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8229B1 - 리니어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연동형 자동 도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리니어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연동형 자동 도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8229B1
KR102458229B1 KR1020220019526A KR20220019526A KR102458229B1 KR 102458229 B1 KR102458229 B1 KR 102458229B1 KR 1020220019526 A KR1020220019526 A KR 1020220019526A KR 20220019526 A KR20220019526 A KR 20220019526A KR 102458229 B1 KR102458229 B1 KR 1024582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inear motor
driven
driving
width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9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규
Original Assignee
문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문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195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82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8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82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2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 E05D15/0652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7/00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 E05F17/002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for wings which lie one behind the other when closed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36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7/00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 E05F2017/005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3Motors
    • E05Y2201/434Electromotors; Detail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2Bel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58Members cooperating with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68Pulleys; Whee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니어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연동형 자동 도어 시스템에 있어서, 이동트랙 몸체에 결합된 주행 롤러를 위한 상부 프레임의 상하 영역인 주행 레일부가, 상부 프레임의 리니어 모터의 고정자를 위한 상하 영역인 리니어 모터 고정자 장착부의 폭방향 양측에 배치되도록 하여, 상부 프레임의 상하 높이를 대폭 감소시키기 위한 것으로, 폭방향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니어 모터 고정자 장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리니어 모터 고정자 장착부의 폭방향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주행 레일부가 형성되는 상부 프레임 ; 폭방향 중앙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니어 모터 이동자 장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리니어 모터 이동자 장착부의 폭방향 양측으로부터 폭방향 외측으로 각각 연장되어 상기 주행 레일부에서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롤러 장착부를 포함하는 이동트랙 몸체 ; 상기 롤러 장착부에 장착되어 상기 이동트랙 몸체가 상기 주행 레일부를 따라 주행하도록 이루어진 주행롤러 ; 상기 리니어 모터 고정자 장착부에 배치되는 고정자와, 상기 리니어 모터 이동자 장착부에 배치되는 이동자를 포함하는 리니어 모터 ; 상기 이동트랙 몸체의 하부에서 상기 이동트랙 몸체에 고정되는 연동장치 프레임과, 상기 연동장치 프레임에 마련되는 한 쌍의 풀리와, 상기 한 쌍의 풀리에 장착되어 폐루프를 형성하는 견인용 벨트와, 상기 견인용 벨트의 일측에 마련되는 제1연결대와, 상기 견인용 벨트의 타측에 마련되는 제2연결대를 포함하는 도어 연동장치 ; 상기 연동장치 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며 하부에 구동 도어용 지지 롤러가 마련되는 구동 도어 몸체 ; 상기 구동 도어 몸체의 폭방향 일측에 배치되되 상부에 상기 제1연결대와 결합되는 고정 도어용 연결대 결합구가 마련되는 고정 도어 몸체 ; 상기 구동 도어 몸체의 폭방향 타측에 배치되되 상부에 상기 제2연결대와 결합되는 피동 도어용 연결대 결합구가 마련되며 하부에 피동 도어용 지지 롤러가 마련되는 피동 도어 몸체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리니어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연동형 자동 도어 시스템{LINEAR MOTOR DRIVE AUTOMATIC TRIPLE DOOR SYSTEM}
본 발명은 리니어 모터에 의하여 구동 도어 몸체를 개폐하면 이와 연동하여 피동 도어 몸체가 함께 개폐되는 리니어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연동형 자동 도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다수의 도어를 설치할 때 어느 하나의 도어를 개폐함으로써 다른 도어도 목적하는 방향으로 개폐되게끔 하는 연동형 3중 슬라이딩 도어가 등장하였다.
이와 관련된 종래의 기술로서, 국내 특허등록 제10-0724597호 "개폐체 연동장치"(2007. 5.28 등록), 국내 특허등록 제10-1174852호 "미닫이 도어 조립체"(2012.8.10 등록),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20-0439141호 "3중 슬라이딩 도어의 연동장치"(2008.3.17 등록), 국내 특허등록 제10-0880272호 "슬라이딩 도어의 연동장치"(2009.1.22 등록), 국내 특허등록 제10-1195057호 "반자동 및 연동형 3중 미닫이 도어 조립체"(2012.10.22 등록) 등이 제안된 바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들은 본 명세서에 일체화된 것으로 본다.
한편 자동 도어 시스템은 동작 감지 센서, 개폐 버튼(스위치) 등을 활용하여 자동으로 개폐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인출입 후 도어가 자동 폐쇄되어 냉난방비 등의 절감, 사용의 편의성 등을 이유로 매우 광범위한 곳에 설치되고 있다.
자동 도어 시스템은, 연동형 3중 슬라이딩 도어에도 적용되어 연동형 자동 도어 시스템으로 사용되고 있다.
연동형 자동 도어 시스템에 관한 종래의 기술로서, 국내 특허등록 제10-1570469호 "연동형 자동 도어 시스템"(2015. 11. 13. 등록) 등이 제안된 바 있다.
연동형 자동 도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조는, 3개의 도어를 포함하되, 하나의 도어는 모터의 동력을 이용하여 직접 개폐되는 구동 도어이며, 다른 하나의 도어는 구동 도어에 연동하여 개폐되는 피동 도어이며, 또다른 하나의 도어는 고정된 상태의 고정 도어를 이룬다.
이와 같은 연동형 자동 도어 시스템에서, 일반 모터 대신에 리니어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연동형 자동 도어 시스템이 제안된 바 있다.
리니어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연동형 자동 도어 시스템에 관한 종래의 기술로서, 국내 등록특허 제10-1884785호 "자동문 구동장치"(2018. 7.27. 등록) 등이 제안된 바 있다.
한편 리니어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연동형 자동 도어 시스템의 경우, 문틀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프레임에 리니어 모터의 고정자가 장착되며, 고정자의 하부에 구동 도어 몸체와 결합되며 리니어 모터의 이동자가 장착되는 이동트랙 몸체와 이동트랙 몸체에 결합되어 상부 프레임의 주행 레일부를 따라 주행하기 위한 주행 롤러가 마련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구조는 상부 프레임에 리니어 모터의 고정자를 위한 상하 영역과, 이동트랙 몸체에 결합된 주행 롤러를 위한 상하 영역을 모두 필요로 하게 되며, 이에 의하여 상부 프레임의 상하 방향 높이가 대형화된다는 문제가 있다.
상부 프레임의 상하 높이가 대형화된다는 것은, 기본적으로 문틀의 상하 높이는 변동될 수 없다는 점을 고려하면, 상부 프레임이 대형화되는 만큼 도어의 상하 높이가 감소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문틀 내의 물건의 통과 영역을 감소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종래 기술의 상부 프레임이 대형화된 리니어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연동형 자동 도어 시스템의 경우, 이를 통과할 수 있는 물건의 크기를 제한한다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국내 등록특허 제10-1884785호 "자동문 구동장치"(2018. 7.27. 등록) 국내 특허등록 제10-1570469호 "연동형 자동 도어 시스템"(2015. 11. 13. 등록) 국내 특허등록 제10-0724597호 "개폐체 연동장치"(2007. 5.28 등록) 국내 특허등록 제10-1174852호 "미닫이 도어 조립체"(2012.8.10 등록)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20-0439141호 "3중 슬라이딩 도어의 연동장치"(2008.3.17 등록) 국내 특허등록 제10-0880272호 "슬라이딩 도어의 연동장치"(2009.1.22 등록) 국내 특허등록 제10-1195057호 "반자동 및 연동형 3중 미닫이 도어 조립체"(2012.10.22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리니어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연동형 자동 도어 시스템에 있어서, 이동트랙 몸체에 결합된 주행 롤러를 위한 상부 프레임의 상하 영역인 주행 레일부가, 상부 프레임의 리니어 모터의 고정자를 위한 상하 영역인 리니어 모터 고정자 장착부의 폭방향 양측에 배치되도록 하여, 상부 프레임의 상하 높이를 대폭 감소시킬 수 있는 리니어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연동형 자동 도어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폭방향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니어 모터 고정자 장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리니어 모터 고정자 장착부의 폭방향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주행 레일부가 형성되는 상부 프레임 ; 폭방향 중앙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니어 모터 이동자 장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리니어 모터 이동자 장착부의 폭방향 양측으로부터 폭방향 외측으로 각각 연장되어 상기 주행 레일부에서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롤러 장착부를 포함하는 이동트랙 몸체 ; 상기 롤러 장착부에 장착되어 상기 이동트랙 몸체가 상기 주행 레일부를 따라 주행하도록 이루어진 주행롤러 ; 상기 리니어 모터 고정자 장착부에 배치되는 고정자와, 상기 리니어 모터 이동자 장착부에 배치되는 이동자를 포함하는 리니어 모터 ; 상기 이동트랙 몸체의 하부에서 상기 이동트랙 몸체에 고정되는 연동장치 프레임과, 상기 연동장치 프레임에 마련되는 한 쌍의 풀리와, 상기 한 쌍의 풀리에 장착되어 폐루프를 형성하는 견인용 벨트와, 상기 견인용 벨트의 일측에 마련되는 제1연결대와, 상기 견인용 벨트의 타측에 마련되는 제2연결대를 포함하는 도어 연동장치 ; 상기 연동장치 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며 하부에 구동 도어용 지지 롤러가 마련되는 구동 도어 몸체 ; 상기 구동 도어 몸체의 폭방향 일측에 배치되되 상부에 상기 제1연결대와 결합되는 고정 도어용 연결대 결합구가 마련되는 고정 도어 몸체 ; 상기 구동 도어 몸체의 폭방향 타측에 배치되되 상부에 상기 제2연결대와 결합되는 피동 도어용 연결대 결합구가 마련되며 하부에 피동 도어용 지지 롤러가 마련되는 피동 도어 몸체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은 상기 주행 레일부의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피동 도어용 안내 레일부가 형성되며, 상기 피동 도어 몸체의 상부에는 상기 피동 도어용 안내 레일부에 삽입되어 상기 피동 도어 몸체의 이동을 안내하는 피동 도어용 가이드 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이동트랙 몸체는 상기 리니어 모터 이동자 장착부의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구동 도어용 안내 레일부가 형성되며, 상기 도어 연동장치의 상부에는 상기 구동 도어용 안내 레일부에 삽입되는 구동 도어용 가이드 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피동 도어용 가이드 부재 및 상기 구동 도어용 가이드 부재는 서로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피동 도어용 안내 레일부와 상기 주행 레일부는 피동 도어용 공유 격벽을 서로 공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리니어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연동형 자동 도어 시스템에 있어서, 이동트랙 몸체에 결합된 주행 롤러를 위한 상부 프레임의 상하 영역인 주행 레일부가, 상부 프레임의 리니어 모터의 고정자를 위한 상하 영역인 리니어 모터 고정자 장착부의 폭방향 양측에 배치되도록 하여, 상부 프레임의 상하 높이를 대폭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부 프레임의 상하 높이가 감소되는 만큼 도어의 상하 높이가 증가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문틀 내의 사물의 통과 영역을 확장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니어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연동형 자동 도어 시스템의 정면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니어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연동형 자동 도어 시스템의 단면 개념도,
도 3은 도 1의 고정 도어 조립체 및 피동 도어 조립체의 정면 개념도,
도 4는 도 3의 고정 도어 조립체 및 피동 도어 조립체의 단면 개념도,
도 5는 도 3의 고정 도어 조립체 및 피동 도어 조립체의 평면 개념도,
도 6은 도 1의 구동 도어 조립체의 정면 개념도,
도 7은 도 6의 구동 도어 조립체의 단면 개념도,
도 8은 도 7의 구동 도어 조립체를 크게 3부분으로 분리한 상태의 단면 개념도,
도 9는 도 6의 구동 도어 조립체의 평면 개념도,
도 10은 도 9에서 도어 연동장치와 관련된 구성들을 추출하여 도시한 평면 개념도,
도 11은 도 2에서 상부 프레임과 이동트랙 몸체 사이의 구성들을 분리하여 도시한 분리 개념 단면도,
도 12는 도 1의 연동형 자동 도어 시스템이 완전히 닫힌 상태의 도어 연동장치의 평면 개념도,
도 13은 도 12의 구성을 분리하여 도시한 평면 개념도,
도 14는 도 1의 연동형 자동 도어 시스템이 일부 열린 상태의 도어 연동장치의 평면 개념도,
도 15는 도 14의 구성을 분리하여 도시한 평면 개념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니어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연동형 자동 도어 시스템의 정면 개념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니어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연동형 자동 도어 시스템의 단면 개념도이다.
도 1은 연동형 자동 도어 시스템가 완전히 닫힌 상태를 기준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2는 고정 도어 조립체와 구동 도어 조립체와 피동 도어 조립체가 서로 중첩된 상태를 기준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1의 고정 도어 조립체 및 피동 도어 조립체의 정면 개념도이며, 도 4는 도 3의 고정 도어 조립체 및 피동 도어 조립체의 단면 개념도이며, 도 5는 도 3의 고정 도어 조립체 및 피동 도어 조립체의 평면 개념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고정 도어 조립체와 피동 도어 조립체는 서로 동일한 형태를 가지고 있다.
도 6은 도 1의 구동 도어 조립체의 정면 개념도이며, 도 7은 도 6의 구동 도어 조립체의 단면 개념도이며, 도 8은 도 7의 구동 도어 조립체를 크게 3부분으로 분리한 상태의 단면 개념도이며, 도 9는 도 6의 구동 도어 조립체의 평면 개념도이며, 도 10은 도 9에서 도어 연동장치와 관련된 구성들을 추출하여 도시한 평면 개념도이다.
도 11은 도 2에서 상부 프레임과 이동트랙 몸체 사이의 구성들을 분리하여 도시한 분리 개념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의 연동형 자동 도어 시스템이 완전히 닫힌 상태의 도어 연동장치의 평면 개념도이며, 도 13은 도 12의 구성을 분리하여 도시한 평면 개념도이며, 도 14는 도 1의 연동형 자동 도어 시스템이 일부 열린 상태의 도어 연동장치의 평면 개념도이며, 도 15는 도 14의 구성을 분리하여 도시한 평면 개념도이다.
본 연동형 자동 도어 시스템은, 문틀의 내부에 마련된다.
문틀 중 상부 문틀에는 상부 프레임(110)이 마련되며, 문틀 중 하부 문틀에는 3열의 하부 가이드부(120)가 마련된다.
본 연동형 자동 도어 시스템은, 고정 도어 조립체(210), 구동 도어 조립체(220), 피동 도어 조립체(230)를 포함한다.
고정 도어 조립체(210)는 문틀에 고정되는 반면, 구동 도어 조립체(220) 및 피동 도어 조립체(230)는 하부 가이드부(120) 및 상부 프레임(11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다.
상부 프레임(110)은 문틀의 길이 전체에 걸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단면 구조를 가진다.
상부 프레임(110)은 폭방향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니어 모터 고정자 장착부(111)가 형성되며, 리니어 모터 고정자 장착부(111)의 폭방향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주행 레일부(112)가 형성되며, 폭방향 일측의 주행 레일부(112)의 하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 도어용 안내 레일부(113)가 형성되며, 폭방향 타측의 주행 레일부(112)의 하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피동 도어용 안내 레일부(114)가 형성된다.
리니어 모터 고정자 장착부(111)는 하부 폭방향 중앙이 개방된 구조이다.
주행 레일부(112)는 하부 폭방향 내측이 개방된 구조이다.
고정 도어용 안내 레일부(113) 및 피동 도어용 안내 레일부(114)는 하부 폭방향 중앙이 개방된 구조이며, 서로 동일한 높이에 위치된다.
또한 폭방향 일측에 위치한 주행 레일부(112)와 고정 도어용 안내 레일부(113)는 서로 고정 도어용 공유 격벽(115)을 공유하며, 폭방향 타측에 위치한 주행 레일부(112)와 피동 도어용 안내 레일부(114)는 서로 피동 도어용 공유 격벽(116)을 공유하고 있다.
상부 프레임(110)의 하부에 고정 도어 조립체(210), 구동 도어 조립체(220), 피동 도어 조립체(230)가 마련된다.
고정 도어 조립체(210)는, 문틀의 내부 폭방향 일측에 마련된다.
고정 도어 조립체(210)는 문틀에 고정되는 부위이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 도어 조립체(210)는, 고정 도어 몸체(211)와, 고정 도어 몸체(211)의 하단 길이방향 양측에 각각 마련되며 하부 문틀의 하부 가이드부(120)를 따라 이동 가능한 한 쌍의 고정 도어용 지지 롤러(212)와, 고정 도어 몸체(211)의 상단 양측에 각각 마련되는 고정 도어용 수직 결합봉(213)과, 상기 고정 도어용 수직 결합봉(213)의 상부에 결합되는 고정 도어용 상부 프레임(214)과, 고정 도어용 상부 프레임(214)에 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 도어용 연결대 결합구(215)와 한 쌍의 고정 도어용 가이드 부재(216)를 포함한다.
한 쌍의 고정 도어용 가이드 부재(216)는 상부 프레임(110)의 고정 도어용 안내 레일부(113)에 삽입되어 고정 도어 조립체(210)의 설치 위치가 안내된다.
이와 같은 고정 도어 조립체(210)의 구조는, 고정 도어 몸체(211)가, 필요에 따라서는(유지 보수 등을 위하여), 슬라이딩될 수 있는 구조를 갖추고 있다.
다만 본 발명에 직접적으로 이용되기 위한 목적일 경우, 고정 도어 조립체(210)는 문틀에 고정되며, 고정 도어 조립체(210)를 문틀에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수단을 필요로 하며, 이는 도면 등에서 생략하였다.
피동 도어 조립체(230)는, 문틀의 내부 폭방향 타측에 마련된다.
피동 도어 조립체(230)는, 하부 가이드부(120) 및 상부 프레임(11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피동 도어 조립체(230)는, 피동 도어 몸체(231)와, 피동 도어 몸체(231)의 하단 길이방향 양측에 각각 마련되며 하부 문틀의 하부 가이드부(120)를 따라 이동 가능한 한 쌍의 피동 도어용 지지 롤러(232)와, 피동 도어 몸체(231)의 상단 양측에 각각 마련되는 피동 도어용 수직 결합봉(233)과, 상기 피동 도어용 수직 결합봉(233)의 상부에 결합되는 피동 도어용 상부 프레임(234)과, 피동 도어용 상부 프레임(234)에 결합되는 한 쌍의 피동 도어용 연결대 결합구(235)와 한 쌍의 피동 도어용 가이드 부재(236)를 포함한다.
한 쌍의 피동 도어용 가이드 부재(236)는 상부 프레임(110)의 피동 도어용 안내 레일부(114)에 삽입되어 피동 도어 몸체(231)의 슬라이딩 이동이 안내된다.
구동 도어 조립체(220)는, 문틀의 내부 폭방향 중앙에 마련된다.
구동 도어 조립체(220)는, 하부 가이드부(120) 및 상부 프레임(11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구동 도어 조립체(220)는, 구동 도어 몸체(221)와, 구동 도어 몸체(221)의 하단 길이방향 양측에 각각 마련되며 하부 문틀의 하부 가이드부(120)를 따라 이동 가능한 한 쌍의 구동 도어용 지지 롤러(222)와, 구동 도어 몸체(221)의 상단 양측에 각각 마련되는 구동 도어용 수직 결합봉(223)과, 상기 구동 도어용 수직 결합봉(223)의 상부에 결합되는 연동장치 프레임(224)과, 연동장치 프레임(224)에 마련되는 한 쌍의 풀리(227a)와, 한 쌍의 풀리(227a)에 장착되어 폐루프를 형성하는 견인용 벨트(227b)와, 견인용 벨트(227b)의 일측에 마련되는 제1연결대(227c)와, 견인용 벨트(227b)의 타측에 마련되는 제2연결대(227d)와, 연동장치 프레임(224)에 결합되는 한 쌍의 구동 도어용 가이드 부재(226)와, 고정 볼트(225)에 의하여 연동장치 프레임(224)의 상부에서 연동장치 프레임(224)에 결합되는 이동트랙 몸체(228)를 포함한다.
이동트랙 몸체(228)는 연동장치 프레임(224)을 매개로 구동 도어 몸체(221)에 결합되며, 구동 도어 몸체(221) 등과 함께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다.
이동 트랙 몸체(228)는, 폭방향 중앙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니어 모터 이동자 장착부(228a)가 형성되며, 리니어 모터 이동자 장착부(228a)의 폭방향 양측으로부터 폭방향 외측으로 각각 연장되어 상부 프레임(110)의 주행 레일부(112)에서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롤러 장착부(228b)가 형성되며, 리니어 모터 이동자 장착부(228a)의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구동 도어용 안내 레일부(228c)가 형성된다.
롤러 장착부(228b)에 주행 롤러(229)가 장착되며, 주행 롤러(229)는 이동트랙 몸체(228)가 주행 레일부(112)를 따라 주행하도록 마련된 것이다.
한 쌍의 구동 도어용 가이드 부재(226)는 이동 트랙 몸체(228)의 구동 도어용 안내 레일부(228c)에 삽입되어 구동 도어 몸체(221)의 설치 위치가 안내된다.
견인용 벨트(227b)의 일측에 마련되는 제1연결대(227c)에는 제1결합구멍(227c-1)이 형성되며, 제1결합구멍(227c-1)에 고정 도어 조립체(210)의 고정 도어용 연결대 결합구(215)가 삽입 결합된다.
견인용 벨트(227b)의 타측에 마련되는 제2연결대(227d)에는 제2결합구멍(227d-1)이 형성되며, 제2결합구멍(227d-1)에 피동 도어 조립체(230)의 피동 도어용 연결대 결합구(235)가 삽입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도어 연동장치는, 연동장치 프레임(224)과, 한 쌍의 풀리(227a)와, 견인용 벨트(227b)와, 제1연결대(227c)와 제2연결대(227d) 등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의 도어 연동장치의 작동 상태는 도 11 내지 도 14에 도시하였다.
이와 같은 도어 연동장치는 종래의 기술에서 매우 다양한 방식이 사용되고 있으며, 또한 본 실시예는 하나의 예로서 제시되는 것일 뿐이다.
구동 도어 조립체(220)의 구동을 위하여 리니어 모터(130)가 마련된다.
리니어 모터(130)는 고정자(131)와 이동자(132)로 구성되며, 고정자(131)는 상부 프레임(110)의 리니어 모터 고정자 장착부(111)에 장착되며, 이동자(132)는 구동 도어 조립체(220)의 이동트랙 몸체(228)의 리니어 모터 이동자 장착부(228a)에 장착된다.
고정자(131)는 코일 등이 구동 도어 조립체(200)의 이동 영역에 걸쳐 상부 프레임(110)의 리니어 모터 고정자 장착부(111)에 장착된다.
이동자(132)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영구자석이 서로 교차 배열되면서 이동트랙 몸체(228)의 리니어 모터 이동자 장착부(228a)의 길이 방향 전체에 장착된다.
이러한 리니어 모터(130)는 고정자(131)(코일 등)에 전원을 인가시켜 흐르는 전류에 의해 발생한 자기장이 이동자(132)(영구자석)와의 흡입, 반발 작용을 통하여 이동자(132)의 추력을 발생시켜, 이동자(132)가 결합된 이동트랙 몸체(228) 및 이에 연결된 구동 도어 몸체(221) 등이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부 프레임(110)의 고정 도어용 안내 레일부(113)와 피동 도어용 안내 레일부(114) 및 이동트랙 몸체(228)의 구동 도어용 안내 레일부(228c)는 서로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며, 따라서 고정 도어용 가이드 부재(216), 구동 도어용 가이드 부재(226), 피동 도어용 가이드 부재(236)가 서로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며,
또한 고정 도어용 상부 프레임(214), 연동장치 프레임(224), 피동 도어용 상부 프레임(234)는 서로 동일한 높이에 위치된다.
이와 같은 구조는 전체적인 도어의 각 부품들을 표준화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여 제작 및 설치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상부 프레임(110)에서 리니어 모터 고정장 장착부(111)의 폭방향 양측에 주행 레일부(112)가 배치된다.
따라서 상부 프레임(110)에서 리니어 모터 고정장 장착부(111)와 주행 레일부(112)가 전체적으로 차지하는 상하 높이가 대폭 감소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상부 프레임(110)의 상하 높이가 감소되는 만큼 구동 도어 몸체(221) 등의 상하 높이가 증가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문틀 내의 사물의 통과 영역을 확장시킬 수 있다.
또한 상부 프레임(110)과 연동장치 프레임(224) 등을 외부의 시선에서 차단하기 위한 상부 문틀의 높이가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 프레임(110)의 폭방향 중앙에 리니어 모터(130)가 배치되며, 리니어 모터(130)에 의하여 문틀의 폭방향 중앙에 위치한 구동 도어 몸체(221)가 이동되며, 도어 연동장치에 의하여 구동 도어 몸체(221)의 이동에 연동하여 피동 도어 몸체(231)가 2배의 속도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구동 도어 몸체(221)는 길이방향 이동 거리는 피동 도어 몸체(231)의 길이방향 이동 거리의 1/2에 불과하므로, 리니어 모터(130)의 고정자(131)의 길이 또한 감소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 상부 프레임
111 : 리니어 모터 고정자 장착부 112 : 주행 레일부
113 : 고정 도어용 안내 레일부 114 : 피동 도어용 안내 레일부
115 : 고정 도어용 공유 격벽 116 : 피동 도어용 공유 격벽
120 : 하부 가이드부
130 : 리니어 모터
131 : 고정자 132 : 이동자
210 : 고정 도어 조립체
211 : 고정 도어 몸체 212 : 고정 도어용 지지 롤러
213 : 고정 도어용 수직 결합봉 214 : 고정 도어용 상부 프레임
215 : 고정 도어용 연결대 결합구 216 : 고정 도어용 가이드 부재
220 : 구동 도어 조립체
221 : 구동 도어 몸체 222 : 구동 도어용 지지 롤러
223 : 구동 도어용 수직 결합봉 224 : 연동장치 프레임
225 : 고정 볼트 226 : 구동 도어용 가이드 부재
227a : 풀리 227b : 견인용 벨트
227c : 제1연결대 227d : 제2연결대
228 : 이동트랙 몸체
228a : 리니어 모터 이동자 장착부 228b : 롤러 장착부
228c : 구동 도어용 안내 레일부 229 : 주행 롤러
230 : 피동 도어 조립체
231 : 피동 도어 몸체 232 : 피동 도어용 지지 롤러
233 : 피동 도어용 수직 결합봉 234 : 피동 도어용 상부 프레임
235 : 피동 도어용 연결대 결합구 236 : 피동 도어용 가이드 부재

Claims (3)

  1. 폭방향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니어 모터 고정자 장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리니어 모터 고정자 장착부의 폭방향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주행 레일부가 형성되는 상부 프레임 ;
    폭방향 중앙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니어 모터 이동자 장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리니어 모터 이동자 장착부의 폭방향 양측으로부터 폭방향 외측으로 각각 연장되어 상기 주행 레일부에서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롤러 장착부를 포함하는 이동트랙 몸체 ;
    상기 롤러 장착부에 장착되어 상기 이동트랙 몸체가 상기 주행 레일부를 따라 주행하도록 이루어진 주행롤러 ;
    상기 리니어 모터 고정자 장착부에 배치되는 고정자와, 상기 리니어 모터 이동자 장착부에 배치되는 이동자를 포함하는 리니어 모터 ;
    상기 이동트랙 몸체의 하부에서 상기 이동트랙 몸체에 고정되는 연동장치 프레임과, 상기 연동장치 프레임에 마련되는 한 쌍의 풀리와, 상기 한 쌍의 풀리에 장착되어 폐루프를 형성하는 견인용 벨트와, 상기 견인용 벨트의 일측에 마련되는 제1연결대와, 상기 견인용 벨트의 타측에 마련되는 제2연결대를 포함하는 도어 연동장치 ;
    상기 연동장치 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며 하부에 구동 도어용 지지 롤러가 마련되는 구동 도어 몸체 ;
    상기 구동 도어 몸체의 폭방향 일측에 배치되되 상부에 상기 제1연결대와 결합되는 고정 도어용 연결대 결합구가 마련되는 고정 도어 몸체 ;
    상기 구동 도어 몸체의 폭방향 타측에 배치되되 상부에 상기 제2연결대와 결합되는 피동 도어용 연결대 결합구가 마련되며 하부에 피동 도어용 지지 롤러가 마련되는 피동 도어 몸체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연동형 자동 도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은 상기 주행 레일부의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피동 도어용 안내 레일부가 형성되며,
    상기 피동 도어 몸체의 상부에는 상기 피동 도어용 안내 레일부에 삽입되어 상기 피동 도어 몸체의 이동을 안내하는 피동 도어용 가이드 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이동트랙 몸체는 상기 리니어 모터 이동자 장착부의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구동 도어용 안내 레일부가 형성되며,
    상기 도어 연동장치의 상부에는 상기 구동 도어용 안내 레일부에 삽입되는 구동 도어용 가이드 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피동 도어용 가이드 부재 및 상기 구동 도어용 가이드 부재는 서로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연동형 자동 도어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피동 도어용 안내 레일부와 상기 주행 레일부는 피동 도어용 공유 격벽을 서로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연동형 자동 도어 시스템.
KR1020220019526A 2022-02-15 2022-02-15 리니어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연동형 자동 도어 시스템 KR1024582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9526A KR102458229B1 (ko) 2022-02-15 2022-02-15 리니어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연동형 자동 도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9526A KR102458229B1 (ko) 2022-02-15 2022-02-15 리니어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연동형 자동 도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8229B1 true KR102458229B1 (ko) 2022-10-24

Family

ID=83805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9526A KR102458229B1 (ko) 2022-02-15 2022-02-15 리니어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연동형 자동 도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8229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4385U (ko) * 1989-12-19 1991-08-27
KR100724597B1 (ko) 2005-11-04 2007-06-04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간질환 진단용 면역스트립 판독기
KR200439141Y1 (ko) 2007-04-06 2008-03-21 안중식 3중 슬라이딩도어의 연동장치
KR100880272B1 (ko) 2008-04-15 2009-01-30 (주)지온네트웍스 슬라이딩 도어의 연동장치
KR101174852B1 (ko) 2009-11-12 2012-08-17 송진화 미닫이 도어 조립체
KR101195057B1 (ko) 2011-03-28 2012-10-29 코르텍 주식회사 반자동 및 연동형 3중 미닫이 도어 조립체
KR101570469B1 (ko) 2014-08-05 2015-11-19 (주)아도 연동형 자동 도어 시스템
KR101884785B1 (ko) 2018-01-05 2018-08-02 방호근 자동문 구동장치
KR102174447B1 (ko) * 2020-02-21 2020-11-05 (주)씨넷 리니어 모터로 구동되는 자동문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4385U (ko) * 1989-12-19 1991-08-27
KR100724597B1 (ko) 2005-11-04 2007-06-04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간질환 진단용 면역스트립 판독기
KR200439141Y1 (ko) 2007-04-06 2008-03-21 안중식 3중 슬라이딩도어의 연동장치
KR100880272B1 (ko) 2008-04-15 2009-01-30 (주)지온네트웍스 슬라이딩 도어의 연동장치
KR101174852B1 (ko) 2009-11-12 2012-08-17 송진화 미닫이 도어 조립체
KR101195057B1 (ko) 2011-03-28 2012-10-29 코르텍 주식회사 반자동 및 연동형 3중 미닫이 도어 조립체
KR101570469B1 (ko) 2014-08-05 2015-11-19 (주)아도 연동형 자동 도어 시스템
KR101884785B1 (ko) 2018-01-05 2018-08-02 방호근 자동문 구동장치
KR102174447B1 (ko) * 2020-02-21 2020-11-05 (주)씨넷 리니어 모터로 구동되는 자동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45720A (en) Magnetic-levitation vehicle with auxiliary magnetic support at track-branch locations
US7013605B2 (en) Door suspension apparatus
CN103485673B (zh) 一种地铁非接触式屏蔽门单元和系统
JPH088726B2 (ja) 負荷の低摩擦輸送のための磁力装置
HU9300292D0 (en) Personal lift without cable
KR20100090406A (ko) 추진 및 안내 일체형 튜브 운송 시스템
CN107207207A (zh) 机械一体化的推进引导装置
KR102458229B1 (ko) 리니어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연동형 자동 도어 시스템
CN102652203B (zh) 用于控制门运动的磁性装置及其方法
US5343811A (en) Magnetic power system for low-friction transportation of loads
KR20010077501A (ko) 선형유도모터를 차량바닥에 장착한 피알티시스템
CN109552066A (zh) 一种地下公交系统
JPH06169824A (ja) 引出し用ガイド
BR102014028347A2 (pt) montagem de porta deslizante articulada e duplamente articulada e veículo ferroviário
CN205638021U (zh) 一种磁悬浮自动平移门的门扇调节组件
CN221032211U (zh) 一种滑动门缓冲装置
KR200372381Y1 (ko) 자동도어의 개폐 장치
JPH04148785A (ja) エレベータ駆動装置
US11148907B2 (en) Elevator entryway with magnetic guidance for controlling door panel motion
CN220167864U (zh) 一种在平台上水平移动的开门结构
KR200157865Y1 (ko) 리니어 모터를 이용한 스태커 타입 주차설비
KR102149715B1 (ko) 움직도르래를 이용한 도어 구동장치
CN207381722U (zh) 一种带灰尘清理功能的隔离开关柜
KR200157867Y1 (ko) 리니어 모터를 이용한 주차설비
EP1217161A2 (en) Door suspension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