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18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25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25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53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horizontal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3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8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02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wings in general, e.g. fanlights
    • E05F11/0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wings in general, e.g. fanlights with longitudinally-moving bars guided, e.g. by pivoted links, in or on the frame
    • E05F11/10Mechanisms by which a handle moves the ba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02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wings in general, e.g. fanlights
    • E05F11/32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wings in general, e.g. fanlights with rotary bars guided in the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짝프레임의 개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좌우 분리형으로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되, 창짝프레임에 결합하는 핸들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구동기어;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되, 상기 구동기어 회전에 의해 승강되는 상·하측 가동부재;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하측 가동부재 하강에 따라 상기 하우징 에 인접하는 창틀프레임의 내측면측으로 돌출되는 회동암; 상기 상·하측 가동부재 각각의 선단에 결합되되, 상기 상·하측 가동부재의 승강에 따라 상기 창틀프레임에 장착되는 스트라이커와 물림 또는 물림 해제되는 잠금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OPEN AUXILIARY DEVICE FOR SLIDING WINDOW}
본 발명은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핸들 회전에 의해 록킹부재가 잠금 상태로부터 해제될 뿐만 아니라 창짝프레임이 창틀프레임으로부터 개방 방향으로 이격됨으로써 창짝프레임의 개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내외부에는 출입 단속 및 채광을 목적으로 하는 각종의 창이 마련된다.
이때, 창은, 개폐 방식에 따라 미닫이창 또는 여닫이창 또는 고정창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중 미닫이창이 주택의 거실 및 베란다 등에 설치되는 중대형 창의 주를 이루고 있다.
이와 같은 미닫이창은 창짝프레임에 마련되는 핸들을 파지한 상태에서 일측으로 밀거나 당길 때 창짝프레임 하단의 롤러가 창틀프레임의 레일에서 회전함에 따라 횡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며 개폐된다.
한편, 최근 중대형 미닫이창의 경우 단열 성능의 향상을 위하여 이전에 비해 두꺼운 유리 또는 복층 유리를 창짝프레임에 적용하므로 창짝프레임의 하중이 상당할 뿐만 아니라 소음 및 외기 유입 차단 성능의 향상을 위하여 창짝프레임과 창틀프레임 사이에 기밀수단이 적용되어 창짝프레임과 기밀수단이 긴밀히 접촉하므로 파지 상태 핸들을 밀거나 당겨 창짝프레임을 슬라이딩시키는 것이 쉽지 않아 창짝프레임의 개방에 불편함이 따르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문제를 해소하고자 대한민국 공개실용 제20-2010-0012532호(공개일 : 2010.12.17.) 등의 기술이 제안된바 있다.
상기한 선행발명은, 잠금장치를 구동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손잡이에 결합된 구동기어과 구동기어 결합되는 랙이 형성된 슬라이드 바에 열림장치용 랙을 형성하고, 열림장치용 랙의 전방으로 문틀프레임에서 문짝프레임이 떨어지게 하는 열림장치를 설치하되, 열림장치는 레일홈에 내입된 상태에서 문짝프레임에 고정되는 바디와, 바디에 아암 핀(arm pin)으로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며, 슬라이드 바에 형성된 열림장치용 랙과 치합되는 구동기어 돌기가 수개 형성된 아암(arm)과, 아암의 선단에 조립되는 롤러와, 아암이 바디 내측에 위치되게 탄성 지지하도록 바디에 고정된 상태에서 아암의 수직부에 접하도록 설치한 리프 스프링(leaf spring)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문짝프레임에 마련된 손잡이를 회전시킬 때 손잡이와 함께 아암이 회전하여 문틀프레임으로부터 문짝프레임을 이격시키므로 중대형 미닫이창호의 개방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 선행발명은, 손잡이에 의해 구동되는 잠금장치와 열림장치가 각각 구비되므로 그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 및 설치에 번거로움이 따랐을 뿐만 아니라 잠금장치의 해제 작동 선행 후 열림장치를 작동시킬 수밖에 없어 열림장치 작동에 이르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이유로 해당분야에서는 구조가 간소화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열림장치 작동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는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A)의 개발을 시도하고 있으나, 현재까지는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종래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에서 손잡이에 의해 구동되는 잠금장치와 열림장치가 각각 구비됨에 따라 그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 및 설치에 번거로움이 따랐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에서 손잡이에 의해 구동되는 잠금장치와 열림장치가 각각 구비됨에 따라 잠금장치의 해제 작동 선행 후 열림장치를 작동시킬 수밖에 없어 열림장치 작동에 이르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었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는, 좌우 분리형으로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되, 창짝프레임에 결합하는 핸들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구동기어;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되, 상기 구동기어 회전에 의해 승강되는 상·하측 가동부재;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하측 가동부재 하강에 따라 상기 하우징에 인접하는 창틀프레임의 내측면측으로 돌출되는 회동암; 상기 상·하측 가동부재 각각의 선단에 결합되되, 상기 상·하측 가동부재의 승강에 따라 상기 창틀프레임에 장착되는 스트라이커와 물림 또는 물림 해제되는 잠금구;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창틀프레임의 내측면에 인접하는 창짝프레임의 일측 내부에 장착된다.
상기 하우징은 전면에 상기 회동암의 외부 돌출을 위한 개방부를 구비한다.
상기 하우징은 내측에 상기 구동기어와 치합하는 종동기어를 지지하는 고정편을 구비한다.
상기 구동기어는 중심부에 핸들의 중심축이 삽입되는 통공을 구비한다.
상기 통공은 다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하측 가동부재는 상기 구동기어와 인접하는 각각의 일단에 기어부를 구비한다.
상기 상측 가동부재의 상기 기어부는 상기 구동기어와 직접 치합한다.
상기 하측 가동부재의 상기 기어부는 상기 구동기어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종동기어와 치합한다.
상기 하측 가동부재는 상기 회동암의 돌출을 위한 개방구를 구비한다.
상기 하측 가동부재는 상기 회동암의 일단과 접촉하는 돌출부를 구비한다.
상기 돌출부는 그 일측이 코일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된다.
상기 회동암은 상기 하우징 외부로 돌출되는 선단에 롤러를 구비한다.
상기 회동암은 그 일단이 토션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된다.
상기 잠금구는 상기 상·하측 가동부재 각각의 선단에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는, 하우징 내에 창짝프레임의 개폐를 단속하는 잠금구 및 창짝프레임의 열림을 보조하는 회동암이 함께 마련되는바, 잠금장치와 열림장치를 별도로 마련하는 것에 비해 구조가 간소화되므로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는, 핸들 회전에 의해 잠금구의 작동과 회동암의 작동이 동시에 진행되므로 잠금장치의 작동과 열림장치의 작동이 개별적으로 진행되는 것에 비해 작동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결합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에서 구동기어의 회전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에서 상측 가동부재의 승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에서 하측 가동부재의 승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에서 회동암의 회전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에서 잠금구가 상·하측 가동부재 각각에 복수로 마련된 형태를 보인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의 잠금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의 잠금 해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의 초기 개방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A)는, 하우징(10)과, 구동기어(20)와, 상·하측 가동부재(30, 30')와, 회동암(40)과, 잠금구(50)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0)은 좌우 분리형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하우징(10)은 창틀프레임(100)의 내측면에 인접하는 창짝프레임(200)의 일측 내부에 장착됨으로써 상기 잠금구(50)의 승강 및 상기 회동암(4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창짝프레임(200)의 잠금 및 열림 보조가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은 전면에 개방부(11)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하우징(10) 내에서 회전하는 상기 회동암(40)이 상기 개방부(11)를 통해 상기 하우징(10) 외부로 돌출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은 내측에 별도 고정편(12)을 구비함으로써 아래에서 설명하는 종동기어(22)가 상기 고정편(12)에 의해 지지됨에 따라 애초 배치된 위치로부터 이탈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10)간의 결합 및 상기 하우징(10)과 상기 고정편(12)의 결합은 나사 체결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0)은 아래에서 설명하는 상기 구동기어(20)의 통공(21)과 마주하는 부위가 개방됨으로써 아래에서 설명하는 핸들(200)의 중심축(310)이 상기 하우징(10) 외측에서 상기 통공(21)으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구동기어(20)는,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창짝프레임(200)에 결합하는 핸들(300) 회전에 따라 회전한다.
이와 같은 상기 구동기어(20)는 중심부에 통공(21)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핸들(300)의 중심축(310)이 상기 통공(21)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핸들(300) 회전에 의해 상기 구동기어(20)의 회전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통공(21)은 다각형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통공(21)의 형태에 상응하는 형태, 즉 단면이 다각형 형태인 상기 중심축(310)을 상기 통공(21)에 삽입함에 따라 상기 중심축(310)의 공회전이 방지된다.
상기 상·하측 가동부재(30, 30')는, 상기 하우징(10) 내에 배치되되, 상기 구동기어(20) 회전에 의해 승강된다.
이와 같은 상기 상·하측 가동부재(30, 30')는 상기 구동기어(20)와 인접하는 각각의 일단에 기어부(31, 31')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상측 가동부재(30)의 상기 기어부(31)는 상기 구동기어(20)와 직접 치합함으로써 상기 구동기어(20) 회전에 의해 상기 상측 가동부재(30)가 승강한다.
그리고, 상기 하측 가동부재(30')의 상기 기어부(31')는 상기 구동기어(20)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종동기어(22)와 치합함으로써 상기 구동기어(20) 회전에 의해 상기 하측 가동부재(30')가 상기 상측 가동부재(30)의 승강 방향과 역방향으로 승강한다.
그리고 상기 하측 가동부재(30')는 개방구(32)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하우징(10) 내에서 회전하는 상기 회동암(40)이 상기 개방부(11)를 통해 상기 하우징(10) 외부로 돌출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하측 가동부재(30')는 돌출부(33)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하측 가동부재(30') 승강시 상기 돌출부(33)가 상기 회동암(40)의 일단에 접촉하여 가압함에 따라 상기 회동암(40)이 회전된다.
이때, 상기 돌출부(33)는 그 일측이 코일 스프링(34)에 의해 탄성 지지됨으로써 상기 하측 가동부재(30') 하강 이후 상기 코일 스프링(34)의 탄성에 의해 하강 이전 상태로의 복귀가 원활하다.
상기 회동암(40)은, 상기 하우징(10)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하측 가동부재(30') 하강에 따라 상기 하우징(10)에 인접하는 상기 창틀프레임(100)의 내측면측으로 돌출된다.
이와 같은 상기 회동암(40)은 상기 하우징(10) 외부로 돌출되는 선단에 롤러(41)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창틀프레임(100) 내측면측으로 상기 회동암(40)이 돌출될 때 상기 롤러(41)가 상기 창틀프레임(100)의 내측면에 접촉함에 따라 상기 창틀프레임(100) 내측면의 손상이 최소화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암(40)은 그 일단이 토션 스프링(42)에 의해 탄성 지지됨으로써 상기 회동암(40) 회전 이후 상기 토션 스프링(42)의 탄성에 의해 회전 이전 상태로의 복귀가 원활하다.
상기 잠금구(50)는, 상기 상·하측 가동부재(30, 30') 각각의 선단에 결합되되, 상기 상·하측 가동부재(30, 30')의 승강에 따라 상기 창틀프레임(100)에 장착되는 스트라이커(110)와 물림 또는 물림 해제된다.
이와 같은 상기 잠금구(5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하측 가동부재(30) 각각의 선단에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잠금구(50)가 복수로 구비되면 상기 잠금구(50)에 의한 상기 창짝프레임(200) 잠금 상태가 더욱 견고해진다.
본 발명에 의한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A)를 통한 상기 창짝프레임(200)의 개방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하우징(10)은 상기 창틀프레임(100)의 내측면에 인접하는 상기 창짝프레임(200)의 일측에 장착되며, 상기 창짝프레임(200)의 일측에 설치되는 상기 핸들(300)의 상기 중심축(310)은 상기 하우징(10) 내부에 배치되는 상기 구동기어(20)의 상기 통공(21)에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중심축(310)이 상기 구동기어(20)에 구비되는 상기 통공(21)에 삽입되도록 상기 핸들(300)을 설치한 이후 상기 핸들(300)을 파지하여 회전(도면상 시계 방향)시킴으로써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기어(20)가 회전된다.
이때, 상기 구동기어(20)는 상기 상측 가동부재(30)의 상기 기어부(31)와 치합하는바, 상기 핸들(300) 회전에 의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측 가동부재(30)가 점차로 상승한다.
또한, 상기 구동기어(20)는 별도 종동기어(22)와 치합하고, 상기 종동기어(22)는 상기 하측 가동부재(30')의 상기 기어부(31')와 치합하는바, 상기 핸들(300) 회전에 의해 상기 상측 가동부재(30)의 점차적 상승과 동시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측 가동부재(30')가 점차적 하강한다.
이와 같이 상기 핸들(300) 회전에 의해 상기 상·하측 가동부재(30, 30')가 점차적으로 승강함에 따라 상기 상·하측 가동부재(30, 30') 각각의 선단에 결합된 상기 잠금구(50) 또한 승강하게 되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측 가동부재(30)에 결합된 상기 잠금구(50)가 상승하여 상기 스트라이크(110)를 벗어나고, 상기 하측 가동부재(30')에 결합된 상기 잠금구(50)가 하강하여 상기 스트라이크(110)를 벗어나게 되므로 이에 의해 상기 창짝프레임(20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잠금 상태로부터 해제되어 개방 가능한 상태로 전환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하측 가동부재(30')는 상기 돌출부(33)를 구비하는바, 상기 하측 가동부재(30')의 승강이 진행되는 과정, 특히 하강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33)의 일단이 상기 회동암(40)의 일단과 접촉하며 가압하게 되므로 이에 의해 상기 회동암(40)이 점차로 회전하여 상기 회동암(40)의 선단이 상기 하우징(10)의 외부로 돌출된다.
따라서, 상기 잠금구(50) 각각이 상기 스트라이커(110)로부터 벗어나 상기 창짝프레임(200)이 개방 가능한 상태로 전환된 상태에서 상기 회동암(40)이 상기 하우징(10) 외부로 돌출되면 인접하는 상기 창틀프레임(100)의 내측면을 밀게 되어 이의 반력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창짝프레임(200)이 상기 창틀프레임(100)의 내측면으로부터 개방 방향으로 이격되므로 이 과정에서 상기 핸들(300)을 밀거나 당겨 상기 창짝프레임(200)을 개방 방향으로 더 진행시킴으로써 비교적 적은 힘으로도 상기 창짝프레임(200)의 개방이 가능하다.
다만, 상기 회동암(40)이 상기 창틀프레임(100)의 내측면에 접촉할 때 마찰로 인하여 상기 창틀프레임(100)의 손상이 따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상기 회동암(40)의 선단에는 상기 롤러(41)가 마련되는바, 상기 회동암(40)이 상기 창틀프레임(100)의 내측면을 밀 때 상기 롤러(41)가 상기 창틀프레임(100)과 접촉하게 되므로 상기 롤러(41) 회전에 의해 마찰 발생이 최소화되어 상기 창틀프레임(100)의 손상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 창짝프레임(200) 개방 상태에서 상기 핸들(300)을 이전과 역방향(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상기 상·하측 가동부재(30, 30')가 이전과 역으로 승강, 즉 상기 상측 가동부재(30)가 하강하고, 상기 하측 가동부재(30')가 상승하게 되어 이에 의해 상기 잠금구(50) 또한 역으로 승강하게 되므로 이후로 상기 창짝프레임(200)을 폐쇄하더라도 상기 잠금구(50)가 상기 스트라이커(110)에 삽입되지 못하고 상기 스트라이커(110) 전면에 걸릴 수밖에 없어 상기 창짝프레임(200)의 완전 폐쇄가 이루어질 수 없다.
따라서, 상기 핸들(300)은 상기 창짝프레임(200) 폐쇄 과정에서 상기 잠금구(50)가 상기 스트라이커(110)의 전면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창짝프레임(200)이 완전히 폐쇄된 이후 이전과 역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A)는, 상기 하우징(10) 내에 상기 창짝프레임(200)의 개폐를 단속하는 상기 잠금구(50) 및 상기 창짝프레임(200)의 열림을 보조하는 상기 회동암(40)이 함께 마련되는바, 잠금장치와 열림장치를 별도로 마련하는 것에 비해 구조가 간소화되므로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해질 수 있고, 상기 핸들(300) 회전에 의해 상기 잠금구(50)의 작동과 상기 회동암(40)의 작동이 동시에 진행되므로 잠금장치의 작동과 열림장치의 작동이 개별적으로 진행되는 것에 비해 작동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므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경은 이하 청구범위 기재에 의하여 정의되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하우징 11 : 개방부
12 : 고정편 20 : 구동기어
21 : 통공 22 : 종동기어
30, 30' : 상·하측 가동부재 31, 31' : 기어부
32 : 개방구 33 : 돌출부
34 : 코일 스프링 40 : 회동암
41 : 롤러 42 : 토션 스프링
50 : 잠금구 100 : 창틀프레임
110 : 스트라이커 200 : 창짝프레임
300 : 핸들 310 : 중심축
A : 열림 보조장치

Claims (15)

  1. 좌우 분리형으로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되, 창짝프레임에 결합하는 핸들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구동기어;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되, 상기 구동기어 회전에 의해 승강되는 상·하측 가동부재;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하측 가동부재 하강에 따라 상기 하우징 에 인접하는 창틀프레임의 내측면측으로 돌출되는 회동암;
    상기 상·하측 가동부재 각각의 선단에 결합되되, 상기 상·하측 가동부재의 승강에 따라 상기 창틀프레임에 장착되는 스트라이커와 물림 또는 물림 해제되는 잠금구;를 포함하는 것인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창틀프레임의 내측면에 인접하는 창짝프레임의 일측 내부에 장착되는 것인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전면에 상기 회동암의 외부 돌출을 위한 개방부를 구비하는 것인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내측에 상기 구동기어와 치합하는 종동기어를 지지하는 고정편을 구비하는 것인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어는 중심부에 핸들의 중심축이 삽입되는 통공을 구비하는 것인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공은 다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것인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측 가동부재는 상기 구동기어와 인접하는 각각의 일단에 기어부를 구비하는 것인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가동부재의 상기 기어부는 상기 구동기어와 직접 치합하는 것인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가동부재의 상기 기어부는 상기 구동기어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종동기어와 치합하는 것인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가동부재는 상기 회동암의 돌출을 위한 개방구를 구비하는 것인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가동부재는 상기 회동암의 일단과 접촉하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인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그 일측이 코일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것인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암은 상기 하우징 외부로 돌출되는 선단에 롤러를 구비하는 것인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암은 그 일단이 토션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것인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구는 상기 상·하측 가동부재 각각의 선단에 복수로 구비되는 것인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
KR1020160000879A 2016-01-05 2016-01-05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 KR1020525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0879A KR102052529B1 (ko) 2016-01-05 2016-01-05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0879A KR102052529B1 (ko) 2016-01-05 2016-01-05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1886A true KR20170081886A (ko) 2017-07-13
KR102052529B1 KR102052529B1 (ko) 2019-12-05

Family

ID=59352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0879A KR102052529B1 (ko) 2016-01-05 2016-01-05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25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84776A (zh) * 2019-04-28 2019-09-27 深圳好博窗控技术有限公司 一种助推结构及推拉执手锁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5845B1 (ko) 2020-06-12 2022-02-22 최상운 미닫이 창호의 개방 보조장치
KR20230109040A (ko) 2022-01-12 2023-07-19 최상운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
KR102480070B1 (ko) 2022-04-11 2022-12-21 주식회사 락센 창호 개방 보조장치를 구비한 슬라이드 창호용 키퍼
KR20240000316A (ko) 2022-06-23 2024-01-02 주식회사 락센 개방 보조기구를 가진 슬라이드 창호용 키퍼
KR20240002102A (ko) 2022-06-28 2024-01-04 주식회사 락센 개방 보조기구를 가진 슬라이드 창호용 키퍼
KR20240006390A (ko) 2022-07-06 2024-01-15 주식회사 락센 개방 보조기구가 구비된 슬라이드 창호용 키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52218A (ja) * 2002-07-16 2004-02-19 Tostem Inax Holding Ltd 開口部装置
JP2005061000A (ja) * 2003-08-11 2005-03-10 Meiko Of Tampa Inc 障子開閉用ハンドル
KR20100024649A (ko) * 2008-08-26 2010-03-08 (주)엘지하우시스 창호용 잠금장치
KR20100012532U (ko) * 2009-06-09 2010-12-17 주식회사 대현상공 손잡이 연동식 미닫이문용 열림장치
KR20170025549A (ko) * 2015-08-28 2017-03-08 주식회사 대현상공 초기 개폐 기능을 갖는 미닫이문용 수동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52218A (ja) * 2002-07-16 2004-02-19 Tostem Inax Holding Ltd 開口部装置
JP2005061000A (ja) * 2003-08-11 2005-03-10 Meiko Of Tampa Inc 障子開閉用ハンドル
KR20100024649A (ko) * 2008-08-26 2010-03-08 (주)엘지하우시스 창호용 잠금장치
KR20100012532U (ko) * 2009-06-09 2010-12-17 주식회사 대현상공 손잡이 연동식 미닫이문용 열림장치
KR20170025549A (ko) * 2015-08-28 2017-03-08 주식회사 대현상공 초기 개폐 기능을 갖는 미닫이문용 수동 잠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84776A (zh) * 2019-04-28 2019-09-27 深圳好博窗控技术有限公司 一种助推结构及推拉执手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2529B1 (ko) 2019-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81886A (ko)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
US11111698B2 (en) Multipoint lock
US9109384B2 (en) Flush lock for casement window
KR200409014Y1 (ko) 창문용 자동잠금장치
US20090013605A1 (en)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lift-up sliding doors and windows
KR102024764B1 (ko)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
KR102002311B1 (ko)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
KR200477585Y1 (ko) 록킹기능을 갖춘 창호 도어용 핸들장치
KR200397177Y1 (ko) 창호의 자동록킹 장치
KR102063732B1 (ko)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
KR20160052486A (ko)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
US11220845B2 (en) Powered sash lock and control systems therefor
KR20180007076A (ko) 모티스 샤프트 직접 구동형 푸쉬풀 핸들을 갖는 도어락
CN107690503B (zh) 用于滑动窗的打开辅助装置
ITMI20110136A1 (it) Serramento motorizzato
KR200414222Y1 (ko) 창문용 크레센트
KR101998840B1 (ko)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
KR101333324B1 (ko) 창호의 자동 록킹장치
JP6251140B2 (ja) 施錠装置
KR200452139Y1 (ko) 미닫이창문용 잠금장치
KR101571401B1 (ko) 도어 개폐 핸들 잠금 장치
KR20140000485U (ko) 미닫이 창문용 잠금장치
KR100691764B1 (ko) 창호의 자동록킹 장치
KR200418943Y1 (ko)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KR20240002102A (ko) 개방 보조기구를 가진 슬라이드 창호용 키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