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1548B1 - 푸쉬/풀 양방향작동이 가능한 푸쉬풀형 도어록 - Google Patents

푸쉬/풀 양방향작동이 가능한 푸쉬풀형 도어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1548B1
KR102141548B1 KR1020190072091A KR20190072091A KR102141548B1 KR 102141548 B1 KR102141548 B1 KR 102141548B1 KR 1020190072091 A KR1020190072091 A KR 1020190072091A KR 20190072091 A KR20190072091 A KR 20190072091A KR 102141548 B1 KR102141548 B1 KR 1021415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
pull
door lock
movable shaft
mort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2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당유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영미디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영미디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영미디어
Priority to KR1020190072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15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15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15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22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operated by a pulling or pushing action perpendicular to the front plate, i.e. by pulling or pushing the wing itsel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1Toothed gearing
    • E05Y2201/716Pinions
    • E05Y2201/718Bevelled pin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푸쉬/풀 양방향작동이 가능한 푸쉬풀형 도어록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푸쉬풀 도어록의 작동을 도어록의 설치현장에서 필요에 따라 푸쉬작동이나 풀작동으로 어느 방향으로도 작동할 수가 있게 되어 편리하게 도어를 개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푸쉬/풀 양방향작동이 가능한 푸쉬풀형 도어록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푸쉬/풀 양방향작동이 가능한 푸쉬풀형 도어록{Push-pull door lock with push/pull bi-directional operation}
본 발명은 푸쉬/풀 양방향작동이 가능한 푸쉬풀형 도어록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푸쉬풀 도어록의 작동을 도어록의 설치현장에서 필요에 따라 푸쉬작동이나 풀작동으로 어느 방향으로도 작동할 수가 있게 되어 설치가 편리하게 되고 사용중에도 도어를 개패하는 것이 어느 방향으로도 사용이 가능하게 되어 사용이 편리한 푸쉬/풀 양방향작동이 가능한 푸쉬풀형 도어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푸쉬풀형 도어록은, 푸쉬작동이나 풀작동을 하여야 하는 둘중의 하나에 설정되어야 하므로, 미리 푸쉬핸들과 풀핸들의 작동을 미리 설정하여 공장에서 제조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작동방식이 설정된 푸쉬풀형 도어록을 현장에서 설치시에, 공장에서 미리 작동이 설정되어 제조된 작동과는 다른 작동을 하는 방식으로 설치하는 것이 필요할 경우에도, 푸쉬풀형 도어록의 작동방식을 변경할 수가 없으므로 부득이하게 작동방식을 변경하지 못하고 그대로 장착시켜 사용하게 되므로, 이와 같은 작동방식이 설정된 푸쉬풀형 도어록을 사용하는 사용자들이 불편을 감수하고 사용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제10-1534684호 "푸쉬풀형 도어 잠금장치" 등록특허 제10-1631687호 "푸쉬-풀 도어락의 연결 구조체"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푸쉬풀 도어록의 작동을 도어록의 설치현장에서 필요에 따라 푸쉬작동이나 풀작동으로 어느 방향으로도 작동할 수가 있게 되어 편리하게 도어를 개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사용자들이 만족감을 갖고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푸쉬/풀 양방향작동이 가능한 푸쉬풀형 도어록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은, 개폐문에 설치되며 래치볼트와 데드볼트가 구비된 모티스의 래치볼트를 회전에 의하여 가동시키는 모티스가동축과, 상기 모티스가동축이 일측에 배치되며 타측에는 핸들본체가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모티스가동축을 작동시키는 핸들본체를 갖는 푸쉬풀형 도어록에 있어서, 상기 모티스에서 연장되며 단부에는 베벨기어가 형성된 모티스가동축과, 상기 핸들본체의 힌지축에 의하여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회동작동부의 내부에는 상기 모티스가동축의 베벨기어와 치합되는 치합기어부가 일단부에 형성되고 타단부는 상기 힌지축에 힌지고정되고 상기 힌지축에 힌지고정된 중앙부에서 상하로 연장되는 연장암이 형성된 힌지본체가 구비된 회동작동부와, 상기 회동작동부의 힌지본체의 상하로 연장된 연장암에 상기 연장암을 상방으로 탄력지지하는 한쌍의 탄성지지부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푸쉬/풀 양방향작동이 가능한 푸쉬풀형 도어록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푸쉬/풀 양방향작동이 가능한 푸쉬풀형 도어록은, 개폐문에 설치되며 래치볼트와 데드볼트가 구비된 모티스의 래치볼트를 회전에 의하여 가동시키는 모티스가동축과, 상기 모티스가동축이 일측에 배치되며 타측에는 핸들본체가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모티스가동축을 작동시키는 핸들본체를 갖는 푸쉬풀형 도어록에 있어서, 상기 모티스에서 연장되며 단부에는 베벨기어가 형성된 모티스가동축과, 상기 핸들본체의 힌지축에 의하여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회동작동부의 내부에는 상기 모티스가동축의 베벨기어와 치합되는 치합기어부가 일단부에 형성되고 타단부는 상기 힌지축에 힌지고정되고 상기 힌지축에 힌지고정된 중앙부에서 상하로 연장되는 연장암이 형성된 힌지본체가 구비된 회동작동부와, 상기 회동작동부의 힌지본체의 상하로 연장된 연장암에 상기 연장암을 상방으로 탄력지지하는 한쌍의 탄성지지부를 포함하여, 푸쉬풀 도어록의 작동을 도어록의 설치현장에서 필요에 따라 푸쉬작동이나 풀작동으로 어느 방향으로도 작동할 수가 있게 되어 편리하게 도어를 설치하고 개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사용자들이 만족감을 갖고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양방향작동이 가능한 푸쉬풀형 도어록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양방향작동이 가능한 푸쉬풀형 도어록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양방향작동이 가능한 푸쉬풀형 도어록의 종방향으로 절단된 절단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양방향작동이 가능한 푸쉬풀형 도어록의 평형상태가 도시된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양방향작동이 가능한 푸쉬풀형 도어록의 푸쉬상태가 도시된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양방향작동이 가능한 푸쉬풀형 도어록의 풀상태가 도시된 종단면도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양방향작동이 가능한 푸쉬풀형 도어록(A)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문(도시되지 않음)에 설치되며 래치볼트와 데드볼트가 구비된 모티스(도시되지 않음)의 래치볼트를 회전에 의하여 가동시키는 모티스가동축(1)과, 상기 모티스가동축(1)이 일측에 배치되며 타측에는 핸들본체(H)의 회동작동부(3)가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지지부(2)와, 상기 지지부(2)의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모티스가동축(1)을 작동시키는 회동작동부(3)가 설치된 핸들본체(H)를 포함한다.
상기 핸들본체(H)와 지지부(2)는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개폐문(도시되지 않음)의 내측이나 외측에 설치되는 구조가 모두 동일한 구조라고 할 것이므로 일측의 모티스의 모티스가동축(1)과 결합된 상기 핸들본체(H)와 지지부(2)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개폐문(도시되지 않음)에 설치되는 래치볼트와 데드볼트가 구비된 모티스도 이미 널리 알려진 공지된 구조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이하에는 회전에 의하여 래치볼트를 작동시키는 상기 모티스에서 연장된 '모티스가동축(1)'만으로 기재된다.
상기 푸쉬풀형 도어록(A)의 핸들본체(H)의 회동작동부(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핸들본체(H)가 회동가능하게 작동되도록 고정시키는 힌지축(31)과, 단부에는 베벨기어(11)가 형성된 모티스가동축(1)의 상기 베벨기어(11)와 치합되는 치합기어부(32a)가 일단부에 형성되고 타단부의 중간에는 상기 힌지축(31)이 삽입되는 관통공(32e)이 형성된 중간돌출부(32d)가 형성되고 상기 중간돌출부(32d)에서 상하로 연장되는 연장암(32b)이 형성된 힌지본체(32)와, 상기 힌지본체(32)의 상하로 연장된 연장암(32b)에 상기 연장암을 외측으로 탄력지지하는 한쌍의 탄성지지부(33)를 포함한다.
상기 힌지본체(32)의 일측단부는 상기 베벨기어(11)와 치합되게 치합기어부(32a)가 형성되고, 타측단부는 상기 핸들본체(H)와 결합되는 결합돌출부(32c)가 형성되어 상기 핸들본체(H)와 결합되고, 중간에는 힌지축(31)이 삽입되는 관통공(32e)이 형성된 중간돌출부(32d)가 돌출되어 있다.
상기 탄성지지부(33)는 한쌍으로 설치되어 상기 힌지본체(32)를 균형있게 상하에서 지지하고, 상기 각 탄성지지부(33)는, 상기 힌지본체(32)의 상하의 연장암(32b)의 내측면(321c)에 접하며 외측으로 지지하는 탄성지지편(33a)과, 상기 탄성지지편(33a)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탄성지지편(33a)을 외측으로 탄력지지하는 스프링(33b)과, 상기 탄성지지편(33a)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탄성지지편(33a)의 상방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제한부(33c)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프링(33b)이 용수철스프링이 사용되었으나, 판스프링이 사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이동제한부(33c)는 상기 탄성지지편(33a)의 직경보다 넓은 고정와셔와 고정볼트가 사용되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구조도 사용될 수가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푸쉬/풀 양방향작동이 가능한 푸쉬풀형 도어록(A)의 작동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푸쉬/풀 양방향작동이 가능한 푸쉬풀형 도어록(A)이 평형을 유지하는 평형상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본체(H)에 설치된 회동작동부(3)의 연장암(32b)이 한쌍의 탄력지지부(33)에 의해 치우치지 않게 평형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평형상태에서, 푸쉬/풀 양방향작동이 가능한 푸쉬풀형 도어록(A)을 작동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비밀번호와 지문인식과 같은 인증절차를 수행한 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본체(H)를 푸쉬상태로 밀게 되면, 핸들본체(H)가 힌지축(31)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되고, 따라서 핸들본체(H)가 회동되고 상부에 있는 탄력지지부(33)가 압축되면서 힌지본체(32)가 회동되게 되고, 힌지본체(32)의 일단부에 형성된 치합기어부(32a)가 회동되므로, 상기 치합기어부(32a)에 맞물린 모티스가동축(1)의 베벨기어(11)가 회동되면서 모티스가 작동되어 래치볼트가 작동되어 개폐문(도시되지 않음)이 열릴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힌지본체(32)의 연장암(32b)의 하부에 접하는 탄력지지부(33)는 연장암(32b)이 회동되어 탄성지지편(33a)이 내측면(321c)과 이격되게 되나, 상기 탄성지지부(33)는 이동제한부(33c)에 의하여 이동이 제한되게 되어 아무런 변화가 없이 그 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본체(H)를 풀상태로 당기게 되면, 핸들본체(H)가 힌지축(31)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고, 따라서 핸들본체(H)가 회동되고 하부에 있는 탄력지지부(33)가 압축되면서 힌지본체(32)가 회동되게 되고, 힌지본체(32)의 일단부에 형성된 치합기어부(32a)가 회동되므로, 상기 치합기어부(32a)에 맞물린 모티스가동축(1)의 베벨기어(11)가 회동되면서 모티스가 작동되어 래치볼트가 작동되어 개폐문(도시되지 않음)이 열릴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힌지본체(32)의 연장암(32b)의 상부에 접하는 탄력지지부(33)는 연장암(32b)이 회동되어 탄성지지편(33a)이 내측면(321c)과 이격되게 되나, 상기 탄성지지부(33)는 이동제한부(33c)에 의하여 이동이 제한되게 되어 아무런 변화가 없이 그 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푸쉬/풀 양방향작동이 가능한 푸쉬풀형 도어록은, 푸쉬풀 도어록의 작동을 도어록의 설치현장에서 필요에 따라 푸쉬작동이나 풀작동으로 어느 방향으로도 작동할 수가 있게 되어 편리하게 도어를 개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사용자들이 만족감을 갖고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푸쉬/풀 양방향작동이 가능한 푸쉬풀형 도어록은 도어록의 제조산업에서 동일한 제품을 반복적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할 것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라고 할 것이다.
1 ............ 모티스가동축 2 ............ 지지부
3 ............ 회동작동부 11 ............ 베벨기어
31 ............힌지축 32 ............ 힌지본체
32a ............ 치합기어부 32b ............ 연장암
32c ............ 돌출부 32d ............ 중간돌출부
33 ............ 탄성지지부 33a ............ 탄성지지편
33b ............ 스프링 33c ............ 이동제한부
321c ............ 내측면 A ............ 푸쉬풀형 도어록
H ............ 핸들본체

Claims (2)

  1. 개폐문에 설치되며 래치볼트와 데드볼트가 구비된 모티스의 래치볼트를 회전에 의하여 가동시키는 모티스가동축(1)과, 상기 모티스가동축(1)이 일측에 배치되며 타측에는 핸들본체가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지지부(2)와, 상기 지지부의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모티스가동축(1)을 작동시키는 핸들본체(H)를 갖는 푸쉬/풀 양방향작동이 가능한 푸쉬풀형 도어록(A)에 있어서,
    상기 푸쉬풀형 도어록(A)은, 상기 모티스가동축(1)은 모티스에서 연장되며 단부에는 베벨기어(11)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2)는 중간에서 상기 모티스가동축(1)이 일측에 배치되며 타측에는 핸들본체(H)의 회동작동부(3)가 배치되어 상기 모티스가동축(1)과 상기 회동작동부(3)가 작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회동작동부(3)는, 상기 핸들본체(H)가 회동가능하게 작동되도록 고정시키는 힌지축(31)과, 단부에는 베벨기어(11)가 형성된 모티스가동축(1)의 상기 베벨기어(11)와 치합되는 치합기어부(32a)가 일단부에 형성되고 타단부의 중간에는 상기 힌지축(31)이 삽입되는 관통공(32e)이 형성된 중간돌출부(32d)가 형성되고 상기 중간돌출부(32d)에서 상하로 연장되는 연장암(32b)이 형성된 힌지본체(32)와, 상기 힌지본체(32)의 상하로 연장된 연장암(32b)에 상기 연장암을 외측으로 탄력지지하는 한쌍의 탄성지지부(33)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암(32b)의 일측에는 상기 핸들본체(H)와 결합되는 결합돌출부(32c)가 형성되고,
    상기 각 탄성지지부(33)는, 상기 힌지본체(32)의 상하의 연장암(32b)의 내측면(321c)에 접하며 핸들본체(H)방향으로 지지되는 탄성지지편(33a)과,
    상기 탄성지지편(33a)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탄성지지편(33a)을 핸들본체(H)방향으로 탄력지지하는 스프링(33b)과,
    상기 탄성지지편(33a)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탄성지지편(33a)의 핸들본체(H)방향으로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제한부(33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풀 양방향작동이 가능한 푸쉬풀형 도어록
  2. 삭제
KR1020190072091A 2019-06-18 2019-06-18 푸쉬/풀 양방향작동이 가능한 푸쉬풀형 도어록 KR1021415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2091A KR102141548B1 (ko) 2019-06-18 2019-06-18 푸쉬/풀 양방향작동이 가능한 푸쉬풀형 도어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2091A KR102141548B1 (ko) 2019-06-18 2019-06-18 푸쉬/풀 양방향작동이 가능한 푸쉬풀형 도어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1548B1 true KR102141548B1 (ko) 2020-08-06

Family

ID=72040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2091A KR102141548B1 (ko) 2019-06-18 2019-06-18 푸쉬/풀 양방향작동이 가능한 푸쉬풀형 도어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154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3755A (ko) 2020-09-09 2020-10-30 이현진 록킹수단을 갖는 푸쉬풀 도어록
KR102356619B1 (ko) 2021-09-14 2022-02-08 (주)애니락 안티패닉 기능을 갖는 푸쉬풀 도어록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4684B1 (ko) 2013-11-15 2015-07-07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푸쉬풀형 도어 잠금장치
KR101610932B1 (ko) * 2014-11-06 2016-04-08 동성산업 주식회사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
KR101631687B1 (ko) 2014-09-18 2016-06-20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푸쉬-풀 도어락의 연결 구조체
KR20180001720U (ko) * 2018-05-23 2018-06-11 주식회사 혜강씨큐리티 푸쉬풀 방식 디지털 도어록의 핸들 대기 위치 복귀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4684B1 (ko) 2013-11-15 2015-07-07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푸쉬풀형 도어 잠금장치
KR101631687B1 (ko) 2014-09-18 2016-06-20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푸쉬-풀 도어락의 연결 구조체
KR101610932B1 (ko) * 2014-11-06 2016-04-08 동성산업 주식회사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
KR20180001720U (ko) * 2018-05-23 2018-06-11 주식회사 혜강씨큐리티 푸쉬풀 방식 디지털 도어록의 핸들 대기 위치 복귀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3755A (ko) 2020-09-09 2020-10-30 이현진 록킹수단을 갖는 푸쉬풀 도어록
KR102356619B1 (ko) 2021-09-14 2022-02-08 (주)애니락 안티패닉 기능을 갖는 푸쉬풀 도어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1548B1 (ko) 푸쉬/풀 양방향작동이 가능한 푸쉬풀형 도어록
US9890564B2 (en) Interconnected lock with direct drive for adjustable deadbolt to latchbolt spacing
US7287787B1 (en) Linear thumb-piece actuation latch mechanism
KR20180007076A (ko) 모티스 샤프트 직접 구동형 푸쉬풀 핸들을 갖는 도어락
KR101375776B1 (ko) 푸쉬 앤 풀 열림방식의 도어록
KR100803906B1 (ko) 손잡이 당김용 미닫이문의 잠금 해제장치
KR200446666Y1 (ko) 창호의 자동 로킹장치
US4059924A (en) Operating mechanism for doors and windows
KR200271060Y1 (ko) 여닫이문의 잠금장치
KR102623990B1 (ko) 카세트 핸들의 좌우수 전환조립체
JP4686213B2 (ja) 引き戸の開き装置
KR200493784Y1 (ko) 폴딩도어 핸들장치용 기어박스
JP7317508B2 (ja) 建具
KR102101494B1 (ko) 접이식 도어
CN219103463U (zh) 一种左右开门的冰箱
KR101486191B1 (ko) 슬라이드 힌지
KR101653811B1 (ko) 도어 닫힘 유지장치를 갖춘 사물함용 경첩
KR102372715B1 (ko) 리프팅창호의 후크타입 잠금장치
KR101460602B1 (ko) 출입문
KR102510141B1 (ko) 건축용 도어 처짐 방지장치
KR102407288B1 (ko) 창호 잠금장치용 키퍼
KR200252596Y1 (ko) 도어 록킹장치
JP4392394B2 (ja) 錠装置および建具
KR20040003752A (ko) 도어용 힌지
KR20240015258A (ko) 회전축 방식 여닫이도어의 힌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