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5057B1 - 반자동 및 연동형 3중 미닫이 도어 조립체 - Google Patents
반자동 및 연동형 3중 미닫이 도어 조립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95057B1 KR101195057B1 KR1020110027577A KR20110027577A KR101195057B1 KR 101195057 B1 KR101195057 B1 KR 101195057B1 KR 1020110027577 A KR1020110027577 A KR 1020110027577A KR 20110027577 A KR20110027577 A KR 20110027577A KR 101195057 B1 KR101195057 B1 KR 10119505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or
- fixing plate
- piston
- guide
- fixed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7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7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3139 buffer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6096 absorb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696 magne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900 installat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36—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door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6—Magnet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6—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1—Cooperation between 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 E05Y2201/612—Cooperation between 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between carriers and rails
- E05Y2201/614—Anti-derailing mea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58—Members cooperating with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68—Pulleys; Wheel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동형 3중 미닫이 도어 조립체에 반자동으로 닫히는 메커니즘을 도입한 것으로, 극히 간단한 조립과정에 의하여 시공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며, 당김력 인가수단은 제1도어에 당김력을 인가하는 한편, 완충수단은 제2도어에 완충력을 제공하도록 하여 제1도어가 적정한 속도로 닫히면서도 제2도어를 매개로 제1도어에 충분한 완충력을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서로 연동되게 마련되는 연동형 3중 미닫이 도어, 구체적으로는 가구의 전면 패널 또는 출입문이나 이동식 칸막이벽 등을 3중으로 중첩되게 하여 미닫이 방식으로 여닫을 수 있으며 각각의 도어가 서로 연동되는 연동형 3중 미닫이 도어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반자동으로 도어가 닫히는 반자동 연동형 3중 미닫이 도어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에 의하여 제1도어가 열린 후 당김력 인가수단에 의하여 제1도어가 자동으로 닫히며, 아울러 제1도어가 닫힐 때 연동하여 닫히는 제2도어를 완충수단에 의하여 제2도어 및 이에 연동하는 제1도어의 부드러운 닫힘을 유도하는 반자동 연동형 3중 미닫이 도어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다수의 도어를 설치할 때 어느 하나의 도어를 개폐함으로써 다른 도어도 목적하는 방향으로 개폐되게끔 하는 연동형 3중 슬라이딩 도어가 등장하였다.
이와 관련된 종래의 기술로서, 국내 특허등록 제10-0724597호 "개폐체 연동장치",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20-0439141호 "3중 슬라이딩 도어의 연동장치', 국내 특허등록 제10-0880272호 "슬라이딩 도어의 연동장치" 등이 제안된 바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들은 본 명세서에 일체화된 것으로 본다.
종래 기술인 국내 특허등록 제10-0724597호는 개폐체 연동장치가 상부 레일을 따라 설치되는 형태이며, 상기 개폐체 연동장치에 도어가 설치되는 형태이다. 따라서 이러한 방식은 도어의 설치시 개폐체 연동장치를 먼저 상부 레일에 설치한 후 도어를 설치하여야 하므로 그 설치 작업이 어렵다.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20-0439141호는 3중으로 중첩된 도어를 간단한 구조에 의하여 제작할 수 있는 3중 슬라이딩 도어의 연동장치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국내 특허등록 제10-0880272호는 와이어 대신에 기어부가 형성된 견인벨트를 사용하는 연동장치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연동형 3중 슬라이딩 도어의 다양한 제안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개발된 연동형 3중 슬라이딩 도어는 매우 복잡한 구조를 가지며 그 복잡한 구조로 인하여 설치 작업이 용이하지 않다.
한편 본 발명자는 국내 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12872호 "연동형 3중 슬라이딩 도어"를 제안한 바 있으며, 상기 종래 기술들은 본 명세서에 일체화된 것으로 본다.
한편 반자동 미닫이 도어 시스템은, 도어가 사용자에 의하여 강제로 열린 후 도어의 닫힘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미닫이 도어 시스템이다.
이러한 반자동 미닫이 도어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하여는 도어의 상부가 메인 브라켓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어야 하며, 아울러 스프링에 의하여 탄성지지되는 와이어와 같은 당김력 인가수단이 도어에 연결되어 도어가 열린 후 별도의 외력을 가하지 않는다면 당김력 인가수단에 의하여 도어가 자동으로 닫히게 된다.
즉 당김력 인가수단은 도어에 당김력을 지속적으로 인가하게 된다.
아울러 이와 같이 당김력 인가수단에 의하여 도어가 닫히게 되면 도어의 닫히는 속도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도어가 닫히는 순간에는 큰 충격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완충수단이 마련된다.
완충수단은 통상 실린더와 실린더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출몰하는 피스톤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도어가 닫히기 전에 도어에 완충력을 제공하여 도어의 부드러운 닫힘을 유도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반자동 도어 시스템에 관한 종래의 기술로서 국내 등록특허 제10-0547982호 "무전원 자동 미닫이"가 개시된 바 있으며, 상기 종래 기술은 본 명세서에 일체화된 것으로 본다.
이와 같은 반자동 미닫이 도어 시스템의 문제점을 설명한다.
반자동 미닫이 도어 시스템에 있어서, 실린더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출몰하는 피스톤은, 실린더로부터 매우 많이 튀어나왔을 때, 즉 최대 스트로크까지 튀어나왔을 때에는 그 자중으로 인하여 수평방향의 직진도가 정확하게 유지되기는 어렵다.
또한 반자동 미닫이 도어 시스템에 있어서, 피스톤의 단부가 부분적으로 도어와 함께 이동하며, 부분적으로는 도어의 이동과는 독립되어 정지된 상태를 유지한다.
즉, 완충수단의 피스톤은 도어가 닫히기 직전에 도어에 완충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충분하며, 도어가 닫히는 전체 과정에서 도어에 완충력을 제공하는 것은 도어의 닫힘 속도를 느리게 한다는 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통상 피스톤의 스트로크는 도어의 이동 가능 범위의 약 1/2 정도에 불과하다.
따라서 도어가 최초에 열리기 시작할 때는 도어와 함께 피스톤이 실린더로부터 튀어나오지만, 피스톤이 최장 스트로크까지 튀어나오면 피스톤과 도어는 서로 분리되어 피스톤은 그 위치를 유지하고 도어만 열리게 된다.
이후 도어가 당김력 인가수단에 의하여 자동으로 닫히게 될 때 도어의 상부에 마련된 삽입하우징이 피스톤의 선단과 만나게 되면 도어는 피스톤을 끌고 들어가면서 최초의 닫힌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이후 다시 도어가 열리게 되면 도어가 열리면서 다시 피스톤을 끌어내게 된다.
이때 도어의 상부에 마련된 삽입하우징과 피스톤의 선단은 통상 자력결합에 의하여 그 결합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그 자력결합이 약하다면 피스톤이 그 최장 스트로크까지 튀어나오기 전에 피스톤과 도어가 분리될 수 있다. 만일 피스톤이 최장 스크로크까지 튀어나오지 않는다면, 나중에 도어가 닫힐 때 완충수단으로서의 피스톤이 도어에 제공하는 완충력은 극히 작아지기 때문에 도어의 자연스러운 닫힘이 어렵게 된다.
경우에 따라 도어가 열리기 시작하는 상태에서 도어가 피스톤으로부터 분리된다면, 추후 도어가 닫힐 때 완충수단인 피스톤이 도어에 제공하는 완충력은 거의 없게 되며, 따라서 도어는 큰 충격을 받으면서 닫히게 된다.
종래의 반자동 미닫이 도어 시스템에서는 피스톤의 단부와 자력결합되기 위하여 도어에 마련된 삽입하우징은 도어의 고정된 위치에 고정 마련된다.
따라서 피스톤이 그 수평방향의 직진도를 유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삽입하우징과 만나게 되면 피스톤은 삽입하우징의 자성체와 불완전한 자력결합을 한 상태에서 실린더로 끌려들어가며, 추후 도어가 피스톤을 끌어 당길 때 불완전한 자력결합으로 인하여 도어의 삽입하우징이 쉽게 피스톤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즉 도어를 개방하자마자 삽입하우징이 피스톤으로부터 이탈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을 참조하여 본 발명은 연동형 3중 미닫이 도어 조립체에 반자동으로 닫히는 메커니즘을 도입하려고 한다.
아울러 본 도어 조립체는 극히 간단한 조립과정에 의하여 시공이 가능한 구조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도어 조립체는 문틀에 대한 특별한 변형 없이 반자동 연동형을 구축할 수 있는 도어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도어 조립체는, 당김력 인가수단은 제1도어에 당김력을 인가하는 한편, 완충수단은 제2도어에 완충력을 제공하도록 하여 제1도어가 적정한 속도로 닫히면서도 제2도어를 매개로 제1도어에 충분한 완충력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도어 조립체는, 제2도어의 상부에 마련되는 삽입하우징과 피스톤의 단부가 불완전한 상태로 결합되는 것을 방지하여, 피스톤이 최장 스트로크까지 안정적으로 튀어나올 수 있도록 하여, 완충장치가 안정적으로 제2도어를 완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부에 3열의 하부 가이드부가 형성된 하부 문틀, 상기 하부 문틀의 양측에 각각 마련되는 한 쌍의 측부 문틀, 상기 한 쌍의 측부 문틀의 상부를 가로지며 마련되며 하부에 3열의 상부 가이드부가 형성된 상부 문틀로 이루어지는 격자 형태의 문틀과 ; 상기 상부 가이드부 및 상기 하부 가이드부를 따라 그 이동이 안내되되 하부에 상기 하부 가이드부를 따라 회전이동되는 하부롤러가 각각 마련되며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도어, 제2도어, 제3도어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2도어는 상기 제1도어와 상기 제3도어 사이에 배치되는 3중 미닫이 도어 조립체에 있어서 : 상기 제1도어의 상부 일측에 마련되는 제1-1고정판 ; 상기 제1도어의 상부 타측에 마련되며 상기 제2도어를 향하여 개구된 제1-2개구부가 형성된 제1-2연결판이 마련된 제1-2고정판 ; 상기 제2도어의 상부 일측에 마련되는 제2-1고정판 ; 상기 제2도어의 상부 타측에 마련되는 제2-2고정판 ; 상기 제3도어의 상부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제2도어를 향하여 개구된 제3-1개구부가 형성된 제3-1연결판이 마련된 제3-1고정판 ; 상기 제3도어의 상부 타측에 마련되는 제3-2고정판 ; 하부가 상기 제1-1고정판에 고정되며 상부에 상기 하부 가이드부를 따라 안내되는 제1-1안내롤러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제1-1롤러지지부 ; 하부가 상기 제1-2고정판에 고정되며 상부에 상기 하부 가이드부를 따라 안내되는 제1-2안내롤러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제1-2롤러지지부 ; 하부가 상기 제2-1고정판에 고정되며 상부에 상기 하부 가이드부를 따라 안내되는 제2-1안내롤러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중간부에 제2-1풀리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제2-1풀리지지부 ; 하부가 상기 제2-2고정판에 고정되며 상부에 상기 하부 가이드부를 따라 안내되는 제2-2안내롤러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중간부에 제2-2풀리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제2-2풀리지지부 ; 하부가 상기 제3-1고정판에 고정되며 상부에 상기 하부 가이드부를 따라 안내되는 제3-1안내롤러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제3-1롤러지지부 ; 하부가 상기 제3-2고정판에 고정되며 상부에 상기 하부 가이드부를 따라 안내되는 제3-2안내롤러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제3-2롤러지지부 ; 상기 제2-1풀리 및 상기 제2-2풀리에 장착되어 폐루프를 형성하는 견인와이어 ;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제1-2연결판의 상기 제1-2개구부에 삽입 장착되는 제1장착부와 상기 제1장착부의 양측에 연장 형성되되 상기 제1장착부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제1이탈방지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이탈방지부 및 상기 제1장착부의 중앙을 따라 상기 견인와이어가 관통되는 제1와이어 관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제1도어측의 견인와이어에 고정 마련되는 제1연결판 장착구 ;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제3-1연결판의 상기 제3-1개구부에 삽입 장착되는 제3장착부와 상기 제3장착부의 양측에 연장 형성되되 상기 제3장착부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제3이탈방지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3이탈방지부 및 상기 제3장착부의 중앙을 따라 상기 견인와이어가 관통되는 제3와이어 관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제3도어측의 견인와이어에 고정 마련되는 제3연결판 장착구 ; 상기 상부 문틀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1도어가 닫히도록 상기 제1도어에 당김력을 인가하는 당김력 인가수단 ; 상기 제2도어가 닫힐 때 상기 제2도어에 완충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상부 문틀의 하부에 마련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로부터 출몰하는 피스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실린더는 상기 제2도어의 연장면상에 위치되는 완충수단 ;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제2-2고정판에 마련되는 고정부재 ;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일단이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되며 타단이 상기 피스톤의 단부를 향하도록 배치된 코일스프링 ; 일측에 상기 피스톤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깔때기 형상으로 된 삽입부가 형성되며, 타측이 상기 코일스프링의 타단에 고정되는 고무 재질의 삽입하우징 ; 상기 피스톤의 단부와 자력결합이 되도록 상기 삽입하우징에 마련되는 자성체 ;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코일스프링은 그 길이방향 중앙이 볼록한 형태를 가진 단지형 코일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연동형 3중 미닫이 도어 조립체에 반자동으로 닫히는 메커니즘을 도입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도어 조립체는 극히 간단한 조립과정에 의하여 시공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도어 조립체는 문틀에 대한 특별한 변형 없이 반자동 연동형을 구축할 수 있다.
또한 본 도어 조립체는, 당김력 인가수단은 제1도어에 당김력을 인가하는 한편, 완충수단은 제2도어에 완충력을 제공하도록 하여 제1도어가 적정한 속도로 닫히면서도 제2도어를 매개로 제1도어에 충분한 완충력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도어 조립체는, 제2도어의 상부에 마련되는 삽입하우징과 피스톤의 단부가 불완전한 상태로 결합되는 것을 방지하여, 피스톤이 최장 스트로크까지 안정적으로 튀어나올 수 있도록 하여, 완충장치가 안정적으로 제2도어를 완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도어 조립체의 상부 부위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제1도어의 상부 부위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제2도어의 상부 부위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제3도어의 상부 부위 사시도,
도 5는 도어들이 상부 문틀에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제2도어에 고정되는 고정부재 관련 부위의 정면도,
도 7은 도 6의 사시도,
도 8은 도 6의 A-A 기준 단면도,
도 9는 도 6의 분해 사시도,
도 10은 제1-2고정판의 구조를 보이는 사시도,
도 11은 견인와이어와 연결판 장착구가 결합된 상태를 보이는 단면도,
도 12는 피스톤이 삽입하우징에 삽입되기 직전의 개념 단면도,
도 13은 도 12 이후 피스톤이 삽입하우징에 삽입 및 자력결합된 상태의 개념 단면도,
도 14는 도 1의 상태에서 주요 부품의 배치 관계를 보이는 평면도,
도 15는 도 1에서 도어들이 열린 상태의 주요 부품의 배치 관계를 보이는 평면도.
도 2는 도 1의 제1도어의 상부 부위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제2도어의 상부 부위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제3도어의 상부 부위 사시도,
도 5는 도어들이 상부 문틀에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제2도어에 고정되는 고정부재 관련 부위의 정면도,
도 7은 도 6의 사시도,
도 8은 도 6의 A-A 기준 단면도,
도 9는 도 6의 분해 사시도,
도 10은 제1-2고정판의 구조를 보이는 사시도,
도 11은 견인와이어와 연결판 장착구가 결합된 상태를 보이는 단면도,
도 12는 피스톤이 삽입하우징에 삽입되기 직전의 개념 단면도,
도 13은 도 12 이후 피스톤이 삽입하우징에 삽입 및 자력결합된 상태의 개념 단면도,
도 14는 도 1의 상태에서 주요 부품의 배치 관계를 보이는 평면도,
도 15는 도 1에서 도어들이 열린 상태의 주요 부품의 배치 관계를 보이는 평면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도어 조립체의 상부 부위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제1도어의 상부 부위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제2도어의 상부 부위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제3도어의 상부 부위 사시도, 도 5는 도어들이 상부 문틀에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제2도어에 고정되는 고정부재 관련 부위의 정면도, 도 7은 도 6의 사시도, 도 8은 도 6의 A-A 기준 단면도, 도 9는 도 6의 분해 사시도, 도 10은 제1-2고정판의 구조를 보이는 사시도, 도 11은 견인와이어와 연결판 장착구가 결합된 상태를 보이는 단면도, 도 12는 피스톤이 삽입하우징에 삽입되기 직전의 개념 단면도, 도 13은 도 12 이후 피스톤이 삽입하우징에 삽입 및 자력결합된 상태의 개념 단면도, 도 14는 도 1의 상태에서 주요 부품의 배치 관계를 보이는 평면도, 도 15는 도 1에서 도어들이 열린 상태의 주요 부품의 배치 관계를 보이는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크게 3개의 도어, 구체적으로는 제1도어(100), 제2도어(200), 제3도어(300)와, 문틀(400)로 이루어진다.
문틀(400)은 하부 문틀(미도시)과, 한 쌍의 측부 문틀(420, 430)과, 상부 문틀(440)로 이루어진다.
하부 문틀(미도시)의 양측에 측부 문틀(420, 430)이 각각 마련되며, 측부 문틀(420, 430)의 상부를 가로지르면서 상부 문틀(440)이 마련되어 전체적으로 문틀(400)은 격자 형태를 가진다.
하부 문틀(미도시)의 상부에는 3열의 하부 가이드부(미도시)가 형성되며, 상부 문틀(440)의 하부에는 3열의 상부 가이드부(441)가 형성되어 있다.
격자 형태의 문틀(400) 내부에 제1도어(100), 제2도어(200), 제3도어(300)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각각의 도어(100, 200, 300)들은 상부 가이드부(441) 및 하부 가이드부(미도시)를 따라 그 이동이 안내된다.
아울러 제1도어(100), 제2도어(200), 제3도어(300)는 하부 각각에 하부롤러(미도시)가 마련되어 하부 가이드부(미도시)를 따라 회전이동한다. 이와 같은 하부롤러의 구조는 슬라이딩 도어에서는 일반적인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각각의 도어(100, 200, 300)들이 상부 문틀(440)에 걸려서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하부 문틀(미도시)에 지지되어 이동하며, 상부 문틀(440)은 단지 그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할 뿐이라는 점을 유념바란다.
아울러 제1도어(100), 제2도어(200), 제3도어(300)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며, 제1도어(100)와 제3도어(300)의 중간에 제2도어(200)가 배치된다.
각각의 도어(100, 200, 300)의 상부 양측에 고정판(110, 120, 210, 220, 310, 320)들이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각 고정판(110, 120, 210, 220, 310, 320)은 도어(100, 200, 300)에 나사 조립되나, 이는 도면에 생략하여 도시하였다.
제1도어(100)에는 제1-1고정판(110)과 제1-2고정판(120)이, 제2도어(200)에는 제2-1고정판(210)과 제2-2고정판(220)이, 제3도어(300)에는 제3-1고정판(310)과 제3-2고정판(320)이 마련된다.
제1-1고정판(110), 제1-2고정판(120), 제3-1고정판(310), 제3-2고정판(320)에는 각각 제1-1롤러지지부(111), 제1-2롤러지지부(121), 제3-1롤러지지부(311), 제3-2롤러지지부(321)가 마련된다.
제1-1롤러지지부(111), 제1-2롤러지지부(121), 제3-1롤러지지부(311), 제3-2롤러지지부(321)의 하부는 제1-1고정판(110), 제1-2고정판(120), 제3-1고정판(310), 제3-2고정판(320)에 각각 고정된다. 그 고정방법은 통상 나사결합이 이용될 수 있다.
각각의 롤러지지부(111, 121, 131, 132)에는 그 상부에 제1-1안내롤러(112), 제1-2안내롤러(122), 제3-1안내롤러(312), 제3-2안내롤러(322)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제1-1안내롤러(112), 제1-2안내롤러(122), 제3-1안내롤러(312), 제3-2안내롤러(322)는 상부 문틀(440)에 형성된 홈 형태의 상부 가이드부(441)를 따라 안내된다. 물론 제1-1안내롤러(112) 및 제1-2안내롤러(122)는 제1도어(100)를 위하여 형성된 상부 가이드부(441)를 따라 안내되며, 제3-1안내롤러(312) 및 제3-2안내롤러(322)는 제3도어(300)를 위하여 형성된 상부 가이드부(441)를 따라 안내된다.
제2-1고정판(210), 제2-2고정판(220)에는 각각 제2-1풀리지지부(211), 제2-2롤러지지부(221)가 마련된다.
제2-1풀리지지부(211), 제2-2롤러지지부(221)의 하부는 제2-1고정판(210), 제2-2고정판(220)에 각각 고정된다. 그 고정방법은 통상 나사결합이 이용될 수 있다.
각각의 풀리지지부(211, 221)에는 그 상부에 제2-1안내롤러(212), 제2-2안내롤러(222)가 각각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아울러 그 중간부에 제2-1풀리(213),제2-2풀리(223)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제2-1안내롤러(212), 제2-2안내롤러(222)는 상부 문틀(440)에 형성된 홈 형태의 상부 가이드부(441), 구체적으로는 제2도어(200)를 위하여 형성된 상부 가이드부(441)를 따라 안내된다. 상기에서 안내롤러 내지 풀리는 롤러지지부 내지 풀리지지부에 베어링 등을 매개로 장착되어 원활한 회전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에서 안내롤러들(112, 122, 212, 222, 312, 322)는 서로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2개의 풀리(213, 223)가 제2도어(200)의 상부에 장착되면, 폐루프를 구성하는 견인와이어(510)가 2개의 풀리(213, 223)에 장착된다.
즉 견인와이어(510)는 2개의 풀리(213, 223)의 회전에 따라 연동하여 이동한다.
상기와 같은 견인와이어(510)에 연결판 장착구(520, 530)가 2개 마련된다.
연결판 장착구는 제1도어측의 견인와이어(510)에 고정 마련되는 제1연결판 장차국(520)와, 제3도어측의 견인와이어(510)에 고정 마련되는 제3연결판 장착구(530)로 구분된다. 그러나 연결판 장착구(520, 530)의 형태는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제1연결판 장착구(520)를 기준으로 그 구조를 설명한다.
제1연결판 장착구(520)는 중앙의 제1장착부(521)와 제1장착부(521)의 양측에 연장 형성되되 제1장착부(521)보다 큰 직경을 가진 제1이탈방지부(522)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제1연결판 장착구(520)의 제1이탈방지부(522) 및 제1장착부(521)의 중앙을 따라 견인와이어(510)가 관통하도록 제1와이어 관통로(523)가 형성된다.
아울러 제1연결판 장착구(520)에는 제1연결판 장착구(520)를 견인와이어(510)에 고정시키기 위한 관 형태의 제1고정구(524)가 마련된다.
제1고정구(524)가 먼저 제1연결판 장착구(520)의 제1와이어 관통로(523)에 강제삽입되어 고정된 후 견인와이어(510)를 제1고정구(524)의 중공을 통하여 통과시킨 후 외부의 힘에 의하여 제1고정구(524)를 압착시키면 견인와이어(510)에 고정된다.
제3연결판 장착구(530) 또한 제1연결판 장착구(510)와 마찬가지로 제3장착부, 제3이탈방지부, 제3와이어 관통로, 제3고정구를 가지게 된다.
아울러 제1-2고정판(120)의 일부가 수직으로 절곡되어 제1-2연결판(123)이 마련되며, 제1-2연결판(123)에는 제2도어(200)를 향하여 개구된 제1-2개구부(123a)가 형성되어 있다.
제1-2개구부(123a)는 제1장착부(521)가 삽입 장착되기 위한 구조로 형성되며, 제1-2개구부(123a)는 제2도어(200)를 향하여 개구되어 있다.
따라서 제1-2연결판(123)의 제1-2개구부(123a)로 제1연결판 장착구(520)의 제1장착부(521)가 삽입되면, 제1-2연결판(123)은 제1연결판 장착구(520)의 제1이탈방지부(522)로 인하여 제1연결판 장착구(800)와 함께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제1-2연결판(123)과 제1연결판 장착구(520)간의 관계에 대한 설명은, 제3-1고정판(310)에 마련되며 제3-1개구부(313a)가 형성된 제3-1연결판(313)과 제3연결판 장착구(530)간의 관계에도 그대로 적용된다.
이하에서는 당김력 인가수단(600)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당김력 인가수단(600)은 상부 문틀(440)의 하부, 구체적으로는 측부 문틀(420)측에 마련된다.
당김력 인가수단(600)은 종래의 기술과 같이 스프링에 의하여 탄성지지되는 와이어(60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와이어(601)는 제1도어(100)의 상부, 구체적으로는 제1-1롤러지지부(111)에 연결된다.
당김력 인가수단(600)에 대한 구체적 설명은 앞서 언급한 종래의 기술로 대체한다.
당김력 인가수단(600)은 제1도어(100)에 항상 당김력을 인가하게 되며, 제1도어(100)가 열린 후 별도의 외력을 가하지 않는다면 제1도어(100)는 당김력 인가수단(600)에 의하여 자동으로 닫히게 된다.
한편 당김력 인가수단(600)은 제1도어(100)와 상부 문틀(440) 사이의 높이에 배치되며, 아울러 와이어(601)는 제1도어(100)의 상부를 따라 연장된다. 이러한 당김력 인가수단(600)이 제1-1롤러지지부(111)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1고정판(110)은 제1도어(100)의 최외측 가장자리가 아니라 다소 중앙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에 반하여 다른 고정판(120, 210, 220, 310, 320)은 도어(100, 200, 300)의 최외측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도어(100, 200, 300)의 흔들림을 방지하고 있음에 유념바란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서 완충수단(700) 또한 상부 문틀(440)의 하부에 고정 마련된다.
완충수단(700)은 종래의 기술과 같이 실린더(710)와 실린더(710)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출몰하는 피스톤(7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완충수단(700)에 대한 구체적 설명은 앞서 언급한 종래의 기술로 대체한다.
다만 본 완충수단(700)은 제1도어(100)의 닫힘을 직접적으로 완충하지 않고, 제2도어(200)가 닫히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제2도어(200)에 완충력을 제공하여 간접적으로 제1도어(100)의 닫힘을 완충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실린더(710)는 제2도어(200)의 연장면상에 위치되면서 상부 문틀(440)의 하부에 고정된다.
한편, 피스톤(720)의 단부는 깔때기 형태를 가진다.
제2도어(200)의 상부에 고정부재(230)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부재(230)는 제2-1고정판(210)에 마련된다. 고정부재(230)와 제2-1고정판(210)을 결합하기 위한 볼트 등의 부재는 생략 도시하였다. 고정부재(230)는 물론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지만, 고정부재(230)는 제2도어(200)의 측부 문틀(420)측 가장 외측 가장자리에 배치되어야 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제2-1고정판(210)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부재(230)는 제2도어(200)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제2도어(200)와 연동하여 이동하게 된다.
고정부재(230)에 제1볼트(231)가 수평방향으로 고정된다.
제1볼트(231)에는 제1나사산(231a)이 형성되어 있다.
제1나사산(231a)에 단지형 코일스프링(240)의 일단이 제1나사산(231a)을 따라 감겨 있으며, 이에 의하여 단지형 코일스프링(240)이 제1볼트(231)를 매개하여 고정부재(230)에 고정된다.
단지형 코일스프링(240)은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단지형 코일스프링(240)은 원추형 코일스프링이 대칭으로 마련된 형태로서 그 길이방향 중앙이 볼록한 형태를 가지게 된다.
코일스프링(240)의 타단에 삽입하우징(250)이 마련된다.
삽입하우징(250)은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며, 일측이 코일스프링(240)에 고정되는 한편, 타측에는 깔때기 형상의 삽입부(251)가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삽입하우징(250)의 일측에는 자성체(260)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자성체(260)를 관통하면서 제2볼트(270)가 마련되며, 제2볼트(270)는 제1볼트(231)를 향하여 수평방향으로 배치된다.
아울러 제2볼트(270)에는 제2나사산(271)이 형성되어 있으며, 코일스프링(240)의 타단은 제2나사산(271)을 따라 감겨 제2볼트(270)에 고정된다.
한편, 삽입하우징(250)은 전체적인 형태가 원통 형태를 이루므로, 그 외주면은 원통형 형태인 원통형 외주면(252)을 이루게 된다.
아울러 고정부재(230)에 안내용 하우징(280)이 고정 마련된다.
안내용 하우징(280)은 그 일측이 고정부재(230)에 고정되는 한편, 그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하우징(250)을 감싸는 형태로 배치된다.
안내용 하우징(280)은 그 중앙에 원통형 내주면(281)이 형성되며, 원통형 내주면(281)은 삽입하우징(250)의 원통형 외주면(252)과 이격되어 있다.
안내용 하우징(280)은 고무 재질이다.
이와 같은 구조의 3중 도어의 설치 과정을 설명한다.
각 고정판(110, 120, 210, 220, 310, 320)들 및 그 부속품을 제작한 후 이를 조립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어들(100, 200, 300)의 상부에 각각의 고정판들을 장착한다.
아울러 제2도어(200)의 풀리(213, 223)를 따라 견인와이어(510)가 장착되며, 이때 견인와이어(510)에는 연결판 장착구(520, 530)까지 조립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문틀에 각각의 도어들(100, 200, 300)을 조립시키며, 이때 상부 문틀(440)의 상부 가이드부(441)에 도어들(100, 200, 300)의 안내 롤러들이 삽입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 제1-2연결판(123) 및 제3-1연결판(313)을 제1,3연결판 장착구(520, 530)에 장착시킨다. 이 장착 과정은 각각의 연결판(123, 313)의 개구부(123a, 313a)로 연결판 장착구(520, 530)의 장착부가 삽입 위치되는 것으로 충분하다.
이때 각 개구부는 깔때기 형태를 가지고 있으므로 장착부의 삽입 장착이 매우 용이하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하여 3중 도어의 설치가 매우 간단히 완료된다.
아울러 도어의 장착전 또는 장착후에 당김력 인가수단(600)과 완충수단(700)의 상부 문틀(440)에 장착한다.
이후 본 3중 도어를 해체하는 과정은 제1-2,3-1연결판(123, 313)을 연결판 장착구로부터 삽입 해제시킨 후 각각의 도어들(100, 200, 300)을 문틀(400)로부터 분리시키는 것으로도 충분하다. 상기와 같이 본 3중 도어는 매우 간단한 구조에 의하여 조립될 뿐만 아니라 3중 도어의 설치 및 해체가 매우 용이하다.
본 실시예의 작동을 설명한다.
제1도어(100)가 최초에 열리기 시작할 때 제1도어(100)와 연동하여 제2도어(200)도 열리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이때 제2도어(200)와 함께 피스톤(720)이 실린더(710)로부터 튀어나오지만, 피스톤(720)이 최장 스트로크까지 튀어나오면 피스톤(720)과 제2도어(200)는 서로 분리되어 피스톤(720)은 그 위치를 유지하고 제2도어(200)만 열리게 된다.
이후 제1도어(100)가 당김력 인가수단(600)에 의하여 자동으로 닫히게 될 때 제2도어(200)도 제1도어(100)와 연동하여 함께 닫히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이때 제2도어(200)의 상부에 마련된 삽입하우징(250)이 피스톤(720)의 선단과 만나게 되면 제2도어(200)는 피스톤(720)을 끌고 들어가면서 제1도어(100)가 완전히 닫힐 때까지 이동한다.
이후 다시 제1도어(100)가 열리게 되면 제2도어(200)가 함께 열리면서 다시 피스톤(720)을 끌어내게 된다.
이때 제2도어(200)의 상부에 마련된 삽입하우징(250)과 피스톤(720)의 선단은 자성체(260)에 의한 자력결합에 의하여 그 결합상태가 유지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본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삽입하우징(250)과 피스톤(720)의 선단의 확실한 결합상태를 보장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삽입하우징(250)이 고정부재(230)에 대하여 코일스프링(240)을 매개로 설치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삽입하우징(250)이 외력을 받게 되면 상하로 어느 정도 흔들릴 수 있는 상태이다.
또한 삽입하우징(250)이 흔들릴 수 있는 범위는 안내용 하우징(280)에 의하여 제한을 받고 있다.
또한 삽입하우징(250)을 지지하는 코일스프링(240)은, 원추형 코일스프링이 대칭으로 형성된 단지형 코일스프링(240)이므로 항상 삽입하우징(250)이 수평방향으로 위치되도록 탄성지지한다.
물론 실시예에 따라서는 코일스프링(240)을 원추형 코일스프링으로 사용할 수도 있지만 이 경우 원추형 코일스프링을 제1볼트(231)에 고정결합시키는 것이 문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깔때기 형태의 피스톤(720)의 선단이 삽입하우징(250)의 깔때기 형태의 삽입부(251)에 삽입되면, 비록 피스톤(720)이 수평방향의 완전한 직진도를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에도 삽입하우징(250)이 아래로 약간 기울어지면서 피스톤(720)의 선단을 받아들인 후 피스톤(720)이 삽입되면서 삽입하우징(250)은 단지형 코일스프링(240)에 의하여 완전한 수평상태를 유지하는 자세로 복원된다.
따라서 삽입 직전의 피스톤(720)의 자세에도 불구하고 삽입된 상태의 피스톤(720)과 삽입하우징(250)은 완전한 수평상태를 이룬 상태에서 결합된다.
따라서 피스톤(720)의 단부와 삽입하우징(250)에 마련된 자성체(260)는 보다 완벽한 자력 결합을 이룰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의도하지 않은 방식으로 피스톤(720)이 삽입하우징(250)으로부터 이탈될 위험이 없게 된다.
한편, 자성체(260)와 피스톤(720)이 직접 접촉한다면 서로 접촉하는 순간에 금속성의 날카로운 소음이 발생하게 된다.
본 실시예는 상기와 같이 보다 완벽한 자력 결합이 이루어짐으로써 피스톤(720)의 단부와 자성체(260)가 직접 접촉하지 않는 경우에도 피스톤(720)의 단부와 자성체(260)는 충분한 자력결합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삽입부(251)의 깔때기 형상 중 가장 작은 직경을 가진 부위는 피스톤(720)의 단부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다.
따라서 피스톤(720)의 단부는 자성체(260)와 직접 접촉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는, 종래의 기술에서 피스톤과 자성체과 자력 결합하는 순간에 발생하는 금속성 소음이 발생하지 않게 하며, 본 실시예는 금속 재질의 피스톤(720)과 고무 재질의 삽입하우징(250)이 부딪히는 매우 약한 소리만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자성체(260)와 피스톤(720)이 직접 접촉하지 않는 경우에도 자성체(260)와 피스톤(720)은 충분한 결합력을 가지게 되므로, 제2도어(200)가 피스톤(720)을 당기면서 열리는 경우에도 제2도어(200)의 삽입하우징(250)이 피스톤(720)과 이탈되는 일이 없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피스톤(720)은 제2도어(200)가 열릴 때 항상 최장 스트로크까지 튀어나오게 되며, 제2도어(200)가 닫힐 때 충분한 완충력을 제공하면서 원래의 위치로 복원하므로, 도어의 급작스런 닫힘으로 인한 충격과 소음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제1도어
110 : 제1-1고정판 111 : 제1-1롤러지지부
112 : 제1-1안내롤러
120 : 제1-2고정판 121 : 제1-2롤러지지부
122 : 제1-1안내롤러
123 : 제1-2연결판 123a : 제1-2개구부
200 : 제2도어
210 : 제2-1고정판 211 : 제2-1풀리지지부
212 : 제2-1안내롤러 213 : 제2-1풀리
220 : 제2-2고정판 221 : 제2-2롤러지지부
222 : 제2-1안내롤러 223 : 제2-1풀리
230 : 고정부재 231 : 제1볼트
231a : 제1나사산 240 : 단지형 코일스프링
250 : 삽입하우징 251 : 삽입부
252 : 외주면 260 : 자성체
270 : 제2볼트
280 : 안내용 하우징 281 : 원통형 내주면
300 : 제3도어 310 : 제3-1고정판
311 : 제3-1롤러지지부 312 : 제3-1안내롤러
313 : 제3-1연결판 313a : 제3-1개구부
320 : 제3-2고정판 321 : 제3-2롤러지지부(321)
322 : 제3-2안내롤러
400 : 문틀 420 : 측부 문틀
430 : 측부 문틀 440 : 상부 문틀
441 : 상부 가이드부
510 :견인와이어 520 : 제1연결판 장착구
521 : 제1장착부 522 : 제1이탈방지부
523 : 제1와이어 관통로 524 : 제1고정구
530 : 제3연결판 장착구
600 : 당김력 인가수단 601 : 와이어
700 : 완충수단 710 실린더
720 : 피스톤
110 : 제1-1고정판 111 : 제1-1롤러지지부
112 : 제1-1안내롤러
120 : 제1-2고정판 121 : 제1-2롤러지지부
122 : 제1-1안내롤러
123 : 제1-2연결판 123a : 제1-2개구부
200 : 제2도어
210 : 제2-1고정판 211 : 제2-1풀리지지부
212 : 제2-1안내롤러 213 : 제2-1풀리
220 : 제2-2고정판 221 : 제2-2롤러지지부
222 : 제2-1안내롤러 223 : 제2-1풀리
230 : 고정부재 231 : 제1볼트
231a : 제1나사산 240 : 단지형 코일스프링
250 : 삽입하우징 251 : 삽입부
252 : 외주면 260 : 자성체
270 : 제2볼트
280 : 안내용 하우징 281 : 원통형 내주면
300 : 제3도어 310 : 제3-1고정판
311 : 제3-1롤러지지부 312 : 제3-1안내롤러
313 : 제3-1연결판 313a : 제3-1개구부
320 : 제3-2고정판 321 : 제3-2롤러지지부(321)
322 : 제3-2안내롤러
400 : 문틀 420 : 측부 문틀
430 : 측부 문틀 440 : 상부 문틀
441 : 상부 가이드부
510 :견인와이어 520 : 제1연결판 장착구
521 : 제1장착부 522 : 제1이탈방지부
523 : 제1와이어 관통로 524 : 제1고정구
530 : 제3연결판 장착구
600 : 당김력 인가수단 601 : 와이어
700 : 완충수단 710 실린더
720 : 피스톤
Claims (3)
- 상부에 3열의 하부 가이드부가 형성된 하부 문틀, 상기 하부 문틀의 양측에 각각 마련되는 한 쌍의 측부 문틀, 상기 한 쌍의 측부 문틀의 상부를 가로지며 마련되며 하부에 3열의 상부 가이드부가 형성된 상부 문틀로 이루어지는 격자 형태의 문틀과 ; 상기 상부 가이드부 및 상기 하부 가이드부를 따라 그 이동이 안내되되 하부에 상기 하부 가이드부를 따라 회전이동되는 하부롤러가 각각 마련되며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도어, 제2도어, 제3도어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2도어는 상기 제1도어와 상기 제3도어 사이에 배치되는 3중 미닫이 도어 조립체에 있어서 :
상기 제1도어의 상부 일측에 마련되는 제1-1고정판 ;
상기 제1도어의 상부 타측에 마련되며 상기 제2도어를 향하여 개구된 제1-2개구부가 형성된 제1-2연결판이 마련된 제1-2고정판 ;
상기 제2도어의 상부 일측에 마련되는 제2-1고정판 ;
상기 제2도어의 상부 타측에 마련되는 제2-2고정판 ;
상기 제3도어의 상부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제2도어를 향하여 개구된 제3-1개구부가 형성된 제3-1연결판이 마련된 제3-1고정판 ;
상기 제3도어의 상부 타측에 마련되는 제3-2고정판 ;
하부가 상기 제1-1고정판에 고정되며 상부에 상기 하부 가이드부를 따라 안내되는 제1-1안내롤러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제1-1롤러지지부 ;
하부가 상기 제1-2고정판에 고정되며 상부에 상기 하부 가이드부를 따라 안내되는 제1-2안내롤러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제1-2롤러지지부 ;
하부가 상기 제2-1고정판에 고정되며 상부에 상기 하부 가이드부를 따라 안내되는 제2-1안내롤러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중간부에 제2-1풀리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제2-1풀리지지부 ;
하부가 상기 제2-2고정판에 고정되며 상부에 상기 하부 가이드부를 따라 안내되는 제2-2안내롤러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중간부에 제2-2풀리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제2-2풀리지지부 ;
하부가 상기 제3-1고정판에 고정되며 상부에 상기 하부 가이드부를 따라 안내되는 제3-1안내롤러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제3-1롤러지지부 ;
하부가 상기 제3-2고정판에 고정되며 상부에 상기 하부 가이드부를 따라 안내되는 제3-2안내롤러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제3-2롤러지지부 ;
상기 제2-1풀리 및 상기 제2-2풀리에 장착되어 폐루프를 형성하는 견인와이어 ;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제1-2연결판의 상기 제1-2개구부에 삽입 장착되는 제1장착부와 상기 제1장착부의 양측에 연장 형성되되 상기 제1장착부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제1이탈방지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이탈방지부 및 상기 제1장착부의 중앙을 따라 상기 견인와이어가 관통되는 제1와이어 관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제1도어측의 견인와이어에 고정 마련되는 제1연결판 장착구 ;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제3-1연결판의 상기 제3-1개구부에 삽입 장착되는 제3장착부와 상기 제3장착부의 양측에 연장 형성되되 상기 제3장착부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제3이탈방지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3이탈방지부 및 상기 제3장착부의 중앙을 따라 상기 견인와이어가 관통되는 제3와이어 관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제3도어측의 견인와이어에 고정 마련되는 제3연결판 장착구 ;
상기 상부 문틀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1도어가 닫히도록 상기 제1도어에 당김력을 인가하는 당김력 인가수단 ;
상기 제2도어가 닫힐 때 상기 제2도어에 완충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상부 문틀의 하부에 마련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로부터 출몰하는 피스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실린더는 상기 제2도어의 연장면상에 위치되는 완충수단 ;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및 연동형 3중 미닫이 도어 조립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2고정판에 마련되는 고정부재 ;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일단이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되며 타단이 상기 피스톤의 단부를 향하도록 배치된 코일스프링 ;
일측에 상기 피스톤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깔때기 형상으로 된 삽입부가 형성되며, 타측이 상기 코일스프링의 타단에 고정되는 고무 재질의 삽입하우징 ;
상기 피스톤의 단부와 자력결합이 되도록 상기 삽입하우징에 마련되는 자성체 ;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및 연동형 3중 미닫이 도어 조립체.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스프링은 그 길이방향 중앙이 볼록한 형태를 가진 단지형 코일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및 연동형 3중 미닫이 도어 조립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27577A KR101195057B1 (ko) | 2011-03-28 | 2011-03-28 | 반자동 및 연동형 3중 미닫이 도어 조립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27577A KR101195057B1 (ko) | 2011-03-28 | 2011-03-28 | 반자동 및 연동형 3중 미닫이 도어 조립체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09207A KR20120109207A (ko) | 2012-10-08 |
KR101195057B1 true KR101195057B1 (ko) | 2012-10-29 |
Family
ID=47280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27577A KR101195057B1 (ko) | 2011-03-28 | 2011-03-28 | 반자동 및 연동형 3중 미닫이 도어 조립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95057B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13535A (ko) | 2014-07-23 | 2016-02-05 | (주)아도 | 반자동 연동형 도어 시스템 |
KR101771181B1 (ko) | 2016-02-22 | 2017-08-25 | 이녹하 | 3중 슬라이딩 도어의 연동장치 |
KR20190000490U (ko) * | 2017-08-14 | 2019-02-22 | 안중식 | 연동 도어용 완충장치 |
WO2022097937A1 (ko) * | 2020-11-05 | 2022-05-1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다단 도어 및 스마트 미디어 시스템 |
KR102458229B1 (ko) | 2022-02-15 | 2022-10-24 | 문시스 주식회사 | 리니어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연동형 자동 도어 시스템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67703B1 (ko) * | 2019-09-06 | 2020-02-25 | 주식회사 삼흥정밀 | 개스스프링과 움직도르래를 이용한 반자동식 3연동 도어 |
KR102487797B1 (ko) * | 2022-08-10 | 2023-01-11 | 유은미 | 문폭을 최소화한 4중 연동도어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22289A (ja) | 1997-07-02 | 1999-01-26 | Zenji Tsuchikawa | 三連式引き戸装置 |
JP2004218345A (ja) | 2003-01-17 | 2004-08-05 | Best:Kk | 折戸式上吊り引戸装置 |
JP2005307506A (ja) | 2004-04-20 | 2005-11-04 | Best:Kk | 連動引分け式吊戸装置 |
-
2011
- 2011-03-28 KR KR1020110027577A patent/KR10119505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22289A (ja) | 1997-07-02 | 1999-01-26 | Zenji Tsuchikawa | 三連式引き戸装置 |
JP2004218345A (ja) | 2003-01-17 | 2004-08-05 | Best:Kk | 折戸式上吊り引戸装置 |
JP2005307506A (ja) | 2004-04-20 | 2005-11-04 | Best:Kk | 連動引分け式吊戸装置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13535A (ko) | 2014-07-23 | 2016-02-05 | (주)아도 | 반자동 연동형 도어 시스템 |
KR101659845B1 (ko) * | 2014-07-23 | 2016-09-26 | (주)아도 | 반자동 연동형 도어 시스템 |
KR101771181B1 (ko) | 2016-02-22 | 2017-08-25 | 이녹하 | 3중 슬라이딩 도어의 연동장치 |
KR20190000490U (ko) * | 2017-08-14 | 2019-02-22 | 안중식 | 연동 도어용 완충장치 |
KR200489027Y1 (ko) * | 2017-08-14 | 2019-04-18 | 안중식 | 연동 도어용 완충장치 |
WO2022097937A1 (ko) * | 2020-11-05 | 2022-05-1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다단 도어 및 스마트 미디어 시스템 |
KR102458229B1 (ko) | 2022-02-15 | 2022-10-24 | 문시스 주식회사 | 리니어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연동형 자동 도어 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09207A (ko) | 2012-10-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95057B1 (ko) | 반자동 및 연동형 3중 미닫이 도어 조립체 | |
KR101186377B1 (ko) | 슬라이드 도어의 자동 열림 및 닫힘 장치 | |
US11028642B2 (en) | Roller shade actuation device | |
JP3137046U (ja) | スライドレールユニット | |
WO2017219487A1 (zh) | 具有消音回弹功能的同步抽屉滑轨系统 | |
KR101452688B1 (ko) | 가구용 아웃도어 댐퍼 | |
GB2532097A (en) | A three-section synchronous concealed slide rail | |
KR101548669B1 (ko) | 롤 방충망의 잠금장치 | |
JP6788916B2 (ja) | ウェビング高さ調節装置 | |
KR20160002772A (ko) | 이중댐퍼 튀어오름 방지 상부휠 장치 | |
US20130225249A1 (en) | Flip assembly and portable electric device comprising the same | |
KR101234527B1 (ko) | 롤방충망의 록킹구조 | |
KR101659845B1 (ko) | 반자동 연동형 도어 시스템 | |
US8191601B2 (en) | Screen device | |
JP2009138400A (ja) | 引戸装置 | |
CN205331319U (zh) | 一种卸扣 | |
JP4776399B2 (ja) | 走行体および開閉体装置 | |
KR100833322B1 (ko) | 서랍식 저장실의 레일 장치 | |
CN201295039Y (zh) | 布套的安装结构 | |
JP5536416B2 (ja) | 吊支式ドア装置 | |
KR101448481B1 (ko) | 차량용 컵 홀더 | |
CN221307612U (zh) | 一种单节滑轨挂衣器 | |
CN214576440U (zh) | 一种便捷式的家具门板防撞器 | |
CN108412356B (zh) | 一种二段力快拆阻尼安装结构的铰链 | |
CN109717645A (zh) | 一种抽屉面板锁紧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01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012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012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12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