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3535A - 반자동 연동형 도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반자동 연동형 도어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13535A KR20160013535A KR1020140093346A KR20140093346A KR20160013535A KR 20160013535 A KR20160013535 A KR 20160013535A KR 1020140093346 A KR1020140093346 A KR 1020140093346A KR 20140093346 A KR20140093346 A KR 20140093346A KR 20160013535 A KR20160013535 A KR 2016001353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or
- driven
- fixed
- driving
- driv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7/00—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자동 연동형 도어 시스템에 있어서, 문틀 등으로부터 도어가 어떠한 구조적 변경도 없이 자유롭게 분리될 수 있으며, 아울러 도어가 도어 연동장치 등으로부터는 오직 수평방향의 이동력만을 전달받도록 구성하여 도어를 매우 가벼운 힘으로 여닫을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반자동 연동형 도어 시스템을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서로 연동되게 마련되는 연동형 3중 미닫이 도어, 구체적으로는 가구의 전면 패널 또는 출입문이나 이동식 칸막이벽 등을 3중으로 중첩되게 하여 미닫이 방식으로 여닫을 수 있으며 각각의 도어가 서로 연동되는 연동형 3중 미닫이 도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반자동으로 도어가 닫히는 반자동 연동형 3중 도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에 의하여 구동 도어가 열린 후 당김력 인가수단에 의하여 구동 도어가 자동으로 닫히며, 아울러 구동 도어가 닫힐 때 연동하여 닫히는 피동 도어를 완충수단에 의하여 완충하여 구동 도어의 부드러운 닫힘을 유도하는 반자동 연동형 3중 미닫이 도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다수의 도어를 설치할 때 어느 하나의 도어를 개폐함으로써 다른 도어도 목적하는 방향으로 개폐되게끔 하는 연동형 3중 슬라이딩 도어가 등장하였다.
이와 관련된 종래의 기술로서, 국내 특허등록 제10-0724597호 "개폐체 연동장치"(2007. 5.28 등록), 국내 특허등록 제10-1174852호 "미닫이 도어 조립체"(2012.8.10 등록),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20-0439141호 "3중 슬라이딩 도어의 연동장치"(2008.3.17 등록), 국내 특허등록 제10-0880272호 "슬라이딩 도어의 연동장치"(2009.1.22 등록), 국내 특허등록 제10-1195057호 "반자동 및 연동형 3중 미닫이 도어 조립체"(2012.10.22 등록) 등이 제안된 바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들은 본 명세서에 일체화된 것으로 본다.
종래 기술인 국내 특허등록 제10-0724597호는 개폐체 연동장치가 상부 레일을 따라 설치되는 형태이며, 상기 개폐체 연동장치에 의하여 도어가 안내되는 형태이다.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20-0439141호는 3중으로 중첩된 도어를 간단한 구조에 의하여 제작할 수 있는 3중 슬라이딩 도어의 연동장치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국내 특허등록 제10-0880272호는 와이어 대신에 기어부가 형성된 견인벨트를 사용하는 연동장치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연동형 3중 슬라이딩 도어의 다양한 제안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개발된 연동형 3중 슬라이딩 도어는 매우 복잡한 구조를 가지며 그 복잡한 구조로 인하여 설치 작업이 용이하지 않다.
한편 반자동 미닫이 도어 시스템은, 도어가 사용자에 의하여 강제로 열린 후 도어의 닫힘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미닫이 도어 시스템이다.
이러한 반자동 미닫이 도어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하여는 도어가 문틀 등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어야 하며, 아울러 스프링에 의하여 탄성지지되는 와이어와 같은 당김력 인가수단이 도어에 연결되어 도어가 열린 후 별도의 외력을 가하지 않는다면 당김력 인가수단에 의하여 도어가 자동으로 닫히게 된다. 즉 당김력 인가수단은 도어에 당김력을 지속적으로 인가하게 된다.
아울러 이와 같이 당김력 인가수단에 의하여 도어가 닫히게 되면 도어의 닫히는 속도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도어가 닫히는 순간에는 큰 충격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완충수단이 마련된다.
완충수단은 통상 실린더와 실린더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출몰하는 피스톤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도어가 닫히기 전에 도어에 완충력을 제공하여 도어의 부드러운 닫힘을 유도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반자동 도어 시스템에 관한 종래의 기술로서 국내 특허등록 제10-1195057호 "반자동 및 연동형 3중 미닫이 도어 조립체"(2012.10.22 등록)가 제안되었다.
이와 같은 반자동 미닫이 도어 시스템의 문제점을 설명한다.
반자동 미닫이 도어 시스템에서 완충수단은 당연히 도어와 분리되어 배치되지만, 당김력 인가수단이 당김력을 지속적으로 제공하기 위하여는 당김력 인가수단은 도어와 연결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도어에 당김력 인가수단이 와이어 등으로 연결될 경우 도어를 설치하거나 유지 보수를 위하여 도어를 문틀 등으로부터 분리할 때 도어와 당김력 인가수단간의 연결 혹은 분리 작업을 필요로 한다.
특히 도어와 당김력 인가수단이 연결되어 있는 것을 알지 못한 상태에서 도어를 문틀 등으로부터 분리할 경우 연결 와이어 등으로 인하여 작업자의 부상이 우려되기도 한다.
또한 종래의 기술은 당김력 인가수단과 완충수단이 문틀의 외부에 고정되는 형태로 설치되어 문틀 디자인을 조악하게 만드는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반자동 연동형 도어 시스템에 있어서, 문틀 등으로부터 도어가 어떠한 구조적 변경도 없이 자유롭게 분리될 수 있으며, 아울러 도어가 도어 연동장치 등으로부터는 오직 수평방향의 이동력만을 전달받도록 구성하여 도어를 매우 가벼운 힘으로 여닫을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반자동 연동형 도어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부 문틀에 고정 설치되며, 연동장치용 가이드레일이 형성되는 가이드패널 ; 상기 연동장치용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마련되되 피동 도어용 관통구가 형성된 연동체 본체와, 상기 연동체 본체의 상면에 마련되는 한 쌍의 풀리와, 상기 한 쌍의 풀리에 장착되어 폐루프를 형성하는 견인용 벨트와, 상기 견인용 벨트의 일측에 고정마련되되 구동 도어용 관통구가 형성된 구동 도어용 연결대와, 상기 견인용 벨트의 타측에 고정마련되되 고정 도어용 관통구가 형성된 고정 도어용 연결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도어 연동장치 ; 상기 도어 연동장치의 직하부에 마련되며, 상부에 상기 피동 도어용 관통구를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피동 도어용 수직부재가 마련되는 피동 도어 ; 상기 피동 도어의 폭방향 일측에 배치되되 상부에 상기 구동 도어용 관통구를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구동 도어용 수직부재가 마련되는 구동 도어 ; 상기 피동 도어의 폭방향 타측에 배치되되 상부에 상기 고정 도어용 관통구를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고정 도어용 수직부재가 마련되는 고정 도어 ; 상기 가이드패널의 하부에 고정 마련되되, 상기 구동 도어가 닫히도록 상기 구동 도어에 당김력을 인가하기 위하여 스프링에 의하여 탄성지지되는 와이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와이어는 상기 구동 도어용 연결대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 도어를 간접적으로 당기도록 이루어지는 당김력 인가수단 ; 상기 피동 도어가 닫힐 때 상기 피동 도어에 완충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가이드패널의 하부에 마련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로부터 출몰하는 피스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실린더는 상기 피동 도어의 연장면상에 위치되는 완충수단 ;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패널에는 적어도 피동 도어용 가이드레일 및 구동 도어용 가이드레일이 형성되며, 상기 연동장치용 가이드레일은 상기 피동 도어용 가이드레일의 일부를 이루며, 상기 피동 도어용 수직부재의 상단에는 오직 측면만이 상기 피동 도어용 가이드레일과 접촉되는 피동 도어용 롤러가 마련되며, 상기 구동 도어용 수직부재의 상단에는 오직 측면만이 상기 구동 도어용 가이드레일과 접촉되는 구동 도어용 롤러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피동 도어 또는 상기 구동 도어는 상기 도어 연동장치로부터 수직방향의 부하없이 오직 수평방향 이동력만을 전달받을 뿐이며, 상기 피동 도어 또는 상기 구동 도어는 어떠한 구조적 변경도 없이 상기 도어 연동장치, 상기 가이드패널, 및 상기 당김력 인가수단으로부터의 분리될 수 있는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피동 도어의 상부에 금속재의 완충판이 마련되며, 일단이 상기 피스톤의 선단에 고정되며 타단이 상기 완충판을 향하도록 배치된 코일스프링이 마련되며, 상기 완충판과의 자력 결합을 위하여 상기 코일스프링의 타단에 고정되는 자성체가 마련되며, 상기 자성체의 상기 완충판을 향한 면에 고무커버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당김력 인가수단 및 상기 완충수단은 상기 상부 문틀의 내부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반자동 연동형 도어 시스템에 있어서, 문틀 등으로부터 도어가 어떠한 구조적 변경도 없이 자유롭게 분리될 수 있으며, 아울러 도어가 도어 연동장치 등으로부터는 오직 수평방향의 이동력만을 전달받도록 구성하여 도어를 매우 가벼운 힘으로 여닫을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반자동 연동형 도어 시스템을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반자동 연동형 도어 시스템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주요 부품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주요 부품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2의 가이드패널의 단면도,
도 5는 도 4의 가이드패널이 연동체 본체의 측부 안내체를 안내하는 상태를 보이는 단면도,
도 6은 도 4의 가이드패널이 각 도어의 수직 부재를 안내하는 상태를 보이는 단면도,
도 7은 도 2의 도어 연동장치의 평면도,
도 8은 각 도어의 수직 부재의 사시도,
도 9는 피동 도어의 완충판과 완충수단의 피스톤간의 관계를 보이는 단면도,
도 10은 본 실시예의 도어들이 닫힌 상태의 주요 부품의 평면 개념도,
도 11은 본 실시예의 도어들이 열린 상태의 주요 부품의 평면 개념도.
도 2는 도 1의 주요 부품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주요 부품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2의 가이드패널의 단면도,
도 5는 도 4의 가이드패널이 연동체 본체의 측부 안내체를 안내하는 상태를 보이는 단면도,
도 6은 도 4의 가이드패널이 각 도어의 수직 부재를 안내하는 상태를 보이는 단면도,
도 7은 도 2의 도어 연동장치의 평면도,
도 8은 각 도어의 수직 부재의 사시도,
도 9는 피동 도어의 완충판과 완충수단의 피스톤간의 관계를 보이는 단면도,
도 10은 본 실시예의 도어들이 닫힌 상태의 주요 부품의 평면 개념도,
도 11은 본 실시예의 도어들이 열린 상태의 주요 부품의 평면 개념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반자동 연동형 도어 시스템의 정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주요 부품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주요 부품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가이드패널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가이드패널이 연동체 본체의 측부 안내체를 안내하는 상태를 보이는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4의 가이드패널이 각 도어의 수직 부재를 안내하는 상태를 보이는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2의 도어 연동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8은 각 도어의 수직 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9는 피동 도어의 완충판과 완충수단의 피스톤간의 관계를 보이는 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실시예의 도어들이 닫힌 상태의 주요 부품의 평면 개념도이며, 도 11은 본 실시예의 도어들이 열린 상태의 주요 부품의 평면 개념도이다.
본 실시예는 크게 3개의 도어, 구체적으로는 구동 도어(110), 피동 도어(120), 고정 도어(130), 도어 연동장치(200), 가이드패널(300), 문틀로 이루어진다.
문틀은 하부 문틀(미도시)과, 한 쌍의 측부 문틀(420, 430)과, 상부 문틀(440)로 이루어진다.
하부 문틀(4미도시)의 양측에 측부 문틀(420, 430)이 각각 마련되며, 측부 문틀(420, 430)의 상부를 가로지르면서 상부 문틀(440)이 마련되어 전체적으로 문틀은 격자 형태를 가진다.
상부 문틀(440)의 하부에 가이드패널(300)이 고정 설치된다. 가이드패널(300)과 상부 문틀(440)은 서로 평행하게 설치된다.
격자 형태의 문틀 내부, 구체적으로는 가이드패널(300)과 측부 문틀(420, 430)과 하부 문틀 사이의 공간에 구동 도어(110), 피동 도어(120), 고정 도어(130)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각각의 도어(110, 120, 130)들은 가이드패널(300)과 하부 문틀의 하부 가이드부를 따라 그 이동이 안내된다.
한편 구동 도어(110)와 고정 도어(130)의 중간에 피동 도어(120)가 배치된다.
가이드패널(300)은 압출 성형품으로서, 하부에 구동 도어용 가이드레일(310), 피동 도어용 가이드레일(320), 고정 도어용 가이드레일(330)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물론 본 실시예에서 고정 도어(130)은 움직이지 않으므로, 고정 도어용 가이드레일(330)은 실질적으로 불필요하다.
아울러 피동 도어용 가이드레일(320)의 일부에는 연동장치용 가이드레일(321)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가이드패널(300)의 단면 구조는 도 4에서 확인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이드패널(300)의 연동장치용 가이드레일(321)를 따라 이동하도록 도어 연동장치(200)가 마련된다.
도어 연동장치(200)는 도 7과 같이 연동체 본체(210), 한 쌍의 풀리(220), 견인용 벨트(230), 구동 도어용 연결대(240), 고정 도어용 연결대(2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연동체 본체(210)는 도어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바닥체(211)와 바닥체(211)의 길이방향 양측에 고정 마련되는 한 쌍의 측부 안내체(212)로 이루어진다.
측부 안내체(212)는 가이드패널(300)의 연동장치용 가이드레일(321)에 대응하는 형태를 가지게 되어(도 5 참조), 결과적으로 연동체 본체(210)는 측부 안내체(212)에 의하여 가이드패널(300)을 따라 슬라이딩된다.
아울러 바닥체(211)에는 한 쌍의 피동 도어용 관통구(211a)가 형성되어 있다.
바닥체(211)의 상면에는 한 쌍의 풀리(220)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또한 한 쌍의 풀리(220)에는 폐루프를 형성하는 견인용 벨트(230)가 장착되어 있다.
견인용 벨트(230)의 일측에는 구동 도어용 연결대(240)가 고정마련되며, 아울러 견인용 벨트(230)의 타측에는 고정 도어용 연결대(250)가 고정마련된다.
구동 도어용 연결대(240)에는 구동 도어용 관통구(241)가 형성되어 있으며, 아울러 고정 도어용 연결대(250)에는 고정 도어용 관통구(251)가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구동 도어용 연결대(240)와 고정 도어용 연결대(250)는 견인용 벨트(230)에 고정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도 6과 같이 바닥체(211)와 맞물리는 형태를 가진다.
즉 구동 도어용 연결대(240)와 고정 도어용 연결대(250)는 견인용 벨트(230)와 연동하여 움직이게 되며, 특히 바닥체(211)에 의하여 안내되면서 움직이게 되어 안정적인 움직임이 가능하다.
도어 연동장치(200)의 직하부에는 피동 도어(120)가 배치된다.
피동 도어(120)의 상부에는 한 쌍의 피동 도어용 수직 부재(121)가 고정 마련되어 있다.
피동 도어용 수직 부재(121)는 도어 연동장치(200)의 피동 도어용 관통구(211a)를 관통하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피동 도어(120)는 도어 연동장치(200)와 함께 동일한 방향과 동일한 속도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피동 도어(120)의 폭방향 일측에 마련되는 구동 도어(110)의 상부에는 구동 도어용 수직부재(111)가 고정 마련되며, 피동 도어(120)의 폭방향 타측에 마련되는 고정 도어(130)의 상부에는 고정 도어용 수직부재(131)가 고정 마련된다.
한 쌍의 구동 도어용 수직부재(111) 중 어느 하나는 구동 도어용 연결대(240)의 구동 도어용 관통구(241)를 관통하도록 배치되며, 한 쌍의 고정 도어용 수직부재(111) 중 어느 하나는 고정 도어용 연결대(250)의 고정 도어용 관통구(251)를 관통하도록 배치된다.
아울러 구동 도어용 수직 부재(111), 피동 도어용 수직 부재(121), 고정 도어용 수직 부재(131)는 도 8과 같은 형태로서 모두 동일한 형태이며, 각각의 수직 부재(111, 121, 131)의 상단부에는 롤러(111a, 121a, 131a)가 마련되어 있다.
각각의 롤러를 구동 도어용 롤러(111a), 피동 도어용 롤러(121a), 고정 도어용 롤러(131a)로 칭한다.
각각의 롤러(111a, 121a, 131a)의 형태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그 측면만이 가이드레일(310, 320, 330)과 접하면서 구르게 된다.
아울러 고정 도어(130)는 다른 고정 수단에 의하여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구동 도어(110)를 슬라이딩시키면, 도어 연동장치(200)에 의하여 피동 도어(120)가 구동 도어(110)와 동일한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되 구동 도어(110)가 이동한 길이의 절반만큼 이동하게 된다.
한편 구동 도어(110) 및 피동 도어(120)는 도어 연동장치(200)로부터 수평방향 이동력만을 전달받을 뿐이며, 어떠한 결합구조도 가지고 있지 아니하다.
구동 도어(110) 및 피동 도어(120)는 도 6과 같이 그 상부의 구동 도어용 롤러(111a) 및 피동 도어용 롤러(121a)에 의하여 구동 도어용 가이드레일(310) 및 피동 도어용 가이드레일(320)에 안내되므로 어떠한 수직 방향의 부하도 받지 아니한다.
따라서 구동 도어(110) 및 피동 도어(120)의 구동이 매우 작은 힘에 의해서도 쉽게 이루어진다.
또한 각각의 도어(110, 120, 130)는 가이드패널(300) 혹은 도어 연동장치(200)에 대하여 어떠한 구조적 변경도 없이 곧바로 분리될 수 있는 구조이다.
이하에서는 당김력 인가수단(600)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당김력 인가수단(600)은 가이드패널(300)의 하부에 마련된다.
당김력 인가수단(600)은 종래의 기술과 같이 스프링에 의하여 탄성지지되는 와이어(60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와이어(601)는 구동 도어용 연결대(240)에 연결된다.
당김력 인가수단(600)은 구동 도어용 연결대(240)를 매개하여 구동 도어(110)에 항상 간접적인 당김력을 인가하게 되며, 구동 도어(110)가 열린 후 별도의 외력을 가하지 않는다면 구동 도어(110)는 당김력 인가수단(600)에 의하여 자동으로 닫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는 구동 도어(110)를 설치하거나 분리할 때 본 실시예에서는 당김력 인가수단(600)과의 조립관계를 고려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발생한다. 종래에는 당김력 인가수단(600)이 직접 구동 도어(110)를 당기게 되어, 구동 도어(110)의 설치 및 분리시에는 항상 당김력 인가수단(600)과의 조립 내지 분리가 필요하였다.
한편 당김력 인가수단(600)과의 연결을 위하여 구동 도어용 연결대(240)에는 조립용 홈 내지 조립용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서 완충수단(700) 또한 가이드패널(300)의 하부에 고정 마련된다.
완충수단(700)은 종래의 기술과 같이 실린더(710)와 실린더(710)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출몰하는 피스톤(7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완충수단(700)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은 앞서 언급한 종래의 기술로 대체한다.
본 완충수단(700)은 피동 도어(120)가 닫히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피동 도어(120)에 완충력을 제공하여 구동 도어(110)의 닫힘을 완충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완충수단(700)은 피동 도어(120)의 연장면상에 위치하게 된다.
즉 본 완충수단(700)은 구동 도어(110)가 문틀에 강하게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지만, 피동 도어(120)에 완충력을 제공하여 구동 도어(110)에 간접적인 완충을 제공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완충수단(700)이 특이한 점을 도 9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피동 도어(120)의 상부에 금속재의 완충판(122)이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완충판(122)은 ㄴ자 형태로 피동 도어(120)의 상부에 고정된다.
완충판(122)은 피동 도어(120)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피동 도어(120)와 연동하여 이동하게 된다.
한편 피스톤(720)의 선단에 하우징(721)이 장착되며, 하우징(721)의 중앙에 제1볼트(722)가 수평방향으로 고정된다.
제1볼트(722)에는 제1나사산(722a)이 형성되어 있다.
제1나사산(722a)에 단지형 코일스프링(723)의 일단이 제1나사산(722a)을 따라 감겨 있으며, 이에 의하여 단지형 코일스프링(723)이 제1볼트(722)를 매개하여 하우징(721) 내지 피스톤(720)에 고정된다.
단지형 코일스프링(723)은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단지형 코일스프링(723)은 원추형 코일스프링이 대칭으로 마련된 형태로서 그 길이방향 중앙이 볼록한 형태를 가지게 된다.
코일스프링(723)의 타단에 자성체(724)가 마련된다. 자성체(724)는 금속재의 완충판(122)과 자력결합이 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자성체(724)를 관통하면서 제2볼트(725)가 마련되며, 제2볼트(725)는 제1볼트(722)를 향하여 수평방향으로 배치된다.
아울러 제2볼트(725)에는 제2나사산(725a)이 형성되어 있으며, 코일스프링(723)의 타단은 제2나사산(725a)을 따라 감겨 제2볼트(725)에 고정된다.
또한 자성체(724)의 완충판(122)를 향한 면에 고무커버(726)가 마련되어 있다.
고무커버(726)는 자성체(724)와 완충판(122)과의 접촉시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고무커버(726)는 자성체(724)가 삽입되면서 조립되는 형태이다.
한편, 하우징(721)은 스프링(723) 등을 포위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스프링(723) 등이 외부에서 확인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의 당김력 인가수단(600) 및 완충수단(700)은 상부 문틀(440)의 내부에 위치되어 외부에서 보여지지 않게 되며, 이에 의하여 도어 시스템의 간결한 디자인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 10과 같이 도어들이 닫혀있는 상태에서 사용자는 구동 도어(110)를 잡고 여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구동 도어(110)의 여는 작동에 의하여 도어 연동장치(200)의 연동으로 인하여 피동 도어(120) 또한 열리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피동 도어(120)가 열리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피동 도어(120)와 함께 피스톤(720)이 실린더(710)로부터 튀어나오지만(완충판(122)와 자성체(724)의 자력결합으로 인하여) 피스톤(720)이 최장 스트로크까지 튀어나오면 피스톤(720)과 피동 도어(120)는 서로 분리되어 피스톤(720)은 그 위치를 유지하고 피동 도어(120)만 열리게 된다. 즉 도 11과 같은 상태로 변화된다.
이후 피동 도어(120)가 당김력 인가수단(600)에 의하여 자동으로 닫히게 될 때 피동 도어(120)의 상부에 마련된 금속재의 완충판(122)이 피스톤(720)의 선단, 구체적으로는 고무커버(726)와 만나게 되면 피동 도어(120)는 피스톤(720)을 끌고 들어가면서 도 10의 상태로 변화된다.
이후 다시 피동 도어(120)가 열리게 되면 다시 피스톤(720)을 끌어내게 된다.
이때 피동 도어(120)의 상부에 마련된 금속재의 완충판(122)과 피스톤(720)의 선단에 마련된 자성체(724)는 자력결합에 의하여 그 결합상태가 유지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본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완충판(1220과 자성체(724)의 확실한 결합상태를 보장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자성체(724)가 코일스프링(723)을 매개로 설치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자성체(724)가 외력을 받게 되면 상하로 어느 정도 흔들릴 수 있는 상태이다.
또한 자성체(724)가 흔들릴 수 있는 범위는 하우징(721)에 의하여 제한을 받고 있다.
또한 자성체(724)를 지지하는 코일스프링(723)은, 원추형 코일스프링이 대칭으로 형성된 단지형 코일스프링(723)이므로 항상 자성체(724)가 수평방향으로 위치되도록 탄성지지한다.
물론 실시예에 따라서는 코일스프링(724)을 원추형 코일스프링으로 사용할 수도 있지만 이 경우 원추형 코일스프링을 자성체(724) 내지 하우징(721)에 고정결합시키는 것이 문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자성체(724), 구체적으로는 고무커버(726)가 완충판(122)과 만나게 되면, 비록 피스톤(720)이 수평방향의 완전한 직진도를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에도 자성체(724)가 단지형 코일스프링(240)에 의하여 완전한 수평상태를 유지하는 자세로 복원된다.
따라서 접촉 직전의 피스톤(720)의 자세에도 불구하고 자성체(724)와 완충판(122)은 완전한 수평상태를 이룬 상태에서 결합되며, 따라서 완벽한 자력 결합을 이룰 수 있다.
따라서 자성체(724)가 의도하지 않게 완충판(122)로부터 이탈될 위험이 없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피스톤(720)은 피동 도어(120)가 열릴 때 항상 최장 스트로크까지 튀어나오게 되며, 피동 도어(120)가 닫힐 때 충분한 완충력을 제공하면서 원래의 위치로 복원하므로, 구동 도어(110)의 급작스런 닫힘으로 인한 충격과 소음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 구동 도어
111 : 구동 도어용 수직 부재
120 : 피동 도어 121 : 피동 도어용 수직 부재
122 : 완충판
130 : 고정 도어 131 : 고정 도어용 수직 부재
200 : 도어 연동장치
210 : 연동체 본체 211 : 바닥체
211a : 피동 도어용 관통구 212 : 측부 안내체
220 : 풀리 230 : 견인용 벨트
240 : 구동 도어용 연결대 241 : 구동 도어용 관통구
250 : 고정 도어용 연결대 251 : 고정 도어용 관통구
300 : 가이드패널
310 : 구동 도어용 가이드레일 320 : 피동 도어용 가이드레일
321 : 연동장치용 가이드레일 330 : 고정 도어용 가이드레일
420, 430 : 측부 문틀 440 : 상부 문틀
600 : 당김력 인가수단 601 : 와이어
700 : 완충수단 710 : 실린더
720 : 피스톤 721 : 하우징
722 : 제1볼트 722a : 제1나사산
723 : 단지형 코일스프링 724 : 자성체
725 : 제2볼트 726 : 고무커버
120 : 피동 도어 121 : 피동 도어용 수직 부재
122 : 완충판
130 : 고정 도어 131 : 고정 도어용 수직 부재
200 : 도어 연동장치
210 : 연동체 본체 211 : 바닥체
211a : 피동 도어용 관통구 212 : 측부 안내체
220 : 풀리 230 : 견인용 벨트
240 : 구동 도어용 연결대 241 : 구동 도어용 관통구
250 : 고정 도어용 연결대 251 : 고정 도어용 관통구
300 : 가이드패널
310 : 구동 도어용 가이드레일 320 : 피동 도어용 가이드레일
321 : 연동장치용 가이드레일 330 : 고정 도어용 가이드레일
420, 430 : 측부 문틀 440 : 상부 문틀
600 : 당김력 인가수단 601 : 와이어
700 : 완충수단 710 : 실린더
720 : 피스톤 721 : 하우징
722 : 제1볼트 722a : 제1나사산
723 : 단지형 코일스프링 724 : 자성체
725 : 제2볼트 726 : 고무커버
Claims (5)
- 상부 문틀에 고정 설치되며, 연동장치용 가이드레일이 형성되는 가이드패널 ;
상기 연동장치용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마련되되 피동 도어용 관통구가 형성된 연동체 본체와, 상기 연동체 본체의 상면에 마련되는 한 쌍의 풀리와, 상기 한 쌍의 풀리에 장착되어 폐루프를 형성하는 견인용 벨트와, 상기 견인용 벨트의 일측에 고정마련되되 구동 도어용 관통구가 형성된 구동 도어용 연결대와, 상기 견인용 벨트의 타측에 고정마련되되 고정 도어용 관통구가 형성된 고정 도어용 연결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도어 연동장치 ;
상기 도어 연동장치의 직하부에 마련되며, 상부에 상기 피동 도어용 관통구를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피동 도어용 수직부재가 마련되는 피동 도어 ;
상기 피동 도어의 폭방향 일측에 배치되되 상부에 상기 구동 도어용 관통구를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구동 도어용 수직부재가 마련되는 구동 도어 ;
상기 피동 도어의 폭방향 타측에 배치되되 상부에 상기 고정 도어용 관통구를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고정 도어용 수직부재가 마련되는 고정 도어 ;
상기 가이드패널의 하부에 고정 마련되되, 상기 구동 도어가 닫히도록 상기 구동 도어에 당김력을 인가하기 위하여 스프링에 의하여 탄성지지되는 와이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와이어는 상기 구동 도어용 연결대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 도어를 간접적으로 당기도록 이루어지는 당김력 인가수단 ;
상기 피동 도어가 닫힐 때 상기 피동 도어에 완충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가이드패널의 하부에 마련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로부터 출몰하는 피스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실린더는 상기 피동 도어의 연장면상에 위치되는 완충수단 ;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연동형 도어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패널에는 적어도 피동 도어용 가이드레일 및 구동 도어용 가이드레일이 형성되며, 상기 연동장치용 가이드레일은 상기 피동 도어용 가이드레일의 일부를 이루며, 상기 피동 도어용 수직부재의 상단에는 오직 측면만이 상기 피동 도어용 가이드레일과 접촉되는 피동 도어용 롤러가 마련되며, 상기 구동 도어용 수직부재의 상단에는 오직 측면만이 상기 구동 도어용 가이드레일과 접촉되는 구동 도어용 롤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연동형 도어 시스템.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피동 도어 또는 상기 구동 도어는 상기 도어 연동장치로부터 수직방향의 부하없이 오직 수평방향 이동력만을 전달받을 뿐이며, 상기 피동 도어 또는 상기 구동 도어는 어떠한 구조적 변경도 없이 상기 도어 연동장치, 상기 가이드패널, 및 상기 당김력 인가수단으로부터의 분리될 수 있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연동형 도어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동 도어의 상부에 금속재의 완충판이 마련되며, 일단이 상기 피스톤의 선단에 고정되며 타단이 상기 완충판을 향하도록 배치된 코일스프링이 마련되며, 상기 완충판과의 자력 결합을 위하여 상기 코일스프링의 타단에 고정되는 자성체가 마련되며, 상기 자성체의 상기 완충판을 향한 면에 고무커버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연동형 도어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당김력 인가수단 및 상기 완충수단은 상기 상부 문틀의 내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연동형 도어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93346A KR101659845B1 (ko) | 2014-07-23 | 2014-07-23 | 반자동 연동형 도어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93346A KR101659845B1 (ko) | 2014-07-23 | 2014-07-23 | 반자동 연동형 도어 시스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13535A true KR20160013535A (ko) | 2016-02-05 |
KR101659845B1 KR101659845B1 (ko) | 2016-09-26 |
Family
ID=55353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93346A KR101659845B1 (ko) | 2014-07-23 | 2014-07-23 | 반자동 연동형 도어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59845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120943A (ko) * | 2018-02-13 | 2020-10-22 | 테르노 스코레볼리 에스.피.에이. 유니페르소날레 | 문과 옷장 문을 슬라이딩으로 움직이기 위한 장치 |
KR20220142020A (ko) * | 2021-04-14 | 2022-10-21 | 황정연 | 도어용 반자동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86944Y1 (ko) * | 2016-10-21 | 2018-07-16 | 김용갑 | 현장시공이 용이하도록 연결대가 장착된 댐퍼장착용 도어 프레임 |
KR20230119982A (ko) | 2022-02-08 | 2023-08-16 | 김양호 | 반자동 행거식 3연동도어 |
KR102487797B1 (ko) | 2022-08-10 | 2023-01-11 | 유은미 | 문폭을 최소화한 4중 연동도어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24592B1 (ko) * | 2004-05-27 | 2007-06-04 | 가부시키가이샤 무라코시 세이코 | 개폐체 연동장치 |
KR100724597B1 (ko) | 2005-11-04 | 2007-06-04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간질환 진단용 면역스트립 판독기 |
KR200439141Y1 (ko) | 2007-04-06 | 2008-03-21 | 안중식 | 3중 슬라이딩도어의 연동장치 |
KR100880272B1 (ko) | 2008-04-15 | 2009-01-30 | (주)지온네트웍스 | 슬라이딩 도어의 연동장치 |
KR101174852B1 (ko) | 2009-11-12 | 2012-08-17 | 송진화 | 미닫이 도어 조립체 |
KR101195057B1 (ko) | 2011-03-28 | 2012-10-29 | 코르텍 주식회사 | 반자동 및 연동형 3중 미닫이 도어 조립체 |
KR101347213B1 (ko) * | 2012-06-25 | 2014-01-03 | 안재옥 | 3중 연동 도어의 연동장치 |
-
2014
- 2014-07-23 KR KR1020140093346A patent/KR10165984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24592B1 (ko) * | 2004-05-27 | 2007-06-04 | 가부시키가이샤 무라코시 세이코 | 개폐체 연동장치 |
KR100724597B1 (ko) | 2005-11-04 | 2007-06-04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간질환 진단용 면역스트립 판독기 |
KR200439141Y1 (ko) | 2007-04-06 | 2008-03-21 | 안중식 | 3중 슬라이딩도어의 연동장치 |
KR100880272B1 (ko) | 2008-04-15 | 2009-01-30 | (주)지온네트웍스 | 슬라이딩 도어의 연동장치 |
KR101174852B1 (ko) | 2009-11-12 | 2012-08-17 | 송진화 | 미닫이 도어 조립체 |
KR101195057B1 (ko) | 2011-03-28 | 2012-10-29 | 코르텍 주식회사 | 반자동 및 연동형 3중 미닫이 도어 조립체 |
KR101347213B1 (ko) * | 2012-06-25 | 2014-01-03 | 안재옥 | 3중 연동 도어의 연동장치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120943A (ko) * | 2018-02-13 | 2020-10-22 | 테르노 스코레볼리 에스.피.에이. 유니페르소날레 | 문과 옷장 문을 슬라이딩으로 움직이기 위한 장치 |
KR20220142020A (ko) * | 2021-04-14 | 2022-10-21 | 황정연 | 도어용 반자동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59845B1 (ko) | 2016-09-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59845B1 (ko) | 반자동 연동형 도어 시스템 | |
CN100413434C (zh) | 用于抽屉的牵引装置 | |
KR101452688B1 (ko) | 가구용 아웃도어 댐퍼 | |
US20090096339A1 (en) | Attenuating and retraction device | |
EP3224441B1 (en) | A damping or return device for sliding door leaves or for drawers | |
KR101430754B1 (ko) | 미닫이문의 속도조절댐퍼 | |
EP2333218B1 (de) | Einrichtung zum Dämpfen der Relativbewegung bewegter Vorrichtungsteile, insbesondere von Schiebetüren | |
DE202005006945U1 (de) | Öffnungs- und Schließsystem, insbesondere für Möbelteile | |
DE102013114309A1 (de) | Einzugs- und Dämpfungseinheit für ein Schiebeelement | |
KR101704356B1 (ko) | 3중(三重) 미닫이도어의 슬라이드 이동장치 | |
KR101671893B1 (ko) | 2중 슬라이드 도어의 상부롤러 연동장치 | |
KR101746737B1 (ko) | 가구용 아웃도어 댐퍼 | |
CN102985720A (zh) | 缓冲装置 | |
EP2365168B1 (de) | Beschlag zum Bremsen der Relativbewegung bewegter Vorrichtungsteile, insbesondere von Schiebetüren | |
KR101642410B1 (ko) | 미는 힘이 덜 드는 속도조절용 다중 슬라이드 도어 | |
KR101570469B1 (ko) | 연동형 자동 도어 시스템 | |
KR20100008206A (ko) | 슬라이딩 개폐식 강화안전유리도어 | |
KR101447728B1 (ko) | 미닫이문의 개폐방법 | |
KR20170039546A (ko) | 릴레이식 속도조절용 댐퍼 | |
KR101086886B1 (ko) | 반자동 슬라이딩 도어 | |
CN203796051U (zh) | 一种新型趟门阻尼器 | |
DE202004018970U1 (de) | Auszug, insbesondere Schwerlastauszug mit mindestens einem Schiebelement | |
KR102083058B1 (ko) | 리프트 슬라이딩 창호용 안전감속장치 | |
KR20110011771A (ko) | 롤권취 도어 | |
CN210319900U (zh) | 灯板磁吸式拆装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