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7120Y1 - 리프트 슬라이딩식 시스템창호용 잠금장치의 기어박스 - Google Patents

리프트 슬라이딩식 시스템창호용 잠금장치의 기어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7120Y1
KR200457120Y1 KR2020090013959U KR20090013959U KR200457120Y1 KR 200457120 Y1 KR200457120 Y1 KR 200457120Y1 KR 2020090013959 U KR2020090013959 U KR 2020090013959U KR 20090013959 U KR20090013959 U KR 20090013959U KR 200457120 Y1 KR200457120 Y1 KR 2004571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er
housing
window
guide
guid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39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4367U (ko
Inventor
이장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쓰리지테크놀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쓰리지테크놀러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쓰리지테크놀러지
Priority to KR20200900139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7120Y1/ko
Publication of KR201100043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436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71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712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 E05C3/1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latch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04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allowing an additional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5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with successive different movements
    • E05D15/565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with successive different movements for raising wings before sli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고중량의 대형 창호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는 리프트 슬라이딩식 시스템창호용 잠금장치의 기어박스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리프트 슬라이딩식 시스템창호용 잠금장치의 기어박스는 상기 창호 내에 수직하게 설치되고, 양 측벽에 안내장공이 수직하게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체; 상기 하우징 내에 안내장공을 따라 슬라이딩 안내되도록 수직하게 설치되고, 양 측벽이 하우징의 양 측벽과 접촉되지 않도록 슬라이딩되어 상기 작동로드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리프터; 및 상기 회전체와 리프터 사이에 배치되어 일단에 회전체와 연결되는 제 1 힌지축이 구비되고, 타단에 리프터와 연결되어 안내장공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힌지축이 구비되며, 상기 회전체의 회전시 발생하는 힘을 리프터로 전달하기 위한 회전력 전달부재;로 구성되고, 회전력 전달부재는 직각되게 굴절 형성되어 양단에 제 1,2 힌지축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 1,2 힌지축은 회전체의 회전시 설정 각도에서 안내장공과 동일한 수직선상에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리프트 슬라이딩식 시스템창호용 잠금장치의 기어박스에 의하면, 손잡이의 조작시 발생하는 힘이 시스템창호를 개폐하기 위한 잠금장치에 최대로 전달되도록 하고 손잡이의 힘이 전달될 때 각 구성 간의 마찰력을 최소화하여 부드럽게 동작되도록 함으로써, 부녀자 또는 노약자가 고중량의 대형 창호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고, 손잡이의 조작시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창호, 잠금장치, 기어박스, 제1힌지축, 제2힌지축, 안내장공

Description

리프트 슬라이딩식 시스템창호용 잠금장치의 기어박스{GEAR-BOX FOR LOCKING APPARATUS OF LIFT SLIDING-TYPE SYSTEM WINDOWS AND DOORS}
본 고안은 리프트 슬라이딩식 시스템창호용 잠금장치의 기어박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중량의 대형 창호를 개폐시 손잡이의 조작에 의해 발생하는 힘의 전달이 최대가 되도록 할 수 있고, 손잡이의 힘이 전달될 때 각 구성 간의 부드러운 동작을 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량된 리프트 슬라이딩식 시스템창호용 잠금장치의 기어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호는 건축물에 창과 문의 통칭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상기 창호가 설치되는 틀을 창호틀이라 한다. 이러한 창호 중에서 베란다 도어나 기타 창 등에 주로 사용하는 미닫이문은 안내레일이 구비된 창호틀에 로울러가 장착된 창문을 설치하여, 안내레일을 따라 창문을 밀어 개폐할 수 있는 미닫이식과 방음성, 다열성 등을 더욱 향상시킨 리프트 슬라이딩식 시스템창호가 있다.
특히 리프트 슬라이딩식 시스템창호는, 창호를 개방하기 위해 손잡이를 회전시키는 경우, 창짝이 레일로부터 일정거리 들어 올려져 조용하고 부드럽게 열리며, 닫힌 상태에서는 창짝과 밀착되어 기밀성, 단열성, 방음성 및 수밀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형성된 창호로 거실 분합문이나 발코니 창 등 비교적 대형 창호에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리프트 슬라이딩식 시스템창호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호(100)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작동로드(102)와, 작동로드(102)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손잡이(130)가 결합되도록 창호(100)에 설치되는 기어박스(110) 및 작동로드(102)의 상,하 작동에 따라 창호(100)를 창호틀(140)로부터 리프팅하기 위한 리프트부재(120)로 구성되는 잠금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기어박스(110)는 창호(100) 내에 설치되고 양 측벽(112A) 상부에 안내장공(112B)이 수직하게 형성되는 하우징(112)과, 하우징(112)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손잡이(130)가 결합되는 회전체(114)와, 손잡이(130)의 조작에 의한 회전체(114)의 회전시 안내장공(112B)을 따라 슬라이딩 안내되어 작동로드(102)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리프터(116) 및 회전체(114)와 리프터(116) 사이에 배치되어 일단에 회전체(114)와 연결되는 제 1 힌지축(118A)이 구비되고 타단에 리프터(116)와 연결되어 안내장공(112B)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힌지축(118B)이 구비되며 회전체(114)의 회전시 발생하는 힘을 리프터(116)로 전달하기 위한 회전력 전달부재(118)로 구성된다.
상기한 기어박스(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호(100)의 잠금상태에서 손잡이(130)를 조작하여 회전체를 회전시키게 되면, 회전체(114)의 회전에 따라 연동되는 회전력 전달부재(118)의 제 2 힌지축(118B)이 안내장공(112B)을 따라 이동되어 리프터(116)를 승강시키도록 작동하게 된다.
리프트부재(120)는 작동로드(102)의 하단부와 회동링크(122)에 의해 연결되어 창호틀(140)의 레일에 탑재되는 제 1 슬라이더(124)와, 제 1 슬라이더(124)와 연결 로드(125)를 매개로 후방에 연결되는 제 2 슬라이더(126) 및 제 1 슬라이더(124)와 제 2 슬라이더(126)에 승강 가능하게 각각 장착되어 창호(100)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승강블록(128)으로 구성된다.
회동링크(122)는 승강블록(128)과 힌지에 의해 결합되어 손잡이(130)에 의한 작동로드(102)의 수직운동을 수평운동으로 전환하여 제 1 슬라이더(124)와 제 2 슬라이더(126)로 전달하게 된다.
제 1 슬라이더(114)와 제 2 슬라이더(116)에는 창호틀(140)의 레일 상에서 회동하는 롤러(114A,116B)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승강블록(128)에는 안내장공(128A)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고, 안내장공(128A)에는 제 1 슬라이더(124)와 제 2 슬라이더(126)에 형성되어 있는 안내축(124B,126B)이 삽입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리프트 슬라이딩식 시스템창호는 손잡이(130)를 작동시키면, 기어박스(110)를 구성하는 회전체(114), 회전력 전달부재(118) 및 리프터(116)의 순차적인 연동에 의해 작동로드(102)가 창호(100)의 상,하로 이동하게 되고, 회동링크(122)는 작동로드(102)의 수직운동을 수평운동으로 전환시켜 제 1 슬라이더(124)와 제 2 슬라이더(126)를 레일 상에서 밀거나 당기게 되며, 이에 제 1 슬라이더(124)와 제 2 슬라이더(126)에 형성된 안내축(124B,126B)이 안내장공(128A)에 의해 안내되어 승강블록(128)이 제 1 슬라이더(114)와 제 2 슬라이더(116)에서 승 강 됨에 따라 창호(100)는 레일로부터 들어 올려지거나 창호틀(140)과 밀착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잠금장치의 기어박스에서, 회전력 전달부재는 양단에 회전체 및 리프터와 연결되는 제 1,2 힌지축이 각각 구비되도록 대략 ‘〔’형상으로 형성되는 구조를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제 1 힌지축과 제 2 힌지축의 간격이 멀어지게 되고, 또한 회전체의 회전시 최대부하지점(회전체가 90°로 회전된 상태)에서 제 1 힌지축과 제 2 힌지축에 의한 힘의 작용점이 수직선상에서 일치되지 않아 힘의 집중력이 감소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회전체의 힘이 리프터로 원활하게 전달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회전력 전달부재는 그 형상에 의해 제 1,2 힌지축의 거리가 멀고, 회전체의 회전에 따른 최대부하지점에서 리프터에 힘을 전달하는 힘의 작용점인 제 1,2 힌지축이 수직선상에서 ‘ℓ’만큼의 간격을 발생시켜 힘의 집중력이 감소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창호를 개폐하기 위해 작동로드를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승강되는 리프터는 하우징과 면 접촉되는 구조를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마찰에 의한 부드러운 동작을 도모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소음을 유발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고중량의 대형 창호를 개폐시 손잡이의 조작에 의해 발생하는 힘이 최대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고, 손잡이의 힘이 전달될 때 각 구성 간의 마찰력을 최소화하여 부드럽게 동작될 수 있도록 한 리프트 슬라이딩식 시스템창호용 잠금장치의 기어박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창호 내에 수직하게 설치되고, 양 측벽에 안내장공이 수직하게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체;
상기 하우징 내에 안내장공을 따라 슬라이딩 안내되도록 수직하게 설치되고, 양 측벽이 하우징의 양 측벽과 접촉되지 않도록 슬라이딩되어 상기 작동로드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리프터; 및
상기 회전체와 리프터 사이에 배치되어 일단에 회전체와 연결되는 제 1 힌지축이 구비되고, 타단에 리프터와 연결되어 안내장공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힌지축이 구비되며, 상기 회전체의 회전시 발생하는 힘을 리프터로 전달하기 위한 회전력 전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력 전달부재는 직각되게 굴절 형성되어 양단에 제 1 힌지축과 제 2 힌지축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 1,2 힌지축은 회전체의 회전시 설정 각도에서 안내장공과 동일한 수직선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회전체의 설정 각도는 9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내장공에는 둘레를 따라 양 측벽의 외측으로 곡면을 갖는 안내벽이 돌출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 2 힌지축은 안내장공으로 안내시 안내벽과 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프터의 상부에는 양 측벽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간격유지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프터의 상부 일측에는 양 측벽으로부터 직각되게 굴절되는 안내면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는 리프터의 슬라이딩시 안내면과 접촉되어 회전하는 구름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리프트 슬라이딩식 시스템창호용 잠금장치의 기어박스에 의하면, 손잡이의 조작시 발생하는 힘이 시스템창호를 개폐하기 위한 잠금장치에 최대로 전달되도록 하고 손잡이의 힘이 전달될 때 각 구성 간의 마찰력을 최소화하여 부드럽게 동작되도록 함으로써, 부녀자 또는 노약자가 고중량의 대형 창호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고, 손잡이의 조작시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 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리프트 슬라이딩식 시스템창호용 잠금장치의 기어박스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리프트 슬라이딩식 시스템창호용 잠금장치의 기어박스의 내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된 A-A선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5에 도시된 B-B선 단면도, 그리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리프트 슬라이딩식 시스템창호용 잠금장치의 기어박스의 작동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슬라이딩식 시스템창호용 잠금장치의 기어박스(10)는,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호 내에 설치되는 하우징(20), 이 하우징(20)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체(30), 이 회전체(30) 에 의해 하우징(20) 내에서 상,하로 슬라이딩되어 작동로드(102)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리프터(40) 및 회전체(30)와 리프터(40) 사이에 배치되고 회전체(30)의 회전시 발생하는 힘을 리프터(40)로 전달하기 위한 회전력 전달부재(50)를 포함한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하우징(20)은 기어박스(10)의 틀을 형성하는 것으로, 분리 형성되는 양 측벽(22)이 체결부재(21)를 의해 일정간격을 두고 대응되게 결합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때, 연결부재(21)는 리벳으로 이루어진다. 양 측벽(22)의 중앙부에는 회전체(3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한 결합공(23)이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20)의 양 측벽(22) 상부에는 안내장공(24)이 수직하게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안내장공(24)에는 둘레를 따라 양 측벽(22)의 외측으로 곡면을 갖는 안내벽(26)이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20)의 상부에는 리프터(40)와 접촉되어 회전하는 구름부재(28)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름부재(28)는 리프터(40)의 슬라이딩시 하우징(20)과의 마찰을 최소화하는 기능을 가지며 통상의 베어링으로 이루어진다. 이외에도 구름부재(28)는 리프터(40)와 접촉되어 회전되는 구조라면 공지된 어떠한 구름부재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회전체(30)는 손잡이(도면에 미도시)의 조작에 의해 회전되는 것으로, 이를 위해서 양 측단이 하우징(20)의 결합공(2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회전체(30)의 일측에는 회전력 전달부재(50)의 일단과 연결되기 위한 연결편(32)이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회전체(30)는 하우징(20) 내에 설정된 각도범위(0°∼180°) 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창호의 개폐에 따른 손잡이의 조작에 의해 회전한다. 즉, 회전체(30)는 창호의 닫힘시 하우징(20) 하부에 연결편(32)이 위치(0°)되고, 창호의 개방시에는 하우징(20)의 상부에 연결편(32)이 위치(180°)되도록 회전된다.
리프터(40)는 하우징(20) 내에 안내장공(24)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창호의 개폐시 작동로드(102)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것으로, 이를 위해서 분리 형성되는 양 측벽(42)이 후술할 회전력 전달부재(50)의 제 2 회전축(54)에 의해 연결되어 하우징(20)의 양 측벽(22)과 일정간격을 두고 대응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리프터(40)의 양 측벽(42)은 회전력 전달부재(50)의 타단 양측에 제 2 회전축(54)을 매개로 연결된다. 리프터(40)의 일측에는 작동로드(102)에 걸림되도록 연결되기 위한 연결돌출편(4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리프터(40)의 상부에는 양 측벽(42)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간격유지구(46)가 구비되어 있다. 간격유지구(46)는 제 2 힌지축(54)과 공조하여 리프터(40)의 양 측벽(42)이 하우징(20)의 양 측벽(22)과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리프터(40)의 간격을 잡아주게 된다. 이에 리프터(40)는 하우징(20) 내에서 슬라이딩시 그 양 측벽(42)이 하우징(20)의 양 측벽(22)과 면 접촉되지 않도록 슬라이딩 가능하다.
또한, 리프터(40)의 상부 일측에는 양 측벽(42)으로부터 직각되게 굴절되어 하우징(20)의 구름부재(28)와 접촉되는 안내면(48)이 형성되어 있다. 안내면(48)은 구름부재(28)와 접촉되어 리프터(40)의 승강시 발생하는 마찰을 최소화한다. 이는 구름부재(28)가 안내면(48)과 접촉시 회전됨으로써 가능하다.
이러한 리프터(40)는 회전체(30)의 회전시 회전력 전달부재(50)로부터 전달되는 힘에 의해 하우징(20) 내에서 안내장공(24)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작동로드(102)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구조로 된 것이다.
회전력 전달부재(50)는 회전체(30)의 회전시 발생하는 힘을 리프터(40)로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서 대략 직각되게 굴절 형성되는 니은(ㄴ)자 형상을 가지며, 그 일단이 회전체(30)의 연결편(32)에 제 1 힌지축(52)을 매개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회전력 전달부재(50)의 타단은 리프터(40)와 제 2 힌지축(54)을 매개로 연결되어 있다. 제 2 힌지축(54)의 양단은 안내장공(24)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즉, 제 2 힌지축(54)은 회전력 전달부재(50)와 리프터(40)를 연결함은 물론 그 양단이 하우징(20)의 안내장공(24)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리프터(40)는 회전체(30)의 회전시 하우징(20) 내에서 안내장공(24)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제 2 힌지축(54)은 하우징(20)의 안내장공(24)을 따라 슬라이딩 안내될 때 안내벽(26)과 점 접촉됨으로써 슬라이딩에 의한 마찰을 최소화하게 된다. 이는 안내장공(24)의 안내벽(26)이 일정한 곡면으로 형성되어 제 2 힌지축(54)과 점 접촉됨으로써 가능하다.
이러한 회전력 전달부재(50)는 회전체(30)의 회전시 발생하는 힘을 리프 터(40)로 전달하는 구조로 된 것이다.
한편, 미설명 부호 ‘25’는 회전체(30)가 설정된 각도로 회전되도록 연결편(32)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스톱퍼를 나타낸 것이고, ‘34’는 회전체(30)에 손잡이가 축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축공을 나타낸 것이며, ‘39’는 하우징(20)의 결합공(23)에 결합된 회전체(30)의 회전에 따른 마찰을 방지하도록 구비되는 부싱을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슬라이딩식 시스템창호용 잠금장치의 기어박스(10)는, 먼저 창호의 닫힘시 회전체(30)의 연결편(32)이 하우징(20)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고, 회전체(30)의 연결편(32)에 의해 회전력 전달부재(50) 및 리프터(40)가 하우징(20)의 하부로 이동됨으로써 작동로드(102)는 하강된 상태로 유지된다.(도 4 참조)
즉, 작동로드(102)가 하강된 경우에 창호는 잠금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창호를 열기 위해 손잡이를 조작하게 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체(30)는 작동로드(102)의 상승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회전체(30)의 회전에 따라 연결편(32)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하우징(20)의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그러면, 회전체(30)의 연결편(32)과 제 1 힌지축(52)을 매개로 연결된 회전력 전달부재(50)는 회전체(30)의 회전시 발생되는 힘에 의해 하우징(20)의 상부로 이동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회전력 전달부재(50)와 제 2 힌지축(54)을 매개로 연 결된 리프터(40)는 하우징(20)의 안내장공(24)을 따라 슬라이딩 안내되어 작동로드(102)를 상승시키게 된다.
즉, 제 2 힌지축(54)은 회전력 전달부재(50)와 리프터(40)를 연결함과 동시에 그 양단이 안내장공(24)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리프터(40)는 제 2 힌지축(54)의해 안내장공(24)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상승되는 것이다.
여기서 제 2 힌지축(54)은 안내장공(24)에 형성된 안내벽(26)에 점 접촉되어 슬라이딩 됨으로써, 제 2 힌지축(54)과 안내장공(24)의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는 제 2 힌지축(54)과 접촉되는 안내벽(26)의 표면이 곡면으로 형성되어 제 2 힌지축(54)과 곡면을 통해 점 접촉됨므로써 가능하게 된다.
상기한 회전체(30)는 창호의 개폐를 위해 하우징(20) 내에 설정된 각도범위(0°∼180°) 내에서 회전되도록 설치된다. 즉, 회전체(30)는 창호의 닫힘시 하우징(20) 하부에 연결편(32)이 위치(0°)되고, 창호의 개방시에는 하우징(20)의 상부에 연결편(32)이 위치(180°)되도록 회전된다.
이러한 회전체(30)는 회전시 설정 각도(90°)에서, 연결편(32)은 수평상태를 이루게 되고, 이러한 연결편(32)의 수평상태에 의해 회전체(30), 회전력 전달부재(50) 및 리프터(40)를 연결하는 제 1,2 힌지축(52,54)이 안내장공(24)과 동일한 수직선상에 위치하게 되어 회전체(30)의 회전에 의한 힘은 리프터(40)에 최대로 전달될 수 있다.
즉, 회전체(30)의 설정 각도에서 회전력 전달부재(50) 및 리프터(40)를 연결하는 제 1,2 힌지축(52,54)이 안내장공(24)과 동일한 수직선상에 위치되는 경우에 힘의 집중력이 증가하게 되므로, 회전체(30)의 회전시 발생하는 힘은 회전력 전달부재(50)를 통해 리프터(40)에 최대로 전달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회전력 전달부재(50)가 대략 니은(ㄴ)자 형상을 갖도록 직각되게 굴절 형성되고 그 양단에 제 1,2 힌지축(52,54)이 구비되어 회전체(30)의 회전시 설정 각도, 즉 회전체(30)의 회전에 따른 힘의 최대부하지점에서 회전력 전달부재(50)의 형상에 의해 제 1,2 힌지축(52,54)이 안내장공(24)과 동일한 수직선상에 위치하게 되어 힘의 집중력이 증가됨과 아울러, 회전체의 회전시 발생하는 힘의 작용점인 제 1,2 힌지축(52,54)의 거리가 최소화됨으로써 가능한 것이다.
또한, 리프터(40)는 제 2 힌지축(54)과 공조하는 간격유지구(46)에 의해 양 측벽(42)이 하우징(20)의 양 측벽(22)과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유지되므로 하우징(20)과 면 접촉되지 않도록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고, 게다가 안내면(48)이 하우징(20)에 설치된 구름부재(28)와 면 접촉되어 안내장공(24)을 따라 안내되도록 승강됨으로써, 손잡이의 조작에 따른 회전체(30)의 회전시 마찰력을 감소시켜 부드러운 승강동작을 연출할 수 있다.
한편, 창호를 닫기 위해 손잡이를 조작하게 되면, 도 8의 역순에 의해 회전체(30)는 작동로드(102)의 하강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회전체(30)의 회전에 따라 연결편(32)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하우징(20)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며, 연결편(32)과 연결된 회전력 전달부재(50)에 의해 리프터(40)는 하우징(20)의 안내장공(24)을 따라 슬라이딩 안내되어 작동로드(102)를 하강시키게 됨으로써, 창호는 잠금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실시 예로써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리프트 슬라이딩식 시스템창호용 잠금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도 1의 리프트 슬라이딩식 시스템창호의 잠금장치용 기어박스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기어박스의 작동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리프트 슬라이딩식 시스템창호용 잠금장치의 기어박스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리프트 슬라이딩식 시스템창호용 잠금장치의 기어박스의 내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A-A선 단면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B-B선 단면도, 그리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리프트 슬라이딩식 시스템창호용 잠금장치의 기어박스의 작동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기어박스 20: 하우징
22: 측벽 24: 안내장공
26: 안내벽 28: 구름부재
30: 회전체 32: 연결편
40: 리프터 42: 측벽
44: 연결돌출편 46: 간격유지구
48: 안내면 50: 회전력 전달부재
52: 제 1 힌지축 54: 제 2 힌지축

Claims (5)

  1. 창호 내에 수직하게 설치되고, 양 측벽(22)에 안내장공(24)이 수직하게 형성된 하우징(20);
    상기 하우징(20)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체(30);
    상기 하우징(20) 내에 안내장공(24)을 따라 슬라이딩 안내되도록 수직하게 설치되고, 양 측벽(42)이 하우징(20)의 양 측벽(24)과 접촉되지 않도록 슬라이딩되어 상기 창호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작동로드(102)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리프터(40); 및
    상기 회전체(30)와 리프터(40) 사이에 배치되어 일단에 회전체(30)와 연결되는 제 1 힌지축(52)이 구비되고, 타단에 리프터(40)와 연결되어 안내장공(24)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힌지축(54)이 구비되며, 상기 회전체(30)의 회전시 발생하는 힘을 리프터(40)로 전달하기 위한 회전력 전달부재(50);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력 전달부재(50)는 직각되게 굴절 형성되어 양단에 제 1 힌지축(52)과 제 2 힌지축(54)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 1,2 힌지축(52,54)은 회전체(30)의 회전시 설정 각도에서 안내장공(24)과 동일한 수직선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슬라이딩식 시스템창호용 잠금장치의 기어박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의 설정 각도는 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슬라이딩식 시스템창호용 잠금장치의 기어박스.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안내장공(24)에는 둘레를 따라 양 측벽의 외측으로 곡면을 갖는 안내벽(26)이 돌출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 2 힌지축(54)은 안내장공(24)으로 안내시 안내벽(26)과 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슬라이딩식 시스템창호용 잠금장치의 기어박스.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리프터(40)의 상부에는 양 측벽(42)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간격유지구(46)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슬라이딩식 시스템창호용 잠금장치의 기어박스.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리프터(40)의 상부 일측에는 양 측벽(42)으로부터 직각되게 굴절되는 안내면(48)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20)의 상부에는 리프터(40)의 슬라이딩시 안내면(48)과 접촉되어 회전하는 구름부재(28)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슬라이딩식 시스템창호용 잠금장치의 기어박스.
KR2020090013959U 2009-10-27 2009-10-27 리프트 슬라이딩식 시스템창호용 잠금장치의 기어박스 KR2004571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3959U KR200457120Y1 (ko) 2009-10-27 2009-10-27 리프트 슬라이딩식 시스템창호용 잠금장치의 기어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3959U KR200457120Y1 (ko) 2009-10-27 2009-10-27 리프트 슬라이딩식 시스템창호용 잠금장치의 기어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4367U KR20110004367U (ko) 2011-05-04
KR200457120Y1 true KR200457120Y1 (ko) 2011-12-06

Family

ID=44241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3959U KR200457120Y1 (ko) 2009-10-27 2009-10-27 리프트 슬라이딩식 시스템창호용 잠금장치의 기어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712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32300A2 (ko) * 2011-08-31 2013-03-07 주식회사 쓰리지테크놀러지 시스템창호용 리프트 슬라이딩 장치
KR101292418B1 (ko) * 2011-11-24 2013-08-01 주식회사 대현상공 수평밀착형 창호의 오동작 방지 핸들
DE102022107791A1 (de) * 2022-04-01 2023-10-05 Maco Technologie Gmbh Selbsthemmendes betätigungsgetriebe für einen hebe-schiebeflügel sowie mit solch einem betätigungsgetriebe ausgestatteter hebe-schiebeflüg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4367U (ko) 2011-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3571B1 (ko) 시스템창호 개폐장치
CN101068997B (zh) 用于提升滑动门窗的开启和关闭设备
KR200457120Y1 (ko) 리프트 슬라이딩식 시스템창호용 잠금장치의 기어박스
CN201443272U (zh) 一种平开推拉门窗用开合机构及平开推拉门窗
US10648195B2 (en) Side action flush lock for casement window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CN111520033B (zh) 一种移门装置
KR20110004368U (ko) 리프트 슬라이딩식 시스템창호용 잠금장치의 기어박스
KR101237681B1 (ko) 여닫이문의 잠금장치
KR100753579B1 (ko) 시스템창호 개폐장치
EP1891292B1 (en)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lift-up sliding doors and windows
KR102427615B1 (ko) 터치-레버식 리프트 슬라이딩장치
KR100797158B1 (ko) 여닫기가 용이한 고층건물용 창구조물
KR200271060Y1 (ko) 여닫이문의 잠금장치
KR20100071366A (ko)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
KR100385305B1 (ko) 행잉타입 슬라이딩 창호의 리프터
CN207879172U (zh) 一种共享睡眠舱的舱门结构
KR20110055783A (ko) 자동화 창호 시스템
KR20100100356A (ko) 슬라이딩 도어 구조
KR102449824B1 (ko) 리프트 슬라이딩 방식의 잠금장치
CN216240234U (zh) 一种共面门的同步机构及柜体结构
KR100385304B1 (ko) 행잉타입 슬라이딩 창호의 리프터
JP5013537B2 (ja) 建物用スライドドア
CN216341684U (zh) 一种可内外开的室内门
JPH0422684Y2 (ko)
KR20130058505A (ko) 리프트 슬라이딩식 창호용 기어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