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7703B1 - 개스스프링과 움직도르래를 이용한 반자동식 3연동 도어 - Google Patents

개스스프링과 움직도르래를 이용한 반자동식 3연동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7703B1
KR102067703B1 KR1020190110465A KR20190110465A KR102067703B1 KR 102067703 B1 KR102067703 B1 KR 102067703B1 KR 1020190110465 A KR1020190110465 A KR 1020190110465A KR 20190110465 A KR20190110465 A KR 20190110465A KR 102067703 B1 KR102067703 B1 KR 1020677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pulley
fixed
sliding
gas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0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중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흥정밀
김중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흥정밀, 김중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흥정밀
Priority to KR10201901104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7703B1/ko
Priority to CN201911272304.2A priority patent/CN112459666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7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77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5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fluid-pressure actuators
    • E05F15/56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fluid-pressure actua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36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6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holding sliding wings ope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3/00Accessories for sliding or lifting wings, e.g. pulleys, safety catch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2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2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 E05D15/063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on wheels with fixed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6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7/00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 E05F2017/005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7Springs
    • E05Y2201/478Gas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4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58Members cooperating with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68Pulleys; Whee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50Mounting methods; Positioning
    • E05Y2600/51Screwing or bol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2Bol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스스프링과 움직도르래를 이용한 반자동식 3연동 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별도의 동력을 이용하지 않고 적은 힘으로 슬라이딩 도어를 개폐하도록 하고, 도어의 개폐시에 끼임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며, 제조비용 및 유지관리 비용을 절감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건물 내부에 설치되어 여닫이 방식으로 개폐되는 3연동 도어에 있어서, 제1 도어(D1), 제2 도어(D2) 및 제3 도어(D3)와, 제1 공간부(40a)와, 제2 공간부(40b)와, 제3 공간부(40c)를 포함하는 상부 프레임(40)과, 상기 상부 프레임(40)의 공간부 중 어느 하나의 내부에 수용되어 도어를 슬라이딩시키는 도어 구동부(10)와, 와이어(W)에 의해 상기 도어 구동부(10)와 연결되어 상부 프레임(40)의 공간부 내부에서 슬라이딩 운동하며, 하부가 도어의 상부에 조립되는 슬라이딩 부재(20)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구동부(10)는, 복수의 고정도르래를 구비하여 수직으로 배치되는 평판 형태의 고정판(11)과, 복수의 움직도르래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판(11)과 일정 거리 이격되게 구비되어, 상기 프레임(40) 내부를 슬라이딩 하는 평판 형태의 이동판(12)과, 상기 고정판(11)과 이동판(12)을 서로 연결하는 개스스프링(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개스스프링과 움직도르래를 이용한 반자동식 3연동 도어{SEMIAUTOMATIC THREE LINKAGE DOOR USING GAS SPRING AND RUNNING BLOCK}
본 발명은 개스스프링과 움직도르래를 이용한 반자동식 3연동 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를 수동으로 연 후에는 자동으로 도어가 닫히도록 하고, 적은 힘으로도 도어를 슬라이딩시킬 수 있으며, 도어의 개폐시에 끼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개스스프링과 움직도르래를 이용한 반자동식 3연동 도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슬라이딩식 3연동 도어는, 3개의 도어로 구성되어 이중에서 1개의 도어를 수평방향으로 밀면, 이와 연결된 도어가 같이 슬라이딩 되면서 개폐되는 도어를 의미한다.
이러한 슬라이딩식 3연동 도어(이하 간단히 '3연동 도어'라 한다)는, 각 도어의 상부에 구비된 롤러가 도어 프레임에 구비된 가이드 레일을 타고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한 3연동 도어는, 단일의 도어에 비해 구조는 복잡해지나, 넓은 공간에 설치하기 적합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런데 상기한 수동식 3연동 도어는, 힌지점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미닫이 방식의 도어에 비해 도어의 개폐에 힘이 많이 든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노약자나 어린이는 3연동 도어를 수동으로 개폐하는데 어려움을 겪게 된다.
또한 도어를 수동으로 여닫을 때에 과도한 힘을 가하게 되면, 손이 문틀에 끼는 사고가 발생하기도 한다.
상기한 수동식 3연동 도어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3연동 도어를 자동식으로 구성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 자동식 3연동 도어는, 감속모터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버튼 누름동작, 또는 센서의 감지에 의해 도어를 자동으로 개폐한다.
도 1은 이러한 자동식 3연동 도어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종래의 자동식 3연동 도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도어(D1), 제2도어(D2) 및 제3(D3)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어의 상부에는 한 쌍의 타이밍 풀리(100)가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타이밍 풀리(100)에는 타이밍 벨트(110)가 감겨진다.
상기 타이밍 벨트(110)는, 감속모터(도시 생략)에 의해 정,역회전을 하는 구동풀리(120)에 의해 정,역회전을 한다.
또한 상기 타이밍 벨트(110)는, 제1 도어(D1)의 상부에 구비되는 한 쌍의 고정부재(130)에 의해 제1 도어(D1)의 상부에 연결된다.
상기한 구조의 도어 구동장치에서 구동풀리(120)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면, 타이밍 벨트(110)가 좌우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제1 도어(D1)가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도어(D1)가 우측으로 어느 정도 이동되면, 제1 도어(D1)와 연결부재(도시 생략)에 의해 연결된 제2 도어(D2)를 같이 끌고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1 도어(D1)가 우측으로 완전히 이동하면, 도 1의 아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도어(D2)가 제3 도어(D3)의 전면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제2 도어(D2)의 전면에는 제1 도어(D3)가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문을 닫을 경우에는, 제1 도어(D1)가 왼쪽으로 이동하면서 제2 도어(D2)를 끌고 나가게 된다.
상기한 3연동 도어에서는, 제3 도어(D3)는 움직이지 않고, 제1 도어(D1)와 제2 도어(D2)만 슬라이딩 하면서 도어를 개폐하게 된다.
상기한 자동식 3연동 도어는, 사용자의 버튼 조작 또는 센서의 감지에 의해 도어가 자동으로 개폐되므로, 노약자나 어린이도 쉽게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자동식 3연동 도어는, 전원을 필요로 하고, 도어 구동장치의 크기가 커져 설치가 용이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감속모터 및 센서를 구비해야 하므로 가격이 고가이고, 고장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며, 유지관리 비용이 많이 든다는 문제점이 있다
KR 10-1738897 B1 KR 10-1630300 B1 KR 10-2017-0005974 A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별도의 동력을 이용하지 않고, 적은 힘으로도 3연동 도어를 개폐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노약자나 어린이도 손쉽게 3연동 도어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도어의 개폐시에 끼임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자동식 3연동 도어에 비해 구조를 단순화시켜 크기를 감소시키고, 제조비용 및 유지관리 비용을 절감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도어의 폭에 관계없이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반자동식 3연동 도어는, 건물 내부에 설치되어 여닫이 방식으로 개폐되는 3연동 도어에 있어서, 제1 도어, 제2 도어 및 제3 도어와, 제1 공간부와, 제2 공간부와, 제3 공간부를 포함하는 상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의 공간부 중 어느 하나의 내부에 수용되어 도어를 슬라이딩시키는 도어 구동부와, 와이어에 의해 상기 도어 구동부와 연결되어 상부 프레임의 공간부 내부에서 슬라이딩 운동하며, 하부가 도어의 상부에 조립되는 슬라이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구동부는, 복수의 고정도르래를 구비하여 수직으로 배치되는 평판 형태의 고정판과, 복수의 움직도르래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판과 일정 거리 이격되게 구비되어, 상기 프레임 내부를 슬라이딩하는 평판 형태의 이동판과, 상기 고정판과 이동판을 서로 연결하는 개스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 프레임의 제1 공간부 및 제3 공간부의 상부에는, 이동판 상부 가이드 레일 및 이동판 하부 가이드 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의 제1 공간부 및 제3 공간부의 하부에는, 슬라이딩 부재 상부 가이드 레일 및 하부 가이드 레일이 구비되며, 상기 상부 프레임의 중앙에 위치하는 제2 공간부의 상부에는, 롤러 상부 가이드 레일 및 롤러 하부 가이드 레일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도어와 제3 도어의 상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양단에 구비되는 제1휘일 및 제2휘일과, 상기 제1휘일과 제2휘일에 루프 형태로 감겨지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일측에 고정되어 제1 도어의 슬라이딩 부재와 연결되며, 도어의 이동에 따라 와이어와 함께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연결 브래킷과, 상기 와이어의 타측에 고정되어 제3 도어의 슬라이딩 부재와 연결되며, 도어의 이동에 따라 와이어와 함께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 연결 브래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도어 및 제3 도어의 하부 일단부에, 제2 도어의 하부와 연결되도록 하는 하부 연결 브래킷이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 연결 브래킷은, 제1 도어 및 제3 도어의 측면에 수직으로 구비되어 볼트에 의해 체결되는 수직 브래킷과, 제1 도어 및 제3 도어의 하면에 수평으로 구비되는 수평 브래킷과, 상기 수평 브래킷에 구비되는 가이드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도어 및 제3 도어의 단부에 조립되는 하부 연결 브래킷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 도어의 하단에, 제1 도어 및 제3 도어에 조립된 가이드 롤러가 각각 슬라이딩 되도록 가이드 홈이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판의 일면에는, 제1 고정도르래, 제2 고정도르래 및 제3 고정도르래가 구비되고, 상기 이동판의 일면에는, 제1 움직도르래, 제2 움직도르래 및 제3 움직도르래가 구비되며, 상기 이동판의 타면에는, 제1 이송휘일, 제2 이송휘일, 제3 이송휘일 및 제4 이송휘일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판의 타면에 구비된 이송휘일 중, 제2 이송휘일과 제4 이송휘일은, 프레임에 구비된 이동판 상부 가이드 레일을 타고 슬라이딩하고, 제1 이송휘일과 제3 이송휘일은 프레임에 구비된 이동판 하부 가이드 레일을 타고 슬라이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와이어는, 일단이 고정판에 구비된 와이어 고정부에 의해 고정되고, 이동판의 제1 움직도르래, 고정판의 제1 고정도르래, 이동판의 제3 움직도르래 및 제2 움직도르래, 고정판의 제2 고정도르래 및 제3 고정도르래에 차례로 감긴 후, 타단이 슬라이딩 부재의 상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스스프링은, 일단이 상기 고정판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이동판에 고정되어, 도어의 상부와 조립된 슬라이딩 부재의 이동에 의해 수축되고, 외력이 제거되면 다시 원래의 상태로 신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프레임의 내면 하부를 따라 슬라이딩하는 복수의 슬라이딩 롤러와, 상기 슬라이딩 롤러를 고정하는 롤러 고정부와, 상기 롤러 고정부의 하부에서 수평방향 회전이 가능하도록 조립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회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도어의 상부에 조립되는 도어 연결부재와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부재의 양단에, 도어 연결부재의 고정볼트를 수용하기 위한 볼트 수용홈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볼트 수용홈은 U자 형상으로 일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부재의 양단에 구비되는 볼트 수용홈은, 서로 반대방향을 향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 도어가 완전히 개방되었을 때 제1 도어의 상부를 일시적으로 고정하는 도어 홀딩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 홀딩부재는, 상부 프레임의 단부에 고정되는 프레임 브래킷과, 상기 프레임 브래킷과 조립되는 고정부재와, 도어의 상부 일단에 구비되는 도어 브래킷과, 상기 도어 브래킷과 조립되는 끼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한 쌍의 볼과, 상기 볼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을 지지하는 지지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끼움부재는, 상기 한 쌍의 볼이 안착되도록 하는 오목부와, 상기 오목부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볼을 통과한 후 고정부재에 고정되는 볼록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개스스프링과 움직도르래의 원리를 응용하여 도어를 구동시키는 방식이므로, 수동으로 도어를 연 후에는 도어가 자동으로 닫히게 된다.
또한 복수의 움직도르래에 의해 도어를 여는 힘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노약자나 어린이도 쉽게 도어를 열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어가 3개 이상인 경우에도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어의 개폐가 개스스프링의 힘에 의해 구동되므로, 사용자가 도어에 끼인다 하더라고 상해를 입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어 구동부가 상부 프레임의 내부에 완전히 수용되는 구조이므로, 도어 구동부의 크기가 감소되고 구조가 간단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감속모터나 센서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구조가 간단한 개스스프링을 사용하므로, 고장의 발생이 적고 유지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어의 폭이 변화하더라도 도어 구동장치를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자동식 3연동 도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반자동식 3연동 도어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반자동식 3연동 도어에서 도어를 개방하는 과정을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반자동식 3연동 도어에서 도어 구동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반자동식 3연동 도어에서 도어 구동부의 배면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반자동식 3연동 도어에서 상부 프레임과 도어 구동부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반자동식 3연동 도어의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반자동식 3연동 도어가 개방될 때 슬라이딩 부재의 이동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반자동식 3연동 도어에서 도어가 개방되는 과정을 나타낸 저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반자동식 3연동 도어에서 연결부재의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반자동식 3연동 도어의 하부 조립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반자동식 3연동 도어의 하부 연결 브래킷을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반자동식 3연동 도어의 슬라이딩 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반자동식 3연동 도어에서 홀딩부재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반자동식 3연동 도어에서 도어 홀딩부재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개스스프링과 움직도르래를 이용한 반자동식 3연동 도어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도어(D1), 제2 도어(D2) 및 제3 도어(D3)와, 제1 공간부(40a)와, 제2 공간부(40b)와, 제3 공간부(40c)를 포함하는 상부 프레임(40)과, 상기 상부 프레임(40)의 공간부 중 어느 하나의 내부에 수용되어 도어를 슬라이딩시키는 도어 구동부(10)와, 와이어(W)에 의해 상기 도어 구동부(10)와 연결되어 상부 프레임(40)의 공간부 내부에서 슬라이딩 운동하며, 하부가 도어의 상부에 조립되는 슬라이딩 부재(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도어 구동부(1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고정도르래를 구비하여 수직으로 배치되는 평판 형태의 고정판(11)과, 복수의 움직도르래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판(11)과 일정 거리 이격되게 구비되어, 상기 프레임(40) 내부를 슬라이딩 하는 평판 형태의 이동판(12)과, 상기 고정판(11)과 이동판(12)을 서로 연결하는 개스스프링(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개스스프링(13)은, 로드(Rod)를 수축시킨 후 외력을 제거하면 다시 본래의 위치로 천천히 복귀하는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수동으로 도어를 열어 개스스프링(13)을 수축시킨 후 외력을 제거하면, 개스스프링(13)의 복원력에 의해 도어가 자동으로 닫히게 된다.
또한 상기 개스스프링(13)은, 그 힘이 작고 복원속도가 느리므로, 도어가 닫힐 때 손이나 몸이 끼이게 되면 도어가 정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도어의 개폐시에 상해를 입을 염려가 없다.
또한 상기 개스스프링(13)은, 그 크기가 작으므로 도어 구동부의 크기를 줄일 수가 있고, 도어 구동부가 수용되는 상부 프레임(40)의 크기도 줄일 수가 있다.
또한 전원에 의해 작동하는 자동식 슬라이딩 도어에 비해, 고장이 발생할 가능성이 낮고 유지보수도 간편해진다.
즉 본 발명의 상부 프레임(40)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공간부(40a), 제2 공간부(40b) 및 제3 공간부(40c)로 구성되며, 상기 제1 공간부(40a)와 제3 공간부(40c)를 단면이 동일한 형성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도어 구동부(10)를 제1 공간부(40a)와 제3 공간부(40c)의 어느 쪽에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상부 프레임(40)의 제1 공간부(40a) 및 제3 공간부(40c)의 상부에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판 상부 가이드 레일(41) 및 이동판 하부 가이드 레일(42)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상부 프레임(40)의 제1 공간부(40a) 및 제3 공간부(40c)의 하부에는, 슬라이딩 부재 상부 가이드 레일(43) 및 하부 가이드 레일(44)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프레임(40)의 중앙에 위치하는 제2 공간부(40b)의 상부에는, 롤러 상부 가이드 레일(45) 및 롤러 하부 가이드 레일(46)이 구비되어, 슬라이딩 부재(20)가 슬라이딩 되도록 한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40)의 일측 공간부 상부에는 도어 구동부(10)가 조립되고, 하부에는 상기 도어 구동부(10)와 연결된 슬라이딩 부재(20)가 조립된다.
그리고 타측 공간부에는 하부에 슬라이딩 부재(20)만 조립된다.
또한 중앙의 제2 공간부(40b) 상부에는 슬라이딩 부재(20)가 조립되고, 하부에는 후술한 연결부재(C)가 구비된다.
본 발명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도어(D1)와 제3 도어(D3)의 상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C)를 더 구비한다.
상기 연결부재(C)는, 중앙의 제2 공간부(40b) 하부에 구비되어 제2 도어(D2)가 제1 도어(D1)와 제3 도어(D3)와 서로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연결부재(C)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에 구비되는 제1휘일(R11) 및 제2휘일(R12)과, 상기 제1휘일(R11)과 제2휘일(R12)에 루프 형태로 감겨지는 와이어(W)와, 상기 와이어(W)의 일측에 고정되어 제1 도어(D1)의 슬라이딩 부재(20)와 연결되며, 도어의 이동에 따라 와이어와 함께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연결 브래킷(C1)과, 상기 와이어(W)의 타측에 고정되어 제3 도어(D3)의 슬라이딩 부재(20)와 연결되며, 도어의 이동에 따라 와이어와 함께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 연결 브래킷(C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구조에 의해 제1 도어(D1)가 수평으로 이동하면,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부재(C1)에 의해 연결된 제2 도어(D2)도 같이 따라 움직이게 되며, 제1 도어(D1)를 완전히 개방하면 3개의 도어가 겹쳐지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도어(D1) 및 제3 도어(D3)의 하부 일단부에, 제2 도어(D2)의 하부와 연결되도록 하는 하부 연결 브래킷(50)이 각각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 연결 브래킷(50)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도어(D1) 및 제3 도어(D3)의 측면에 수직으로 구비되어 볼트에 의해 체결되는 수직 브래킷(51)과, 제1 도어(D1) 및 제3 도어(D3)의 하면에 수평으로 구비되는 수평 브래킷(52)과, 상기 수평 브래킷(52)에 구비되는 가이드 롤러(5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도어(D1) 및 제3 도어(D3)의 단부에 조립되는 하부 연결 브래킷(50)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조립된다.
또한 제2 도어(D2)의 하단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도어(D1) 및 제3 도어(D3)에 조립된 가이드 롤러(53)가 각각 슬라이딩 되도록 가이드 홈(54)이 각각 구비된다.
상기한 구조에 의해, 제1 도어(D1)를 슬라이딩시킬 때 제1 도어(D1)의 하부와 연결된 가이드 롤러(53)는 제2 도어(D2)의 하부에 형성된 가이드 홈(54)을 타고 슬라이딩한다.
또한 제2 도어(D2)가 제1 도어(D1)와 함께 슬라이딩 될 때, 제3 도어(D3)와 연결된 가이드 롤러(53)는 제2 도어(D2)에 형성된 가이드 홈(54)에 안내된다.
이로써 제1 도어(D1) 및 제2 도어(D2)의 슬라이딩 운동시 도어의 하부가 흔들리지 않고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어 구동부(10)를 구성하는 고정판(11)의 일단부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플레이트(11b)가 구비되어 상부 프레임(40)의 단부에 고정된다.
상기 고정판(11)은 도어의 개폐시에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판(12)은, 개스스프링(13)의 신축에 의해 상부 프레임(40)의 상부 내에서 슬라이딩 운동을 한다.
또한 상부 프레임(40)의 하부에는, 슬라이딩 부재(20)가 도어의 상부와 연결되어 슬라이딩 운동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부재(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도어(D1)의 상부에 2개로 구비되며, 이중 하나(도 2에서 왼쪽)만 와이어(W)에 의해 도어 구동부(10)와 연결된다.
즉 도 2에서 오른쪽의 슬라이딩 부재(20)는, 와이어(W)의 연결이 없이 상부 프레임(40)의 하부에서 슬라이딩 운동만을 한다.
또한 제2 도어(D2) 및 제3 도어(D3)의 상부에도 각각 2개의 슬라이딩 부재(20)가 구비되어 상부 프레임(40)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운동을 한다.
그리고 도어 구동부(10)의 고정판(11)의 일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고정도르래(R1), 제2 고정도르래(R2) 및 제3 고정도르래(R3)가 구비되고, 상기 이동판(12)의 일면에는, 제1 움직도르래(R4), 제2 움직도르래(R5) 및 제3 움직도르래(R6)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판(12)의 타면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이송휘일(R7), 제2 이송휘일(R8), 제3 이송휘일(R9) 및 제4 이송휘일(R10)이 구비된다.
상기 고정판(11)은 한 면에만 복수의 고정도르래(R1,R2,R3)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는 상기 고정판(11)이 프레임(40) 내부에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비하여 이동판(12)의 한 면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판(11)의 고정도르래와 와이어(W)에 의해 연결되는 복수의 움직도르래(R4,R5,R6)가 구비되어 있고, 타면에는 복수의 이송휘일(R7,R8,R9,R10)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이동판(12)의 타면에 구비되는 복수의 이송휘일(R7,R8,R9,R10)은, 와이어가 감기지 않고 이동판(12)이 상부 프레임(40) 내부에서 이동할 때 이를 가이드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판(12)의 타면에 구비된 이송휘일 중, 제2 이송휘일(R8)과 제4 이송휘일(R1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40)에 구비된 이동판 상부 가이드 레일(41)을 타고 슬라이딩하도록 약간 위쪽에 구비되고, 제1 이송휘일(R7)과 제3 이송휘일(R9)은 상부 프레임(40)에 구비된 이동판 하부 가이드 레일(42)을 타고 슬라이딩하도록 하도록 약간 아래쪽에 구비된다.
이는 상기 이동판(12)이 상부 프레임(40) 내부에서 안정적으로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도어 구동부(10)와 슬라이딩 부재(20)를 연결하는 와이어(W)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고정판(11)에 구비된 와이어 고정부(11a)에 의해 고정되고, 이동판(12)의 제1 움직도르래(R4), 고정판(11)의 제1 고정도르래(R1), 이동판(12)의 제3 움직도르래(R6) 및 제2 움직도르래(R5), 고정판(11)의 제2 고정도르래(R2) 및 제3 고정도르래(R3)에 차례로 감긴 후, 타단이 슬라이딩 부재(20)의 상부에 고정된다.
상기한 움직도르래를 이용한 와이어링 방식에 의하면, 개스스프링(13)을 수축시키는 힘을 4개의 와이어가 분담하게 되므로, 개스스프링(13)을 수축시키는데 필요한 힘을 1/4로 줄일 수가 있다.
도면에는 개스스프링(13)을 수축시키기 위한 힘을 분담하는 움직도르래가 2개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움직도르래의 개수는 도어의 크기에 따라 더 증가시킬 수도 있다.
예컨대 고정판에 3개의 고정도르래, 이동판에 3개의 움직도르래를 배치하면 개스스프링(6)을 수축시키는데 필요한 힘을 1/6로 줄일 수가 있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W)는,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상기 와이어(W) 대신에 타이밍 벨트와 풀리를 사용하여 도어 구동부(10)와 슬라이딩 부재(20)를 연결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부 프레임(40)의 내부를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 부재(2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40)의 내면 하부를 따라 슬라이딩하는 복수의 슬라이딩 롤러(21)와, 상기 슬라이딩 롤러(21)를 고정하는 롤러 고정부(22)와, 상기 롤러 고정부(22)의 하부에서 수평방향 회전이 가능하도록 조립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회전부재(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딩 부재(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와이어(W)에 의해 연결되어 도어 구동부(10)와 연결되고, 하부가 제1 도어(D1)의 상부와 연결되어 상부 프레임(40)의 하부에서 슬라이딩 운동을 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부재(20)의 하부에 조립되는 회전부재(23)의 양단에는, 도어 연결부재(24)의 고정볼트(24a)를 수용하기 위한 볼트 수용홈(23a)이 각각 구비된다.
상기 볼트 수용홈(23a)은 U자 형상으로 일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며, 회전부재(23)의 양단에 구비되는 볼트 수용홈(23a)은 서로 반대방향을 향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조에 의해, 각 도어와 슬라이딩 부재(20)를 쉽게 조립할 수 있고, 도어가 안정적으로 원활하게 슬라이딩 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어의 폭이 변화하더라도 도어 구동부(10)를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제1 도어(D1)가 완전히 개방되었을 때 도어의 상부를 일시적으로 고정하는 도어 홀딩부재(3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도어 홀딩부재(3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40)의 단부에 고정되는 프레임 브래킷(31)과, 상기 프레임 브래킷(31)과 조립되는 고정부재(32)와, 제1 도어(D1)의 상부 일단에 구비되는 도어 브래킷(33)과, 상기 도어 브래킷(33)과 조립되는 끼움부재(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재(32)는 상부 프레임(40)의 단부에 고정되고, 끼움부재(34)는 도어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어 서로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32)는,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한 쌍의 볼(32a)과, 상기 볼(32a)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32b)과, 상기 스프링을 지지하는 지지볼트와, 상기 프레임 브래킷(33)과 조립하기 위한 볼트홀(32c)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끼움부재(34)는, 상기 한 쌍의 볼(32a)이 안착되도록 하는 오목부(34a)와, 상기 오목부(34a)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볼(32a)을 통과한 후 고정부재(32)에 고정되는 볼록부(34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끼움부재(34)는 ㄴ자 형상의 도어 브래킷(33)과 조립되고, 상기 도어 브래킷(33)은 볼트홀(33b)에 의해 도어의 상부와 조립된다.
상기한 구조에 의해, 제1 도어(D1)를 완전히 개방하여 상기 끼움부재(34)의 볼록부(34a)가 상기 볼(32a)의 탄성력을 넘어서서 고정부재(32)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완전히 개방된 도어가 외력을 가하지 않는 한 그 상태를 계속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반자동식 3연동 도어의 작동과정을 도 3 및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사용자가 도어의 손잡이를 잡고 우측으로 밀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도어(D1)의 상부에 연결된 슬라이딩 부재(20)가 우측으로 슬라이딩 되면서, 이동판(12)이 개스스프링(13)을 수축시키면서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도어(D2)의 상부에 구비된 2개의 슬라이딩 부재(20)도 같이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제2 도어(D2)를 이동시킨다.
본 발명에 의하면, 2개의 움직도르래에 의해 개스스프링(13)을 수축시키는 힘이 1/4로 줄어들게 되므로, 적은 힘으로도 도어를 열수가 있다.
상기 도어를 일정 폭으로 열고 문을 통과하게 되면, 수축되어 있던 개스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개스스프링이 원래의 상태로 신장되기 시작한다.
이에 따라 이동판(12)을 오른쪽으로 밀게 되고, 도어는 왼쪽으로 이동하면서 자동으로 닫히게 된다.
만일 도어를 일정 시간 열어둘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도어를 완전히 열어 우측 상부에 구비된 끼임부재(34)가 상부 프레임(40)의 고정부재(32)에 고정되도록 한다. 그러면 도 3(c) 및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도어가 겹쳐지는 상태가 되면서 개방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도어를 닫을 때에는, 제1 도어(D1)를 왼쪽으로 밀어 상기 도어의 끼임부재(34)가 상부 프레임(40)의 고정부재(32)로부터 이탈되도록 한다.
그러면 개스스프링(13)이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신장되면서 이동판(12)을 오른쪽으로 밀기 시작한다. 이에 따라 도어는 왼쪽으로 이동하면서 자동적으로 닫히게 된다.
수동식 3연동 도어는, 도어의 개폐에 힘이 많이 들어 노약자나 어린이가 사용하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감속모터를 구비한 자동식 슬라이딩 도어는, 구조가 복잡하고 설치가 어려우며 가격이 고가라는 단점이 있다.
또한 자동식 3연동 도어는, 도어의 개폐가 모터의 힘에 의해 강제적으로 이루어지므로, 도어의 개폐시 끼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충격방지용 댐퍼나 센서를 구비하기도 하는데, 이 경우에는 가격이 상승하게 된다.
이에 비해 본 발명은, 가격이 저렴하고 크기가 작은 개스스프링을 이용하므로, 제조비용을 줄일 수가 있고 도어 구동부의 크기를 줄일 수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개스스프링과 움직도르래를 함께 이용하므로, 개스스프링을 수축시키는 힘을 분산시켜 적은 힘으로 개스스프링을 수축시킬 수가 있다.
이에 따라 노약자나 어린이도 슬라이딩 도어를 쉽게 열도록 할 수가 있다.
또한 상부 프레임의 내부에 도어 구동부가 모두 내장되는 구조이므로 설치작업이 간편해진다.
또한 개스스프링의 복원력이 크지 않으므로, 도어가 닫힐 때 손이나 몸이 문틀에 끼더라도 상해를 입을 염려가 없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아니한다.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다는 것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예컨대 본 발명은 3연동 도어 뿐만 아니라 4개 이상의 도어에도 적용될 수 있다.
10: 도어 구동부 11: 고정판
12: 이동판 13: 개스 스프링(Gas Spring)
20: 슬라이딩(Sliding)부재 21: 슬라이딩 롤러(Sliding Roller)
22: 롤러 고정부 22a: 와이어(Wire) 고정볼트
23: 회전부재 23a: 볼트 수용홈
24: 도어 연결부재 24a: 고정볼트
30: 도어 홀딩부재 31: 프레임 브래킷(Frame Bracket)
32: 고정부재 32a: 볼(Ball)
32b: 스프링(Spring) 32c: 볼트 홀(Bolt Hole)
33: 도어 브래킷(Door Bracket) 34: 끼움부재
34a: 오목부 34b: 볼록부
40: 상부 프레임(Frame) 40a: 제1 공간부
40b: 제2 공간부 40c: 제3 공간부
41: 이동판 상부 가이드 레일(Guide Rail)
42: 이동판 하부 가이드 레일 43: 슬라이딩 부재 상부 가이드 레일
44: 슬라이딩 부재 하부 가이드 레일 45: 롤러 상부 가이드 레일
46: 롤러 하부 가이드 레일 47: 리벳(Rivet)
50: 하부 연결 브래킷 51: 수직 브래킷
51a: 볼트 체결공 52: 수평 브래킷
53: 가이드 롤러(Guide Roller) 54: 가이드 홈
C: 연결부재 C1: 제1 연결 브래킷
C2: 제2 연결 브래킷 D1: 제1 도어
D2: 제2 도어 D3: 제3 도어
R1: 제1 고정도르래 R2: 제2 고정도르래
R3: 제3 고정도르래 R4: 제1 움직도르래
R5: 제2 움직도르래 R6: 제3 움직도르래
R7: 제1 이송휘일(Wheel) R8: 제2 이송휘일
R9: 제3 이송휘일 R10: 제4 이송휘일
R11: 제1휘일 R12: 제2휘일
W: 와이어(Wire)
100: 타이밍 풀리(Timing Pulley) 110: 타이밍 벨트(Timing Belt)
120: 구동풀리 130: 고정부재

Claims (16)

  1. 건물 내부에 설치되어 여닫이 방식으로 개폐되는 3연동 도어에 있어서,
    제1 도어(D1), 제2 도어(D2) 및 제3 도어(D3)와,
    제1 공간부(40a)와, 제2 공간부(40b)와, 제3 공간부(40c)를 포함하는 상부 프레임(40)과,
    상기 상부 프레임(40)의 공간부 중 어느 하나의 내부에 수용되어 도어를 슬라이딩시키는 도어 구동부(10)와,
    와이어(W)에 의해 상기 도어 구동부(10)와 연결되어 상부 프레임(40)의 공간부 내부에서 슬라이딩 운동하며, 하부가 도어의 상부에 조립되는 슬라이딩 부재(20)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구동부(10)는,
    복수의 고정도르래를 구비하여 수직으로 배치되는 평판 형태의 고정판(11)과,
    복수의 움직도르래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판(11)과 일정 거리 이격되게 구비되어, 상기 상부 프레임(40) 내부를 슬라이딩 하는 평판 형태의 이동판(12)과,
    상기 고정판(11)과 이동판(12)을 서로 연결하는 개스스프링(13)을 포함하며,
    상기 도어 구동부(10)의 고정판(11)의 일면에는, 제1 고정도르래(R1), 제2 고정도르래(R2) 및 제3 고정도르래(R3)가 구비되고,
    상기 도어 구동부(10)의 이동판(12)의 일면에는, 제1 움직도르래(R4), 제2 움직도르래(R5) 및 제3 움직도르래(R6)가 구비되며,
    상기 이동판(12)의 타면에는, 제1 이송휘일(R7), 제2 이송휘일(R8), 제3 이송휘일(R9) 및 제4 이송휘일(R10)이 구비되고,
    상기 이동판(12)의 타면에 구비된 이송휘일 중, 제2 이송휘일(R8)과 제4 이송휘일(R10)은, 상기 상부 프레임(40)의 상부에 구비된 이동판 상부 가이드 레일(41)을 타고 슬라이딩하고,
    제1 이송휘일(R7)과 제3 이송휘일(R9)은, 프레임(40)의 상부에 구비된 이동판 하부 가이드 레일(42)을 타고 슬라이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스프링과 움직도르래를 이용한 반자동식 3연동 도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40)의 제1 공간부(40a) 및 제3 공간부(40c)의 상부에는, 이동판 상부 가이드 레일(41) 및 이동판 하부 가이드 레일(42)이 구비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40)의 제1 공간부(40a) 및 제3 공간부(40c)의 하부에는, 슬라이딩 부재 상부 가이드 레일(43) 및 하부 가이드 레일(44)이 구비되며,
    상기 상부 프레임(40)의 중앙에 위치하는 제2 공간부(40b)의 상부에는, 롤러 상부 가이드 레일(45) 및 롤러 하부 가이드 레일(46)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스프링과 움직도르래를 이용한 반자동식 3연동 도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어(D1)와 제3 도어(D3)의 상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C)를 더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재(C)는,
    양단에 구비되는 제1휘일(R11) 및 제2휘일(R12)과,
    상기 제1휘일(R11)과 제2휘일(R12)에 루프 형태로 감겨지는 와이어(W)와,
    상기 와이어(W)의 일측에 고정되어 제1 도어(D1)의 슬라이딩 부재(20)와 연결되며, 도어의 이동에 따라 와이어와 함께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연결 브래킷(C1)과,
    상기 와이어(W)의 타측에 고정되어 제3 도어(D3)의 슬라이딩 부재(20)와 연결되며, 도어의 이동에 따라 와이어와 함께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 연결 브래킷(C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스프링과 움직도르래를 이용한 반자동식 3연동 도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어(D1) 및 제3 도어(D3)의 하부 일단부에, 제2 도어(D2)의 하부와 연결되도록 하는 하부 연결 브래킷(50)이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스프링과 움직도르래를 이용한 반자동식 3연동 도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연결 브래킷(50)은,
    제1 도어(D1) 및 제3 도어(D3)의 측면에 수직으로 구비되어 볼트에 의해 체결되는 수직 브래킷(51)과,
    제1 도어(D1) 및 제3 도어(D3)의 하면에 수평으로 구비되는 수평 브래킷(52)과,
    상기 수평 브래킷(52)에 구비되는 가이드 롤러(5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스프링과 움직도르래를 이용한 반자동식 3연동 도어.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어(D1) 및 제3 도어(D3)의 단부에 조립되는 하부 연결 브래킷(50)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스프링과 움직도르래를 이용한 반자동식 3연동 도어.
  7. 제 4 항에 있어서,
    제2 도어(D2)의 하단에, 제1 도어(D1) 및 제3 도어(D3)에 조립된 가이드 롤러(53)가 각각 슬라이딩 되도록 가이드 홈(54)이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스프링과 움직도르래를 이용한 반자동식 3연동 도어.
  8. 삭제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W)는,
    일단이 고정판(11)에 구비된 와이어 고정부(11a)에 의해 고정되고,
    이동판(12)의 제1 움직도르래(R4), 고정판(11)의 제1 고정도르래(R1), 이동판(12)의 제3 움직도르래(R6) 및 제2 움직도르래(R5), 고정판(11)의 제2 고정도르래(R2) 및 제3 고정도르래(R3)에 차례로 감긴 후,
    타단이 슬라이딩 부재(20)의 상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스프링과 움직도르래를 이용한 반자동식 3연동 도어.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스스프링(13)은,
    일단이 상기 고정판(11)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이동판(12)에 고정되어, 도어의 상부와 조립된 슬라이딩 부재(20)의 이동에 의해 수축되고,
    외력이 제거되면 다시 원래의 상태로 신장되면서 이동판(12)을 밀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스프링과 움직도르래를 이용한 반자동식 3연동 도어.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20)는,
    상부 프레임(40)의 내면 하부를 따라 슬라이딩하는 복수의 슬라이딩 롤러(21)와,
    상기 슬라이딩 롤러(21)를 고정하는 롤러 고정부(22)와,
    상기 롤러 고정부(22)의 하부에서 수평방향 회전이 가능하도록 조립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회전부재(2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도어의 상부에 조립되는 도어 연결부재(24)와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스프링과 움직도르래를 이용한 반자동식 3연동 도어.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23)의 양단에, 도어 연결부재(24)의 고정볼트(24a)를 수용하기 위한 볼트 수용홈(23a)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볼트 수용홈(23a)은 U자 형상으로 일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스프링과 움직도르래를 이용한 반자동식 3연동 도어.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23)의 양단에 구비되는 볼트 수용홈(23a)은, 서로 반대방향을 향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스프링과 움직도르래를 이용한 반자동식 3연동 도어.
  15. 제 1 항에 있어서,
    제1 도어(D1)가 완전히 개방되었을 때 제1 도어(D1)의 상부를 일시적으로 고정하는 도어 홀딩부재(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 홀딩부재(30)는,
    상부 프레임(40)의 단부에 고정되는 프레임 브래킷(31)과,
    상기 프레임 브래킷(31)과 조립되는 고정부재(32)와,
    제1 도어(D1)의 상부 일단에 구비되는 도어 브래킷(33)과,
    상기 도어 브래킷(33)과 조립되는 끼움부재(3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스프링과 움직도르래를 이용한 반자동식 3연동 도어.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32)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한 쌍의 볼(32a)과,
    상기 볼(32a)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32b)과,
    상기 스프링(32b)을 지지하는 지지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끼움부재(34)는,
    상기 한 쌍의 볼(32a)이 안착되도록 하는 오목부(34a)와,
    상기 오목부(34a)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볼(32a)을 통과한 후 고정부재(32)에 고정되는 볼록부(34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스프링과 움직도르래를 이용한 반자동식 3연동 도어.
KR1020190110465A 2019-09-06 2019-09-06 개스스프링과 움직도르래를 이용한 반자동식 3연동 도어 KR1020677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0465A KR102067703B1 (ko) 2019-09-06 2019-09-06 개스스프링과 움직도르래를 이용한 반자동식 3연동 도어
CN201911272304.2A CN112459666A (zh) 2019-09-06 2019-12-12 利用气弹簧和动滑轮的半自动式三联动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0465A KR102067703B1 (ko) 2019-09-06 2019-09-06 개스스프링과 움직도르래를 이용한 반자동식 3연동 도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7703B1 true KR102067703B1 (ko) 2020-02-25

Family

ID=69647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0465A KR102067703B1 (ko) 2019-09-06 2019-09-06 개스스프링과 움직도르래를 이용한 반자동식 3연동 도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67703B1 (ko)
CN (1) CN11245966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94726A (zh) * 2020-12-16 2021-04-02 铜陵德兴机械制造有限责任公司 一种密封性强的锅炉下降烟道密封门
CN114961517A (zh) * 2022-06-28 2022-08-30 淄博万邦自动门有限公司 一种电动推拉门传动结构及推拉门
KR20220142020A (ko) * 2021-04-14 2022-10-21 황정연 도어용 반자동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734748B (zh) * 2024-01-10 2024-05-28 今创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轨道车辆包间隔断拉门系统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4276U (ja) * 2008-06-11 2008-08-21 株式会社八木 連結具
KR101030879B1 (ko) * 2009-12-11 2011-04-25 신정철 도어 자동닫힘장치를 구비한 가구
KR20120109207A (ko) * 2011-03-28 2012-10-08 코르텍 주식회사 반자동 및 연동형 3중 미닫이 도어 조립체
JP2013139668A (ja) * 2011-12-28 2013-07-18 Kobayashi Engineering Works Ltd 引戸連動装置
KR101630300B1 (ko) 2015-11-06 2016-06-17 이녹하 3중 슬라이딩 도어의 연동장치
KR20170005974A (ko) 2015-07-07 2017-01-17 동서콘트롤(주) 반자동 3연동 도어 시스템
KR101738897B1 (ko) 2016-04-08 2017-05-24 정영호 3중 연동도어의 연동장치
KR101792618B1 (ko) * 2017-05-18 2017-11-01 한동이엔지 주식회사 반자동 미닫이 도어
CN207358706U (zh) * 2017-09-14 2018-05-15 苏州富强加能精机有限公司 一种具有自锁功能的数控机床移门
KR20180116596A (ko) * 2017-04-17 2018-10-25 (주)엘지하우시스 복합도르래를 이용한 미서기 창호용 자동닫힘장치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4276U (ja) * 2008-06-11 2008-08-21 株式会社八木 連結具
KR101030879B1 (ko) * 2009-12-11 2011-04-25 신정철 도어 자동닫힘장치를 구비한 가구
KR20120109207A (ko) * 2011-03-28 2012-10-08 코르텍 주식회사 반자동 및 연동형 3중 미닫이 도어 조립체
JP2013139668A (ja) * 2011-12-28 2013-07-18 Kobayashi Engineering Works Ltd 引戸連動装置
KR20170005974A (ko) 2015-07-07 2017-01-17 동서콘트롤(주) 반자동 3연동 도어 시스템
KR101630300B1 (ko) 2015-11-06 2016-06-17 이녹하 3중 슬라이딩 도어의 연동장치
KR101738897B1 (ko) 2016-04-08 2017-05-24 정영호 3중 연동도어의 연동장치
KR20180116596A (ko) * 2017-04-17 2018-10-25 (주)엘지하우시스 복합도르래를 이용한 미서기 창호용 자동닫힘장치
KR101792618B1 (ko) * 2017-05-18 2017-11-01 한동이엔지 주식회사 반자동 미닫이 도어
CN207358706U (zh) * 2017-09-14 2018-05-15 苏州富强加能精机有限公司 一种具有自锁功能的数控机床移门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94726A (zh) * 2020-12-16 2021-04-02 铜陵德兴机械制造有限责任公司 一种密封性强的锅炉下降烟道密封门
CN112594726B (zh) * 2020-12-16 2023-02-07 铜陵德兴机械制造有限责任公司 一种密封性强的锅炉下降烟道密封门
KR20220142020A (ko) * 2021-04-14 2022-10-21 황정연 도어용 반자동장치
KR102567363B1 (ko) * 2021-04-14 2023-08-14 황정연 도어용 반자동장치
CN114961517A (zh) * 2022-06-28 2022-08-30 淄博万邦自动门有限公司 一种电动推拉门传动结构及推拉门
CN114961517B (zh) * 2022-06-28 2023-11-14 淄博万邦自动门有限公司 一种电动推拉门传动结构及推拉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459666A (zh) 2021-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7703B1 (ko) 개스스프링과 움직도르래를 이용한 반자동식 3연동 도어
US4984387A (en) Door drive mechanism adapter unit
EP2503087B1 (en) Door hanging apparatus and door apparatus provided with the same
CN111197448A (zh) 电动滑门系统及移动车辆
JPH0238745B2 (ko)
US20050044794A1 (en) Guide assembly for sliding doors or pivotable sliding doors of vehicles and sliding door or pivotable sliding door
JP4176220B2 (ja) プラットホームドア装置
KR102168537B1 (ko) 개스스프링과 움직도르래를 이용한 반자동식 슬라이딩 도어
KR102223558B1 (ko) 수동개폐를 위한 구조를 갖는 수직개폐 스크린도어
JP2001003638A (ja) 車両用電動スライドドア装置
KR102191373B1 (ko) 개스스프링과 움직도르래를 이용한 반자동식 스윙 도어
US2872184A (en) Window regulator mechanism
KR102178746B1 (ko) 슬라이딩 도어 개폐시스템
KR20020078880A (ko) 여닫이 기능을 갖는 미닫이 방식 자동도어장치
CN211714929U (zh) 电动滑门系统及移动车辆
GB2124296A (en) Power operators for closure assemblies
CN211173653U (zh) 摆臂式滑移门机构和应用其的移动机械
JP2014189040A (ja) 可動扉装置
KR102046460B1 (ko) 두 가지 동작모드를 갖는 다단 플랫폼 스크린 도어
US6493991B1 (en) Revolving door system
JPH08336756A (ja) 扉装置における扉開閉装置
CN217296882U (zh) 一种新型电梯机械式自动门机
KR101055680B1 (ko) 슬라이딩 도어 개폐장치
KR200372381Y1 (ko) 자동도어의 개폐 장치
KR20030041670A (ko) 자동 도어 및 그것의 제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