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2622B1 - 강선을 이용한 창호용 하드웨어 - Google Patents

강선을 이용한 창호용 하드웨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2622B1
KR101472622B1 KR1020120032242A KR20120032242A KR101472622B1 KR 101472622 B1 KR101472622 B1 KR 101472622B1 KR 1020120032242 A KR1020120032242 A KR 1020120032242A KR 20120032242 A KR20120032242 A KR 20120032242A KR 101472622 B1 KR101472622 B1 KR 1014726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wire
window
window frame
hardware
han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2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0356A (ko
Inventor
최태환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20032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2622B1/ko
Publication of KR20130110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03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2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26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9/00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 E05C9/02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with one sliding bar for fastening when moved in one direction and unfastening when moved in opposite direction; with two sliding bars moved in the same direction when fastening or unfast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8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 E05C1/1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latch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9/00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 E05C9/10Actuating mechanisms for bars
    • E05C9/12Actuating mechanisms for bars with rack and pinion mechanism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9/00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 E05C9/20Coupling means for sliding bars, rods, or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9/00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 E05C9/22Guides for sliding bars, rods or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02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wings in general, e.g. fanlights
    • E05F11/04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wings in general, e.g. fanlights with cords, chains or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창짝의 손잡이와 연동하여 이동하는 강선을 이용하여 잠금부가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창호용 하드웨어에 관한 것으로, 상기 창짝에 설치되는 손잡이와 연결되며, 손잡이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이동 부재; 상기 창짝의 4면 창짝 프레임의 내부를 감싸며, 상단 및 하단이 상기 이동 부재와 연결되어 함께 이동하는 강선; 상판에 강선이 끼워져 고정되고, 전후면판 사이에 상기 이동 부재에 끼워져 강선과 이동 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 및 창짝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강선과 연결되어 이동하며 창틀에 걸리거나 혹은 걸림이 해지되는 괘·해정 부재로 이루어진 잠금부;로 구성된 기술적인 특징을 갖는 것으로 달성된다.

Description

강선을 이용한 창호용 하드웨어{Hardware for window using steel wire}
본 발명은 강선을 이용한 창호의 하드웨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창짝의 손잡이와 연동하여 이동하는 강선을 이용하여 잠금부가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창호용 하드웨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강선의 인장력을 이용함으로써 하드웨어의 부피를 줄이고, 제작 비용을 감소시키며, 간단한 롤러만으로 전체 하드웨어를 연결할 수 있어 구동시 동력이 끊어질 우려가 없는 강선을 이용한 창호용 하드웨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호는 실내와 실외를 격리시키는 벽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과 동시에 햇빛과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유입시켜 실내 환기가 가능하도록 하는 통로를 제공하고, 입주민에게 조망감과 개방 감을 느끼게 해 주는 역할을 한다.
최근 이러한 창호는 창틀과, 상기 창틀에 설치되는 고정창과, 창틀의 상, 하부에 형성된 레일을 따라 좌우 이동하며 개, 폐문되는 창짝으로 이루어진 기본적인 구성 이외에 잠금 및 창짝을 상하 혹은 수평 이동시켜 기밀성을 확보하는 하드웨어가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하드웨어는 손잡이와 연결되어 이동하는 골조를 구비하고, 이 골조와 연결되어 동작하며 창짝을 창틀 쪽으로 수평이동시켜 밀착되도록 하는 수평이동부를 가지며, 상기 골조와 연동하여 고정창에 걸려 잠금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공지의 잠금부가 갖추어진 구성으로, 상기 수평 이동부가 창짝을 이동시키는 롤러잠금장치와 연결되어 창짝 프레임에 설치됨으로써, 동작 과정에 큰 힘을 필요로 하는 문제가 있다.
다시 말해, 창 크기가 큰 우리의 창호 문화의 특성상 창호의 무게가 대단히 무거우므로 이를 구동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크기의 힘을 필요로 한다.
더욱이 동작 과정에서 반복적으로 가해지는 하중을 견디기 위하여 골조의 두께가 두꺼워지고 넓어지며, 창호의 4면 전체에 잠금 장치가 구비되어 있는 경우, 모서리 부분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방향전환 장치가 설치되어 비용이 추가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강선의 인장력을 이용하여 작동 동력을 전달하도록 구성하여 하드웨어의 부피를 감소시키고, 그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강선을 이용한 창호용 하드웨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드웨어의 무게를 감소시키고, 창호 모서리 부위에 동력전달방향을 변경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불필요하며, 간단한 롤러만으로 전체 하드웨어를 연결할 수 있어 동작이 원활하고, 구동 시 동력이 끊김 현상이 없는 창호용 하드웨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창짝의 프레임에 설치되는 하드웨어로써, 상기 창짝에 설치되는 손잡이와 연결되며, 손잡이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이동 부재; 상기 창짝의 측면 프레임에 부착되고 양측, 상단 및 하단이 상기 이동 부재와 연결되어 함께 이동하는 강선; 상판에 강선이 끼워져 고정되고, 전후면판 사이에 상기 이동 부재에 끼워져 강선과 이동 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 및 창짝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강선과 연결되어 이동하며 창틀에 걸리거나 혹은 걸림이 해지되는 괘·해정 부재로 이루어진 잠금부; 로 구성된 기술적인 특징을 갖는 것으로 달성된다.
본 발명은 첫째, 강선의 인장력을 이용하고, 창호의 손잡이와 연동하여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하드웨어의 부피 및 무게를 줄이고, 동작이 원활하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강선을 이용함으로써, 창호 모서리 부위에 동력전달방향을 변경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불필요하고, 구동 시 동력의 끊김 현상이 없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의 하드웨어는 구조가 간단하고, 조립이 간편하며, 고장이 없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하드웨어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하드웨어의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하드웨어에 적용되는 연결 부재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 부재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잠금부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잠금부의 조립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하드웨어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하드웨어의 확대도 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하드웨어에 적용되는 연결 부재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첨부된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 부재 및 잠금부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잠금부의 조립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서 본 발명의 창호용 하드웨어(100)는 창짝에 설치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여닫이 창호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창호용 하드웨어(100)는 손잡이부(20)와 연결되는 이동부재(120)와, 4면의 창짝 프레임(10) 내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강선(102)과, 상기 강선(102)과 이동부재(12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140) 및 상기 강선과 연결된 잠금부(160)로 구성되며, 여기에 강선(102)의 이동이 원활하도록 창짝 프레임(10)의 각 모서리 부위에 설치되는 롤러(180) 및 인장력 조절부가 갖추어진 구성이다.
이동부재 (120)
상기 이동부재(120)는 손잡이부(20)와 연동하여 상·하 이동하는 것으로, 손잡이부와 마주보는 면에 랙 기어(122)가 형성되고, 이 랙 기어(122)와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124)가 상기 손잡이부(20)에 설치된 구성이다.
즉 상기 피니언 기어(124)는 손잡이(미도시)가 끼워지는 축수부(22)에 조립되어, 사용자가 손잡이를 회전시키면 이와 동시에 회전하여 맞물린 랙 기어(122)를 상,하 이동시켜 이동부재(120)가 상하로 움직이도록 하는 구성이다.
한편, 상기 이동부재(120)는 가늘고 긴 막대 형상으로 상, 하단 각각에 혹은 어는 일단에 연결부재(140)에 의해 강선(102)이 연결되도록 하되, 연결 부재가 구비되지 않은 단부에는 턴 버클에 의해 강선이 연결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연결부재 (140)
상기 연결부재(140)는 전, 후면판(141)(142) 그리고 이들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판(143)으로 이루어진 대략 "∩" 형상으로, 전면판(141)과 후면판(142) 각각에 좌우 한쌍의 암나사부(144)가 형성되어 연결부재(120)의 연결을 가능하도록 한다.
다시 말해, 상기 연결 부재(120)의 하부 전, 후면판(141)(142) 사이에 상기 이동 부재(120)의 단부를 끼워넣고, 보울트(146)를 체결하여 고정하되, 상기 이동부재(120)에는 구멍(126)이 천공되어 상기 보울트(146)가 이 구멍을 관통하여 암나사부(144)에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 연결부재(140)의 상판(143)에는 강선(102)이 끼워져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연결공(145)이 형성되고, 연결공(145)에 끼워진 강선(102)은 고정판(147)에 의해 고정되는 구성이다.
첨부된 도 4는 강선(102)과 고정판(147)을 연결하는 것으로, 강선(102)을 연결공(145)에 끼워넣은 상태에서 연결부재 밖은 빼낸 상태에서 한쌍으로 구성된 고정판(147) 사이에 강선을 끼워넣고, 각 고정판에 형성된 암나사부(148)에 고정 보울트(149)를 체결하여 강선을 고정한 다음, 고정판(147)을 연결부재 안쪽으로 밀어넣어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이동 부재(120)의 상, 하단은 각각은 상기 연결 부재(140)에 의해 강선(102)이 연결되나, 경우에 따라서는 턴 버클(200)에 의해 강선이 연결될 수도 있다.
강선(102) 및 이동 부재(120) 각각에 수나사부를 구비하고, 양편에 서로 반대 방향으로 상기 수나사부가 체결되는 암나사부가 구비된 턴 버클은 강선을 이동부재에 연결함과 아울러 회전시 강선을 당겨 인장력을 조절하는 것이다.
잠금부 (160)
본 발명의 잠금부(160)는 도면과 같이 창짝 프레임의 4면 혹은 선택적인 면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하되, 괘·해정 부재(161)와, 이 괘·해정 부재(161)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165)로 구성된다.
상기 괘·해정 부재(161)는 중앙에 길이 방향으로 강선(102)이 끼워지는 끼움공(162)이 형성되고, 이 끼움공(162)과 수직으로 연통하는 수직 암나사부(163)가 형성되어 이 수직 암나사부에 체결되는 나사(164)가 강선을 압압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가이드 부재(165)는 괘·해정 부재(161)가 끼워져 이동하는 이동공간(166)이 구비되고, 이 이동 공간의 저부에 통공을 형성하여 여기에 나사를 끼워 창짝 프레임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한편, 상기 괘·해정 부재(161)에는 중앙에 수직으로 세워진 괘정봉(160a)이 구비되어 괘·해정 부재(161)의 이동에 따라 이 괘정봉(160a)이 이동하며 창틀 자체 또는 창틀에 결합하는 별도 부재에 형성되는 일단의 전방이 개방된 횡방향 또는 종방향의 삽입홈(도면상 미도시)에 걸리거나 혹은 걸림 해지된다.
도면 부호 180은 창짝 프레임의 각 모서리 부위에 설치된 롤러로써, 각 모서리에 적어도 이상이 구비되어 강선이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은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동작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입주자가 창짝을 개방 혹은 폐문을 위해 손잡이를 회전시키면, 이 손잡이부(20)의 축수부(22)에 설치된 피니언 기어(124)가 회전한다. 피니언 기어(124)가 회전하면 이와 맞물린 랙 기어(122)가 이동하고, 동시에 이동 부재(120)가 상방 혹은 하방으로 이동하여 강선을 당기게 된다.
이때 강선(102)은 각 모서리 부위에 설치된 롤러(180)를 따라 이동하며 괘·해정 부재를 당기게 된다.
즉, 상기 강선(102)이 끼움공(162)에 끼워져 보울트(164)로 압압된 상태로 강선과 연결된 괘·해정 부재(161)가 강선이 이동하면 가이드 부재(165)를 따라 이동하며, 그 상면에 구비된 괘정봉(160a)이 창틀에 괘정 즉 걸려 창짝의 잠금이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혹은 걸림이 해지되어 창짝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100 : 하드웨어 102 : 강선
120 : 이동 부재 122 : 랙 기어
124 : 피니언 기어 140 : 연결부재
160 : 잠금부 161 : 괘·해정 부재
165 : 가이드 부재 200 : 턴 버클

Claims (9)

  1. 창짝의 프레임에 설치되는 하드웨어로서,
    상기 창짝에 설치되는 손잡이와 연결되며, 손잡이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이동 부재;
    상기 창짝의 4면 창짝 프레임의 내부를 감싸며, 상단 및 하단이 상기 이동 부재와 연결되어 함께 이동하는 강선;
    상판에 강선이 끼워져 고정되고, 전후면판 사이에 상기 이동 부재에 끼워져 강선과 이동 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 및
    창짝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강선과 연결되어 이동하며 창틀에 걸리거나 혹은 걸림이 해지되도록 하는 수직으로 세워진 괘정봉을 갖는 괘·해정 부재로 이루어진 잠금부;로 구성되되,
    상기 창짝 프레임의 내부를 감싸는 강선이 창틀프레임과 수평방향 및 일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괘정봉을 동일방향으로 이동시켜 창틀에 걸리거나 걸림해제되도록 함으로써 창짝을 괘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을 이용한 창호용 하드웨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부재는 손잡이와 마주 보는 방향으로 랙 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가 설치되는 손잡이부의 축수부에 랙 기어와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을 이용한 창호용 하드웨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전, 후면판과 이들 상단을 연결하는 상판으로 구성되도록 하되, 상기 상판에 강선이 끼워지는 연결공이 구비되고, 전, 후면판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을 이용한 창호용 하드웨어.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의 상판 연결공에 끼워진 강선은 전, 후면판 사이에 끼워지는 고정판에 고정되어 연결되고, 이동 부재의 단부에 전, 후면판의 하부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하되, 암나사부에 체결되는 보울트가 이동부재에 형성된 구멍을 관통하여 체결되어 이동 부재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을 이용한 창호용 하드웨어.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은 한쌍으로 구성되어 이들 사이에 강선이 고정되도록 하되, 이들 한쌍의 고정판은 보울트 혹은 리벳팅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을 이용한 창호용 하드웨어.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창틀에 걸리거나 걸림이 해지되도록 하는 수직으로 세워진 괘정봉을 갖는 괘·해정 부재를 구비하되, 이 괘·해정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강선이 끼워지는 끼움공이 형성되며, 이 끼움공과 수직으로 나사가 체결되어 강선을 압압할 수 있도록 하는 수직 암나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을 이용한 창호용 하드웨어.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괘·해정 부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를 구비하되, 이 가이드 부재는 창짝 프레임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을 이용한 창호용 하드웨어.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창짝 프레임의 각 모서리 부위에 강선의 이동을 안내하는 롤러가 구비된 것을 특징 강선을 이용한 창호용 하드웨어.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부재의 상단 및 하단 각각 혹은 어느 일단에 턴버클을 구비하여 인장력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을 이용한 창호용 하드웨어.

KR1020120032242A 2012-03-29 2012-03-29 강선을 이용한 창호용 하드웨어 KR1014726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2242A KR101472622B1 (ko) 2012-03-29 2012-03-29 강선을 이용한 창호용 하드웨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2242A KR101472622B1 (ko) 2012-03-29 2012-03-29 강선을 이용한 창호용 하드웨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0356A KR20130110356A (ko) 2013-10-10
KR101472622B1 true KR101472622B1 (ko) 2014-12-15

Family

ID=49632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2242A KR101472622B1 (ko) 2012-03-29 2012-03-29 강선을 이용한 창호용 하드웨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262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7713Y1 (ko) * 2004-08-20 2004-11-15 윤대혁 창호용 잠금장치
KR200415799Y1 (ko) * 2006-02-08 2006-05-08 반재훈 안전창문
KR20110004368U (ko) * 2009-10-27 2011-05-04 주식회사 쓰리지테크놀러지 리프트 슬라이딩식 시스템창호용 잠금장치의 기어박스
KR101292418B1 (ko) * 2011-11-24 2013-08-01 주식회사 대현상공 수평밀착형 창호의 오동작 방지 핸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7713Y1 (ko) * 2004-08-20 2004-11-15 윤대혁 창호용 잠금장치
KR200415799Y1 (ko) * 2006-02-08 2006-05-08 반재훈 안전창문
KR20110004368U (ko) * 2009-10-27 2011-05-04 주식회사 쓰리지테크놀러지 리프트 슬라이딩식 시스템창호용 잠금장치의 기어박스
KR101292418B1 (ko) * 2011-11-24 2013-08-01 주식회사 대현상공 수평밀착형 창호의 오동작 방지 핸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0356A (ko) 2013-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67939B2 (en) Shower door assembly
KR101472622B1 (ko) 강선을 이용한 창호용 하드웨어
CN116717167A (zh) 一种用于门体的型材
KR20160013535A (ko) 반자동 연동형 도어 시스템
CN203729714U (zh) 具有多种驱动方式的自动上锁锁体
US9890557B2 (en) Leaf of a sliding window or sliding door and sliding window or sliding door provided with such a leaf
KR200453542Y1 (ko) 실내용 연동식 목문의 수동개폐구조
JP5676243B2 (ja) 戸車、同戸車と吊戸との連結構造
CN203613914U (zh) 一种手自密合锁
CN206581836U (zh) 一种防撬门窗
CN205476865U (zh) 一种特殊双向传动锁盒
KR200452185Y1 (ko) 처짐방지 기능이 향상된 리프트 창문용 잠금장치
CN220599615U (zh) 一种带限位件的推拉门窗
KR20110003331U (ko) 미닫이 창호 연동장치
CN212867160U (zh) 一种高稳定性的卷帘门门板与门锁连接机构
JP6652395B2 (ja) 建具と網戸の自走防止方法
AU2013248234B2 (en) An airstream diverter for a glazing assembly
JP3586228B2 (ja) 窓用額縁の取付構造
CN215255418U (zh) 一种幕墙开启窗的滑撑和风撑的固定装置
CN113756479B (zh) 一种单元板块及单元式幕墙
AU2015202227B2 (en) Security Door or Window Screen
CN201449645U (zh) 可拉出式面板
CN214062814U (zh) 一种带有加固结构的卷帘门
CN116591565A (zh) 一种安全气密滑动机构
DE202012101061U1 (de) Blendrahmenprofil zur Herstellung von Blendrahm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