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4368U - 리프트 슬라이딩식 시스템창호용 잠금장치의 기어박스 - Google Patents

리프트 슬라이딩식 시스템창호용 잠금장치의 기어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4368U
KR20110004368U KR2020090013960U KR20090013960U KR20110004368U KR 20110004368 U KR20110004368 U KR 20110004368U KR 2020090013960 U KR2020090013960 U KR 2020090013960U KR 20090013960 U KR20090013960 U KR 20090013960U KR 20110004368 U KR20110004368 U KR 2011000436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guide
handle
pinion
guid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39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효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쓰리지테크놀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쓰리지테크놀러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쓰리지테크놀러지
Priority to KR20200900139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4368U/ko
Publication of KR201100043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436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3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1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vertic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2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vertic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50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more than one kind of movement
    • E06B3/52Wings requiring lifting before op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76Transmission of human force
    • E05Y2201/68Handles, cr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1Toothed gearing
    • E05Y2201/716Pin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창호의 개폐시 손잡이의 작동방향이 기존 시스템창호의 작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리프트 슬라이딩식 시스템창호용 잠금장치의 기어박스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리프트 슬라이딩식 시스템창호용 잠금장치는 내부에 안내공간이 수직하게 형성된 하우징과, 하우징의 안내공간에 제자리 회전되도록 설치되고, 손잡이가 축 결합되는 피니언 및 피니언이 배치되도록 수직하게 형성되는 안내장공 및 안내장공의 한쪽 면에 피니언과 맞물리는 랙이 형성되어 안내공간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손잡이의 조작시 창호에 설치되는 작동로드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부재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리프트 슬라이딩식 시스템창호용 잠금장치의 기어박스에 의하면, 창호의 개폐시 손잡이의 작동방향이 기존의 시스템창호에 구비된 잠금장치의 작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작동되도록 구현하여 소비자로 하여금 창호의 개폐에 따른 혼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와 기존의 잠금장치의 작동방향이 동일성을 갖도록 기어박스를 단순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리프트 슬라이딩, 창호, 잠금장치, 기어박스, 손잡이, 방향성

Description

리프트 슬라이딩식 시스템창호용 잠금장치의 기어박스{GEAR-BOX FOR LOCKING APPARATUS OF LIFT SLIDING-TYPE SYSTEM WINDOWS AND DOORS}
본 고안은 리프트 슬라이딩식 시스템창호용 잠금장치의 기어박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창호의 개폐시 손잡이의 작동방향이 기존 시스템창호의 작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기어박스를 단순구조로 형성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량된 리프트 슬라이딩식 시스템창호용 잠금장치의 기어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호는 건축물에 창과 문의 통칭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상기 창호가 설치되는 틀을 창호틀이라 한다. 이러한 창호 중에서 베란다 도어나 기타 창등에 주로 사용하는 미닫이문은 안내레일이 구비된 창호틀에 로울러가 장착된 창문을 설치하여, 안내레일을 따라 창문을 밀어 개폐할 수 있는 미닫이식과 방음성, 단열성 등을 더욱 향상시킨 리프트 슬라이딩식 시스템창호가 있다.
특히 리프트 슬라이딩식 시스템창호는, 창호를 개방하기 위해 손잡이를 회전시키는 경우, 창짝이 레일로부터 일정거리 들어 올려져 조용하고 부드럽게 열리며, 닫힌 상태에서는 창짝과 밀착되어 기밀성, 단열성, 방음성 및 수밀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형성된 창호로 거실 분합문이나 발코니 창 등 비교적 대형 창호에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리프트 슬라이딩식 시스템창호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호(100)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작동로드(102)와, 작동로드(102)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손잡이(120)가 결합되도록 창호(100)에 설치되는 기어박스(104) 및 작동로드(102)의 상,하 작동에 따라 창호(100)를 창호틀(130)로부터 리프팅하기 위한 리프트부재(110)로 구성되는 잠금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기어박스(104)는 창호(100)의 중간에 내장되도록 설치되는 하우징(105)과, 하우징(105) 내에 설치되고 손잡이(120)가 축 결합되는 축공(107)이 형성되는 피니언(106) 및 피니언(106)과 맞물리도록 하우징(105) 내에 설치되어 작동로드(102)와 연결돌기(109)를 매개로 연결되는 랙(108)으로 구성된다.
리프트부재(110)는 작동로드(102)의 하단부와 회동링크(112)에 의해 연결되어 창호틀(130)의 레일에 탑재되는 제 1 슬라이더(114)와, 제 1 슬라이더(114)와 연결 로드(115)를 매개로 후방에 연결되는 제 2 슬라이더(116) 및 제 1 슬라이더(114)와 제 2 슬라이더(116)에 승강 가능하게 각각 장착되어 창호(100)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승강블록(118)으로 구성된다.
회동링크(112)는 승강블록(118)과 힌지에 의해 결합되어 손잡이(120)에 의한 작동로드(102)의 수직운동을 수평운동으로 전환하여 제 1 슬라이더(114)와 제 2 슬라이더(116)로 전달하게 된다.
제 1 슬라이더(114)와 제 2 슬라이더(116)에는 창호틀(130)의 레일 상에서 회동하는 롤러(114A,116B)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승강블록(118)에는 안내장공(118A)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고, 안내장공(118A)에는 제 1 슬라이더(114)와 제 2 슬라이더(116)에 형성되어 있는 안내축(114B,116B)이 삽입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리프트 슬라이딩식 시스템창호는 손잡이(120)를 작동시키면, 작동로드(102)가 피니언(106)과 랙(108)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게 되고, 회동링크(112)는 작동로드(102)의 수직운동을 수평운동으로 전환시켜 제 1 슬라이더(114)와 제 2 슬라이더(116)를 레일 상에서 밀거나 당기게 되며, 이에 제 1 슬라이더(114)와 제 2 슬라이더(116)에 형성된 안내축(114B,116B)이 안내장공(118A)에 의해 안내되어 승강블록(118)이 제 1 슬라이더(114)와 제 2 슬라이더(116)에서 승강 됨에 따라 창호(100)는 레일로부터 들어 올려지거나 창호틀(130)과 밀착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리프트 슬라이딩식 시스템창호는, 기어박스의 피니언과 랙의 결합구조에 의해 손잡이를 아래로 내리면 창호가 열리고, 반대로 손잡이를 위로 올리면 창호가 잠기게 되는 구조를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손잡이의 작동방향이 시스템창호의 작동방향과 반대로 작동하게 됨으로써 창호의 개폐시 사용자에게 혼동을 주게 되는 등의 불편이 있었다.
근래에는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09-0000438호의 ‘미닫이식 시스템창호용 잠금장치의 기어박스’가 제시되었다.
이러한 미닫이식 시스템창호용 잠금장치의 기어박스(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호를 개폐하기 위해 손잡이(8)를 작동시키면 피니언(6)과 맞물려 회전 되는 아이들 기어(11)에 의해 랙(4)이 상,하로 이동되면서 슬라이드 바(12)를 손잡이(8)의 작동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됨으로써 손잡이(8)의 작동방향과 시스템창호의 작동방향이 같은 방향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미닫이식 시스템창호용 잠금장치의 기어박스는, 케이스의 내측에 아이들 기어를 추가하여 손잡이의 작동방향이 시스템창호의 작동방향과 같은 방향성을 갖도록 하였으나, 아이들 기어의 추가로 인해 기어박스의 구성이 늘어나게 됨과 아울러, 아이들 기어의 추가에 따른 공간확보를 위해 케이스의 부피가 커지게 되어 창호에 설치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리프트 슬라이딩식 시스템창호를 개폐하는 손잡이의 작동방향이 기존 시스템창호의 작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손잡이가 설치되는 기어박스를 단순구조로 형성할 수 있도록 한 리프트 슬라이딩식 시스템창호용 잠금장치의 기어박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내부에 안내공간이 수직하게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안내공간에 제자리 회전되도록 설치되고, 손잡이가 결합되는 피니언; 및
상기 피니언이 배치되도록 수직하게 형성되는 안내장공 및 상기 안내장공의 한쪽 면에 피니언과 맞물리는 랙이 형성되어 안내공간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손잡이의 조작시 창호에 설치되는 작동로드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부재는 손잡이의 조작시 안내공간에서 피니언과 랙의 작동에 의한 안내장공에 의해 손잡이의 작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성을 갖도록 승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내공간의 대응되는 양 측벽에는 상기 피니언의 상,하부 가장자 리를 감싸서 지지하도록 대응되게 돌출되는 지지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내공간의 양 측벽에는 안내장공에 배치되어 승강부재의 승강을 제어하도록 돌출되는 멈춤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내공간의 양 측벽에는 하나 이상의 안내레일이 수직하게 형성되고, 상기 승강부재에는 안내레일이 끼워져 안내되는 안내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리프트 슬라이딩식 시스템창호용 잠금장치의 기어박스에 의하면, 창호의 개폐시 손잡이의 작동방향이 기존의 시스템창호에 구비된 잠금장치의 작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작동되도록 구현함으로써, 소비자로 하여금 창호의 개폐에 따른 혼동을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손잡이와 기존의 잠금장치의 작동방향이 동일성을 갖도록 기어박스의 구성을 단순화하여 단순구조로 형성 가능함으로써, 창호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기어박스에 승강부재의 승강제어 및 및 안내 구조를 구비하여 창호의 개폐에 따른 승강부재의 과도한 상승을 방지할 수 있고, 항상 안정적인 승강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슬라이딩식 시스템창호용 잠금장치의 기어박스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리프트 슬라이딩식 시스템창호용 잠금장치의 기어박스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리프트 슬라이딩식 시스템창호용 잠금장치의 기어박스를 나타낸 단면도, 그리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리프트 슬라이딩식 시스템창호용 잠금장치의 기어박스의 작동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슬라이딩식 시스템창호용 잠금장치의 기어박스(1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0), 이 하우징(20) 내에 제자리 회전되도록 설치되고 손잡이(50)가 결합되는 피니언(30) 및 이 피니언(30)과 맞물리는 랙(44)을 형성하여 하우징(20) 내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부재(40)를 포함한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하우징(20)은 일정한 틀을 이루어 대응되는 제 1,2하우징(20A,20B)으로 양분되도록 형성되며, 공지의 결합수단, 예를 들어서 나사, 볼트 등에 의해 일체화되도록 결합된다. 하우징(20)의 내부에는 승강부재(40)가 설치되어 승강되도록 상,하로 일정한 길이를 갖는 안내공간(22)이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다. 안내공간(22)의 중간부에는 피니언(30)이 제자리 회전되도록 지지하기 위한 지지벽(24)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지지벽(24)은 피니언(30)과 랙(44)이 맞물리는 영역을 제외한 피니언(30)의 상,하부 가장자리를 감싸서 지지하도록 안내공간(22)의 대응되는 양 측벽에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에 피니언(30)은 지지벽(24)에 의해 지지되어 안내공간(22)에서 제자리 회전 가능하다.
또한, 안내공간(22)의 양 측벽에는 승강부재(30)의 승강을 제어하는 멈춤돌기(26)가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멈춤돌기(26)는 지지벽(24)의 상,하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각각 배치된다.
또한, 안내공간(22)의 양 측벽에는 하나 이상의 안내레일(28)이 수직하게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피니언(30)은 하우징(20)의 지지벽(24)에 의해 지지되어 안내공간(22)에 제자리 회전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피니언(30)에는 손잡이(50)에 형성된 축(52)이 결합되는 축공(32)이 형성되어 있다.
승강부재(40)는 하우징(20)의 안내공간(22)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손잡이(50)의 작동시 작동로드(102)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이를 위해서 안내공간(22)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그 중앙부에 피니언(30) 및 멈춤돌기(26)가 배치되도록 상,하로 일정한 길이를 갖는 안내장공(42)이 수직하게 형성되 어 있다. 안내장공(42)의 한쪽 면에는 피니언(30)과 맞물리는 랙(44)이 형성되어 있다. 승강부재(40)의 외측에는 창호(100)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작동로드(102)와 연결되는 연결돌기(46)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승강부재(40)는 피니언(30) 및 멈춤돌기(26)가 안내장공(42) 내에 배치되도록 안내공간(22)에 설치되고 손잡이(50)의 조작시 피니언(30)과 맞물리는 랙(44)에 의해 상,하로 승강되면서 작동로드(102)를 승강부재(40)와 같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조로 된 것이다.
즉, 손잡이(50)를 창호(100)의 열림방향(위로 올림)으로 작동시키면, 승강부재(40)는 피니언(30)과 랙(44)에 의해 안내공간(22)의 상측으로 이동되어 작동로드(102)를 상측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반대로, 손잡이(50)를 창호(100)의 닫힘방향(아래로 내림)으로 작동시키면, 승강부재(40)는 피니언(30)과 랙(44)에 의해 안내공간(22)의 하측으로 이동되어 작동로드(102)를 하측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또한, 승강부재(40)는 승강시 안내장공(42)의 내측면에 멈춤돌기(26)가 접촉되어 손잡이(50)의 조작에 따른 승강이 제어된다.
또한, 승강부재(40)의 양 측면에는 안내레일(28)에 끼워져 안내되는 안내홈(48)이 형성되어 있다. 안내홈(48)은 승강부재(40)가 안내공간(22)의 상,하로 수직하게 승강되도록 안내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슬라이딩식 시스템창호용 잠금장 치의 기어박스(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호(100)의 개폐시 손잡이(50)의 작동방향이 기존의 시스템창호에 구비된 잠금장치의 작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먼저, 창호(100)를 열기 위해 손잡이(50)를 위로 올리게 되면, 피니언(30)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승강부재(40)는 피니언(30)과 랙(44)의 작동에 따라 안내공간(22)의 상측으로 안내장공(42)을 통해 슬라이딩되도록 안내되어 상승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승강부재(40)의 상승에 의해 연결돌기(46)를 매개로 연결된 작동로드(102)가 창호(100)의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작동로드(102)와 연동되는 리프트부재(110)가 리프팅 작동하게 되므로, 창호(100)는 레일로부터 들어 올려지게 되는 것이다.
반면에, 창호(100)를 닫기 위해 손잡이(50)를 아래로 내리게 되면, 피니언(3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승강부재(40)는 피니언(30)과 랙(44)의 작동에 따라 안내공간(22)의 하측으로 안내장공(42)을 통해 슬라이딩되도록 안내되어 하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승강부재(40)의 하강에 의해 작동로드(102)가 창호(100)의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리프트부재(110)를 하강시키게 되므로, 창호(100)는 창호틀(130)과 밀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리프트 슬라이딩식 시스템창호용 잠금장치의 기어박스는 창호(100)를 개폐하기 위한 손잡이(50)의 작동방향이 기존의 시스템창호에 구비된 잠 금장치의 작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작동되도록 구현함으로써, 창호(100)의 개폐에 따른 혼동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손잡이(50)와 기존의 잠금장치의 작동방향이 동일성을 갖도록 구현하기 위한 기어박스(10)의 구성을 종래의 기어박스 구성보다 줄일 수 있고, 이를 통해 기어박스(10)를 단순구조로 형성하여 창호(100)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또한, 승강부재(40)의 승강을 멈춤돌기(26)에 의해 제어함으로써 손잡이(50)에 작용하는 외력에 의한 승강부재(40)의 과도한 상승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또한, 승강부재(40)는 안내레일(28) 및 안내홈(48)에 의해 안내공간(22)에서 안정적인 수직승강을 도모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실시 예로써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리프트 슬라이딩식 시스템창호의 잠금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도 1의 리프트 슬라이딩식 시스템창호의 잠금장치에 구비된 기어박스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리프트 슬라이딩식 시스템창호의 잠금장치에 구비된 또 다른 기어박스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리프트 슬라이딩식 시스템창호용 잠금장치의 기어박스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리프트 슬라이딩식 시스템창호용 잠금장치의 기어박스를 나타낸 단면도, 그리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리프트 슬라이딩식 시스템창호용 잠금장치의 기어박스의 작동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기어박스 20: 하우징부재
22: 안내공간 24: 지지벽
26: 멈춤돌기 28: 안내레일
30: 피니언 40: 승강부재
42: 안내장공 44: 랙
46: 연결돌기 48: 안내홈
50: 손잡이

Claims (4)

  1. 내부에 안내공간(22)이 수직하게 형성된 하우징(20);
    상기 하우징(20)의 안내공간(22)에 제자리 회전되도록 설치되고, 손잡이(50)가 결합되는 피니언(30); 및
    상기 피니언(30)이 배치되도록 수직하게 형성되는 안내장공(42) 및 상기 안내장공(42)의 한쪽 면에 피니언(30)과 맞물리는 랙(44)이 형성되어 안내공간(22)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손잡이(50)의 조작시 창호(100)에 설치되는 작동로드(102)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부재(40);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부재(40)는 손잡이(50)의 조작시 안내공간(22)에서 피니언(30)과 랙(44)의 작동에 의한 안내장공(42)에 의해 손잡이(50)의 작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성을 갖도록 승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슬라이딩식 시스템창호용 잠금장치의 기어박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공간(22)의 대응되는 양 측벽에는 상기 피니언(30)의 상,하부 가장자리를 감싸서 지지하도록 대응되게 돌출되는 지지벽(2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슬라이딩식 시스템창호용 잠금장치의 기어박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공간(22)의 양 측벽에는 안내장공(42)에 배치되어 승강부재(40)의 승강을 제어하도록 돌출되는 멈춤돌기(2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슬라이딩식 시스템창호용 잠금장치의 기어박스.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공간(22)의 양 측벽에는 하나 이상의 안내레일(28)이 수직하게 형성되고, 상기 승강부재(40)에는 안내레일(28)이 끼워져 안내되는 안내홈(48)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슬라이딩식 시스템창호용 잠금장치의 기어박스.
KR2020090013960U 2009-10-27 2009-10-27 리프트 슬라이딩식 시스템창호용 잠금장치의 기어박스 KR2011000436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3960U KR20110004368U (ko) 2009-10-27 2009-10-27 리프트 슬라이딩식 시스템창호용 잠금장치의 기어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3960U KR20110004368U (ko) 2009-10-27 2009-10-27 리프트 슬라이딩식 시스템창호용 잠금장치의 기어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4368U true KR20110004368U (ko) 2011-05-04

Family

ID=44241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3960U KR20110004368U (ko) 2009-10-27 2009-10-27 리프트 슬라이딩식 시스템창호용 잠금장치의 기어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4368U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77676A1 (en) * 2011-11-24 2013-05-30 Lg Hausys, Ltd. Malfunction prevention handle for horizontal contact type window
KR200468929Y1 (ko) * 2012-05-22 2013-09-09 박덕교 기어를 이용한 레버 타입의 도어 락
KR101446682B1 (ko) * 2013-07-31 2014-10-06 주식회사 이에스 슬라이딩 도어 손잡이장치
KR101472622B1 (ko) * 2012-03-29 2014-12-15 (주)엘지하우시스 강선을 이용한 창호용 하드웨어
KR101505749B1 (ko) * 2013-11-04 2015-03-24 주식회사 귀뚜라미 범양냉방 도어식 배플을 갖는 소음감쇠 조립체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77676A1 (en) * 2011-11-24 2013-05-30 Lg Hausys, Ltd. Malfunction prevention handle for horizontal contact type window
JP2015503041A (ja) * 2011-11-24 2015-01-29 エルジー・ハウシス・リミテッド 水平密着型窓戸の誤動作防止ハンドル
RU2564602C1 (ru) * 2011-11-24 2015-10-10 ЭлДжи ХАУСИС, ЛТД. Ручка-блокиратор ошибочных действий для окна горизонтального контактного типа
KR101472622B1 (ko) * 2012-03-29 2014-12-15 (주)엘지하우시스 강선을 이용한 창호용 하드웨어
KR200468929Y1 (ko) * 2012-05-22 2013-09-09 박덕교 기어를 이용한 레버 타입의 도어 락
KR101446682B1 (ko) * 2013-07-31 2014-10-06 주식회사 이에스 슬라이딩 도어 손잡이장치
KR101505749B1 (ko) * 2013-11-04 2015-03-24 주식회사 귀뚜라미 범양냉방 도어식 배플을 갖는 소음감쇠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3571B1 (ko) 시스템창호 개폐장치
KR20110004368U (ko) 리프트 슬라이딩식 시스템창호용 잠금장치의 기어박스
KR101303504B1 (ko) 이탈방지장치를 구비한 수평 밀착 창호
CN201443272U (zh) 一种平开推拉门窗用开合机构及平开推拉门窗
CN204716046U (zh) 一种新型宿舍门窗
KR100943890B1 (ko) 리프트 슬라이딩 창호의 자동 및 수동 전환장치
KR20080086599A (ko) 창문설치구조
KR100753579B1 (ko) 시스템창호 개폐장치
KR200457120Y1 (ko) 리프트 슬라이딩식 시스템창호용 잠금장치의 기어박스
KR101858083B1 (ko) 창호용 기밀 유지 장치
KR101237681B1 (ko) 여닫이문의 잠금장치
CN209653812U (zh) 一种带有卡锁结构的平开窗
KR200216904Y1 (ko) 창문 개폐장치
KR20090000438U (ko) 미닫이식 시스템창호용 잠금장치의 기어박스
RU2514231C2 (ru) Оконная система
CN104373009A (zh) 一种上推式电动门窗
KR100910157B1 (ko) 창문 자동 개폐장치용 랙의 높이조절장치
CN210948125U (zh) 一种内开窗通风调节装置
KR200271060Y1 (ko) 여닫이문의 잠금장치
CN208608567U (zh) 一种密封型双柜门开关柜
JP4552948B2 (ja) 窓装置
KR101172417B1 (ko) 창문용 록킹장치
KR102449824B1 (ko) 리프트 슬라이딩 방식의 잠금장치
KR200402287Y1 (ko) 리프트 슬라이딩 창호의 다중 기밀구조
KR200457116Y1 (ko) 리프트 슬라이딩 방식 고정창의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