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1060Y1 - 여닫이문의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여닫이문의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1060Y1
KR200271060Y1 KR2020010038834U KR20010038834U KR200271060Y1 KR 200271060 Y1 KR200271060 Y1 KR 200271060Y1 KR 2020010038834 U KR2020010038834 U KR 2020010038834U KR 20010038834 U KR20010038834 U KR 20010038834U KR 200271060 Y1 KR200271060 Y1 KR 2002710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ixed
locking
rack
slid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88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노
윤중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병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병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20200100388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10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10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1060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출입구에 설치되어 잡아당기거나, 밀어줌에 따라 개폐되는 여닫이문에 관한 것으로, 여닫이문을 잠가 록킹상태를 유지시 문틀과 여닫이문의 접속면이 긴밀히 밀착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문(3)에 고정된 함체(8)내에 래치(5)를 스프링(9)으로 탄력 설치하여 손잡이의 누름 동작에 따라 회동체(11)가 래치(5)를 잡아당기도록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함체(8)내에 승, 하강 가능하게 설치된 판상의 랙(13)과, 상기 랙에 맞물리는 피니언(14a)이 일체로 형성된 종동기어(14)와, 상기 종동기어에 맞물리게 설치되어 함체(8)의 외부에 설치된 놉(15)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구동기어(16)와, 상기 랙의 양단에 걸려 랙의 승, 하강 운동에 따라 함께 승, 하강 운동하며, 끝단에는 로울러(18)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슬라이더(17)와, 상기 슬라이더를 문(3)에 지지하며 슬라이더의 승, 하강 운동을 안내하는 고정패널(19)과, 문틀의 상, 하부에 고정되어 슬라이더의 승, 하강에 따라 문의 잠금상태를 유지하거나, 해제하는 록킹부재(21)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여닫이문의 잠금장치{omitted}
본 고안은 출입구에 설치되어 잡아당기거나, 밀어줌에 따라 개폐되는 여닫이문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여닫이문을 잠가 록킹상태를 유지시 문틀과 여닫이문의 접속면이 긴밀히 밀착되도록 하는 여닫이문의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출입구를 개방하는 문은 개폐방식에 따라 잡아당기거나, 밀어줌에 따라 개폐되는 여닫이문과, 호차가 레일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개폐되는 미닫이문으로 대별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여닫이문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여닫이문이 닫힌 상태의 정면도로서, 사각틀형태를 유지하는 문틀(1)이 건물의 벽체(2)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문틀에는 중량체의 여단이문(이하 "문"이라 함)(3)이 개폐가능하게 경첩(4)에 의해 외팔보형태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문(3)에 래치(5)가 설치되어 손잡이(6)의 누름에 따라 출몰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문틀(1)에는 문이 닫힌 상태에서 래치(5)가 수용되므로 인해 문의 잠김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요입홈(7)이 형성되어 있는데, 문틀(1)과 문(3)의 접속면에는 문이 닫힌 상태에서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패킹(도시는 생략함)이 각각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문(3)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된 래치(5)가 문틀(1)의 요입홈(7)내에 삽입된 상태, 즉 문이 닫힌(잠긴)상태에서 손잡이(6)를 눌러주면 래치(5)가 요입홈(7)으로부터 이탈되므로 문(3)을 개방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를 갖는 종래 여닫이문의 잠금장치는 문의 중앙부위에서만 잠그게 되므로 단면적이 넓은 문의 변형정도가 심하여 문을 닫더라도 상부 또는 하부가 문틀로부터 벌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벌어진 틈새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므로 냉, 난방 효율이 저하되어 냉, 난방비의 지출이 커지게 되었음은 물론 방음효과가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문이 변형되어 있더라도 문을 닫은 상태에서 잠그면 문을 문틀에 긴밀히 접속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형태에 따르면, 문에 고정된 함체내에 래치를 스프링으로 탄력 설치하여 손잡이의 누름 동작에 따라 회동체가 래치를 잡아당기도록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함체내에 승, 하강 가능하게 설치된 판상의 랙과, 상기 랙에 맞물리는 피니언이 일체로 형성된 종동기어와, 상기 종동기어에맞물리게 설치되어 함체의 외부에 설치된 놉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구동기어와, 상기 랙의 양단에 걸려 랙의 승, 하강 운동에 따라 함께 승, 하강 운동하며, 끝단에는 로울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를 문에 지지하며 슬라이더의 승, 하강 운동을 안내하는 고정패널과, 문틀의 상, 하부에 고정되어 슬라이더의 승, 하강에 따라 문의 잠금상태를 유지하거나, 해제하는 록킹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문의 잠금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여닫이문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여닫이문이 닫힌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를 일부 생략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도 3의 정면도로서,
도 4a는 여닫이문의 잠김이 해제된 상태도
도 4b는 슬라이더의 이동으로 여닫이문이 잠긴 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록킹부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조절핀의 회전으로 록킹편의 위치가 가변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7a 및 도 7b는 문틀에 고정된 록킹부재의 정면도로서,
도 7a는 록킹편에 로울러가 이탈되어 잠김이 해제된 상태도
도 7b는 록킹편에 로울러가 걸려 잠긴 상태도
도 8은 도 4a의 A - A선 단면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문 5 : 래치
8 : 함체 11 : 회동체
13 : 랙 14 : 종동기어
15 : 놉 16 : 구동기어
17 : 슬라이더 18 : 로울러
21 : 록킹부재 23 : 록킹편
24 : 조절핀 25 : 키뭉치
이하, 본 고안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도 3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를 일부 생략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도 3의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록킹부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로서, 본 고안은 문(3)에 고정된 함체(8)내에 래치(5)가 스프링(9)으로 탄력 설치되어 있고 래치와 고정된 로드(5a)상에는 덮개(10)의 외측으로 설치되는 손잡이(6)의 누름 동작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회동체(11)의 일단이 끼워져 있으며 상기 회동체(11)와 함체(8)사이에는 회동체(11)의 복원을 보조하는 토션스프링(12)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래치(5)의 내측으로 판상의 랙(13)이 승, 하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랙의 기어부(13a)에는 종동기어(14)와 일체로 형성된 피니언(14a)이 맞물려 있으며 상기 종동기어에는 함체(8)의 외부에 설치된 놉(15)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구동기어(16)가 맞물리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동기어(16)의 회전운동에 따라 상, 하 운동하는 랙(13)의 양단에 삽입홈(13b)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홈(13b)내에는 슬라이더(17)의 절곡부(17a)가 각각 끼워져 있어 랙의 승, 하강운동에 따라 슬라이더가 함께 승, 하강 운동하도록 되어 있는데, 상기 각 슬라이더(17)의 끝단에는 로울러(18)가 공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더(17)는 승, 하강운동을 안내하는 고정패널(19)에 의해 문(3)에 지지되어 있는데, 상기 고정패널(19)이 체결부재(20)에 의해 문(3)에 고정되도록 슬라이더(17)에는 승, 하강범위 내에 복수개의 장공(17b)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경첩(4)에 의해 문(3)이 설치되는 문틀(1)의 상, 하부에 록킹부재(21)가 고정되어 슬라이더(17)의 승, 하강에 따라 문의 잠금상태를 유지하거나, 해제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록킹부재(21)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문틀(1)에 고정되는 고정판(22)과, 상기 고정판에 고정되어 로울러(18)가 접속됨에 따라 문의 잠금상태를 유지하는 록킹편(23)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때 상기 고정판(22)에 보스(22a)를 형성하여 상기 보스에 록킹편(23)의 삽입공(23a)을 끼워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고정판(22)과 록킹편(23)사이에는 편심축(24a)을 갖는 조절핀(24)을 공회전 가능하게 설치하여 편심축(24a)의 회전에 따라 록킹편(23)의 위치가 가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는, 록킹부재(21)의 고정 작업시 고정위치가 정위치에서 미세하게 벗어났더라도 문틀(1)에 고정된 록킹부재(21)를 분리하지 않고 록킹편(23)의 위치를 보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문(3)의 외부로 노출되게 공지의 키뭉치(25)가 설치되어 있어 별도의 키이에 의해 슬리이브(25a)를 회전시킴에 따라 랙(13)을 승, 하강시키는 구동기어(16)가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는, 별도의 잠금장치를 설치하지 않고도 키이에 의해 건물의 외부에서 문을 잠가 출입구의 기밀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문(3)에 슬라이더(17)의 승, 하강운동을 안내하는 고정패널(19)을 고정하고 사각틀형태의 문틀(1)에는 록킹부재(21)를 고정한 상태에서 문(3)을 닫은 다음 놉(15)의 회전으로 분할 형성된 슬라이더(17)를 상승시키면 상기 슬라이더(17)에 각각 공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로울러(18)가 록킹편(23)상에 위치되므로 문(3)의 잠금상태가 유지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설치 작업을 완료한 상태에서 문틀(1)과 문(3)사이에 각각 설치된 패킹(도시는 생략함)이 긴밀히 접속되지 않고 벌어지거나, 로울러(18)가 록킹편(23)에 부딪혀 상승하지 않으면 록킹편(23)의 위치를 조절하여야 된다.
이를 위해, 도 6a와 같은 상태에서 조절핀(24)을 화살표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조절핀(24)의 중심축(24b)이 고정판(22)에 결합되어 있는 반면, 록킹편(23)에는 편심축(24a)이 끼워져 있어 보스(22a)를 중심으로 록킹편(23)의 위치가 도 6b와 같이 미세하게 가변되므로 문틀(1)에 고정된 록킹부재(21)를 분리하지 않고도 문틀(1)에 문(3)을 긴밀히 밀착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도 4a 및 도 7a와 같이 슬라이더(17)가 하사점에 위치된 상태에서는로울러(18)가 문틀(1)에 설치된 록킹부재(21)와 간섭을 일으키지 않게 되므로 손잡이(6)를 이용하여 문(3)을 자유자재로 개폐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도 4a와 같이 슬라이더(17)가 하사점에 위치된 상태에서 문(3)을 닫으면 문틀(1)에 고정된 록킹부재(21)와 간섭을 발생하지 않게 되므로 문(3)이 닫히게 되는데, 만약 문이 변형되어 래치(5)가 문틀(1)의 요입홈(7)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문틀(1)과 문(3)의 접속면에 틈새가 발생되어 있더라도 놉(15)의 회전으로 구동기어(16)를 회전시키기만 하면 문틀(1)과 문(3)사이의 틈새가 없어져 기밀을 유지하게 되는데, 이하에서는 이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a와 같은 상태에서 놉(15)을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놉에 끼워진 구동기어(16)가 회전하게 되므로 상기 구동기어와 맞물린 종동기어(14)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이에 따라 상기 종동기어(14)와 일체로 형성된 피니언(14a)이 랙(13)의 기어부(13a)와 맞물려 있어 분할 형성된 한 쌍의 슬라이더(17)가 고정패널(19)에 안내되어 동시에 상승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슬라이더(17)가 상승하면 상기 슬라이더(17)의 각 끝단에 로울러(18)가 공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 상기 로울러가 문틀(1)에 고정된 록킹편(23)을 통과하면서 도 4b와 같이 문(3)을 문틀(1)의 접속면측으로 잡아당기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므로 벌어진 틈새가 없어지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17)에 공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로울러(18)가 록킹편(23)에 접속된 상태에서는 문(3)의 잠금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별도의 보조키이를 설치하지 않아도 외부에서 문의 강제로 열 수 없게 된다.
도 4b와 같이 잠금상태를 유지하고 있던 문(3)을 개방하기 위해서는 전술한 바와는 반대로 놉(15)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 다음 손잡이(6)를 눌러주면 된다.
즉, 놉(15)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구동기어(16)의 회전력이 종동기어(14)를 통해 랙(13)에 전달되어 상사점에 위치되어 있던 랙(13)을 하강시키게 되므로 각 랙에 끼워진 슬라이더(17)가 동시에 하강하게 되고, 이에 따라 록킹편(23)에 걸려있던 로울러(18)가 록킹편으로부터 이탈되어 초기 상태로 환원되므로 문(3)을 개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a와 같이 문(3)이 닫힌 상태에서 외출 등을 이유로 문의 외부에서 키이를 이용하여 슬라이더(17)를 회전시키면 함체(8)내의 구동기어(16)가 동시에 회전하게 되므로 문의 외부에서 문의 잠금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도 4b와 같이 문이 잠긴상태에서 문의 내부는 물론 외부에서 별도의 키이를 이용하여 해제시킬 수 있게 됨은 이해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문이 닫혀진 상태에서 문틀과 문의 접속면에 틈새가 발생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게 되므로 냉, 난방효율을 극대화하게 됨은 물론 방음효과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별도의 보조키를 설치하지 않고도 문의 상, 하부에서 문의 잠금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외부의 침입자들로부터 재산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얻게 된다.

Claims (4)

  1. 문에 고정된 함체내에 래치를 스프링으로 탄력 설치하여 손잡이의 누름 동작에 따라 회동체가 래치를 잡아당기도록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함체내에 승, 하강 가능하게 설치된 판상의 랙과, 상기 랙에 맞물리는 피니언이 일체로 형성된 종동기어와, 상기 종동기어에 맞물리게 설치되어 함체의 외부에 설치된 놉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구동기어와, 상기 랙의 양단에 걸려 랙의 승, 하강 운동에 따라 함께 승, 하강 운동하며, 끝단에는 로울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를 문에 지지하며 슬라이더의 승, 하강 운동을 안내하는 고정패널과, 문틀의 상, 하부에 고정되어 슬라이더의 승, 하강에 따라 문의 잠금상태를 유지하거나, 해제하는 록킹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문의 잠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재는 문틀에 고정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에 고정되어 로울러가 접속됨에 따라 문의 잠금상태를 유지하는 록킹편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문의 잠금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에 보스를 형성하여 상기 보스에 록킹편을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고정판과 록킹편사이에는 편심축을 갖는 조절핀을 공회전 가능하게 설치하여 편심축의 회전에 따라 록킹편의 위치가 가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문의 잠금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문의 외부로 노출되게 공지의 키뭉치를 설치하여 키이에 의해 슬리이브가 회전함에 따라 구동기어가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문의 잠금장치.
KR2020010038834U 2001-12-15 2001-12-15 여닫이문의 잠금장치 KR2002710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8834U KR200271060Y1 (ko) 2001-12-15 2001-12-15 여닫이문의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8834U KR200271060Y1 (ko) 2001-12-15 2001-12-15 여닫이문의 잠금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9616A Division KR20030049417A (ko) 2001-12-14 2001-12-14 여닫이문의 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1060Y1 true KR200271060Y1 (ko) 2002-04-09

Family

ID=73071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8834U KR200271060Y1 (ko) 2001-12-15 2001-12-15 여닫이문의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1060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3022B1 (ko) 2007-05-17 2008-04-17 이병노 미닫이문의 잠금 및 잠금 해제장치
KR100934321B1 (ko) 2008-01-25 2009-12-29 김용범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
KR101237681B1 (ko) * 2011-11-21 2013-02-26 이병노 여닫이문의 잠금장치
DE112017004058T5 (de) 2016-08-12 2019-04-25 Filobe Co., Ltd. Verriegelungsvorrichtung für eine Drehflügeltür
WO2020080559A1 (ko) 2018-10-14 2020-04-23 주식회사 필로브 여닫이문의 보조 잠금장치 설치구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3022B1 (ko) 2007-05-17 2008-04-17 이병노 미닫이문의 잠금 및 잠금 해제장치
KR100934321B1 (ko) 2008-01-25 2009-12-29 김용범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
KR101237681B1 (ko) * 2011-11-21 2013-02-26 이병노 여닫이문의 잠금장치
DE112017004058T5 (de) 2016-08-12 2019-04-25 Filobe Co., Ltd. Verriegelungsvorrichtung für eine Drehflügeltür
WO2020080559A1 (ko) 2018-10-14 2020-04-23 주식회사 필로브 여닫이문의 보조 잠금장치 설치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3571B1 (ko) 시스템창호 개폐장치
KR20190117420A (ko) 보조 열림기능을 갖춘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
KR102052529B1 (ko)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
JPS5926751B2 (ja) サッシの気密装置
KR20190025864A (ko)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
KR200271060Y1 (ko) 여닫이문의 잠금장치
KR100808885B1 (ko) 열림 각도가 고정되는 회동식 창호 시스템
KR100382892B1 (ko)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KR100753579B1 (ko) 시스템창호 개폐장치
KR200269615Y1 (ko) 여닫이문의 처짐방지구
KR102141548B1 (ko) 푸쉬/풀 양방향작동이 가능한 푸쉬풀형 도어록
KR101237681B1 (ko) 여닫이문의 잠금장치
KR200331996Y1 (ko) 틸트 및 여닫이 개폐기능을 갖는 슬라이딩 시스템 창호
KR20030049417A (ko) 여닫이문의 잠금장치
KR100663944B1 (ko) 미닫이식 창호의 업다운 메카니즘
KR101876126B1 (ko) 여닫이 문의 문틀과 기밀유지장치
KR20100024649A (ko) 창호용 잠금장치
KR101698458B1 (ko) 미닫이 창호용 연동장치
JP4686213B2 (ja) 引き戸の開き装置
KR100634876B1 (ko) 건축물 출입문 구조
KR20100133213A (ko) 창호용 롤러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창호구조
KR101008362B1 (ko) 슬라이딩 도어 구조
KR200331774Y1 (ko) 여닫이문
KR20030049418A (ko) 여닫이문의 처짐방지구
JP3076983U (ja) 建物用開き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1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